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4

생활너무 못된 집 주인쪽 에이전트

  • 답글 : 4
  • 댓글 : 2
답변진행중
whaiting(seeer) 2022-03-18
추천수 : 0 조회수 : 6,257

11년 된 콘도에서 5년 살고 나가려고 하는데 집주인 쪽 에이전트가 말도 안 되는 트집으로 사람을 갖고 놉니다.그 쪽에서 트집 잡는 첫 번째, 이사 나가고 나서 청소 전문 업체를 불러서 집 전체를 싹 청소해 놔라. 그래야 주인이 테넌트를 들일 수 있다. 이거는 싱가포르…

  • A

    유사한 경험을 겪으며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아 봤던 1인으로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도 스몰코트까지 갈까 하다가 그 시간과 에너지 그리고 그 기간 동안 제가 받을 스트레스를 생각하며 포기했었습니다.기본적으로 논쟁은 양 당사자의 의견을 다 들어 봐야 하지만, 저는 글쓴 분의 답답하고 억울한 심정에 깊이 공감이 됩니다. 그냥 지나칠 수 없어 응원과 격려의 댓글 남기고 갑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 지는 전문가 분들이 좋은 댓글 달아 주시면 좋겠네요! 힘내세요!!!

  • A

    이사한후 한달이내 컨디션 리포트를 안하셨아요?당연히 해야하눈건데   여기저기 흠집있는벽이나 바닥등 꼼꼼히  살펴서  보고하면서 사진까지찍어  에이젼트에게 보내셨으면  이런 억울한일 안당하셨을텐데요. 살다보면 눈에 들어오니  일일이  기록했다가 이주에서 한달내에  에이젼트에게 알려주도록 되어있어요.간단히 변호사레터로  해결돠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스몰클레임 까지  시셔야 할듯.제게 쪽지 주세요. 상황에 따라 팁을 드릴수도 았울것 같아요.   

  • A

    몇년전 콘도 구입전까지 싱가폴에서 세번 랜트를 했었는데 (전부 지은지 3년이내 새콘도) 저희같은 경우는 이사 나올때 거의 새집처럼 해놓고 나왔습니다. 핸디맨 불러서 고장나거나 부서진거 다 고쳐 놨고 벽 페인트 벗겨진 부분도 저희가 직접 부분 페인트 칠하고 기스난 부분은 퍼티사서 메운후 페인  칠 했구요.  이사청소도 잘하시는 분 불러서 전문업체 수준으로 깨끗히 해놔서 한번도 디파짓 까인적 없습니다. 좀 오래된 콘도는 윗분 말씀처럼 미리 사진을 찍어 놔야 될듯요.

Q

NO.13

생활인덕션 고장 - 세입자 책임인가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koala121(koala121) 2021-12-27
추천수 : 0 조회수 : 3,103

안녕하세요. 평소에 한국촌을 통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제가 2년 전 이사 온 집에 이것저것 하자가 많아서 수리 요청을 많이 했습니다. 인덕션 2구 중 1구도 고장이었어요. 전자레인지도 고장이어서, 수리 온 보쉬 기술자분께 여쭤보니 인덕션 부품이 낡아서 그렇다고…

  • A

    계약서를 확인하시는게 가장중요합니다  보통은  집주인의 물건이 (냉장고, 세탁기 등) 고장이  났을때 $150까지는 세입자가 내야하는 의무가있고 그이상의 비용은 집주인이 부담해야합니다   계약서 잘 확인ㅐ보세요     

