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50

기타싱가폴 달러를 한국으로 보낼려고 하는데.. 은행 수수료…

  • 답글 : 1
  • 댓글 : 6
답변진행중
SY(angela0749) 2009-10-31
추천수 : 9 조회수 : 1,120

뭐.. 큰 돈은 아니고 싱가폴 달러 조금 한국으로 보내고 싶은데.. 은행에서 보내야 하는건가요?? 하직 한번도 안해봤는데 보내면 바로 한국에서 찾을 수있는지.. 제가 DBS 은행 쓰고 있는데 수수료는 마니 비싼가요??     

  • A

    저는 uob 통장쓰고 있는데 은행별로 송금금액에 따라 받는 수수료가 정해져 있지만(인터넷뱅킹 얘기하는겁니다.) 보통 30불미만입니다. 그리고 한국내 계좌로 인터넷뱅킹 이용해 보내는데 빠르면 1시간안에도 들어갑니다.( 싱가폴서의 이체시간에 따라 접수되는게 다름) 마지막으로 한국돈 2천만원 이상보내면 받는 한국내 은행서 바로 원화로 접수된 금액을 입금안해주고, 한국은행의 외환거래법따라 한국은행에 알려줘야 하는지 등등에 대한 허가를 구하러 은행 담당자가 입금계좌 주인한테 전화를 하더라구요..참고하세요( 전 당근 여기있다 보니 연락이 안돼 한동안 입금이 안돼 결국 이러저리 알아보다가 결국 위에 쓴대로 중간 절차가 있다는 말 듣고는 그 뒤로는 2천만원 미만으로 짤라 보냅니다.) >뭐.. 큰 돈은 아니고 >싱가폴 달러 조금 한국으로 보내고 싶은데.. 은행에서 보내야 하는건가요?? >하직 한번도 안해봤는데 >보내면 바로 한국에서 찾을 수있는지.. >제가 DBS 은행 쓰고 있는데 수수료는 마니 비싼가요??     

Q

NO.49

기타HDB 구매 관련해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하얀올빼미(whiteowl) 2009-05-19
추천수 : 1 조회수 : 1,049

매월 월세내는것이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이런저런 주인과의 마찰등등등 으로 심각하게 HDB 구매를 고려중입니다. 부부가 같이 PR을 갖고있기 때문에 구매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ST701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에 따른 금액을 확인해봤습니다만 경기침체전이…

  • A

    >매월 월세내는것이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이런저런 주인과의 마찰등등등 으로 심각하게 HDB 구매를 고려중입니다. 부부가 같이 PR을 갖고있기 때문에 구매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 >ST701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에 따른 금액을 확인해봤습니다만 경기침체전이랑 별반 다르다는 느낌이 안듭니다. 그래서 선배님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현재 HDB에 살고 있습니다. >1. HDB를 지금 구매하는것이 괜찮을까요? 만약 아니라면 언제쯤이 괜찮을까요? >답변) HDB을 구매하실 생각이시라면, 지금  좋은시기란 생각이 듭니다. 경기침체이후 콘도가격이 많이 내렸으나, HDB는 올 1분기까지 가격을 유지하다, 3월 이후 HDB도 가격조정을 받아. 요즘 많이 내렸습니다. 신문보시면 valuation보다 낮게 파는집이 꽤 있는걸 보실수 있을겁니다. >2. HDB를 구입할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사항은 어떤게 있을까요? >ex> Property Tenure : 99년 or 999년... 답변) HDB는 정부에서 임대를 해주는 임대아파트성격이라 Tenure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모든 부동산이 그렇듯이, 지역을 잘 고르셔야 합니다. HDB를 사실거면 티옹바루나 비샨을 알아보십시오, 이쪽 HDB들이 외곽콘도와 가격이 비슷하지만 나중에 팔기도 쉽고, 집값상승도 기대할수있습니다. (물론 아시겠지만 HDB는 가격상승폭이 콘도처럼 크지는 않습니다). 높은층일수록 좋습니다, 방향은 North South, Unblock, 너무 오래돼지 않은 HDB가 좋겠죠.   > >3. 계약서를 작성할 경우 확인해야할 사항은 어떤게 있을까요? 답변) 모든 매매거래는 정부규정아래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론 계약서도 규정계약서가 있습니다. 특별히 확인할 사항은 많지않으나, 에이젼을 잘 고르셔야하고, 항상 모든매매자체가 seller중심이라, 외국인 Buyer가 가격적으로 손해을 보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HDB 싸이트에 최근 Transaction을 참조하시돼,  그거래자체가 3개월전에 이루어진거라(HDB 거래 completion 이 적어도 3개월이 걸립니다), 요즘시세는 거기서 더 내려서 생각하시면 됍니다. > >4.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계획이며, 어느 은행에 어떤 대출이 가장 괜찮은가요? 답변) 은행마다 이자율등 프로모션 상품이 각각이라, 본인이 직접 다녀보셔야 합니다. 다만 HDB는 DBS나 로컬은행이 좀 나은것 같고, 최근 May Bank랑 Standard Charterd가 일년 고정금리1.5% 상품을 내놓았더군요, 하지만 2년째부터는 물론 2.5%다 넘죠. > >5. 구입시 집값이외에 준비해둬야할 비용은 어느정도이며 어떤것들인가요? >ex> cash for owner, renovate, lawer fee, agent fee... 답변) 에이젼 Fee가 구매가의 1%였던것같구요, Stamp duty 준비하셔야 합니다 IRAS 홈페이지 들어가시면 stamp duty자동계산하는 calculator가 있습니다, 그걸 이용하시면 정확한 금액 미리 아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대출을 하셔도 (HDB는 90%까지 가능한걸로 압니다) 본인이 부담하실  현금및 CPF을 확인하셔야 하구요, HDB구매시 Valuation Report을 기준으로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기 때문에 만약에 구매가가 Valuation 보다 비싸면 당연 그만큼은 본인의 현금이나 CPF로 충당하셔야 합니다. 변호사는 은행대출시 보조가 나오는데 경우에 따라, 100-200 본인부담금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집 계약시 옵션으로 처음에 1000불 2주후에 옵션행사 하실때 나머지 4000 내셔야 합니다. 옵션과 Stamp Duty는 거래시작과 거의 동시에 지불을 하기때문데 미리 준비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레노베이션이나 가구등도 생각을 좀 하셔야 겠죠.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Q

