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NO.1112
디자인, 심리학 복전 졸업하고 인지심리 대학원 석박사 후에 , 싱가포르 HCI관련 직종에서 일하면서 정착하고 싶은데 가능한 꿈인지 확신이 안 들어서 올려봅니당 꼭 이쪽 관련직 아니어도 적당히 돈 벌면서 정착해서 살고 싶다는 마음인데 가능한 꿈일까요?말레이시아 쪽도 생각…
NO.1111
안녕하세요.현재 한국에서 과기부 산하 준공공기관에서 3년자 IT 정보보호 직군으로 근무하고 있는 31세 남자입니다.제가 31살까지 한국에서 IT 분야를 업으로 삼으며 경력을 쌓아왔습니다.저는 IT 분야가 저에게 맞는거 같고 IT 정보보호를 하며 인프라 전반(서버, 네트…
질문하신 부분은 전반적으로 글쓴이님 실력과 비례합니다한국에서 유망하고 능력이 좋아 젊은나이에 IT직군에서 '이미' 대우를 받고계시다면, 확률적으로 싱가포르에서 대우 받으시면 다닐 수 있습니다다만 레이오프가 빈번하니 지속적으로 본인의 몸값을 증명해야하는게 따라오겠죠? 한국과 다르게그리고 3,4번 똘똘말아 제 의견 전달드리자면 한국인으로써의 위치는 그냥 외국인 노동자이며, 인종으로 나누지 않고 어디까지나 능력으로 인정받는 나라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정착을 바라시면 영주권밖에 답이없는데 싱가포르 영주권은 뭐..로또나 다름없으니까요밖으로 나오시려면 좀더 구체적으로 고민해보시고 나오시면 좋겠습니다.후진국이 아닌이상 선진국반열에 넘어오면 그냥 다 외노자예요, 특별한거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 15년 동안 이민생활을 하면서 한국에서 가지고 온 커리어를 여러번 피봇하고 현재는 사업을 하고 있는 DIVA글로벌의 김영미 대표입니다.올려주신 여러 질문에 제 글이 답변이 될 수 있을거 같아서 링크를 달아드립니다. 싱가포르 취업은 새로운 세계로의 입문, 한국과 분명히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최종 결과를 본인이 원하는 삶으로 이끌어 내는 것은 결국 개인의 노력과 역량입니다. 성공하려면 한국이나 싱가포르나 비젼을 가지고 밀도의 시간을 살아야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3318391194 더불어 최근 싱가포르 영주권에 대한 니즈가 더 커졌는데 싱가포르 정부의 관점에서 어떤 사람들에게 영주권을 더 잘 줄 것인지 저의 인사이트를 담은 글도 공유합니다. 종사하고 계신 분야에 대한 언급이 글에 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3823617177
안녕하세요.해외 취업이 쉽지 않은 시기에 어려운 고민을 하고 계신듯 합니다.현 시점에서 외국인에게 비자를 내주고 고용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문이 이전에 비해서 매우 좁아져서,혹시라도 취업을 성공하시게 된다면 현재 고민하시는 것들은 생각보다 고민이 아닐것 같습니다.지인을 통해 추천으로 많이 이직들을 하시기 때문에 혹시 싱가포르에 이미 이직하여 자리 잡고 있는 지인이나 유능한 헤드헌터와 인맥이 있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이직을 진행하실 수 있을듯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아직 싱글이시라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곳에서 시작하시는게 진입장벽을 조금이나마 낮추고 성장의 가시성이 좋아 동기부여도 잘 되는것 같습니다.내국인이 기피하는 어려운 직무, 급여도 많지 않지만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고 근무 강도가 높은 직무,회사 외부의 고객사나 파트너사와 협업할 기회가 많고, 분야를 한정짓지 않고 경력을 쌓을수 있는 역할에서 시작을 하시는게진입 장벽도 낮고, 진흙탕 속에서 함께 성장한 동료가 몇 년뒤에 이직 제안을 주거나, 나의 서비스나 업무 태도에 감동한 고객이나 협력했던 업체의 직원이 이직 제안을 주기도 합니다.더러는 외국인의 시각에서 새로운 사업 분야가 보여 생각하지 않은 곳에서 수익이 나기도하고, 그렇게 지난 10년을 보낸것 같습니다.아래는 저의 경험에 기반한 답변이므로 다른 경험을 하신 분들은 다른 의견들을 많이 남겨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1. 싱가포르에서 IT 개발 직무를 가졌을 때 수평적이고 성과지향적인 조직문화를 기대해볼 수 있는지?일반적으로 싱가포르의 IT 주식회사들의 조직은 크게 4가지 구조로 구성이 되는것 같습니다.