  • A

    모든 가전 제품은 쓰다보면 고장이나고 부품교체도 필요하죠 그래서 윗 분이 말씀하신 조항이 계약서에 있습니다.일단 집주인이 맞아요. 1달안에 발견이 되고 전달했으면 집주인이 고쳤을 껍니다. 근데 고장이라는게 그 이후헤 발생할 수도 있죠.그런 경우 전체 교체는 여전히 집주인이 부담합니다. 예를 들어 인덕션,세탁기, 냉장고 등등을 더 이상 수리로는 불가해 통째로 교체해야된다거나 이런 경우요. 이건 100% 집주인이 부담합니다.그 케이스가 아니니 부품교체는 세입자가 고치는게 맞아요.만약, 견적이 700 나왔으면 150 세입자 부담 550 집주인 부담 이렇게 TA 조항대로 합니다.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님의 경우 사용도 못하고 이사하고 핸드오버할때 디파짓에서 수리비용이 청구 될 것 같습니다. 이때는 집주인 맘대로 깔 수 있기에 150보다 많은 비용이 디파짓에서 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디파짓 내에서 수리하고 청구하면 되니까요. 그래서 어차피 돈내고 수리해야해서 사는 동안에 고쳐서 내가 쓰는게 나아요. 아님 사용도 못하고 돈만 뜯깁니다. 부품 교체는 세입자와 집주인 공동부담이 맞아요 TA 에 150인지 200까지인지 확인해보세요. 그래서 수리비가 비싸다고 수리를 안할 이유가 없어요. 전 얼마가 나오든 150 혹 200만 내면 되니까죠. 전 그래서 비싸고 잘하는 곳에서만 수리해요. 싼곳 찾을 이유가 없습니다. 그럼 집주인 에이전트가 자기가 아는 업자 소개해주거나 합니다. 아님 집주인이 나머지 내야하니까요.  수리비용이 너무 많이 나왔다면? 집주인이 그냥 새거로 바꿔줍니다. 이런 경우 집주인이 자기가 고용한 기술자가 방문해서 컨펌합니다. 

Q

NO.11

기타아 입싱이 취소 되었네요.

  • 답글 : 1
  • 댓글 : 6
답변완료
leyo(leyo20) 2018-08-07
추천수 : 0 조회수 : 3,667

안녕하세요. 기존에 비자조언 얻었던 평민인데요. 어제부로 최종 확정이 났네요. 머 대략 다음과 같네요. 두달전 이력서를 넣었고 면접전 관련 자격증, 졸업증명서, 교육 이수서와 아웃소싱 입사지원서를 3일만에 제출후 몇일 후 1차 아웃소싱 기술담당자와 면접후 패스되어 …

  • A

    전에 댓글달았던 사람입니다.. 아니길 바랬는데 우려했던 대로 되었네요.. 오퍼래터 내어놓고 다른 후보자 볼려고 이런경우 종종 봤거든요.. 체크해보면 비자 신청도 안한경우가 있어요.. 오히려 잘됐다고 생각하세요.. 이런 기업 들어가봐야 님께서 고생합니다. 그리고 정확히 업종을 잘 모르겠는데.. EP나SP를 받으실수 없다면 신중하게 알아보시고 판단하세요.. 입싱이 목표이시겠지만 요즘 중간에 돌아가는 사람들을 많이 봐서요(밑에 글들보시 면 아실겁니다.) WP로 오셔서 일을 잘하시고 계시는분도 있지만 대부분이 굉장히 힘들어 해요.. 물가도 그렇고 가족과 친구들과 떨어져 지내는게 상당한 각오가 없이는 안되거든요. 물론 님께서 각오가 안되어있다는게 아니라. 신중에 신중을 기하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싱가폴에서 자리잡고 일하시는분들  적게는 3차까지 많게는 5차까지 면접을 통과하고 일자리를 얻어서 일하시는분이 많습니다. 즉 쉽게 고용이되면 그만큼 대우도 좋지 않다는 거예요.. 좋은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6 채택답변
Q

NO.8

사업/직장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

  • 답글 : 4
  • 댓글 : 5
답변진행중
zimh@ck(zimhack) 2016-10-12
추천수 : 0 조회수 : 2,559

안녕하세요. 현재 입시를 치르고 있는 재수생 입니다.   지금 입시 공부를 해야할 시기에 취업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많이 이를 수도 있겠지만   제 고민에 대해 답변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 2007년~2008년 2년동안 (초4,초5) 싱가포르에…

  • A

    아시다시피 싱가폴도 징병제를 채택한 나라입니다. 그만큼 군필자를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있죠. 하지만 스펙으로 사용하기엔 힘듬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IT 분야 쪽의 대접은 굉장히 좋은편이며 관련 분야 경험을 최고로 칩니다. 싱가폴 취업을 희망 하신다면 영어, 관련 분야 학위와 경험을 준비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3
  • A