NO.46

기타입싱 문의사항

  • 답글 : 1
  • 댓글 : 4
답변진행중
성공(emjmhcat) 2008-02-05
추천수 : 3 조회수 : 1,674

안녕하세요. Job 계약서를 받고 곧 입싱을 앞두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문의 사항이 있는데요, 자세한 답변 부탁 합니다. 1. Job 계약서만 싸인해서 끝내면, 취직이 확정이 되는거죠? 현재 다니는 회사에 미리 말을 하여야 하는데, 언제 해야 할찌 고민이네요. 2. …

  • A

    명절인데 할일도 없고해서 오랫만에 들어왔는데..추카드립니다..싱가폴 오시게 된거. 제가 아는 범위에서 알려 드릴테니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1. Job 계약서만 싸인해서 끝내면, 취직이 확정이 되는거죠? 현재 다니는 회사에 미리 말을 하여야 하는데, 언제 해야 할찌 고민이네요. 요건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 전 지사 주재원 근무라서요. >2. 현재 국내에서 여러가지 은행업무[자동이체]는 어떻게 처리하시나요?[보험료등 기타] 여기서도 한국 인터넷 뱅킹 다 됩니다. 한국에서 하는거랑 하나도 다른거 없이 한국계좌 똑같이 인터넷 뱅킹으로 관리하고 예금 적금 펀드 다 되니깐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듯 합니다. >3. 가기전에 City bank 통장을 가지고 가면 마음대로 돈을 찾을수 있나요? 제가 현재 외환은행을 쓰고 있는데요, 여기 돈을 싱가폴에 가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거기가서 인터넷벵킹으로 City 계좌로 이체한다음 거기서 다시 출금 가능한가요?] city bank 통장은 atm 카드로 바로 쓸수 있을겁니다. 다만 한국계좌에서 돈을 뽑을때는 수수료 좀 나갈겁니다. >4. EP 신청시 전 고용자의 추천서가 필요하다던데요, 이거 필수 사항인가요? 필수 사항아닐겁니다. >5. 가족들은 나중에 올건데요[10월경], 제거 EP신처시 함께 DP신청해 놓아야 하나요? 아님, 나중에 별도로 하는것이 좋을가요? 저같은 경우에는 ep 신청할때 가족들 dp 도 같이 신청하였습니다. 신청하고 confirm 나면 우편이 날아오는데 거기보믄 언제까지 mom가서 발급신청하라고 되어있습니다. 그기간안에만 가족분들 들어오시면 문제 없을듯 합니다. >6. 입싱후 방을 구하여야 하는데요, 한달동안 가능한가요?[물론 발품 나름이겠지만요]     여긴 물론 상황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 바로 들어갈수 있는곳도 꽤 있습니다. 한국은 전세라서 집주인이 다음 세입자 구해지면 돈준다라고해서 늦어지고 보통 계약에서 입주까지 한달이상 걸리지만 여긴 월세이기 때문에 이전 계약 만료후 다음 계약자 못구해지면 걍 빈집으로 남아있습니다. 최근에 아는 사람 부탁으로 집 구하러 다닌적 있었습니다. 보통 한달은 잡아야 하지만 agent에게 상황말하면 바로 들어갈수 있는 집도 구하기 어렵진 않을겁니다. 다만 최근에 집값이 많이 오른건 감안하셔야 할듯 합니다. 회사에서 월세지원이 안된다면 한달월급이 고스라니 월세로 나가야 하는 수도 있습니다. >7. 핸드폰은 처음에 구입시, 얼마나 하나요?[중고도 상관이 없음] 울 와이프 핸펀 걍 삼성 최신기종으로 꽁짜로 받았어요.m1에서 프로모션할때요. 물론 2년계약으로 다가요..여기도 한국처럼 몇년계약하믄 핸펀이 많이 싸져요.. 구지 중고하실 필요 없이 이년계약하믄 공짜로 주는 폰을 찾아보시는게 더 괜찮을듯 합니다. >8. 아이들 유치원 비용은 얼마나 하나요?[한국유치원/국제유치원/싱가폴국립유치원] 울 아들넘 한국유치원 다니는데 한달에 천불정도 잡으시면 됩니다. 주변에 국제유치원 다니는집 얘기 들어봐도 한달에 천불은 들어가는듯 합니다. 다만 국제유치원에 처음에 디파짓이 좀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local은 많이 싸다고 합니다. 하지만 얘가 영어를 못한다믄 좀 힘들겁니다. 처음에 오시는거고 직장때문에 오시는거라면 처음엔 한국유치원 권합니다. >9. 기타 알려주시고 싶은 정보 있으시면, 성심껏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잘 하셨겠지만 여기 집값많이 비쌉니다. 회사에서 월세지원이 안된다믄 사는게 많이 팍팍해 집니다. 위치에 따라서 콘도 월세는 천차 만별이지만 외곽쪽은 최소한 이천불 후반은 잡으셔야 하고 외곽과 시내의 중간정도의 한국사람들 많이 사는곳도 최소한 4-5천은 잡으셔야지 집 구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 콘도는 full furniture 입니다. 대부분 큰물건들은 다 있습니다. tv / 에어컨 / 냉장고 / 쇼파 / 침대 / 책상 / 식탁등등.. 그리고 한국에서 아깝다고 전자제품 가져오셔야 큰 도움은 안될겁니다. 특히 tv는 가져오셔도 무용지물이오니 아깝다 생각치 마시고 주변에 선심한번 쓰시는게 더 괜찮을듯 합니다. 전 여기올때 이불이랑 그릇이랑 옷정도만 가져왔습니다. 나머진 다 집에 있으니 큰 필요 없구요. 그리고 싱가폴에 대중교통이 편해서 차가 필요없다는 분도 계시지만 갠적인 생각으론 얘가있으시면 차 필요 합니다. 셔틀이 없음 얘들 유치원도 데려다 주어야 하고 주말에 장도 봐야 하고 출퇴근 해야 하고.. 근데 차가 많이 바쌉니다. 소나타 가격이 한국의 두배정도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근데 기름값은 한국보단 쌉니다. 1liter에 오늘 넣어보니 한 이불정도 하드라구요. 한 1300원정도 입니다. 그럼 준비 잘하시고 혹시 더 궁금하신 사항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3
Q

