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Q

NO.777

부동산보증금을 홀딩중인 집주인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허니1(Hyeonhee) 2024-12-31
추천수 : 0 조회수 : 2,920

안녕하세요.답답하고 막막한 마음에 이 글을 올립니다. 2023년 12월 28일부터 홀렌트로 집을 빌려 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사 첫날부터 바퀴벌레가 나왔습니다. 몇 마리 정도가 아니라, 자다가 바퀴벌레 날개 소리에 깨는 정도였습니다. 덫을 설치했더니 하루에 3~4…

  • A

    최대한 감정을 절제하고 이성적으로 일처리를 하셨으면 합니다.-바퀴벌레가 나와서 울며불며 주인에게 나가겠다고 했다 (Fact + 감정)-1층 사생활 침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문을 열고 지내야만 했다 (감정+ Fact)-돈을 돌려받지 못할까봐 두렵다 (감정)-돈을 더 써야할까봐 두렵다 (감정)-계약 요건에 따른 에어컨 청소를 충실히 이행했다 (Fact)주인의 입장- 집에 바퀴벌레가 나와서 세입자가 불편해 했고 페스트컨트롤을 불러서 일처리를 했다 (Fact)- 핸드오버할 때 보이지 않았던 곰팡이가 중간에 생겼다.(Fact)- 같은 문제로 다음 세입자에게 컴플레인 듣기가 싫다. (감정)- 에이전트+전문업체 동반 인스펙션 결과 곰팡이 제거가 더 필요하다 - 벽의 케미컬 클리닝& 에어컨 등 (요구사항,자신의 문제해결 솔루션) 각자 집 렌트시 예측하지 못한 불편 사항이 있었고 감정들이 조금씩 상했습니다.질문자님이 가장 원하는 것은 내가 할만큼 했는데 보증금을 지체없이 전부 돌려받고 싶은 것입니다.주인의 입장은 한국 세입자의 예민한 반응과 (물론 바퀴벌레와 곰팡이를 누구나 싫어합니다) 열대 지방에서 생길 수 있는 벌레나 습기 문제에 대해서 자신을 지나치게 블레임 한 것에 마음이 상했을 수 있습니다.따라서 내가 을의 입장이라서가 아니라 -한국의 유난한 갑을, 피해의식이 있습니다. 약간은 건조하게 계약서상 집주인은 이 계약 이후로 최소한의 경비로 집을 정비해서 다시 렌트를 하고나는 최소한의 핸드오버피를 내고 원만하게 보증금을 받아가는것을 이루려면 한치도 없는 양보의 마음과 두려움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임하면 질문자님이 더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 있습니다.소액재판 법원에서는 계약서에 준해서 서로가 의무를 지켰는지 볼 것입니다.집에 처음 들어갔을 때 곰팡이 자국이 있었는지 찍어놓은 사진들을 잘 살펴보세요. 혹시 그때도 곰팡이가 있었다면 그 집이 가진 원래의 문제라고 증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바퀴벌레 또한 날아다니는 것은 보통 위생관리를 안해서가 아니라 콘도에서 방역을 하면 밖에서 사는 것들이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고층에 살아도 들어올 때가 있는데 1층에 사시니까 그 횟수가 더 빈번했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페스트 콘트롤러가 약을 치면서 이 바퀴가 집에 서식지를 만든 것인지 외부 침입인지 물어보셨나요?싱가포르에서 잘 사는 방법은 서로의 문화차를 인지하고 한국의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 것입니다.제가 이번에 한국에 와보니까 운전/대중교통 내에서 약간만 룰을 어겨도 눈을 부라리고 욕을하고 사람들의 마음에 여유가 없는 것을 보았습니다.공정과 사회적 규범에 대한 예외없는 적용이 더욱 요청되고는 있으나 싱가포르는 한국보다는 타인의 실수에 대해서 대놓고 말하지 않거나참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내가 깐깐하게 굴면 상대도 깐깐하게 굽니다.따라서 내가 한발 양보한다는 마음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하면 상대에게도 유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지금까지의 일의 흐름으로 보아서 저는 집주인의 에어컨 청소/벽 부분의 완전한 곰팡이 청소 부분에 대해서 원글님이 전액 부담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면 견적을 받아서 일정부분 내가 부담하고 당신이 이 금액 이후는 커버해 달라고 합리적인 제안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질문자님과 집주인을 보지 않았으니 어떤 상황인지 제가 다 알수는 없어서 내용에 준해서 제 의견을 말씀드렸습니다.새해 보증금 문제 원만히 해결하시고, 내가 이정도 했는데 집주인이 못되게 군다면 핸드오버 관련한 영수증, 사진 다 준비하셔서 소액재판 준비하시면 됩니다. 그럴 일은 없기를 바랍니다.저 또한 15년 전에 싱가포르에서는 문화차이를 이해 못한적도 많았고 을의 입장에서 억울하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어요.지금관점에서는 조금 다르게 해석할 것 같은 보증금 반환 에피소드 다른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공유합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2761313502감사합니다.닥터헬렌킴 드림