    7년동안 기술장교로 복무 (의무복무 3년 + 장학금 수혜기간 가산복무 4년) 라면 군장학생이나 마찬가지 일텐데 우선 군생활이 본인과 잘 맞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고요. 7년 군생활 짧은 시간 아닙니다. 복무 마치면 대위제대 할텐데 군생활하고 사회생활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1
  • A

    지금부터 최소 7년 반 뒤인데 너무 아득하네요. 7년전이면.... 7년 후에는 컴퓨터가 일초에 처리할수있는 데이터 량이 테라바이트 급 이상이 될것같네요ㅋ 아무튼 전공명이 정확히 영문으로 뭐로 표기되는지 모르겠지만 군복무기간에 했던것을 경력으로 인정해줄지는 모르겠지만 대학다니면서 관련 기초이론을 탄탄히 배우시고 군 복무기간에도 기술을 꾸준히 익히시고 하신다면 군대에서 배우시는 기술이 7년뒤에도 시대의 흐름에 어긋나지않는 분야라면 굳이 경력을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실력으로 원하는 자리를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1
Q

NO.7

생활와이파이 속도. Fiber Optic으로 바꿔야 할까…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proactive88(melb) 2016-02-19
추천수 : 0 조회수 : 2,043

인터넷 와이파이 속도 넘 느려요.  (서울만한 도시국가인데 인터넷 속도는…..휴휴….) 저만 의 고충인가요?   Fiber Optic 쓰시는 분 계세요?      정보 좀 공유해 주세요. 참고사항: 4년전 그 당시엔 제일 빠르다는 스타허브Broadband 가입 …

  • A

    안녕하세요. 저도 지금 같은 회사에 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게 한국의 약 10년전 케이블 인터넷과 똑같더라고요. 주변에 사용자가 많으면 같은 회선에서 나눠 쓰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집니다. 속도가 빠를때는 빠른데 주변에 같은 회선에 연결된 사람들이 많이 사용을 하면 느려진다는거죠... 저는 집에 오픈넷까지 깔려 있는데 아직 광랜으로는 바꾸지 않았습니다. 회사에서 싱텔 광랜을 쓰고 있는데 제가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그닦 빠르다는 느낌이 없네요.그리고 집안에서 와이파이가 잘 안되는건 신호가 그부분에서 약해져서 그런겁니다. 저는 지금 집에  메인 모뎀에서(cisco) 랜선으로 집중간위치에 공유기를 하나 더 연결하였고 방 문 바로 뒤에 와이파이 증폭기를 하나 더 설치하였습니다. 비용은 대략 100불정도 생각하시면 될듯하네요.     

  • A

    요즘 스타허브에서 cable broadband 고객들을 Fiber로 바꿔주는 promotion 하고 있던데 연락 못받으셨나요? 요금은 변함이 없이 같고 속도가 두배 빨라지고 wifi도 더 잘 됩니다. (멀리 있는 방도 지난번보다 더 잘 되구요) fiber로 바꾸고 한곳에서 2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는데 저희는 1년 뒤 이사갈 계획이 있다고 하니 이사 시 발생하는 250불 정도의 penalty를 면제해주었습니다.     

  • A

    Wi Fi 안터지는 문제야 Homeplug 같은 장비를 설치하면 간단히 해결가능한 문제라서 사실 별 문제는 아니지만 인터넷 속도는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일단 약정 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신 다음 싱가폴에서 계속 사실 예정이라면 Fibre Optic 500mbps 정도 상품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구요, (1Gbps 상품은 현재 문제가 많아서 비추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기존 인 터넷에 Homeplug 나 Extender 정도 설치해서 현재 Wi Fi 가 잘 안터지는 곳을 커버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물론 Fibre Optic 으로 업그레이드를 해도 거실 앞쪽 코너까지는 커버가 안될테니 위 장비들을 함께 설치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Q

NO.6

부동산집주인이 스위치 고장냈다고 보증금을 떼겠답니다

  • 답글 : 2
  • 댓글 : 6
답변완료
버쭈똥(relax33) 2016-01-18
추천수 : 0 조회수 : 6,573

 12월 27일부터 1월 14일까지 한국사람이 주인인 동쪽 씨메이 사바나콘도(simei savanah condopark)에서 룸렌트 비용을 지불하였고 실제로는 12일 오전까지만 지낸 사람입니다 아들 학교도 보내야 하고 홈스테이도 알아봐야해서 18일정도 지내야하기 때…