NO.44

기타입싱 초보 : " 종합 질문 세트" ㅎㅎ

  • 답글 : 1
  • 댓글 : 11
답변진행중
david(neoiris) 2007-11-29
추천수 : 28 조회수 : 3,048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있는 미국계 기업에 취업해서  12월에 입싱하게 되었습니다. 초보고 싱가폴에 아시는 분도 없어서 게시판을 통해 질문을 드려요.  그럼,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려요! 1.  입국전에 한국 관공서에 신고해야 할 필요가 있나요?     고용,…

  • A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만 말씀드립니다. 1.  이건 몰라서 패스..  아마도 동사무소에서 뭔가를 했던 것 같은데..  그게 민방위하고 또 뭐더라..  뭐 그런거 같았어요..  기억이 가물가물.. 2. (예전에 크리스라는 분께서 답글 적어두신거 카피해서 올립니다.)   a. 여권과 EP만 가지고 가시면 되구요. 최소 500달러가 있어야 은행 계좌 개설 가능합니다.  계좌입력 아이디는 여권으로 하기때문에 여권이 있어야 은행가서 통장에서 돈을 뺄수 있구요.   b. 통장으로 예금 인출보다 편리한 ATM용 현금카드 만드세요. 요즘에 나온 GO card만들면 연회비 없구요. 마스터와 네트기능의 직불카드입니다. 싱가폴에서 계산할때 net냐고 묻는건 직불카드로 계산 즉시 현금 인출되는거거든요. 마스터 기능이 추가된 이유는 신용카드는 아니지만 간혹 NET가 안되는곳에서 마스터로 해달라고 하시면 되거든요. 그래서 편리해요. 혹시라도 분실해서 재발급 받을경우에는 5달러의 수수료가 있습니다.   c. 계좌에 500불 입금했던 금액이 일정 유지 되지 않으면 매달 수수료 2불이 나갑니다. 참고하세요.   d. 계좌 개설할때 인터넷 뱅킹 하겠다고 말씀하시면 되구요. 서류로 해서 진행하면 오래걸린다면서.. 일단 폼 작성후 직원이 밖에 있는 ATM머신 가서 같이 알려주더군요. 카드를 바로 만들어준 후에 같이 나가서 ATM머신에서 인터넷 뱅킹 등록하는 기능으로 처리 했구요. 참... 전화번호는 있어야 합니다. 인터넷 뱅킹 등록시에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기때문에요. 그리고 통장만들고 주는 작은 영수증같은 걸 주는데 그곳에 아이디와 본인 입력한 핀넘버를 잊지 마세요.   e. POSB은행은 현재 DBS와 합병되어서 ATM카드는 두군데 다 사용가능하구요. 인터넷 뱅킹 등록한후에 1주일정도? 시간 지나면 주소지로 시리얼 넘버 입력할때 필요한 보안키(플라스틱으로 되어서 누르면 번호 나오는 조그만 툴)를 보내줍니다. DBS쪽에서 오는 우편물루요... 그러면 인터넷에 들어가서 절차대로 입력해서 사용하면 되구요.  POSB는 통장에 잔고가 $1.00 만 있어도 계좌가 유지됩니다.  수표책을 사용하신다면 한달에 $2.00씩 빠져나갑니다. 3. 이 곳 싱가폴에서는 일반적으로 양복 정장식으로 별로 입지 않습니다.  싱가폴에서만 입으실거라면 바지와 셔츠, 타이만 있어도 괜찮을 듯 싶네요.  물론 해외출장이 잦으시다면 춘하추동복 다 있어야겠지만요. 4. 입싱하실 때 얼마까지 보유가능한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하지만 분명한 거 하나~!!!  한화 현금을 싱달러 현금으로 교환하실 거라면 반드시 한국에서 바꿔 오십시오.  