    1
Q

NO.776

부동산콘도 도중 퇴실할라고 하는데 보증금 전액을 주지 않는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Newt(newt12312) 2024-12-31
추천수 : 0 조회수 : 2,881

안녕하세요. 제가 싱가포르에서 2달째 콘도 룸랜트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집에 들어갈때 따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보증금과 월세내고 바로 들어온 케이스입니다. 계엄령으로 인한 환율 인상으로 1550싱달러 주고는 생활이 힘들어져서 도중 퇴실 할라고 하는데 그러면 보증금 …

  • A

    상황을 들어보니 많이 속상하실만 합니다.계약에 의해서 8개월 살기로 하고 보증금을 냈는데 그 기간을 다 못채웠을 때 보증금을 전액 다 돌려주지 않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능하다 입니다.내가 보기에 엄청 더럽고 낡은 전자제품인데 쓰자마자 고장이 났는데 나에게 새로 사오라고 요청하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능하다 입니다.한국과 싱가포르는 계약/사람들의 사고 방식이 매우 다릅니다.한국의 정치적 상황으로 환율이 뛰고, 게다가 돈버는 직장인도 아니고 학생인데, 내가 어려운 사정에 계약을 못지키게 되었다 하더라도 싱가포리언의 부동산 계약 문화는 대부분 처음에 맺은 계약에 준해서 일처리를 한다는 것입니다.따라서 한국의 식대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지 말고 내가 생각할 때 부당하거나 - 전자렌지에 음식을 넣는 것도 매우 끔찍할 정도의 더러움이네요할 때는 미리 이의 제기를 하고 내 의사에 대한 상대의 의중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장 안전한 거래입니다.한국은 영수증만 들고가면 변심에 의한 환불이 잘 되지만 싱가포르는 낙장불입 문화입니다.따라서 물건도 내가 정말 확실할 때만 사는 것이 안전한 생활법입니다.저희도 3년 산 집, 2년산 룸렌트에서 미리 고지했지만 계약서상 지켜지지 않은 날짜에 대해서 주인은 그대로 일처리를 했습니다.싱가포르 거주 초기라서 이 사람들은 전부 돈독이 오른 중국놈 인도놈 아니 말레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했었어요.그러나 15년차에 들어서니 인정에 의한 사정변경이 한국이 유난히 좋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특히 서구권의 영향을 받은 곳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문서로 대화로 불확실한 부분을 짚고 가는 것이 나를 보호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속상하시겠지만 집주인이 너무 악덕이라서 질문자님께만 심하게 대하고 이것을 누군가가 도와서 해결할 상황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다음에 더 큰 돈을 지불할 어떤 계약에 대해서 예방주사를 맞았다고 생각하시고 싱가포르나 해외 생활에서 한국과 다른 계약문화를 잘 인지하셨으면 합니다.감사합니다.닥터헬렌킴 드림

