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교육
  • 싱가포르 유학원 아니면 초등학교 추천부탁드립니다. (초2 남아, 5세 여아)
  • 율이아부지 (bory00)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21-02-23 22:22
  • 답글 : 2
  • 댓글 : 0
  • 8,515
  • 0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앞으로 자주 질문 남기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싱가포르 주재원 발령 받아 조만간 입싱 예정으로 이제 초등학교 2학년 올라가는 아들(9월생), 유치원생 딸 두아이가 있습니다.

가족들은 6월 정도 입싱 예정이고 전 조금 일찍 들어와서 학교 우선 구하고 집을 근처로 알아보려고 계획 중 입니다.


 인터넷만 봐서는 몇몇 좋은 학교 처럼 보이는 곳이 있으나 과정도 쉽지않고 일을 제쳐놓고 하기도 힘든데다가 아이들 학교관련해서 
조금 더 면밀히 검토하고 싶은 마음에 싱가포르 선배님들의 노하우와 지혜를 구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 Re: 싱가포르 유학원 아니면 초등학교 추천부탁드립니다. (초2 남아, 5세 여아)
  • 색상나라 (colortherapy)
  • 답변 : 38건
  • 답변채택률 : 5.26%
  • 2021-02-24 10:06

안녕하세요 

 싱가폴은  학교에관한  정보만  

좀  가지고 계신다면  유학원이   

별로  필요하지  않아요.

학교 컨텍도 사실  이메일로

 

로  진행되니 약간의  학교 정보가

필요할 뿐이지요.

쪽지로   연락 드릴께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싱가포르 유학원 아니면 초등학교 추천부탁드립니다. (초2 남아, 5세 여아)
  • 겨울아이 싱가폴 (winterkid5)
  • 답변 : 218건
  • 답변채택률 : 15.14%
  • 2021-03-06 18:51

초등2랑 유치원이면 아무곳이나 가도 만족도가 높으실 듯해요. 굳이  UWS, SAS,  OFS 이런 곳 아니어도 초등프로그램 잘 되어 있는 집 주변에 국제학교 아무곳이 가도 될 듯 한데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52035

사업/직장싱가포르에서 새로운 야먕 실현(싱가포르 vs 한국 비교…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싱린이ㅇ(fxcfxc) 2025-04-07
추천수 : 0 조회수 : 560

안녕하세요.현재 한국에서 과기부 산하 준공공기관에서 3년자 IT 정보보호 직군으로 근무하고 있는 31세 남자입니다.제가 31살까지 한국에서 IT 분야를 업으로 삼으며 경력을 쌓아왔습니다.저는 IT 분야가 저에게 맞는거 같고 IT 정보보호를 하며 인프라 전반(서버, 네트…

  • A

    질문하신 부분은 전반적으로 글쓴이님 실력과 비례합니다한국에서 유망하고 능력이 좋아 젊은나이에 IT직군에서 '이미' 대우를 받고계시다면, 확률적으로 싱가포르에서 대우 받으시면 다닐 수 있습니다다만 레이오프가 빈번하니 지속적으로 본인의 몸값을 증명해야하는게 따라오겠죠? 한국과 다르게그리고 3,4번 똘똘말아 제 의견 전달드리자면 한국인으로써의 위치는 그냥 외국인 노동자이며, 인종으로 나누지 않고 어디까지나 능력으로 인정받는 나라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정착을 바라시면 영주권밖에 답이없는데 싱가포르 영주권은 뭐..로또나 다름없으니까요밖으로 나오시려면 좀더 구체적으로 고민해보시고 나오시면 좋겠습니다.후진국이 아닌이상 선진국반열에 넘어오면 그냥 다 외노자예요, 특별한거 없습니다

  • A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 15년 동안 이민생활을 하면서 한국에서 가지고 온 커리어를 여러번 피봇하고 현재는 사업을 하고 있는 DIVA글로벌의 김영미 대표입니다.올려주신 여러 질문에 제 글이 답변이 될 수 있을거 같아서 링크를 달아드립니다. 싱가포르 취업은 새로운 세계로의 입문, 한국과 분명히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최종 결과를 본인이 원하는 삶으로 이끌어 내는 것은 결국 개인의 노력과 역량입니다. 성공하려면 한국이나 싱가포르나 비젼을 가지고 밀도의 시간을 살아야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3318391194  더불어 최근 싱가포르 영주권에 대한 니즈가 더 커졌는데 싱가포르 정부의 관점에서 어떤 사람들에게 영주권을 더 잘 줄 것인지 저의 인사이트를 담은 글도 공유합니다. 종사하고 계신 분야에 대한 언급이 글에 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3823617177