며칠전 보니까 창이공항에서 $100 교환하는데 5만7천원으로 바꿔주는 걸로 보았거든요.. (사고 파는데 매매기준율에서 +/- 10%정도까지 차이가 나는 것 같더라구요)  다음날 한국 도착해서 보니 한국에서는 $100당 6만 3천원 남짓 주더라구요..(사고 파는데 매매기준율에서 +/- 2.5%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던 걸로 기억함)  그렇게 차이가 큰 줄은 상상도 못 했었습니다..  따라서 $1,000를 바꾼다면 한국에서 바꿔서 오시는게 6만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죠..  반드시 한국에서 교환해서 오세요..  (어쩌면 제가 숫자를 잘 못 기억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아마도 맞을 듯..) 5. 이것도 대부분 몰라서 패스..   Clinic은 1차진료기관으로 한국의 동네의원과 비슷합니다.  가정의학과라고 하나요?  기본적인 감기부터 간단한 피부병, 바느질까지 모든걸 다 봐줍니다.  일반적으로 $30내외로 가격대가 저렴하죠.     Hospital 이라고 하신다면 아마도 specialist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말 그대로 전문의 입니다.   특정한 진료과목을 선택해서 양질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신다면 전문의를 찾아가세요.  대부분 오차드 주변의 시내에 많이 몰려있구요, Hospital과 개인병원을 같이 가진 의사들이 많습니다.  진료비는 $100 내외부터 약도 안 받고 간단한 검사를 하는데 $300가까이 내본 적도 있습니다. 모르는 부분은 다른 분들께서 도움주시리라 믿구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싱가폴에 있는 미국계 기업에 취업해서  12월에 입싱하게 되었습니다. 초보고 싱가폴에 아시는 분도 없어서 게시판을 통해 질문을 드려요.  그럼,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려요! > >1.  입국전에 한국 관공서에 신고해야 할 필요가 있나요? >    고용,건강,국민연금 등... > >2. 은행계좌 만들려고 하는데요, 어떤 서류가 필요하죠? 추천하시는 은행은? > >3. 양복 사가려고 하는데요, 한국에서 춘/추복 사가야 할까요 아니면 하복으로 사가야 할까요? ㅎㅎ > >4. 입싱할때 보유할 수 있는 최대 싱달러 금액은 얼마인가요?  나중에 한국에서  싱가폴 계좌로 송금하기 보다는 가능한 최대 허용 가능금액까지 들고 들어가는게 좋을까요? > >5. 보험관련 >  싱가폴 의료비가 비싸다고 해서 한국에서 화재보험 가입하고 갈까합니다. 특정 금액까지 의료비 전체를 환불해주는 건데, 외국같은 경우 한국의 40%만 인정해준다고 합니다. > 한국에서 10만원 병원비 발생하면, 한국에선 10만원 전체 환급해주지만 외국에서는 4만원만 배상해준다는 거죠. >  뭐 40% 만 해준다는 것도 아쉽지만, 청구할때 영수증 원본 제출해야한다고 합니다. > 만일 병원에 가게 되면 회사 의료비와 한국 의료보험 양쪽에 청구하려고 하는데 모두 영수증 원본을 제출해야 한다고 하네요. 아내가 잔병치례가 많아서요.... > > 싱가폴 병원에는 영수증 원본은 한번만 발급해준다고 들었는데 , 원본 영수증 중복 발급이 불가능한가요? >  글구 hospital이랑 clinic이 좀 다르다고 들었는데 차이가 뭔가요? >   >  그럼 부탁드려요. 꾸벅 - -  _ _ --  _ _ >     