주주 혹은 오너 : 리더를 결정 하고 실적을 평가함리더쉽(C suite, Vice President등등) : 주주 혹은 오너가 고용한 회사의 리더, 회사의 방향과 전략을 결정관리자(Manager, Director등등) : 실무자들에게 리더의 방향을 상기시키며, 실무를 잘 할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실무자(Specialist, Representative, Engineer등등) : 실무를 하는 사람으로 특출한 공을 세우거나, 리더쉽의 뺨을 때릴 정도의 안목을 보여주지 않는한 관리자가 되기 쉽지 않음.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한국 회사만 다녔다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수평적이고, 보고라인이 아니라면 관리자라도 함부로 타부서의 실무자에게 업무 지시를 할수가 없습니다.각각의 직무에서도 어소, 주니어, 시니어, 프린시플 같은 직급은 있으나, 보통은 각자의 일을 하며, 주어진 지표내에서 성과를 평가받고,관리자의 평가가 실무자의 급여 인상에 반영되지만, 실무자가 관리자와 리더쉽을 평가하는 서베이도 합니다. 그것은 리더가 관리자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하고 주주가 리더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2. 열심히 노력한다는 가정하에 IT 분야에서 글로벌 빅테크 혹은 다국적 대기업에서 억대 연봉(한국과 물가 등등 생활수준을 다르겠지만)을 비롯하여 많은 부와 명예를 가져볼 수 있을지?일반적으로 30대에 억대 연봉은 현재 이직하시면서 바로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사회규모가 좁아서 본인의 역량이 뛰어나다면 짧은 시간안에 업계에서 명예를 얻을 수 있고, 부의 관점에서는 부유하다고 느끼는 기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무리 명성이 좋고 평판이 좋더라도 이직과정에서 20~30%씩 점프를 하며 급여를 높여 갈수는 있으나부를 이룰 만큼의 급여를 받기엔 회사만 다녀서는 IT개발이라는 직무에서 아주 드물게 가능할수도 있으나,일반적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3. 싱가포르에서 한국인으로서 안정적인 정착(글로벌하게 역량도 쌓으면서 흔히 생각하는 집 마련 + 금전적인 여유)이 보장되는 분위기이신지?외국인 신분으로 회사를 그만두면 머무를수 있는 기간이 짧고 부동산 취득세가 비싸기 때문에 영주권이 된다면, 어느정도는 안정적인 정착을 고려해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금전적인 여유 부분도 내국인 신분으로 사는것 보다는 아무래도 생활비나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들이 많아, 소득대비 여유롭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4. 싱가포르에서 한국인으로서 위치는 어떠한지?살면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나쁜 대접을 받은 경험은 없는것 같습니다.좋은 회사일수록 차별이 없고, 싱가포르의 삶기준으로 영어와 중국어가 가능하다면 좋지만, 영어만 되어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외모가 비슷하여 쉽게 중국인으로 오해를 받아 처음보는 동양인들이 중국어로 말을 겁니다.경력이 있으시니, 영어만 문제없다면 지금 당장 문을 두드려 비자의 벽을 넘어 원하시는 목표를 달성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건승하세요.
NO.1110
안녕하세요,현재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 한국 지사에서 일하고 있는 28살 청년입니다~ 대학 인턴부터 다닌 첫 회사이며 곧 5년차가 됩니다.운이 좋게 5~6월부터 싱가포르 지사에서 오퍼가 와서 현재 연봉 테이블까지 받은 상태입니다.Power conversion 글로벌 회…
올리신 연뵹을 계산해보면 월 급여 SGD 8400 정도 되는데 주거비가 콘도 2 룸이 지역에 따라 3-4 천정도 될텐데 주거비로 거의 40% 정도 월급에서 나가고 식비, 외식, 교통비, 통신비, 품위 유지비등등을 생각하면 싱가폴에서 여유롭게 사시거나 저금을 하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 GST 가 9% 라 우리 가족 같은 경우는 조호에 가서 쇼핑하고 외식한지 거의 3년 넘어가네요.
