- 15,453
- 교육
- 2025년, 신입생 및 성인 학습자 대상 싱가포르 대학 정원 확대 전망
페이지 정보
- 한국촌 (root)
-
-
263
-
1
-
0
- 2025-04-10
-
본문
대입 전형이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올해 대학 정원이 늘어날지, 그리고 폴리테크닉 졸업생들이 싱가포르 내 6개 대학에 진학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교육부(MOE)에 따르면, 2024년에는 A레벨 졸업생, 국제 바칼로레아(IB) 자격증 소지자, 그리고 폴리테크닉 졸업생 등 총 18,500명이 싱가포르 내 6개 공립 대학에서 학부 과정 입학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 수치는 2023년과 유사하지만, 입학 허가를 받은 지원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코호트 참여율(cohort participation rate)은 2023년의
42.9%에서
2024년에는
43.9%로 상승하였으며, 2025년에는 4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정부가 2025년까지 코호트의 60%가 학위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은 생애 전체를 고려한 참여율을 의미하며, 이에는 성인 학습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학위 과정(파트타임, 워크-스터디 포함)도 포함됩니다.
지금까지는 주로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와 사회복지 및 돌봄경제 등 비-STEM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과 관련된 전공을 중심으로 확대가 이루어졌습니다.
각 대학은 다양한 형태의 학위 과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공과대학교(SIT)는 ‘역량 기반 마이크로 자격(Stackable
Micro-credential)’ 경로를 통해 성인 학습자가 특정 기술 및 역량에 집중한 자격증을 모아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SUSS)의 유아교육학 학사 과정과 난양공과대학교(NTU)의 컴퓨팅 파트타임 워크-스터디 학위 과정처럼, 기업이 교육과정을 공동 설계 및 운영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MOE는 2025학년도 입학이 일부 2026년 초에 이루어질 예정이므로, 생애 코호트 참여율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2026년 말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024년 각 대학의 입학 인원(싱가포르 시민, 영주권자 및 국제학생 포함)입니다:
•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
7,308명
• 난양공과대학교(NTU):
6,501명
• 싱가포르경영대학교(SMU):
2,380명
• 싱가포르기술디자인대학교(SUTD):
494명
• 싱가포르공과대학교(SIT):
3,381명
• 싱가포르사회과학대학교(SUSS):
1,117명
교육부에 따르면, 2024년에는 약 8,000명의 폴리테크닉 졸업생이 6개 공립 대학에 정규 학부생으로 입학하였으며, 이는 싱가포르 시민 및 영주권자 총 입학자 18,500명의 4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는 신입 폴리 졸업생 중 약 3명 중 1명이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2015년의 4명 중 1명 수준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A레벨 및 IB 졸업생 중 약 5명 중 4명은 공립 대학에 진학하고 있으며, 이 역시 2015년의 4명 중 3명보다 증가한 것입니다.
지난 10년간 신설된 대학 정원의 상당 부분은 폴리테크닉 졸업생을 위한 것으로, 특히 SUSS와 SIT는 폴리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실무 중심 학습방식과 연계 전공을 제공합니다.
또한, 최근 대학들이 단순한 성적 위주 선발이 아닌 적성 중심(Aptitude-based)의 입학 평가 방식을 채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도 폴리 졸업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NUS와 NTU는 학업 성적 외에도 다양한 재능과 성취를 고려하는 적성 중심 입학 전형을 점차 확대해 왔습니다.
두 대학 모두 학업 성적 외에도 인터뷰, 적성 평가,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정성적 평가 도구를 통해 지원자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NTU는 2024년에도 2023년과 비슷한 비율로 적성 중심 입학을 시행했으며, 이는 전체 신입생의 약 57%에 해당합니다. 이는 2019년의 38%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입니다.
한편 NUS는 적성 중심 입학을 통해 선발된 학생 비율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6년 전보다 “크게 증가했다”고만 밝혔습니다.
두 대학 관계자들은 적성 중심 입학이 성적을 무시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여전히 지원자가 해당 전공의 학업을 감당할 수 있는 기초 성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