    2
Q

NO.38

기타환전에 관한 -- 개인적 지식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기러기아빠(logos0911) 2007-06-21
추천수 : 31 조회수 : 1,881

환전하는 방법은 첫째 : 환화를 싱가폴로 가지고 와서 머니체인지에서 교환하는 방법          장점 :  환전수수료및 송금수수료를 절약                    -  미화 10,000 까지 들고 들러갈수있음          단점 :  외환법 위반    …

  • A

    씨티은행 국제현금카드에 대해서 한국씨티은행 홈페이지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간단히 복사해서 붙여놓았으니 참고하시고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홈페이지 에서 찾아 보심이 좋을듯... 세무조사 한계액수는 사람별로 적용되는 거라고 알고 있구요(환전 방법과 상관없이)... 제 경험으로는 국제현금카드의 경우와 유학자금 인터넷송금(인터넷 송금이 대개 조금더 할인이 됩니다) 과 비교하면 송금금액에 따라 더 유리하거나 불리 한 것 같습니다. 단점이라면 씨티은행 ATM을 찾아 다녀야 한다는 거죠^^ --- 아래 --- Home > 개인고객 > 외환 > 외화상품/서비스 > 국제현금카드서비스 > 신청방법 및 이용한도 발급자격 25세 이상의 내국인 거주자 (주민등록번호 소유자에 한함) 발급방법   현금이 인출될 통장과 도장, 신분증을 지참하시고 가까운 지점에서 발급신청 하시면 됩니다. 최소예치금액 및 발급 수수료   최초 발급 수수료 50,000원이 카드 발급 시 부과됩니다. (단, 씨티골드 및 실버 고객, 씨티원통장고객은 면제) 이용한도   1일 이용 한도 : US$ 5,000   1달 이용 한도 : US$ 10,000   해외에 소재한 현금자동인출기(ATM)에는 현지 사정에 따라 별도의 인출한도가 설정된 경우가 있으며, 이는 씨티은행이 정한 상기의 이용한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환율   USD 인출시 : 인출 시점의 한국씨티은행 미화 전신환 매도율 적용   기타 통화 인출시 : USD 이외의 통화로 인출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대미화 환산율(Reuters Interbank Spot Buy and Sell rate에 의한 기준율)이 적용되어 USD로 환산된 후, 역시 미화 전신환 매도율을 적용합니다. 수수료                      29개국 씨티은행     152개국         중국CUP        비고                   ATM기                  제휴ATM      ATM 인출수수료   없음                     2000원/1회     2000원/1회   VISA네트 워크수수료   없음                     인출금액의                                              0.85%            0                   VISA로고가 부착된 ATM                                                                                      사용시에 부과됩니다. ATM사용 수수료         없음                     약 $0.5~3.0    약 $0.08~1.26  현지ATM소유자가 부과                                                                                       하는 수수료로 각 ATM별                                                                                       로 다르게 책정됩니다.     

Q

NO.37

기타한국으로 송금..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찐(mydml) 2007-06-19
추천수 : 11 조회수 : 1,070

한국으로 돈을 송금해야 하는데요.. 어찌해야 하나요/ 은행 계좌는 있구요... dbs은행계좌에서 한국의 은행으로 송금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과정좀 알려주세요.. 수수료나 제반비용이 싸게 할수있는 방법도 갈쳐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한국돈과 교환하자는 제의나, 인…

  • A

    제가 아는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시티은행이용방법도 있지만 그쪽은 모르겠군요) 하나는 DBS같은 현지은행에서 한국의 은행계좌로 바로 송금하는 방법인데, 로컬은행 지점 아무곳이나 가서 한국으로 송금하고 싶다고 하면 송금신청서를 줍니다. 그거 작성해서 제출하시면 되구요. 당연히 계좌개설돼있어야하고 송금할 돈이 들어있어야하겠죠. 송금수수료만 25불(DBS의 경우) 정도구요. 복잡한 거없습니다. 다만 매번 송금할때마다 가서 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더군요. 3일걸릴겁니다. 두번째는 싱가폴외환은행에 계좌를 만들고 인터넷뱅킹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자주, 비정기적으로 송금하시는 분들이 편할겁니다. Deposit 3000불을 항상 유지해야하구요. 그 미만으로 떨어지면 매월 결산해서 벌금(?) 20불 꺼내갑니다. 송금은 인터넷뱅킹으로 할수 있다는게 큰 장점이죠. 송금수수료는 25불인데 8천불이 넘어갈때마다 추가수수료가 있답니다. 한국의 외환은행계좌로만 송금이 가능합니다. 당일 바로 송금된다는 것도 잇점이군요. >한국으로 돈을 송금해야 하는데요.. >어찌해야 하나요/ >은행 계좌는 있구요... >dbs은행계좌에서 한국의 은행으로 송금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과정좀 알려주세요.. >수수료나 제반비용이 싸게 할수있는 방법도 갈쳐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한국돈과 교환하자는 제의나, 인편을 이용하자는 조언을...사양하겠습니다..^6^)     