  • A

    계약서가 따로 없다면 보증금은 집주인이 되부분 마음대로 할 수 있어요...보통 집 계약서로 통해서 만약에 귀국을 하게된다면 남은기간 어떻게 보증금을 받을지 명시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전제품들도 보통은 계약서에 Excess 얼마인지 측정하여 만약 150불이상 나오면 처음 150불은 랜트하고 있으신분이 내고 그 이상으로 나오는거는 집주인이 부담하는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좋은 주인도 있지만 거의 극소수라고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집주인들이 새입자 골르는것처럼 새입자도 집주인을 봐가면서 골라야된다는점 주의 하셔야됩니다. 저 또한 20년 동안 수많은 집들을 랜트하면서 쌓아온 경험 바탕으로 말씀드리는겁니다. 학생분 입장에서는 1550불이 큰 금액일수도 생각될수 있습니다만 시간도없는 상황에 아주 비싼 교훈을 얻었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Q

NO.773

부동산계약만기 퇴거 청소조건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sing77(sing77) 2024-06-07
추천수 : 0 조회수 : 6,283

안녕하세요. 계약 비연장의사를 밝혔더니 아래와 같은 요청사항이 왔는데요.1)     Receipts as proof for the Air conditioners (with one time of chemical wash) and Condenser's Servicing f…

  • A

    1  계약서 보세요. 보통 렌트 기간동안 삼개월마다 청소한 영수증 첨부 하는건 맞지만 마지막에 케미컬 청소를 테넌트가 하라는건 드문 일인것 같네요. 뭐…결국 디파짓 때문에 해주고 끝내는게 나을 거에요. 안해주고 따지다가 디파짓 못받고 그 기간만큼 렌트비를 내라는둥..하면 시간. 돈. 스트레스 의 값어치가 케미컬 비용보다 비쌀거에요. 2. 커텐들이 오래되서 멀쩡해 보여도 햇볕에 삭아 있기 때문에  괜히 집에서 세탁기 돌렸다가 누더기 되면 사줘야 해요.  3. 차라리 편해요. 청소가 잘됐든, 아니든 백불 남짓으로 해결 되니까요. 내가 한다고 했다가 말도 안되는 트집 잡아 부엌 청소 두번 불합격 당해보면 결국 영수증 하나 첨부하는게 낫다 싶어요.   2. 3. 은 제 경험담 입니다. 괜히 내 몸 상하고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업체까지 지정해주고 돈으로 해결하는게 제일 쉬운길 이에요. 하라는대로 하면 되니까요. 결국 그들이 원하는건 영수증 이에요. 내가 깨끗하게 만들어 핸드오버 해 주는게 아니에요. 싱에서는 집주인이 갑이고 진짜 얼굴은 핸드오버때 알수 있죠. 내 에이전을 믿지 마세요. 그들이 해주는건 없어요. 입으로는 같이 공분해 주고 스몰코트 간다고 하면 그래라 하고 동조해 줄수는 있어도 떠나는 테넌트보다 장기적으로 집주인이 그들의 미래의 고객이기 때문에 나를 위해 싸워주지 않아요. 싸우는건 내가 하고 돈.시간.  스트레스도 다 내 몫. 원글님 랜드로드 요구사항 정도면 일반적인 수준 이에요. 

    1
  • A

    1,2,3번 모두 일반적인 사항이예요.에어컨 케미컬은 마지막에 하라는게 아니고 거주 기간 2년 동안 최소 한번의 케미컬을 했었는지를 확인하는 거예요. 2년안 케미컬 한번 안했다면 마지막에 디파짓에서 뺄 수 있어요. 거주 기간에 깨끗하게 사용했는지 여부보다는 집주인 입장에서는 사실 영수증이 필요한거 라서요. 왜냐면 다음 세입자에게 보통 에어컨, 커튼, 청소가 전문업체가 했다 라고 보여주는게 주목적이라서 집을 구할때 에이전트가 보통 여기 저기 청소/빨래 영수증을 보여주는 이유죠. 그래서 세입자가 스스로 깨끗하게 청소해도 집주인이 오케이할지 여부는 집주인에 따라서 달라요. 전문업체가 청소/빨래한 영수증이 없으니까요. 커튼은 사용안하면 입주 전에 가져가라고 하면 됩니다. 그럼 커튼 빨래의 의무가 사라져요.

