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75

생활이사 비용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완료
Herbicidal(mins31) 2015-01-05
추천수 : 0 조회수 : 4,782

Full furnished로 들어갔던 집에서 2년을 살고 다시 다른 콘도로 이사를 하려고 합니다. MRT로 3정거장 되는 거리인데 짐이라고 해봤자 옷과 주방 용품 등이 전부입니다. 큰 박스로 한 15개 정도 나올 것 같은데... 에이전트가 알아봐준 견적이 900S…

  • A

    9125-3411로 해 보세요. 코리안 월드에 광고 나왔던데요. 한국인 상담전화 번호에요..     

    1
  • A

    많은 분들이 이사업체나 무버에게 너무 과한 비용을 청구받는것 같아 제가 알고 있는 정보 공유합니다. 트럭으로 한번에 이동 가능할때 한 트럭당(한번이동) 350불(세금 다 포함)이고 물론 짐이 적으면 반차정도 일때 절반가격입니다. 반대로 짐이 많아서 한번이동하고 반차면 500불이겠죠? 박스는 원하는 만큼 보내줍니다. 그리고 박스당 2불의 디파짓을 내고 나중에 이사 끝나고 반납하면 디파짓 돌려줍니다. 짐은 당연히 그쪽에서 옮기는거고 박스에 잘 정리만 하면 됩니다. 제가 5년동안 알고지낸 싱가포르 사람이고 reddot이라는 업체 소속입니다.저도 이번주 이사라 견적받았는데 양문형 냉장고. 김치냉장고. 티비. 책장 3개. 식탁. 프레임없는 매트리스 3개. 박스 50개 해서 350불 견적 받았습니다. 물론 반차 더 나와서 500불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래 연락처 공유해드립니다. 다른 무버도 좋은 가격에 이사가능하면 공유해주세요. 견적은 많이 받을수록 좋은것 같습니다. 연락처는 Steven 9136 4487 견적요청할때 한국인이라고 얘기하세요 더 친절히.잘해줄겁니다.      

    1 채택답변
  • A

    저도 이번에 이사 하는 데 박스 50개에 차량 2대, 인원 6명 지원 해서 500불 견적 받고 컨펌 했습니다. 팩킹/언팩킹 저희가 하는 거고, 조립장 분해및 조립 전부 이사업체에서 하는 거구요. 윗분이 말씀 하신  박스 디파짓은 처음듣는 이야기라 잘 모르겠구요.      

Q

NO.74

부동산집 1년 재계약시 기존 2년치 deposit중 반은 돌…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Jodie(a74jodie)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2,377

HDB 2년 만기가 다가오고 있어서 에이전트와 얘기중에 있습니다. 기존 계약이 2년이라 2달치 deposit을 냈었는데 계약 만료후 조금 낮춘 월세로 1년만 재연장 하는 계약서를 다시 쓰려고 합니다. 이 경우, 기존에 냈던 2달치 desposit에서 새로운 1년에 해…

  • A

    원칙적으로 재계약시는 무조건 inspection을 하죠, 그래서 새롭게 필요한 게 있으면 요청을 하고 계약서를 다시 작성을 해요   콘도든 hdb든 deposit은 해당기간만큼만 deposit를 받죠   즉 한달치를 돌려받아야 하죠.   그리고 나중에 불필요한 피해를 보지 않을려면 새롭게 계약서를 작성할때 집문제가 있으면 이런 저런 확인하고 반드시 기입을 하세요   안그럼 나중에 온갖 꼬투리 잡아서 deposit 돌려주지 않을려고 할겁니다             

    1
  • A

    본인 에이전트가 있으시면 그 쪽에 맡겨서 상의하도록 하세요. 에이전트가 그런거 도와주고 돈 받는건데 무책임하네여. 몇몇 집주인은 집을 유지관리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말도 안되는 핑계로 1년 계약에도 2달치 디파짓이 필요하다고 하기도 합니다. 전에 저희 집주인도 그랬는데 지속적으로 메일보내고 해서 결국은 재계약시에 한달치 돌려받았거든요. 통상적으로 1년에 1달치 디파짓인데 왜 2년이나 착실하게 월세낸 나한테 이러냐 하면서 따지니까 주더라구여.      

