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사업/직장
  • 룸렌트 월급의 몇 퍼센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쇼토케이크 (kzzing47)
  • 질문 : 2건
  • 질문마감률 : 0%
  • 2023-04-25 21:40
  • 답글 : 3
  • 댓글 : 0
  • 9,693
  • 0

20대 후반이고 이번주 막 입싱했습니다.

아버지 회사가 외국계여서 싱가폴에 아는 분 통해서 hbd를굉장히 싸게 렌트 구했는데,직장에서 한시간 거리고 제가 교대 근무라 좀 고민이 되네요. 

 

하루 지내보니 날도 너무고덥고 습한데 에어컨도 없어서 조금 비싸더라도 다른 방을 구하는게 나을까 고민중입니다ㅜ

 

집주인께서도 당장 룸렌트 받지 않고 일단 5월 전까지 지내면서 생각해보라고 하셨어요. 만약 룸을 새로 구하면 월급의 몇 퍼센트가 마지노선일까요?

 

 

  • [답변]
  • Re: 룸렌트 월급의 몇 퍼센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싱가뽀리지 (jenna)
  • 답변 : 130건
  • 답변채택률 : 7.69%
  • 2023-04-26 19:02

저는 방을 다시 구하는 쪽에  한표 입니다. 직장에서 30-40분 거리, 에어컨 있는 곳으로요. 

렌트비의 마지노선은 무의미 하다고 봅니다. 어차피 시세는 정해져 있고 보통의 월급을 받는 20대 직장인은 절반 가까이도 렌트비로 나갈수 있으니까요. 

지금은 경력을 쌓는데 초점을 맞추고 4-500달러 더 나가 더라도 내 몸이 편한쪽을 선택하고 저축은 포기 하겠습니다. 

싱가포르 더위에 적응도 되지 않았는데 에어컨도 없다면 너무 힘드실 거에요. 

더구나 퇴근해서 힘든 몸 이끌고 집에 가는길은 한시간과 40분이 고작 20분 이지만  체감도는 다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룸렌트 월급의 몇 퍼센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에메랄드캐슬 (cnrhg)
  • 답변 : 50건
  • 답변채택률 : 10%
  • 2023-04-30 07:03

저는 견딜 수 있다면 지금 계신 곳에서 계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HDB는 싱가포리언의 80%이상이 거주하는 곳입니다.

한국분들은 대부분 콘토 룸렌트를 선호하시지만...사회 초년생, 처음부터 저축 습관을 잘 들여야 40대-50대에 오직 직장에 매달리지 않고 스스로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질 수 있거든요.

렌트비가 급여의 30%가 넘는 것은 좋지않다고 봅니다.

저는 첫 취업부터 현재까지 급여의 50% 이상을 꾸준히 적립하고 투자해서 직업 선택의 자유를 얻었습니다.

삶에 대한 가치관 차이인데, 20대 첫 해외취업, 즐기고 싶고 편하고 싶지만 내 삶의 스타트업 오너라는 마음을 먹는다면 1시간 거리, 에어컨 없는거 -선풍기도 괜찮고 샤워도 있고, 직장에서 더 오래 일하시면 ㅎㅎㅎ 커리어도 개발하고 저축도 많이해서 경제적 독립을 도모할 수 있는 기본기를 쌓을 수 있지 않을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룸렌트 월급의 몇 퍼센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kylrie! (kylriehan)
  • 답변 : 520건
  • 답변채택률 : 15.38%
  • 2023-05-02 11:57

제 개인적으로는 15~20%을 넘지 않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hdb 도 에어컨이 있고 환경이 괜찮은데 너무 저렴한 방을 구하신게 아닌가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51942

생활임산부를 위한 의료보험 준비 어떻게 해야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정세(yongho12345) 202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2,315

지금은 한국에 살고 있고, 2월부터 싱가포르에서 근무하게됩니다.와이프가 임신을 해서 (현재 9주차) 싱가포르에 가면 산부인과에 다녀야 합니다.병원비가 많이 들 것 같은데, 가기 전에 한국에서 여행자 보험 같은걸 들고가야 할지, 현지에서 의료 보험을 따로 들어야 할지 모…

  • A

    싱가포르는 아시다시피 의료비용이 비싼 편에 속하기 때문에 국립병원을 가느냐 사립병원을 가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저를 포함한 제 주변(싱가포르 사람 & 한국인 5쌍 부부 기준)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2022년 국립병원(KKH)을 기준으로, 산부인과 검사 비용(임신 9개월까지 병원방문 및 검사비용)은 대략 3~4천 달러선에서 정리가 가능합니다. 2022 ~ 2023년 사립병원(Thomson, Mount Elizabeth, Mount Alvernia Hospital )은 산부인과 검사 비용은 대략 6~7천 달러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출산 시 비용인데, 사립은 만 달러부터 시작입니다.(자연분만 기준) 제왕절개(C-sec) 하시면 만 오천에서 이만 달러 정도 나옵니다. 자세한 비용은 병원홈페이지에 다 나와있습니다. 요즘 ChatGPT 사용하시면 자연분만 기준으로 자세하게 다 나오니, 회사에서 지원이 없고 본인이 생각히신 예산보다 초과하신다 싶으시면(여행자보험은 제가 해본적이 없어 어느 정도 금액까지 커버해주는 지 몰라 추천이 어렵네요..) 추가적인 현지 보험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A

    이미 임신한 경우 임신 출산 관련 보장되는 의료보험은 가입 안 시켜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실적방안으로는 회사에서 단체보험이 가입되어 있으면 배우자 추가 가능한지 여부 확인이 우선 필요할 것 같네요. (이 경우 보험청구가능 범위 및 절차는 알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