    1
Q

NO.772

부동산HDB 거주중입니다. 계약기간이 6개월 남았는데 ..(…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rainbow7(justice0916) 2024-03-03
추천수 : 0 조회수 : 4,962

안녕하세요저희와 같은 경험 있으셨던분들 계시면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현재 hdb에 1년 8개월 계약을 하고 거주중입니다.집주인은 해외 파견으로 이주 한다고해서 저희가 계약당시 1년8개월 계약을 체결후 상황을 보고 재연장 여부를 결정하기로 하고 들어왔습니다.hdb는 2…

  • A

    에이전에게 문의 하세요. 우리 계약서에 그런 내용른 없는데 니가 말한 HDB 룰이 뭐냐? 구체적인 근거 조항을 알려 달라. 그 룰이 우리의 계약보다 우선인지 HD의에 문의다한 후 결정 하겠다.  라고요. 아마도 MOP 를 갖고 얘기 하는것 같은데… HDB는분양 후 집주인 의무거주 기간이 있는데 예외로 집주인이 해외발령이면 인정 해 주거든요. 이 법에 대한 해석은 HDB에 문의 하시면 정확히 판단해 주지 않을까요?표준 계약서에는 HDB가 명령하면 세입자 퇴거도 가능 하다는 조항을 본것 같아요. 판단은 HDB에… 

    1
  • A

    HDB MOP는 HDB의 최소 점유 기간(Minimum Occupation Period) 의 약어로, 입주 후 첫 몇 년간(보통 5년) 동안 아파트 전체를 팔거나 임대할 수 없도록 하는 제한 사항입니다.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4년 동안 거주하고 해외에서 1년을 보낸 경우, 돌아올 때 여전히 MOP가 1년 부족합니다. 아파트를 임대 또는 판매하거나 다른 사유 재산을 구입하려면 해당 아파트에 1년 더 거주해야 합니다. 말하자면 HDB MOP 기간이 안끝나서 집주인도 오갈데가 없는 상태가 된 것입니다. MOP를 어기면 벌금이나 집을 HDB에 뺏기는 상태로 선택이 없을거예요.

Q

NO.771

부동산small claim Tribunal 절차 도움 요청 …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wlsl186(geine186) 2024-02-29
추천수 : 0 조회수 : 3,991

안녕하세요, 집주인이 과도한 수리비를 청구하며 디파짓을 돌려주지 않아서small court claim을 신청하였습니다.저는 현재 핸드오버까지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온 상태입니다.https://www.judiciary.gov.sg/ 홈페이지의 안내 절차에 따라서 관련 서류…