한국에서 어느 정도 인정받으시고 싱가포르로 넘어오시려는 시점에서 말씀드리면, 윗 댓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적어주신 연봉으로는 턱없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협상 하실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달에 10,000 정도는 받아야 한국에서 누리던 것 비슷하게 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게 아니라면, 연봉이 조금 깎이더라도 주거비 80~100% 지원 쪽으로 협상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싱가포르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고 계시는 것이라면,이사비용 및 가구구매 비용을 포함해 115,000으로 생각하고근무시작 후 1년 이내에 다른 회사를 알아보고 이직 혹은 급여협상을 잘해,실질 임금을 빨리 올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NO.1109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 식자재(소스류) 를 납품 받고자 하는데 유통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현재 소스류를 시판용 or 개발해서 싱가폴로 들여오려면 꼭 SFA인증을 받아야 되는걸까요?소스 자체를 완제품으로써 판매하는것이 아닌, 소스를 사용, 조리하여 음식으로 판매…
NO.1108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자동음식조리기(Auto-Cooker)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주)딕스(DICS) (https://dics.or.kr/)의 부대표 입니다. 당사에서는 세계 최대 F&B쇼인 '싱가포르FHA쇼'에 참가할 예정입니다. 싱가포르에서…
NO.1107
제가 현재 무지인 상태에서 싱가포르 취업 비자를 지원해볼려고 하는데.. 학교는 싱가포르 PSB Academy에서 영국 한 대학교의 Bachelor degree 과정까지 완료한 상태고요. 혼자 한국에서 싱가포르 취업준비를 할려고 하니깐 막막하네요. 혹시 방법을 알려주시거…
PSB Academy가 어떤 대학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교내 student service를 이용하거나, Alumni를 이용한 취업알선이 가장 빠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최근 EP 비자 최소 연봉 조건이 올라가는 추세에 본인만의 확실한 무기가 없다면 우선적으로 보는 게 학교 위상 그다음으로 관련 자격증, 증명서 순서일테니까요.. 일단 서류를 통과해야 인터뷰 혹은 언변으로 승부를 볼 수 있으니까요..
NO.1106
한국 금융권 근무 중이고 올해 예상되는 세전 연봉은 약 1억입니다. visa 또는 mastercard의 아시아 헤드쿼터인 싱가폴에서 커리어를 이어가보고자 하는 ‘막연한’ 욕심이 있습니다.외벌이고 자녀는 곧 출산예정되어있는데요. visa나 mastercard에 있는 한인…
링크드인에서 찾아보시면 커넥션과 커피챗 가능합니다. 최근 싱가포르 EP, SP 급여상향 적용으로 외국인이 취업하려면 쉽지 않습니다. 주로 이직에 성공하시는 분들은 글로벌회사의 internal 리로케이션 기회, 업무를 잘해서 리젼으로 발령나는 경우, 협업관계에 있던 고객사에서 스카웃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링크드인에서 프로필 만드시고 활동해보세요. 감사합니다.싱가포르 생활, 이직, 링크드인 활용법 등 유용한 정보가 많이 있으니 놀러오세요. :) https://m.blog.naver.com/drhelenkimsg
NO.1105
안녕하세요.한국 화장품을 수출하고 있는 엘레강스 코어라고 합니다.현재 한류 열풍과 함께 가성비와 효과가 좋은 한국 화장품이 전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한국 화장품 수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한국 화장품 바이어 분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저희는 현재 …