Q

NO.35

기타6월경 입싱하는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싱이(a63835247) 2007-04-12
추천수 : 4 조회수 : 1,910

8월에 NUS에 입학을 하게되어 집사람과 6월경 입싱을 계획하고있습니다. 싱가폴에는 유학 사전조사차 그리고 신혼여행차 두번 다녀온적이 있습니다. 물론 여행이다보니 호텔에 거주해서 막상 유학을 떠나려다 보니 무엇을 챙기고 무엇을 버려야할지 막막하네요. 올라온 글들을 …

  • A

    >8월에 NUS에 입학을 하게되어 집사람과 6월경 입싱을 계획하고있습니다. 싱가폴에는 유학 사전조사차 그리고 신혼여행차 두번 다녀온적이 있습니다. 물론 여행이다보니 호텔에 거주해서 막상 유학을 떠나려다 보니 무엇을 챙기고 무엇을 버려야할지 막막하네요. > >올라온 글들을 새벽까지 읽고 많은 정보와 현지 생활에대한 대략적인 상상도 해볼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아직도 긴가 민가 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중복되더라도 너그럽게 이해해주시고 답변주시면 감사합니다. > >1) 전자제품관련, TV 는 안되는거 같아 포기하구요. 지금 HP노트북을 장만하려고 하는데 전원문제는 아무 이상이 없는건지요. (아래 글에서 어느분께서 선풍기가 빨리돌아간다고 하기도 하고...) 또한 집사람쓰는 데스크탑도 가져갈예정이구요. 콘센트변환해주는 것만 준비하면 사용에는 지장이 없는건가요? (현지서 구매시 서비스나 그런건 더 원활하다고하는데 낯선곳에서 이것저것 구입하는 일도 쉬운일만은 아닌거 같아서요) 그외, 쿠쿠압력밥솥, 테팔주전자, 디카, 드라이기 정도를 사용에 지장이 없다면 가져가 볼까 합니다. > ---------노트북은 당연히 전원문제 이상없죠.세계 어디를 가나요~^^ 데스크탑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쿠쿠는 최신모델보다 기능이 별루 없는 단순한 모델이 오래 가구요 디카나 드라이기 가져와서.. 2년째 쓰고 있는데..이상 없네요. >2) 은행업무 관련, 현재 씨티은행계좌를 개설하고 싱가폴에서 씨티은행 ATM사용시 수수료가 없다는 카드를 2장 준비했습니다. 물론 국내에 현금을 나두면서 현지에서 꺼내쓰려면 매번 환전수수료는 발생되겠죠. 한번에 인출가능한 최대 금액은 얼마정도 되는지? 혹시 아시면 환전수수료는 어느정도 되는지요? 주로 한국에서는 증권사 CMA통장에 돈을 넣어두는데 수시 입출금 가능하고 4.3%를 주지요. 혹, 계속 한국에서 이자를 받고 필요할때마다 환전수수료를 내고 인출하는 편이 더 나은걸까요? 물론 현지에 살다보면 현지 은행계좌도 필요하겠지만 한두달 생활비만 현지은행에 예치하고 나머지는 한국에서 관리하는 편이 나은건지 아님 전부 싱가폴로 가져가는 편이 나은건지 궁금하네요. > -------------씨티은행 한번 인출 $3000 까지 가능하구요...하루엔 $5000..한달엔$10000으로 알고 잇습니다.그리고.... 환전수수료가 별도로 안드는걸루 알고 있는데요...오늘 $1000 찾으니...한국통장에서62 만원 빠지던데...그날그날 환전율 대로 현지 통화루 계산되는걸루 알고 있는데.... 아니라면....이건 자세히 알고 계신분이 있으면 추가 답변 바랄게요~ 아..그리고 초기 정착금이 생각보다 많이 듭니다. 뭐든지 디파짓이 잇는나라라.... 집도 처음 얻을땐 집세의1~2달치금액에 해당하는 디파짓과 첫달치 집세를 한꺼번에 줘야하니..이것만도 대단하겠죠?? 잘 준비하셔서 입싱하세요~^^ >두서없이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답변에 대해 미리 감사드립니다 ... 꾸벅     

  • A

    컴퓨터는 변환기 없이 사용가능합니다..다른전자제품은 헤르츠가 이곳이 더높기때문에 오래사용시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지만 컴퓨터는 헤르츠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저 역시 한국서 가져온 컴터를 아주 잘쓰고 있습니다.. 참고로 새로 구입하실예정이시라면 이곳이 한국보다 가격이 저렴하니 들어오셔서 구입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Q