  • A

    집주인의 이메일, What'sapp 등을 알고 계시다면 스몰코트 접수번호와 어떤 내용으로 접수를 했는지 그 소장-을 보내세요.그러면 그 사람이 반응이 있을겁니다.한국에서 일종의 '내용증명'을 우편으로 직접 본인에게 전달하는 것과 같은거죠.주인 입장에서는 누군가가 나에게 클레임을 걸었다는 것을 본인이 바르게 인지할 권리는 있으니까요.우편이나 직접 전달하라는 것이 한국에 계셔서 불가능 하다면 pdf 파일을 지인에게 부탁하셔서 우편으로 송부 -그런데 그사람이 못받았다고 할 수 는 있으니이중으로 전자우편 내지는 WA로도 전달을 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이 소장을 접수 전에 이미 집주인과/ 그 에이전트와 이야기를 나누셨을테니까. 지금 접수하셨고 공식 번호가 나왔다는 것을 그들에게 알리세요.그리고 과도한 수리비 청구라는 것도 한국인의 관점과 로컬 사람들의 입장이 다를 수 있습니다.한국은 전세나 월세를 살고 나오면서 보증금을 떼이는 경우나 수리비를 청구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세입자를 보호하게 되어 있습니다.국민적인 정서도 그렇구요.그런데 싱가포르는 내가 필요에 의해서 임대를 했고 나오면서 그 집주인이 다시 임대를 할 수 있는 상태로 집을 해주고 나옵니다.그래서 입주하자 마자 한달 이내로 집을 볼 때 언급이 되어있지 않은 손상부위를 사진으로 찍어서 에이전트/집주인에게이것은 원래있던 손상이라고 알려서 나갈 때 거기에 대한 보수비를 내지 않는 것 이 필요합니다.살면서 Wear and Tear가 발행합니다. 망가뜨린게 아니라 시설물이 낡으니까요.그런데 집주인이 원래 낡은 것을 이번 기회에 내 돈으로 새걸로 바꾸려고 할 때 그것이 얼마나 과도한지에 대해서 중재를 해주는거에요.한국분들이 여기서 살다가 나갈 때 분개하는 이유도 그러한 포인트겠죠.그러나 한국과 싱가포르의 임대에 대한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이곳 한국촌에 올라오는 글들은 보증금을 떼먹는 나쁜 주인에 관한 글이 유독 많은 것 같습니다.그런데 저는 그 글의 50% 정도는 보증금을 100% 받아 나갈 수 있는 한국의 임대문화와 집주인이 볼 때 내 집의 임대가 이 사람 이후에 손실을 입었고 일정부분 복구가 필요하다 의 차이에서 오는 그 어디쯤에 있는거 같아요.쓰다 보니 말이 길어졌지만요지는 접수 번호, 내가 스몰코트에 접수를 했다는 것, 내가 억울한 부분 -클레임 에 대해서 그 쪽에 알리시라,이메일 /WA/ 현지에서 그 문서를 프린트해서 우편으로 보내줄 수 있는 도움처가 있으시다면 그것까지 하시고 그들의 반응을 기다리는게 수순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Q

NO.769

부동산집 주인이 부당한 금액을 청구하며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wlsl186(geine186) 2024-02-21
추천수 : 0 조회수 : 4,258

안녕하세요, 그 동안 살던 집에서 계약 기간보다 10일 정도 일찍 핸드오버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2022년에 집주인이 바뀌어서 2년을 재계약했으며,(계약시 diplomatic clause를 조항에 포함 시켜주기를 요청하였으나 집주인이 거절해서 어쩔 수 없이, …

  • A

    집주인 주소:  에이전트에게 연락해서 small court에 접수 하려고 하는데 집주인 주소 명기부분을 어떻게 하면 될지 물어보고, 2안은 small court 접수시는 살았던 그 집 주소를 넣으세요. 우선 집주인의 NRIC/ 계약시 줬던 신분증 copy본이 있으실 것입니다. 보통 신분증에 주소가 명기되어 있습니다. 싱패스 살아 있으시면 스몰코트 접수하시고 https://www.judiciary.gov.sg/ 파일링 번호를 집주인에게 보내세요.또한 20분 상담 몇 십불에 해결할 수 있는 법률상담도 있으니 마지막 안으로 챙겨두시구요https://singaporelegaladvice.com/law-articles/what-if-i-have-a-tenancy-dispute-or-complaint-in-singapore/한국에 나가시는 것 알고 더 늦게 주려고 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증거 자료가 충분하시고 억측이라고 생각되신다면 더 협의하려고 하지말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보통 파일링 번호를 보내면 바로 보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감사합니다.닥터헬렌킴SG 드림

    채택답변
Q

NO.766

부동산불법임대인지 조언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밀키7(milky79) 2023-11-20
추천수 : 0 조회수 : 7,313

안녕하세요,집주인은 없고 테넌트들끼리 사는 콘도에 몇달 전에 방 하나를 임대해서 들어왔고, Stamp duty도 Singpass로 로그인해서 결제했습니다.계약한 사람을 집주인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며칠 전 자신이 실제 집주인이다.라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자신은 한사람이…

  • A

    실제 집주인이 현재 상황을 보고서 미리 경고를 해준 것이기 때문에 저라면 이사할 집을 알아보겠습니다. 신고할 것 같지 않다고 하는 것은 짐작일 뿐 집주인은 자신의 집을 재임대해서 영업하고 있는 그 테넌트를 곱게볼 리는 없거든요. 콘도와 HDB 임대계약은 6개월 이상인데 그 집에 단기로 머물다가 가는 사람들이 있다거나 하는 상황이라면 이웃들 중에 누군가가 소리소문없이 신고할 수도 있고 집주인도 자기가 그 현장을 본 이상은 조치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저라면 적어도 PlanB를 준비해 둘 것입니다. 