    1 채택답변
  • A

    저도 전에 콘도에서 2년 살다 1년만 연장 하여 총 3년 살았어요. 저의 경우엔 연장계약시 처음 낸 2달치 디파짓 그대로 그냥 끌고 갔어요. 돌려받고 한달치 다시 내는 그런 절차 없이.. 그리고 총 3년 후  처음 냈던 2달치 디파짓에서 청구할꺼 이것저것 빼고 돌려받았고요. 아무래도 3년을 살았으니 이것저것 청구를 당하긴 했지만, 그게 집주인이 저의 2년치 디파짓을 가지고 있어서 불리하다라는 느낌은 없이 그냥 적당한 선에서 빼고 돌려받은거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연장 계약하면서 기존 디파짓을 안건들이는 거나, 연장 계약하면서 에이전시에 따로 1년 연장 계약하는 피 안주는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했고요.. 참고하세요~:-)            

    1
Q

NO.73

사업/직장싱가폴호텔 취업 희망자입니다!

  • 답글 : 3
  • 댓글 : 5
답변진행중
sk8 mafia(bacada)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5,230

안녕하세요. 현재 다른외국에 호텔에서 조리부에서 근무하고있는 청년입니다. 이번에 싱가폴에 너무 취업을 하고 싶은데 방법을 마땅히 알지못해 이렇게 한국촌 사이트에나마 글을 써봅니다. 에이전트에 돈내고 라도  갈생각하고 있는데 혹시 현지에이전트아는 곳 있으시면 사이트나…

  • A

    가끔가던 호텔에서  우연히 알게된 한국 20대 통해서 이런 저런 고충을 들은 적 있어요. 냉정하게 말해줄께요  한국에서 필리핀 파키스탄 방글라등 외국출신들이 일하는 일자리를 싫어하죠?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는 일입니다.  호텔이라고 해서 무슨 괜찮은 직장이라고 착각들 하는 20대 동생들이 안타까워서 하는 말이랍니다.  같은 일을 할바에는 방값이라도 줄이게 한국에서 일하는 게 훨 낫죠.  저임금 장시간노동 황당비싼물가 싱가폴은 해외에서 겉모습만 많이 보고 혹해서 오는 데  그렇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현실이랍니다.         

    3
  • A

    사실 아래에도 똑같은 글이있길래..ㅋㅋㅋㅋ   복붙....해도될까요..?ㅋㅋㅋㅋ 어차피 제가쓴거라 ㅋㅋ...   물론 오피스가 아니라서 임금 적습니다. 돈만보고 일하러 오면 솔직히 한국에서 알바 뛰는게 훨 나아요 근데 돈상관없이 경력만 보고오시는거라면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학과 졸업하면 SP비자도 발급가능해요 그쪽에 SP빈자리가 있으면요 근데 이삼년 경력만 쌓고 갈꺼라면 WP도 나쁘지 않습니다 SP가 똑같이 받아도 두세시간 일 더해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리고 밤낮이 바뀌는건 전세계 어느호텔을 가도 똑같으니 이쪽업계에 종사하려면 어쩔 수 없는거고요. 호텔이 열두시 땡 하면 닫히는데는 없잖아요 다 24시간이지ㅇㅇ OT는 결국 돈받고 하는거지 싫으면 싫다고 약속있다고 안된다고 하면 그만입니다. 외국에서 일한 경력들고 가면 안한거보단 한국에서 취업할때도 도움될껍니다. 그리고 호텔경력없으시거나 싱가폴 학교 졸업하신게 아니면 보통 F&B로가는데 그것도 뭐 우리나라도 똑같고요. 보통 호텔업이 다 그렇습니다. 박봉에 노가다에...ㅋㅋ.. 에이전시는 음 에이전시도 걸쳐놓고 직접 찾아보시는것도 나쁘지않을껍니다. 에이전시는 취업이 성사되면 몇개월동안 수수료 줘야되는데 적게들고가는거 같진않아요. 게다가 자기들 실적올리려고 유명한 호텔에 비정규직으로 넣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6개월 인턴직 이런거요.그러면 돈을 적게 받아요 인턴직은.   그리도 몸힘든건 사실이니까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세요   그리고 보통 잡스트릿이나 현지 신문에서 구인광고를 많이합니다.   구글에 singapore job이라고 검색하시면 우리나라 알바몬 같은 사이트들이 뜰꺼예요 아마 참고로 저는 공항에서 일하고있는데 공항이나 호텔이나 서비스업은 다 노가다라..ㅋㅋ      

    2
  • A

    현재 싱가폴 호텔에서 이라고 있는 사람입니다! 에이전시끼고 오는 것보다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알아보고 직접 연락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저도 처음에 에이전트 끼고 왔을때는 불리하다 라고 생각했는데 여러군데 발로뛰어 알아본 결과 좋은 자리 찾았습니다. 호텔이라고 무조건 안좋게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신데 솔직히 어느나라든 서비스직은 힘들고 호텔라인이던 공항직이던 조리직이던 박봉에 많은 어려움은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분들이 일한다, 필리핀사람들이 일하는 곳이 싱가폴 호텔이다 하는데 호텔에도 싱가포리언분들 많이 일하시고 대학교 졸업하고 박사 가지고 계신분들도 많이 계세요 그건 어느나라라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분이 너무 않좋게 적어 두셔서 안타까워 글을 적었습니다. 싱가폴에도 Job Street 이나 Indeed 같은 사이드 있습니다. 그쪽에서 알아보시고 정 힘드시면 에이전시 알아보세요  그래도 가끔가다 무식한 에어전시들 있는 데 그분들을 무조건 믿는게 방법은 아닙니다.       