NO.34

기타ATM 타행이체 할 때 수수료가 붙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1(jerry72) 2007-03-07
추천수 : 14 조회수 : 1,256

안녕하세요. ATM을 이용해서 타행이체(예를 들어 POSB에서 USB로)를 하면 한국처럼 수수료가 붙나요? 붙으면 어느정도나 붙을까요? 그리고 얼핏 듯기로, ATM으로 같은 은행으로 이체하면 바로 송금되지만 다른은해으로 이체하면 3일정도 걸린다고 하던데...맞나요? …

  • A

    USB? UOB아닌가요...*^^* (그냥 농담이구요.) 타행이체는 수수료가 없습니다. ATM으로 하든 인터넷뱅킹으로 하든. 근데 같은 은행의 다른계좌가 아니라 다른 은행으로 이체하면 3일정도 걸립니다. (DBS에서 OCBC로 하면 3일째되는날 입금되더군요.) 추가로, 싱가폴은행에서 한국외환은행 싱가폴계좌로 이체해도 수수료가 없습니다. 그런데 한국외환은행 싱가폴계좌에서 싱가폴은행으로 이체하면 수수료가 붙더군요. 시간은 마찬가지로 3일정도 걸리구요. > >안녕하세요. >ATM을 이용해서 타행이체(예를 들어 POSB에서 USB로)를 하면 >한국처럼 수수료가 붙나요? 붙으면 어느정도나 붙을까요? > >그리고 얼핏 듯기로, ATM으로 같은 은행으로 이체하면 바로 송금되지만 >다른은해으로 이체하면 3일정도 걸린다고 하던데...맞나요? > >     

  • A

    고맙습니다. 요즘들어 영타,한타 모두 가끔 손이 지멋대로 가더라구요.. *^^* >USB? UOB아닌가요...*^^* (그냥 농담이구요.) > >타행이체는 수수료가 없습니다. ATM으로 하든 인터넷뱅킹으로 하든. >근데 같은 은행의 다른계좌가 아니라 다른 은행으로 이체하면 3일정도 걸립니다. >(DBS에서 OCBC로 하면 3일째되는날 입금되더군요.) > >추가로, >싱가폴은행에서 한국외환은행 싱가폴계좌로 이체해도 수수료가 없습니다. >그런데 한국외환은행 싱가폴계좌에서 싱가폴은행으로 이체하면 수수료가 붙더군요. >시간은 마찬가지로 3일정도 걸리구요. > >> >>안녕하세요. >>ATM을 이용해서 타행이체(예를 들어 POSB에서 USB로)를 하면 >>한국처럼 수수료가 붙나요? 붙으면 어느정도나 붙을까요? >> >>그리고 얼핏 듯기로, ATM으로 같은 은행으로 이체하면 바로 송금되지만 >>다른은해으로 이체하면 3일정도 걸린다고 하던데...맞나요? >> >> >     

Q

NO.33

기타현금 인출시 수수료 장난아니네요 ㅜㅜ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sanctuary(sanctuary) 2007-02-15
추천수 : 7 조회수 : 1,394

안녕하세요....이제 싱가폴에 상륙한지 2주가 채 안된 학생입니다... 싱가폴에서 현금 인출시 사용하려고 국내 은행에서 해외 사용 가능한 현금 인출 카드를 만들어 왔는데요.....수수료가 장난이 아니네요...거의 10달러가 넘어가는거 같은데.. 예상은 했지만 이…

  • A

    안녕하세요 저두 막 한달째 되어가는 어학연수생 입니다 도움이 되실줄 모르겠지만 몇자 적어볼께요 저두 인출문제로 고민하다가 현지 은행에 계좌를 개설하게되었습니다 학생이시라면 패스폳이랑 학생비자 가지고 은행에 가셔서 개설하세요 전 POSB 은행에서 계좌 개설했는데 우선 500불을 입금하셔야 합니다 은행지점마다 틀리다는데 암튼 금방 만들어 줄꺼에요(물론 500불 바루 현금카드로 찾을수 있는거구요) DBS 은행이랑 제휴맺어서 현급지급기 공동사용해두 수수료 없습니다 시간때두 아무때나 수수료 없구요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좋은 연휴 보내세요 >안녕하세요....이제 싱가폴에 상륙한지 2주가 채 안된 학생입니다... > >싱가폴에서 현금 인출시 사용하려고 국내 은행에서 해외 사용 가능한 현금 인출 카드를 > >만들어 왔는데요.....수수료가 장난이 아니네요...거의 10달러가 넘어가는거 같은데.. > >예상은 했지만 이정도일 줄이야.... > >듣기로는 시티은행은 수수료가 없다고 하던데(물론 한국에서 시티은행 계좌와 카드가 있으면요...) > >허나 한국에 시티은행 카드 만들러 갈 수도 없고.... > >그래서 몇가지 질문 드리려구요... > >우선 어디서 뽑든 수수료가 그렇게 비싼지요....좀 싼 은행 없나요...? > >참고로 전 국민은행와 외환은행 카드를 만들어 왔습니다... > >그리고 또 한가지요... > >이곳에서 시티은행 계좌를 만들고 한국에서 계좌이체하면 그냥 한국에서 쓰듯이 쓸수 있는지... > >우기가 끝나서 그런지 날씨가 장난이 아니네요... > >더운 날씨에 모두 건강 조심하시길 바라며, 먼 이국땅에 오신 만큼 모든 분들 원하시는바 > >이루시길 빌게요.... > >참...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A