  • A

    안녕하세요 싱가폴 약 4년 거주하고 있는 가족입니다 저희가 외국인이라 이런 억울한일 한두번이 아니더라구요 그래서인가 되도록 현지인들하고 친목은 있돼 친해질려고 하질 않게되더라구요 여기사는 굉장한 부자들 아니면 다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것 같아요 힘내시고 똥밟았다생각하세요 저는 그런일 있을때 소리지르고 화내고 그래요      

    1
  • A

    차이나타운 근처 스몰코트 가셔서 소액 재판 신청하세요 변호사 없이도 10불 피 내고 신청서 작성한 뒤 내용증명 집주인한테 날라가면 겁먹고 순순히 돌려줄 겁니다 싱가폴 갑부 이하 중산층 사람들은 정말 고약하고 치사하고 깐깐한 사람들 많습니다 저도 보증금 여러번 뜯겨 봤구요 저의 경우엔 스위치 하나 부서졌다고 30불을 뗐죠. 한번은 보증금 한달치 전액을 갖고 잠적을 해서 4개월여에 걸친 재판 끝에 중재로 받아냈지만 치사하게도 메이드비 200불을 떼고 준다고 끝까지 버티기에 그냥 중재해 줬습니다 싱가폴에 살지만 싱가포리언들 좋은 사람들 그다지 못만나 본 것 같구요 제가 개인적으로 경험한 싱가포리언 중 90%이상이 별루였던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운이 안좋았을 수도 있지만... 돈돈~하는 애들 많습니다      

    5 채택답변
Q

NO.5

사업/직장현재 wp입니다 이직 제의를 받았는데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꼬꼬1208(million09) 2015-11-30
추천수 : 0 조회수 : 4,805

현재 3년 계약 wp입니다. 다음은 현재 제 계약서에서 발췌한 resignation과 termination에 관한 내용 일부입니다. -3 years contract : 4 months (consisting of 1month (MOM Employment ACT ) +…

  • A

    기술도 경력도 좋으신분인것 같은데 왜 삼년 wp를? ep를 신청해보시고 안되면 sp신청해보세요. 쪽지 확인하시구요.기술없고 창의성없는 싱가폴인들.      

    1
  • A

    현재 회사랑 잘 얘기해서 릴리스해주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거 같습니다만 싱가폴회사들 특성상 그렇게 호락호락할거 같진 않네요 다른 방법은 옮기시는 회사에서 도와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계약을 파기하고 나오는 페널티를 부담하거나 회사대 회사로 처리해 줍니다. 큰 회사거나 우수인재를 데려올때 이렇게들 하더라구요. 실제로 고소를 당하는 경우도 본적이 있어서 최대한 좋게 해결하고 나오시는게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 A

    안녕하세요. 싱가포르 현지 에이전트인데요^^   한가지 걸리는 건 만약에 4개월 노티스를 안 채우고 그만둬서 추후에 SP승인 받는데 문제가 있을까봐 걱정입니다. 저는 와이프가 이 곳에서 학교를 시작해서 7년은 무조건 여기서 살아야하고  그후에는 한국으로 돌아가든 다른 나라를 가든 아니면 이 나라에서 사업을 할 생각입니다만 이번에 일이 잘못되어서 영영 싱가폴 비자 발급에 결격 사유가 될까봐 걱정입니다. 혹시 비자 문제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확실한 답변을 주신다면 제 인생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추후에 사례라도 하겠습니다.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1. 결론부터 말하면 노티스 안채우고 SP신청시 승인받을때 문제 전혀없습니다. 노티스는 계약자간의 계약서 문제이고, MOM비자승인은 이것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위에 말씀하셨듯이 본인이 고용주에게 계약대로 돈을 물어낸다면 계약서상의 문제도 전혀 없을듯합니다. -2. 때문에 영영 비자 결격사유가 된 아무런 이유가 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이직하셔도 될듯합니다. 좋은 직장에서 새출발 잘하시기 바랍니다.      

