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지

  • ~

  • 2,742
  • 기타
  • 싱가포르, 살기 좋은 도시 세계 25위, 아시아 1위

페이지 정보

  • 한국촌 (hansing)
    1. 2,607
    2. 0
    3. 9
    4. 2011-12-01

본문

Mercer’s Quality of Living survey 에서 조사한 살기 좋은 도시에 싱가포르가 세계 5위, 아시아 1위에 선정되었습니다.  총 221 도시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이번 결과는 싱가포르의 경우 올해 세계 순위가 작년(28위) 과 비교해 3단계 향상 되었으며 주요 조사 카테고리는 Public transport, Housing, Climate, Schools 등입니다. 참고로 싱가포르는 개인 안전 (Personal Safety Ranking 2011) 환경 조성이 잘 된 도시 8위에 선정 되었습니다.

Mercer’s Quality of Living survey Worldwide Ranking 2011 TOP 10

1. Vienna (Austria)
2. Zurich (Switzerland)
3. Auckland (New Zealand)
4. Munich (Germany)
5. Dusseldorf (Germany)
6. Vancouver (Canada)
7. Frankfurf (Germany)
8. Geneva (Switzerland)
9. Bern (Switzerland)
9. Copenhagen (Denmark)
25. Singapore (Singapore)

Personal Safety Ranking 2011 TOP 10

1. Luxembourg (Luxembourg)
2. Bern (Switzerland)
2. Helsinki (Finland)
2. Zurich (Switzerland)
2. Vienna (Austria)
6. Geneva (Switzerland)
6. Stockholm (Sweden)
8. Singapore (Singapore)
9. Auckland (New Zealand)
9. Wellington (New Zealand)

이 기사가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음 기사작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목록

싱직장인님의 댓글

싱직장인 (jpilyang)

Personal Safety, Public Transportation 등은 동감하지만, Housing에 대한부분은 전혀 공감가지 않는 부분이네요. 외부에서 보기엔 항상 좋아 보이는 곳이 싱가폴이지만, 여기서 지불하는 월 3000 ~ 6000 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그정도의 Housing을 못누릴 곳이 전세계에 있을까요? 한국도 그정도면 서울, 분당에 있는 근사한 오피스텔 수십평에 묶어도 될꺼구.. 미국에서도 뉴욕에 있는 아파트 살아도 되는 비용이고.. 캘리포니아에 넓은 집에 정원 놓고 살아도 될꺼고.. 중국에서도 상하이 한복판에 있는 호텔형 아파트에 살아도 될꺼구.. 프랑스의 파리에 가서 살아도 될 비용인데.. 결국 지불한 만큼 밖에는 못누리는 싱가폴인 셈이죠....

eddy님의 댓글

eddy (edward21c)

동감하는 일인입니다 비싼 렌트비 내고도 집주인이 집판다며 맨날 바이어 델구 와서 괴롭히는 통에 이사를 생각중입니다
흔히 싱가폴은 PNP Country라고 하죠 Pay and Pay 그래도 그만한 quality 가 안나오는 마치 돈만 밝히는 이기적인 중학생이 어른흉내 내는 곳, 자기네들도 아는지 실력안되는 곳엔 항상 외국인 데려다 쓰면서 마치 선심쓰는 것처럼 행세하는 개념없는 나라, 그래도 주제를 몰라 외국인들이 고용기회를 막는다고 억지쓰는 나라 그자리 지네들이 들어가면 나라망하는 지름길임을 아는 지도자가 하나쯤 있으니 망정. 회사명으로 있는거지 아시아 1위의 살기좋은 곳이란 건 택도 아닌 소리.. 아 빨리 임기마치고 가야지

HappyEnding님의 댓글

HappyEnding (newflower)

싱가폴이 살기 좋다는것은 렌트비를 내고 사는 외국인보다도 싱가폴인이나 영주권자들. 저렴하게 집까지 사서 살수 있는사람들이 살기 좋다는 말인것 같네요. 외국에서의 타향살이가 힘든거죠.