Q

NO.72

사업/직장싱가폴호텔취업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노밤이(speed9786)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2,536

현재 한국이며 싱가폴에 호텔에 취업하려고 합니다. 29 남 이고 영어와 중국어 가능합니다. 에이전트를 통해서 가려고 하는데 혹시 다른방법이 있나요?      

  • A

    저도 싱가폴호텔취업준비중입니다. 저랑 동갑이시네요...싱가폴호텔웹사이트가셔서 직접지원해도 된다고 들었습니다...에이전트가 쉽기는하져..     

    2
  • A

    개인적으로 싱가폴 호텔 취업.... 비추.. 하고싶네요.   생각보다 좋은 포지션을 얻기 힘듭니다.   에이전시를 통해서 하시는 거면 더더욱... 에이전시에 300 가까운돈 내면서 받는비자가 wp일텐데.. 나중에 sp나 ep로 갈아타기 정말 힘듭니다. 싱가폴 호텔들이 왜 그렇게 많은 한국사람들을 굳이 쓰려고 하는지 생각해보셨음 합니다.        

    3
  • A

    물론 오피스가 아니라서 임금 적습니다. 돈만보고 일하러 오면 솔직히 한국에서 알바 뛰는게 훨 나아요 근데 돈상관없이 경력만 보고오시는거라면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학과 졸업하면 SP비자도 발급가능해요 그쪽에 SP빈자리가 있으면요 근데 이삼년 경력만 쌓고 갈꺼라면 WP도 나쁘지 않습니다 SP가 똑같이 받아도 두세시간 일 더해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리고 밤낮이 바뀌는건 전세계 어느호텔을 가도 똑같으니 이쪽업계에 종사하려면 어쩔 수 없는거고요. 호텔이 열두시 땡 하면 닫히는데는 없잖아요 다 24시간이지ㅇㅇ OT는 결국 돈받고 하는거지 싫으면 싫다고 약속있다고 안된다고 하면 그만입니다. 외국에서 일한 경력들고 가면 안한거보단 한국에서 취업할때도 도움될껍니다. 그리고 호텔경력없으시거나 싱가폴 학교 졸업하신게 아니면 보통 F&B로가는데 그것도 뭐 우리나라도 똑같고요. 보통 호텔업이 다 그렇습니다. 박봉에 노가다에...ㅋㅋ.. 에이전시는 음 에이전시도 걸쳐놓고 직접 찾아보시는것도 나쁘지않을껍니다. 에이전시는 취업이 성사되면 몇개월동안 수수료 줘야되는데 적게들고가는거 같진않아요. 게다가 자기들 실적올리려고 유명한 호텔에 비정규직으로 넣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6개월 인턴직 이런거요.그러면 돈을 적게 받아요 인턴직은.   그리도 몸힘든건 사실이니까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세요              

    1 채택답변
Q

NO.71

사업/직장dp로 싱가폴에서 창업 예정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hukpung(onethug) 2014-11-30
추천수 : 0 조회수 : 3,081

    남편을 따라 싱가폴에 와서 dp를 가지고 있는데 일단 덜컥 가게를 계약한 상태입니다. (부동산 에이전트가 사업자 등록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해서요)   일단 회사의 종류를 보고 1. sole proprietorship으로 신청을 했는데 68불만…

  • A

    sole proprietorship은 한국의 "개인단독사업자" 입니다. 제도로 등록이 되었는지를 확인하시려면 www.acra.gov.sg에서 등록상호 검색해서, 5불인가 내면 등록내용 온라인으로 다운받아 보실 수 있읍니다. gst는 한국의 "부가가치세" 입니다. 수입을 하시려면, 수입업자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개인용도로 소소하게 들어오는 것이야 상관이 없지만,  판매용도로 수시로 물건이 들어오게 되면, 당연히 등록하여야 하죠.) 관세청 www.customs.gov.sg에 등록절차 안내가 있읍니다. 품목에 따라 추가적인 등록절차가 있을 수가 있읍니다. 수입하시려는 품목이 관세가 0%라고 하더라도 수입금액에 대하여 gst 7%는 의무납부가 됩니다. 판매할 때도 gst 7%는 별도청구 또는 판매금액내 포함이 되어져야 합니다. gst등록이란.... 한국의 부가세환급 등록을 하실꺼냐의 사안으로 사업주가 판단하셔야 합니다. 알바는 싱가폴내 합법적으로 일하는 것이 가능한 싱가폴 SC 또는 PR를 사용하시거나 (한국에서 별도의 신고없이 알바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국민이니까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죠) 유학생을 사용하시려면 www.ica.gov.sg에 나열된 학교/주당 근무시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회계장부정리해주고 신고해주는 회사는 시내 Tanjong Pagar의 International Plaza 또는 Toa Payoh의 HDB hub 근처에 수두룩하고요 DP는 말그대로 EP의 "부양가족"으로.  EP가 취소가 되면, DP는 자동취소가 됩니다.        