    1
  • A

    stamp duty, 인원제한 이런거 상관없이 그 분이 실제 집주인이라면 집주인 동의없이 한 subletting 이라서 불법입니다. 거기다 집을 개조까지 했다면 벌금이 더 커질것 같습니다. 실제 집주인은 https://www.sla.gov.sg/regulatory/property-ownership 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1 채택답변
  • A

    집주인이 스리슬쩍 그런말을 던지고 갔다는건 힌트를 준거죠. 사실 집주인 입장에선 당장 월세 잘 들어 오고 월세가 괜찮은 가격이라면 현 메인 테넌을 쫓아낼 이유는 없어요.  문제는 집세가 상승하거나 월세를 올려 받고 싶늘때 현 메인 테넌을 언제든 쫓아낼 키를 쥐고 있는거죠. 디파짓 다 몰수하고 원나복구나 손해배상 까지도 청구할수 있죠. 서브렛한 입장에서 메인테넌과 집주인 사이분쟁이 생기면 당장 방을 빼야할 위험도 있고 내 디파짓도  돌려받는다는 장담을 못하고… 집주인이 힌트 주고 갔네요.  

    1
Q

NO.761

사업/직장룸렌트 월급의 몇 퍼센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쇼토케이크(kzzing47) 2023-04-25
추천수 : 0 조회수 : 9,636

20대 후반이고 이번주 막 입싱했습니다.아버지 회사가 외국계여서 싱가폴에 아는 분 통해서 hbd를굉장히 싸게 렌트 구했는데,직장에서 한시간 거리고 제가 교대 근무라 좀 고민이 되네요.  하루 지내보니 날도 너무고덥고 습한데 에어컨도 없어서 조금 비싸더라도 다른 방을 구…

  • A

    저는 방을 다시 구하는 쪽에  한표 입니다. 직장에서 30-40분 거리, 에어컨 있는 곳으로요. 렌트비의 마지노선은 무의미 하다고 봅니다. 어차피 시세는 정해져 있고 보통의 월급을 받는 20대 직장인은 절반 가까이도 렌트비로 나갈수 있으니까요. 지금은 경력을 쌓는데 초점을 맞추고 4-500달러 더 나가 더라도 내 몸이 편한쪽을 선택하고 저축은 포기 하겠습니다. 싱가포르 더위에 적응도 되지 않았는데 에어컨도 없다면 너무 힘드실 거에요. 더구나 퇴근해서 힘든 몸 이끌고 집에 가는길은 한시간과 40분이 고작 20분 이지만  체감도는 다릅니다.   

  • A

    저는 견딜 수 있다면 지금 계신 곳에서 계시는 것을 추천드려요.HDB는 싱가포리언의 80%이상이 거주하는 곳입니다.한국분들은 대부분 콘토 룸렌트를 선호하시지만...사회 초년생, 처음부터 저축 습관을 잘 들여야 40대-50대에 오직 직장에 매달리지 않고 스스로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질 수 있거든요.렌트비가 급여의 30%가 넘는 것은 좋지않다고 봅니다.저는 첫 취업부터 현재까지 급여의 50% 이상을 꾸준히 적립하고 투자해서 직업 선택의 자유를 얻었습니다.삶에 대한 가치관 차이인데, 20대 첫 해외취업, 즐기고 싶고 편하고 싶지만 내 삶의 스타트업 오너라는 마음을 먹는다면 1시간 거리, 에어컨 없는거 -선풍기도 괜찮고 샤워도 있고, 직장에서 더 오래 일하시면 ㅎㅎㅎ 커리어도 개발하고 저축도 많이해서 경제적 독립을 도모할 수 있는 기본기를 쌓을 수 있지 않을까요?

  • A

    제 개인적으로는 15~20%을 넘지 않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hdb 도 에어컨이 있고 환경이 괜찮은데 너무 저렴한 방을 구하신게 아닌가해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