NO.1104
싱가폴에서 키오스크, 온라인 결제하여 물품 대여사업을 하려 합니다.현지 상황을 잘 모르다보니 많이 사용하는 PG사 선정,배달 업체 선정 등을 도와줄 수 있는 현지 사업자와 MOU를 체결해서현지 시스템 조사등의 업무를 비용을 지불하고 진행하고자 합니다.사업자가 있어야만 …
NO.1103
현재 contracter신분으로 일하고 있는데요본사가 아닌 싱가폴에 등록된 HR전문 회사에서 매달 fee를 받는 구조입니다 Employer가 없어요. 근데 제가 거의 remote로 근무를 해서 싱가폴에 반년정도 혹은 그이하로 머무는데 Non resident profes…
NO.1102
안녕하세요.더블가지 배주환PD입니다.KBS N 채널에서 해외 뷰티+여행 컨셉으로 싱가포르 현지 투어 프로그램입니다현지에서 촬영협조, 인플루언서 섭외 가능한 코디 구인합니다(코디 경력 있으신 분께서 지원해주시길 바랍니다.)간단한 프로필과 페이, 필요한 내용 등등 알려주시…
NO.1101
한국에서 지난8년간의 자영업을마무리하고 해외이주를 알아보고 있습니다.가족들은 말레이시아로 이미 이주했구요. 저는 싱가폴에서 직장을 구하고싶은데구인하는 곳 정보를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일본에서 요리학교를 졸업하여일본어는 웬만큼 기억하고 있습니다.시드니에서 1년간 일을…
쪽지 드렸습니다
NO.1100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캐나다 Bombardier에서 항공정비로 근무하고 있습니다일을 시작한지는 반년정도 되었고캐나다에서 컬리지를 나와 캐나다에서 영주권도 취득하고 한국에서 공군 항공정비병으로 근무하고 캐나다로 다시돌아와서 근무중입니다싱가폴에도 저희 회사가 있어서 그쪽으…
NO.1099
안녕하세요 저희는 한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무역회사 이영석 이사입니다. 미팅시 업체명을 말씀드리겠습니다.중국지사를 메인으로 베트남에도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도 현재 계획중에 있습니다.저희는 중국 덤핑 초저가 제품을 메인으로 싱가포르에 유통하려합니다.생활잡화…
NO.1098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의과대학을 다니는 학생입니다.혹시 싱가폴에서 의사 생활을 하고 계신 한국인 선생님들께 여쭤보고 싶은 것이 있는데, 쪽지나 답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또는 싱가폴에서 한인 선생님이 하시는 병원을 아시거나 한인 선생님을 아시는 분들은 알려주…
NO.1097
안녕하세요. 싱가포르로 인턴십 진행을 위하여 회사에서 wp비자를 발급 완료하여 싱가포르 입국후 메디컬 체크만 하면 나오는 상황입니다. 다만 제가 다른 국가의 정규직으로 합격되어 중도포기를 하려고 하는 상태인데 계약서상에서 중도포기 시에 2주에 해당하는 봉급을 위약금으…
계약서상 명시되어 있다면 내셔야 합니다. 이미 본인 서명을 하셨고, 본인의 의지에 의해 계약을 중도해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맞서기보단 머리 숙여 네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NO.1096
WP비자를 가지고 있고 IPA letter PDF파일로 소지중입니다 ㅠㅠ 오늘 클리닉에 방문해서 피검사, 엑스레이 등 진행하였고추후 주민등록증 같은 실물 WP비자카드가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급하게 한국에 들어가야 할 것 같은데실물 비자카드 나오기 전에 한국에 돌…
실물 카드를 발급하려면 말씀하신 간단한 신체검사를 한 뒤 MOM을 방문하셔서 사진 찍고 지문등록하시면 'WP 발급 절차 완료했다', '카드 배달해 줄 거다'라는 종이를 받으실 겁니다. 그걸 들고나갔다 오시는 건 WP로 재입국하시는 건데 그게 없으시다면 그냥 관광비자로 들어오시는 것입니다. 불법적인 것을 하신 게 아니라면 잡힌다고 해도 서류확인이나 어떤 상황으로 비자 발급 중간에 나가야 했는지만 설명하시면 됩니다.불법적인 게 아니라면 너무 안 쫄(?)으셔도 됩니다.