SJ님의 댓글

SJ (chiron0403)

지불되는 비용만큼의 퀄리티가 안나오는거에 공감하지만 (주거 음식등등) 한편으로는 지리적 여건이나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정책을 고려하면 가장 효율적이게 하는거 같아요. 효율적인 의료, 선진 교육, 주거환경(집보단 주변환경)등등을 유지하기 위해 세금데신 hdb, coe 시스템이 없이는 힘들것 같다는게 개인적 생각입니다. 비교적 물질적인 한국인(특히 소득이 안되는) 에게는 힘들게 느껴질것 같구요. 비지니스 하기 좋게 만들어 놓고 돈벌로 온 외국인들이 돈을 쓸수 밖에 없게 디자인 된 나라. 자국의 경제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까요. 대다수의 싱가포르인들은 굉장히 만족하면서 살고 있어요. 외국인력을 국제화 시대에 자국민 그런거 상괸없는거 같네요. 여러기업의 필요에 따라 인력을 고용하는것이니...싱가폴은 작은 도시국가에서나 가능한 효율적이고 훌륭한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아무것도 없고 가난했던 이 조그만 섬이 이정도 도시가 ‰榮帽遮째정말 대단한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조사 기관이 엉터리로 하지는 않을것입니다. 비판적이신 분들을 보니 안타까워 의견 님겨요.

꿈을가꾸는정원사님의 댓글

꿈을가꾸는정원사 ()

조사에 참여한 분들이 자국민에 국한된 결과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우리 같은 대다수 외국인(?)의 경우 상당히 다르지 않을까요? : )

SJ님의 댓글

SJ (chiron0403)

만났던 백인들(스위스, 뉴질랜드, 프랑스, 일본 등)은 불평없이 싱가폴 좋다고들 다 그러더군요. 한국인들 한테는 맞지 않나봐요. 안타깝지만 유독 한국인들만 엄청 불평이 많은거 같에요. 저도 불평이 많지만...ㅎㅎ

goodall님의 댓글

goodall (mygogh)

백인들(걔네들) 나라에 비하면 텍스나 물가가 싸니깐 불만이 없는게 아닐까요?제 주변 백인들은 예전에 비해 살기 힘들어졌다고 별 메리트 없다고 하더라구요.물론 저는 2년전만 보더라도 하우징피가 많이 올라 다시 한국으로 가야하나...하는 1인.에휴...

eddy님의 댓글

eddy (edward21c)

어제 싱가폴 North-south MRT 에서 발생한 사고 당시 한 승객으로 얘기하건데 신문에는 경찰과 군인이 mrt 승객들을 대피시켰다는데 어제 1시간동안 갇혀 있으면서 가족들한테 굿바이 메시지 보내기 직전까지 간 사람으로서 그런일 없었습니다
그 1시간 중 30분은 모든 전기가 끊기고 통풍장치가 멈췄으며 숨쉬기조차 어려워 여기저기 창문을 부수거나 강제로 문을 열었죠 암흑에서 빛이라곤 핸드폰 빛 뿐이었습니다 이 나라에는 Contingency plan이란게 없나 봅니다
한가지 에피소드로 싱가폴 사람들이 얼마나 멍청하게 법을 잘 지키는냐하는 거죠
통풍장치가 작동이 않돼 문을 강제로 열었습니다 힘들었습니다 근데 왠 싱가폴 여자가 문열면 안된다네요 왜냐,,, 규정상 그렇답니다 전차 밖으로 던질레다 참았는데 퇴근시간 그 수많은 사람이 밀폐된 공간에서 숨쉬면 무슨일이 생기는지 그 여자는 무식해서 모르는 모양입니다 설명해줬죠
오차드 mrt에선 그 누구도 승객을 안내하는 인간 하나 없고 그 흔한 병원구급차하나 보이지 않았습니다
우리 전차칸에 어린애하나가 의식을 잃었는데 말이죠
여러분 안전제일의 마음으로 지하철 문여는 방법 그리고 핸드폰으로 후레쉬역할하는 앱 다운 꼭 받으시고 비상연락망 꼭 갖추고 다닙시다 오늘 LTA 전화해서 어제 일을 물어보려했지만 허사였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런가요 ??

카페라테님의 댓글

카페라테 (roraya)

정말 놀라시고 힘든 시간을 겪으셨네요..!! 그런 위급상황에 smrt가 택시들에게 보낸  "income opportunity"라는 메세지는 정말 너무도 충격적이더군요. 뭘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공지 2021-07-24
  1. 362900
  2. 5
  3. 0
공지 2020-06-29
  1. 402825
  2. 3
  3. 0

일반뉴스

오늘의 행사

이달의 행사

2024.06 TODAY
S M T W Y F S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