    채택답변
Q

NO.3

기타싱가폴의 연봉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미친공주(eune) 2007-03-21
추천수 : 5 조회수 : 1,304

싱가폴에서 기본적으로 대졸자에 네이티브 수준은 아니지만 영어구사가 가능한 사람들의 평균 연봉이 어느정도 될까요?(기술직은 아니고 마케팅이나 영업쪽입니다) 싱가폴 기업 혹은 외국계 기업, 한국 기업별로 대략 아시는 정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 A

    이곳 대학(4년제 정규, 물론 대학이라곤 2개 밖에 안되지만, 모두 세계 랭킹 100위내임.) 나온 친구들 기준으로 볼때 약 월 2,000 -3,000 싱달러 (한국돈 기준 120만원-180만원) 수준정도입니다. 4년 학점으로 인한 차이가 공사나 정부투자 기업일 경우는 월급차이로 이어집니다. 싱가폴주식회사라고 들어보셨는지요? 이나라에선 공부성적이 평생을 갑니다. 명함에도 자기네 학부 성적이 우수한 애들은 Hons(Honors stuudent 의 약자)라고 찍고 다닙니다. 나라마다 문화 차이겠지만, 우리나라도 MBA/PhD 라고 명함에 찍고 다니면서 약간은 자기 PR 하시는 분들하고 비슷한 맥락이겠지요.   단, 위의 금액을 이해하는데 두가지 빠드리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지요. 첫번째가 CPF(Central Provident Fund),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과 마찬가지인데, 기업주가 월급의 20%까지 지원하고 본인이 13%까지 부담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위 금액에 20%를 추가 하시면 되고, 두번째 고려사항은, 이곳싱가폴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13번째 월급을 연말에 세금내라고 주거든요. 그걸로 대부분 세금 충당하고 남지요. 여기서도 한 10% 추가요인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30%의 추가금액이 발생하니깐, 2600불/월 - 3900불/월로 이해하시면 한국내 수준과 어느정도 비교가 가능할 걸로 판단됨.   >싱가폴에서 기본적으로 대졸자에 네이티브 수준은 아니지만 영어구사가 가능한 사람들의 평균 연봉이 어느정도 될까요?(기술직은 아니고 마케팅이나 영업쪽입니다) >싱가폴 기업 혹은 외국계 기업, 한국 기업별로 대략 아시는 정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     

  • A

    전 미국회사의 한국지사에 있다가 4월에 싱가폴지사로 가게 되는 사람이라 두나라 salary system을 에 대해서 연구 한바 있습니다. 두나라 차이점을 알려 드리오니 참고 하세요. 1. 싱가폴은 퇴직금 없습니다. 2. 싱가폴은 년차/월차 수당 없습니다. 3. 싱가폴 세금 년봉 6000만원 정도면 대충 10% 정도 낸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우리 나라처럼 연말정산 소득공제 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오히려 실직 세금이 한국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 대신, 의료보험, 국민연금 떼가는건 없습니다. 위 사항 참고하셔서 연봉계산 하세요. >이곳 대학(4년제 정규, 물론 대학이라곤 2개 밖에 안되지만, 모두 세계 랭킹 100위내임.) 나온 친구들 기준으로 볼때 약 월 2,000 -3,000 싱달러 (한국돈 기준 120만원-180만원) 수준정도입니다. 4년 학점으로 인한 차이가 공사나 정부투자 기업일 경우는 월급차이로 이어집니다. 싱가폴주식회사라고 들어보셨는지요? 이나라에선 공부성적이 평생을 갑니다. 명함에도 자기네 학부 성적이 우수한 애들은 Hons(Honors stuudent 의 약자)라고 찍고 다닙니다. 나라마다 문화 차이겠지만, 우리나라도 MBA/PhD 라고 명함에 찍고 다니면서 약간은 자기 PR 하시는 분들하고 비슷한 맥락이겠지요. > >  단, 위의 금액을 이해하는데 두가지 빠드리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지요. 첫번째가 CPF(Central Provident Fund),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과 마찬가지인데, 기업주가 월급의 20%까지 지원하고 본인이 13%까지 부담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위 금액에 20%를 추가 하시면 되고, 두번째 고려사항은, 이곳싱가폴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13번째 월급을 연말에 세금내라고 주거든요. 그걸로 대부분 세금 충당하고 남지요. 여기서도 한 10% 추가요인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30%의 추가금액이 발생하니깐, 2600불/월 - 3900불/월로 이해하시면 한국내 수준과 어느정도 비교가 가능할 걸로 판단됨.   > > >>싱가폴에서 기본적으로 대졸자에 네이티브 수준은 아니지만 영어구사가 가능한 사람들의 평균 연봉이 어느정도 될까요?(기술직은 아니고 마케팅이나 영업쪽입니다) >>싱가폴 기업 혹은 외국계 기업, 한국 기업별로 대략 아시는 정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 >     