NO.1095
안녕하세요?저는 30대 초반 싱글이고 한국에서 세전 1억 2500만원 받고 있습니다.싱가폴 오퍼를 받았는데, 여기 글 보니 OTE 2억까지 올리라고 하셨는데 연봉이 한국과 거의 동일합니다. 122K SGD유일한 메리트라면 싱가폴에서 한번쯤 근무 해 보고 싶었는데 싱가폴…
우선 싱가포르 입성기회 축하드립니다.스스로 분석해 보신 결과 가처분 소득이 1천만원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직을 선택하는 것이 옳은 선택인가?아직 싱글이고 크게 사치하지 않는다면 해볼만 하다 or 그래도 해외 이직인데 실직 연봉이 깍이는것이 말이 안된다, 조금 더 네고하거나 더 좋은 기회를 기다려라두 개의 의견으로 나뉠 것 같습니다.기회의 앞면에 보이는 것은싱가포르 근무경험 (소원 성취) + 줄어든 연봉기회의 뒷면에서 찾아보아야 할 것은1. 왜 나는 싱가포르 근무 경험을 원하는가? 나의 욕구의 근본을 이해하기2. 2년 근무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 커리어 성장기회, 이직을 통한 연봉 상승기회, 싱가프로 근무를 통한 더 큰 해외시장으의 진출기회, 한국으로 돌아갈 때 업계에서의 영향력 상승, 여행이나 글로벌 문화체험 내가 원하는 가치를 잘 따져보고 좋아보이는 것과 실제로 좋은 것을 구분하시는게 도움이 될거에요.3. 싱가포르 생활비는 사실 쓰기나름입니다.강아지를 데리고 오셔서 홀렌트를 하신다면 3천에, 집주인이 반려견을 키우는 것을 허락, 만일 아이들이 아프거나 하면 돌봄 비용, 여행갈 때 맡기는 비용 등 부차적인 리스크가 있을 것이고물론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얻는 정신적 유대 만족감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이겠죠.음식을 계속 사먹는지, 저렴한 호커에서 먹는지, 모임에 많이 나가는지, 혼자 집-회사만 다니며 크게 지출이 나갈일이 없는지 스스로 성향을 알고 거기에 맞추면 저축하는 목표는 충분히 이룰 수 있습니다.가장 칭찬해 드리고 싶은 부분은 30대 초반에 연봉이 1.2억이 될 정도로 실력을 키우셨고, 흥청망청 쓰지 않고 급여의 50% 이상을 저축하고 있으며, 해외 이직의 기회를 얻으셨다는거네요.저축한 돈으로 투자하시고 패시브 인컴을 키우고, 업계 실력을 계속 키워서 해외 취업도 하고 연봉도 퀀텀점프 하는 기회를 만드시기 바랍니다.혼자서 판단이 어려우시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세요.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3367448733
할 이유가 없는것 같은데요. 서울에서 물가비싼 대전으로 발령낸 그런케이스같은데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 같으면 연봉인상 네고를 해 볼 것 같습니다.저같은 경우 한국 오피스에서 싱가포르 오피스로 트랜스퍼 했었는데 요청전에 회사에서 먼저 높은 비율로 연봉을 인상해 준 적 있었습니다. 나라마다 책정된 연봉 수준이 다르고 싱가포르가 당연히 훨씬 높게 책정되어 있다면서.(오픈된 공간이라 정확한 퍼센트까지 여기 적기는 좀 그렇고, 필요하시면 쪽지 주셔도 됩니다) 한국대비 모든면에서 물가가 최소 30프로 이상은 비싸다고 느껴져서, 지금 받으시는 연봉이 싱가포르에서는 한국보다 적게 느껴지실 가능성도 크고요(물론 이것도 사람마다, 라이프스타일마다 다를 수는 있습니다) 글래스도어나 기타 싱가포르 연봉 확인 가능한 사이트 참고하셔서 충분히 네고해보셔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NO.1094
저는 현재 한국에서 의사로 일하고 있다가 올해 결혼을 하게 되면서 일을 쉬고 남편과 함께 싱가포르에서 생활 중입니다.남편은 싱가포르에서 직장을 구했고 안정적인 전문직입니다.저도 같이 여기 정착하여 생활하고 싶은데 싱가포르에서 서울대, 연대 출신만 인정이 된다고 하는데 …
아래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moh.gov.sg/newsroom/frequency-and-passing-rates-of-smc-qualifying-examinations The qualifying examination is held once a year. Currently only Singapore citizens with non-recognized degrees returning to practise in Singapore are eligible to apply and sit for the qualifying examination.아쉽게도 시민권을 획득하기 까지는 좀 오래 걸리고, 현재 카톨릭 대학교도 리스트에 올라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NO.1093
요즘 뉴스에서 보면 싱가폴 경기나 취업 뭐 나쁘지 않은것 같은데..사실보면 이 뉴스도 믿을수가 없어서리.. (그냥 중국같이 국가소유라 신뢰성이 없음)요즘 경력직 10년이상 직원들도 나가서 자리를 잘 못찾는것 같고..NUS/NTU 대학 신입생들도 취업이야 하지만 그리 큰…
반도체 R&D 기업 기준으로 사람이 작년부터 더 많이 지고 있어서 취업현황은 나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인턴 채용도 1.5배에서 2배 정도 늘고, 신규 채용(신입, 경력 둘 다)도 코로나 침체기보단 확실히 많아지고,, 게다가 트럼프 당선으로 미국 빅테크들은 더 상황이 좋아질 것 같아요..
https://www.channelnewsasia.com/today/big-read/uncertain-outlook-fresh-graduates-job-market-4729351?cid=telegram_cna_social_28112017_cna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