    2
  • A

    안녕하세요.해외 취업이 쉽지 않은 시기에 어려운 고민을 하고 계신듯 합니다.현 시점에서 외국인에게 비자를 내주고 고용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문이 이전에 비해서 매우 좁아져서,혹시라도 취업을 성공하시게 된다면 현재 고민하시는 것들은 생각보다 고민이 아닐것 같습니다.지인을 통해 추천으로 많이 이직들을 하시기 때문에 혹시 싱가포르에 이미 이직하여 자리 잡고 있는 지인이나 유능한 헤드헌터와 인맥이 있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이직을 진행하실 수 있을듯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아직 싱글이시라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곳에서 시작하시는게 진입장벽을 조금이나마 낮추고 성장의 가시성이 좋아 동기부여도 잘 되는것 같습니다.내국인이 기피하는 어려운 직무, 급여도 많지 않지만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고 근무 강도가 높은 직무,회사 외부의 고객사나 파트너사와 협업할 기회가 많고, 분야를 한정짓지 않고 경력을 쌓을수 있는 역할에서 시작을 하시는게진입 장벽도 낮고, 진흙탕 속에서 함께 성장한 동료가 몇 년뒤에 이직 제안을 주거나, 나의 서비스나 업무 태도에 감동한 고객이나 협력했던 업체의 직원이 이직 제안을 주기도 합니다.더러는 외국인의 시각에서 새로운 사업 분야가 보여 생각하지 않은 곳에서 수익이 나기도하고, 그렇게 지난 10년을 보낸것 같습니다.아래는 저의 경험에 기반한 답변이므로 다른 경험을 하신 분들은 다른 의견들을 많이 남겨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1. 싱가포르에서 IT 개발 직무를 가졌을 때 수평적이고 성과지향적인 조직문화를 기대해볼 수 있는지?일반적으로 싱가포르의 IT 주식회사들의 조직은 크게 4가지 구조로 구성이 되는것 같습니다.주주 혹은 오너 : 리더를 결정 하고 실적을 평가함리더쉽(C suite, Vice President등등) : 주주 혹은 오너가 고용한 회사의 리더, 회사의 방향과 전략을 결정관리자(Manager, Director등등) : 실무자들에게 리더의 방향을 상기시키며, 실무를 잘 할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실무자(Specialist, Representative, Engineer등등) : 실무를 하는 사람으로 특출한 공을 세우거나, 리더쉽의 뺨을 때릴 정도의 안목을 보여주지 않는한 관리자가 되기 쉽지 않음.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한국 회사만 다녔다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수평적이고, 보고라인이 아니라면 관리자라도 함부로 타부서의 실무자에게 업무 지시를 할수가 없습니다.각각의 직무에서도 어소, 주니어, 시니어, 프린시플 같은 직급은 있으나, 보통은 각자의 일을 하며, 주어진 지표내에서 성과를 평가받고,관리자의 평가가 실무자의 급여 인상에 반영되지만, 실무자가 관리자와 리더쉽을 평가하는 서베이도 합니다. 그것은 리더가 관리자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하고 주주가 리더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2. 열심히 노력한다는 가정하에 IT 분야에서 글로벌 빅테크 혹은 다국적 대기업에서 억대 연봉(한국과 물가 등등 생활수준을 다르겠지만)을 비롯하여 많은 부와 명예를 가져볼 수 있을지?일반적으로 30대에 억대 연봉은 현재 이직하시면서 바로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사회규모가 좁아서 본인의 역량이 뛰어나다면 짧은 시간안에 업계에서 명예를 얻을 수 있고, 부의 관점에서는 부유하다고 느끼는 기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무리 명예가 좋더라도 이직이 유연한 편이어서 이직과정에서 20~30%씩 점프를 하면 급여가 높아질 수는 있으나급여가 부를 이룰 만큼의 급여를 받기엔 회사만 다녀서는 IT개발이라는 직무에서는 아주 드물게 가능할수도 있으나,일반적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3. 싱가포르에서 한국인으로서 안정적인 정착(글로벌하게 역량도 쌓으면서 흔히 생각하는 집 마련 + 금전적인 여유)이 보장되는 분위기이신지?외국인 신분으로 회사를 그만두면 머무를수 있는 기간이 짧고 부동산 취득세가 비싸기 때문에 영주권이 된다면, 어느정도는 안정적인 정착을 고려해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금전적인 여유 부분도 내국인 신분으로 사는것 보다는 아무래도 생활비나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들이 많아, 소득대비 여유롭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4. 싱가포르에서 한국인으로서 위치는 어떠한지?살면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나쁜 대접을 받은 경험은 없는것 같습니다.좋은 회사일수록 차별이 없고, 싱가포르의 삶기준으로 영어와 중국어가 가능하다면 좋지만, 영어만 되어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외모가 비슷하여 쉽게 중국인으로 오해를 받아 처음보는 동양인들이 중국어로 말을 겁니다.경력이 있으시니, 영어만 문제없다면 지금 당장 문을 두드려 비자의 벽을 넘어 원하시는 목표를 달성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건승하세요.