Q

NO.2

기타싱가포르 취업 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Singapura(goodluck) 2007-02-12
추천수 : 9 조회수 : 1,010

안녕하세요? 싱가포르를 좋아해서 가입한 사람입니다. 싱가포르는 친인척이 있어서 여러번 여행했었어요. 그래서 싱가포르에서 구직도 찾아보고 있습니다. 전 화학 석사전공하고 국내에서 연구소 생활 5년경력이 있는데요. 영어는 큰 어려움없이(?) 소통이 가능합니다^^" 싱가포르…

  • A

    저와 전공이 다른 관계로 화학분야 상황이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싱가포르의 급여 수준이 한국에 비해 절대 높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급여가 깎여도 본인이 상관 없으시다면 싱가포르에서 취업은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좋은 직장 얻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싱가포르를 좋아해서 가입한 사람입니다. >싱가포르는 친인척이 있어서 여러번 여행했었어요. >그래서 싱가포르에서 구직도 찾아보고 있습니다. >전 화학 석사전공하고 국내에서 연구소 생활 5년경력이 있는데요. >영어는 큰 어려움없이(?) 소통이 가능합니다^^" >싱가포르와 같은 국제적인 도시에서 일하고 생활하며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싶습니다. >화학관련해서 기술분야에 취업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한국에 있다 보니 정말 막연한 마음에 글올립니다. >친절한 답변은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될꺼 같네요. >감사합니다 ^^     

Q

NO.1

기타OBS TV (한국TV 실시간 방송)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떡밥꿀떡떡(piano127) 2007-01-16
추천수 : 3 조회수 : 1,424

안녕하세요, 요즘 싱가폴에도 한국방송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와서 많은분들이 사용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직접 보지는 못했는데, 볼만 하다고들 그러시더라고요. 그런데 한가지 궁금하기도하고 걱정되기도 하는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한국의 드…

  • A

    저와 똑같은 의문을 가지고 계시는군요. 한국내에서도 공중파 재전송이 제지를 받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라이선스 없이 불법으로 한국에 서버두고 재전송 하는 것 같습니다. OBS에서 명확하게 해명을 하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 >요즘 싱가폴에도 한국방송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와서 많은분들이 사용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직접 보지는 못했는데, 볼만 하다고들 그러시더라고요. > >그런데 한가지 궁금하기도하고 걱정되기도 하는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등에 대한 저작권에 저촉되는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넷으로 방송하는것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바로 가능하겠지만 >OBS에서 KBS나 MBC에서 저작권을 구입해서 방송하는건 아닌것 같거든요. (그러기엔 가격이 너무 싼듯...ㅡ.,ㅡ;; ) > >그럼 속된말로 그냥 날로 가져다가 방송한다는 말인데요. > >그래도 되는건가요? 보는사람도 피해보는것 아닌가요? P2P사이트에서 영화 다운받아도 벌금내고.. 인터넷 실시간 TV보기는 불법이라 링크가 맨날 끊어지는 판인데... > >그냥 생각하기엔 한국방송을 편하게 볼수있으니 외국나와서 사는 우리에겐 좋은것 같지만 크게 생각하면 이 바로 방송하는거라면 국가적인 손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OBS에서 이런부분을 명쾌하게 해주면 좋을텐데요... 그런내용이 없어서 여기서 물어봅니다. (OBS는 게시판도 없어서리..)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 A