    >안녕하세요 저두 막 한달째 되어가는 어학연수생 입니다 > >도움이 되실줄 모르겠지만 몇자 적어볼께요 > >저두 인출문제로 고민하다가 현지 은행에 계좌를 개설하게되었습니다 > >학생이시라면 패스폳이랑 학생비자 가지고 은행에 가셔서 개설하세요 > >전 POSB 은행에서 계좌 개설했는데 우선 500불을 입금하셔야 합니다 > >은행지점마다 틀리다는데 암튼 금방 만들어 줄꺼에요(물론 500불 바루 현금카드로 > >찾을수 있는거구요) > >DBS 은행이랑 제휴맺어서 현급지급기 공동사용해두 수수료 없습니다 > >시간때두 아무때나 수수료 없구요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 >좋은 연휴 보내세요 > > >>안녕하세요....이제 싱가폴에 상륙한지 2주가 채 안된 학생입니다... >> >>싱가폴에서 현금 인출시 사용하려고 국내 은행에서 해외 사용 가능한 현금 인출 카드를 >> >>만들어 왔는데요.....수수료가 장난이 아니네요...거의 10달러가 넘어가는거 같은데.. >> >>예상은 했지만 이정도일 줄이야.... >> >>듣기로는 시티은행은 수수료가 없다고 하던데(물론 한국에서 시티은행 계좌와 카드가 있으면요...) >> >>허나 한국에 시티은행 카드 만들러 갈 수도 없고.... >> >>그래서 몇가지 질문 드리려구요... >> >>우선 어디서 뽑든 수수료가 그렇게 비싼지요....좀 싼 은행 없나요...? >> >>참고로 전 국민은행와 외환은행 카드를 만들어 왔습니다... >> >>그리고 또 한가지요... >> >>이곳에서 시티은행 계좌를 만들고 한국에서 계좌이체하면 그냥 한국에서 쓰듯이 쓸수 있는지... >> >>우기가 끝나서 그런지 날씨가 장난이 아니네요... >> >>더운 날씨에 모두 건강 조심하시길 바라며, 먼 이국땅에 오신 만큼 모든 분들 원하시는바 >> >>이루시길 빌게요.... >> >>참...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국민은행 외환은행에 있는 돈 한방에 다 빼서,, 여기 계좌 만들어서 넣으십시오.. 여기 은행은 수수료 없으니까 아마 그게 제일 쌀 것 같습니다.     

    1
Q

NO.31

기타공인인증서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혼자(thjang) 2007-02-10
추천수 : 9 조회수 : 982

안녕하세요. 공인인증서 갱신을 잊어 버려서 유효기간이 지나버렸습니다. 한국 안들어 가고 싱가폴에 있는 한국 은행에서 재발급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얼마나 걸릴까요? 현지 면허증 발급 때문에 급하게 확인할게 있는데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네요. 감사합니다.     

  • A

    인터넷으로 재발급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 발급을 받으셨던 은행 사이트에서 ,공인인증센터로 가셔서 발급,재발급 메뉴로 들어가십시오.그후부터는 화면에서 요구하는대로  따라가시면 재발급 받으실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인터넷 뱅킹 신청하실때  사용했었던 아이디,보안카드,계좌비밀번호등이 필요 합니다. 몇일전에 저도 그런 상황이 됐었지요..^^ 성공하시기를.. >안녕하세요. >공인인증서 갱신을 잊어 버려서 유효기간이 지나버렸습니다. >한국 안들어 가고 싱가폴에 있는 한국 은행에서 재발급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얼마나 걸릴까요? >현지 면허증 발급 때문에 급하게 확인할게 있는데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네요. >감사합니다.     

  • A

    덕분에 성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넷으로 재발급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 발급을 받으셨던 은행 사이트에서 ,공인인증센터로 가셔서 발급,재발급 >메뉴로 들어가십시오.그후부터는 화면에서 요구하는대로  따라가시면 재발급 받으실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인터넷 뱅킹 신청하실때  사용했었던 아이디,보안카드,계좌비밀번호등이 필요 >합니다. >몇일전에 저도 그런 상황이 됐었지요..^^ 성공하시기를.. > >>안녕하세요. >>공인인증서 갱신을 잊어 버려서 유효기간이 지나버렸습니다. >>한국 안들어 가고 싱가폴에 있는 한국 은행에서 재발급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얼마나 걸릴까요? >>현지 면허증 발급 때문에 급하게 확인할게 있는데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네요. >>감사합니다.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