Q

NO.52030

생활비자카드 발급, 은행 계좌, 핸드폰 관련 질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컨셉러(jhsimons) 2025-04-01
추천수 : 1 조회수 : 216

안녕하세요이번에 EP 승인 받아, IPA 레터만 가지고 있는 상태 입니다출장 형태로 들어가, 실물 비자카드, 핸드폰, 싱패스, 은행 계좌를 열려고 합니다가장 짧게 가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도움이 필요합니다1. 비자카드는 발급 받는데 4~5일 걸리는 거 같고요2…

  • A

    Pre-Paid Sim 카드를 사고, 싱패스를 발급받고 나중에 Post-paid로 전환해서 번호 변경하는 것까지는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은행 계좌가 될 지 모르겠네요. 외국인이 가장 편하게 열 수 있는 계좌가 DBS 은행일텐데, 여기도 주소지를 증명하는 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임시 거주지 (레지던스) 주소를 회사 시스템에 입력하고, 주소를 포함한 Letter of employment 를 제출했습니다. 다른 은행은 계좌를 열어보질 않아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아마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결론은 다른 것보다는 일단, 은행 계좌를 열 때, 요구되는 문서가 무엇이 있는지를 정확히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참고로 DBS의 경우는 인터넷으로 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데 여권, IPA, 거주지 증명 서류 (Letter of employment)를 요구했었습니다. 신청 후 약 4일 후에 계좌가 열렸지만, 바로 사용할 수는 없어요. 계좌를 활성화시켜야 하는데, 그걸 하려면 Debit Card를 받아야 합니다. 카드가 오는데 또 3~5일정도 걸립니다. 그래서 저는 바로 은행 창구에 가서 카드를 받아왔습니다. 

Q

NO.52027

사업/직장[한국지사 to 싱가포르 지사] 이직 연봉 제안액 수준…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완료
Jarek(altong216) 2025-03-28
추천수 : 1 조회수 : 1,049

안녕하세요,현재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 한국 지사에서 일하고 있는 28살 청년입니다~ 대학 인턴부터 다닌 첫 회사이며 곧 5년차가 됩니다.운이 좋게 5~6월부터 싱가포르 지사에서 오퍼가 와서 현재 연봉 테이블까지 받은 상태입니다.Power conversion 글로벌 회…

  • A

    올리신 연뵹을 계산해보면 월 급여 SGD 8400 정도 되는데 주거비가 콘도 2 룸이 지역에 따라 3-4 천정도 될텐데 주거비로 거의 40% 정도 월급에서 나가고 식비, 외식, 교통비, 통신비, 품위 유지비등등을 생각하면 싱가폴에서 여유롭게 사시거나 저금을 하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 GST 가 9% 라 우리 가족 같은 경우는 조호에 가서 쇼핑하고 외식한지 거의 3년 넘어가네요. 

  • A

    한국에서 어느 정도 인정받으시고 싱가포르로 넘어오시려는 시점에서 말씀드리면, 윗 댓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적어주신 연봉으로는 턱없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협상 하실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달에 10,000 정도는 받아야 한국에서 누리던 것 비슷하게 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게 아니라면, 연봉이 조금 깎이더라도 주거비 80~100% 지원 쪽으로 협상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A

    싱가포르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고 계시는 것이라면,이사비용 및 가구구매 비용을 포함해 115,000으로 생각하고근무시작 후 1년 이내에 다른 회사를 알아보고 이직 혹은 급여협상을 잘해,실질 임금을 빨리 올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Q

NO.52023

부동산방 type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삼공일(ginagelee) 2025-03-25
추천수 : 0 조회수 : 421

싱가포르 취업하고 싶어서 room 찾다보니싱가포르는 master/common 이렇게 나뉘고 또 common에서 1/2/3 으로 나뉘더라고요master는 개인 화장실이 방안에 딸려있는거고 common은 방은 혼자쓰고 화장실을 같이 쓰는거 같은데common 1은 다른 한명…

  • A

    추가로 만약에 저런 share 하는 집으로 들어갈경우 열쇠로 잠금하는 형식인지 궁금합니다 ㅠㅠ

  • A

    우리나라와는 달라서 많은 궁금증이 있을텐데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master room은 안방과 같아서 방 중에서 가장 큽니다. 욕실이 함께 있어 (요즘 우리나라 아파트와 같습니다) 독립이 좀 더 보장되어 다른 방 보다 비쌉니다.common room은 작은방과 같은데요. 2bedroom condo는 master bedroom 1개 그리고 common room 1개/ 3bedroom condo는 master bedroom 1개 그리고 common room 2개, 4bedroom condo는 master bedroom 1개 그리고 common room 3개 이렇게 됩니다.콘도에 따라 3bedroom condo에 화장실(욕실)이 2개나 3개 있는 곳이 있어 일반적으로 화장실을 혼자서 사용하면 방 렌탈비가 화장실을 flatmate와 함께 사용하는 것 보다 좀 비쌉니다. 당연한 이유겠지요. 화장실(욕실) 사용 여부는 직접 문의해서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문을 잠그지 않고 사는 걸로 알고 있는데 방을 잠그느냐 안 잠그느냐는 개인의 선택인 것 같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