    참고하세요 원문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10190212 ---------------------------------------------------------------------------- 문광위 국감-불법방송 대책마련 시급       19일 국정감사에서 규제가 없는 틈을 타 자행되고 있는 국내외 불법 방송에 대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라 제기됐다.  이날 열린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의 방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불법 위성방송, 해외 IPTV의 국내 방송 프로그램 무단 송출 등 불법 방송에 따른 폐해가 심각한 가운데 방송위가 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또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산업 보호와 발전을 위해 IPTV 등 융합 서비스에 대한 정책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경인TV를 둘러싼 의혹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불법 위성방송 폐해 심각=지상파방송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프로그램을 위성을 이용해 무단 송출하는 불법 위성방송이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광위 의원들은 방송위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전병헌 열린우리당 의원은 “연간 1000억원대 이상의 불법 위성방송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저작권 침해, 유료방송 시장 교란, 유사홈쇼핑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등 문제점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개별 사업자 문제로 치부할 게 아니라 방송위가 나서야 한다”며 “불법 위성방송은 결국 방송의 신뢰 저하와 방송 발전의 저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노웅래 열린우리당 의원도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위성 불법 송출 소송이 올해만 3건이나 된다”며 “방송위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창현 방송위원장은 실태 조사와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답했다.  ◇콘텐츠 불법복제 막아야=국내 지상파방송사의 프로그램이 일본·대만·싱가포르 등으로 실시간으로 불법복제 전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상호 열린우리당 의원은 “일본과 싱가포르의 IPTV 서비스인 OBS TV가 지상파 3사의 방송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있으며, 대만의 IPTV인 청화텔레콤은 KBS 드라마를 주문형비디오(VOD)로 송출하고 있다”며 “이를 방치하면 국내 드라마의 해외 수출은 불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위성과 인터넷으로 방송을 도용 송출하는 것에 대한 국제법 규정이 없어 더 문제”라며 “문화부·방송사 등과 공동으로 대책반을 구성해 법제와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창현 위원장은 “조만간 전체회의 안건으로 올려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답변했다.  ◇인터넷 포털 생중계, 방송법으로 규제=김충환 의원은 인터넷 포털이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생중계 서비스도 방송법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2005년 이후 야후·다음·네이버 등 주요 인터넷 포털이 각종 스포츠 이벤트 등을 온라인 생중계하고 있는데도 방송위가 아무런 규제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방송법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인TV 의혹 철저 규명=국감 현장에서는 경인TV와 관련해 불거지고 있는 각종 의혹을 철저하게 규명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박찬숙 한나라당 의원은 “경인TV 최대주주인 영안모자의 이면합의 관련 문건에 영안모자의 해명과 달리 백성학 회장의 서명이 있다”며 “날조됐다는 주장도 있지만 다른 문건과 비교하면 똑같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방송위에 의혹을 철저하게 조사할 것을 요구했다.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도 “진실을 분명히 하고 신속하게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권건호기자@전자신문, wingh1@etnews.co.kr ○ 신문게재일자 : 2006/10/20       >안녕하세요, > >요즘 싱가폴에도 한국방송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와서 많은분들이 사용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직접 보지는 못했는데, 볼만 하다고들 그러시더라고요. > >그런데 한가지 궁금하기도하고 걱정되기도 하는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등에 대한 저작권에 저촉되는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넷으로 방송하는것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바로 가능하겠지만 >OBS에서 KBS나 MBC에서 저작권을 구입해서 방송하는건 아닌것 같거든요. (그러기엔 가격이 너무 싼듯...ㅡ.,ㅡ;; ) > >그럼 속된말로 그냥 날로 가져다가 방송한다는 말인데요. > >그래도 되는건가요? 보는사람도 피해보는것 아닌가요? P2P사이트에서 영화 다운받아도 벌금내고.. 인터넷 실시간 TV보기는 불법이라 링크가 맨날 끊어지는 판인데... > >그냥 생각하기엔 한국방송을 편하게 볼수있으니 외국나와서 사는 우리에겐 좋은것 같지만 크게 생각하면 이 바로 방송하는거라면 국가적인 손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OBS에서 이런부분을 명쾌하게 해주면 좋을텐데요... 그런내용이 없어서 여기서 물어봅니다. (OBS는 게시판도 없어서리..)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 A

    비슷한 분야에 일을 하고 있어서 몇가지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전 서비스는 아니고 하드웨어쪽에 일하지만 요즘 이쪽 분야가 워낙 뜨거운 감자라 업계에선 잘 알고 있는 얘기입니다. 지금 OBSTV 형태의 사업을 IPTV라고 합니다. 스타허브에서 Smart TV, 싱텔에서 MIO라는 이름으로 막 시작한 사업이죠. 전세계에 상당히 많은 업체들이 뛰어 들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차세대 미디어 산업이죠. 케이블 TV, 위성 TV를 대체하는.... 저녁에 Channel News Asia를 한번 보세요 적어도 한두개의 IPTV관련 주요 소식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OBSTV역시 IPTV이고 제가 알기로는 한국, 일본 방송을 취급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OBSTV 뿐만 아니라 전세계 상당수의 업체는 불법이거나 무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 방송을 취급하는 업체만 생각해보죠. 중국에가면 IPTV뿐만 아니라 위성으로도 불법 서비스 하는 업체들 수두룩 합니다. 한국 슈퍼에서 카드 충전해서 IPTV켜고 번호 입력하면 TV바로 나옵니다. 미국 말할것도 없습니다. 그럼 이 업체들이 다 불법일까요? 예 그렇습니다. 한국 내에서도 하나TV라던지 KT, 파워콤 모두 방송 전송권 문제를 풀지 못해서 서비스 못하고 있죠. 한국내에서는 바로 법적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다들 해외에서 이 사업을 하는 거죠. 음모론 적이기는 하지만 이런 업체들 뒤에 누가 있는지 모르는 거죠. 현재 OBS가 받고 있는 시청료. 말씀하셨듯이 회선 비용 감당하기도 벅찬 금액입니다. 싱가폴에서 회선비용이 IDC마다 틀리지만 S$150~300 / Mbps입니다. 결국 남지 않는 장사를 하고 있는 거죠. 왜 그럴까요? 선점을 노리는 겁니다. 지금은 한국 방송국들하고 IPTV관련 협상이 전혀 진행될 수 없습니다. 어떤 업체도 라이센스가 없습니다. (국가적으로 IPTV관련된 룰이 없는 상태입니다. 한국은 일본에서 법제정하는거 지켜보고 움직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마도 2007년 후반기쯤으로 예상되는데 그때 라이센스 협상을 할때 방송국은 누구한테 라이센스를 줄까요? 현재 가입자수가 많은 업체에 즉 돈 받이 받을 수 있는 업체에 라이센스를 주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업체들이 잘 되서 하드웨어를 많이 사 줘야지 먹고 사는 사업을 해서 약간은  편향된 의견일지 모르지만 불법이라고 비판을 하기전에 업계의 흐름을 알면 좀더 논리적인 비판이 가능할것 같아서 몇자 적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한국 정부든 방송위든 빨리 이쪽 부분에 관한 명확한 룰을 만들어서 한국 컨텐츠가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시장을 양성화 시켜야 하는데 결국 밥그릇 싸움하다가 외국 업체에 좋은 시장 다 내주는건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안녕하세요, > >요즘 싱가폴에도 한국방송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와서 많은분들이 사용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직접 보지는 못했는데, 볼만 하다고들 그러시더라고요. > >그런데 한가지 궁금하기도하고 걱정되기도 하는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등에 대한 저작권에 저촉되는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넷으로 방송하는것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바로 가능하겠지만 >OBS에서 KBS나 MBC에서 저작권을 구입해서 방송하는건 아닌것 같거든요. (그러기엔 가격이 너무 싼듯...ㅡ.,ㅡ;; ) > >그럼 속된말로 그냥 날로 가져다가 방송한다는 말인데요. > >그래도 되는건가요? 보는사람도 피해보는것 아닌가요? P2P사이트에서 영화 다운받아도 벌금내고.. 인터넷 실시간 TV보기는 불법이라 링크가 맨날 끊어지는 판인데... > >그냥 생각하기엔 한국방송을 편하게 볼수있으니 외국나와서 사는 우리에겐 좋은것 같지만 크게 생각하면 이 바로 방송하는거라면 국가적인 손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OBS에서 이런부분을 명쾌하게 해주면 좋을텐데요... 그런내용이 없어서 여기서 물어봅니다. (OBS는 게시판도 없어서리..)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