    1
Q

NO.67

부동산집주인이 집을 팔려고 합니다. 조언 좀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Jpark(kspark7412) 2014-09-29
추천수 : 0 조회수 : 2,886

안녕하세요. 가끔 비슷한 글만 읽다가 갑자기 제게 이런일이 생기니 돔 당혹스럽네요. 다름이 아니라, 어제 집주인이  부동산 에이전트하고 와서 갑자기 집을 팔기 위해 내놓겠다고 하네요. 집을 내놓는다고 해도 바로 나가지는 않을꺼니까  걱정하지 말라고는 하는데, 세입자…

  • A

    에이젼트/집주인으로부터 오피셜 공지가 있기 전까지는 가만히 계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괜히 나간다고 하시면 페날티 물을수도 있고 확정된것도 아니니 시간을 갖으시되 최악의 상황을 위해 항상 대비하세요. 물론 계약서에 이러한 조항이 있다면 주인으로부터 어느정도 compensation은 받을수 있구요.     

  • A

    요즘 처럼 집값이 계속 내리는 시기에 집을 팔기 쉽지 않겠지만~~^^ 집이 팔린다해도 3개월후 다른 집주인을 변경되는거니 아직 3개월 이상 시간이 있으신거니 걱정안하셔도 될듯요!~~ 넘 걱정마세요..요즘 집들 많아요...그치만 이사가 문제죠 ㅠㅠ      

  • A

    다음 집주인이 그대로 세를 이어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식으로 매각되고 나면 변호사 통해서 정식 공지/통보가 갑니다. 오너 본인이 체재할 목적이 아니라면 대개는 고정적인 수입은 확보된 셈이니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아는데..계약서 한번 확인해 보심이 좋을 듯한데요. ^^;      

Q

NO.66

기타집계약 만료 한달전에 귀국하게 됐는데요 디파짓 못받나요…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진행중
애플스타(judy66) 2012-11-08
추천수 : 23 조회수 : 1,717

저의 집 계약이 내년 1월 중순인데요, 갑자기 귀국을 할수 밖에 없게 되어 집 주인에게 12월 중순에 귀국한다고 디파짓 얘기 했더니, 집 주인이 집을 비우기 두달전에 얘기를 하질 않아서 우리가 떠난 후에 집을 체크한 다음에 돌려 준다는 대답을 에이전트를 통해 들었습니다…

  • A

    >저의 집 계약이 내년 1월 중순인데요, 갑자기 귀국을 할수 밖에 없게 되어 집 주인에게 12월 중순에 귀국한다고 디파짓 얘기 했더니, 집 주인이 집을 비우기 두달전에 얘기를 하질 않아서 우리가 떠난 후에 집을 체크한 다음에 돌려 준다는 대답을 에이전트를 통해 들었습니다. >귀국을 하지 않더라도 계약기간 2개월전에 연장계약을 하던, 이사를 하던, 알려줘야 하는 것을 알고 있으나, 이렇게 급하게 귀국하게 된 경우는 무조건 제가 손해를 봐야 하나요?  디파짓이 적은 돈도 아니고 >우리가 귀국한 후에 집 체크를 하고나서 돌려 준다고 하니... 제가 생각하기로는 돌려줄 생각이 없는 것 아닌지....   그리고 중요한 건 올해 7월에 집주인이 바뀌었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고스란히 앉아서 당해야 하나요?     

    1
Q

NO.65

기타싱가포르에서 디파짓 돌려받기 이렇게 힘든가요?

  • 답글 : 1
  • 댓글 : 6
답변진행중
홍이(silronm) 2012-03-02
추천수 : 6 조회수 : 3,085

얼마전에 콘도에서 아이 학교 근처 HDB로 이사왔어요. 이사나가는 날 아침 부터 청소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체크 받았어요. 9개월 살았지만 나름 정도 들고 해서 1주일 전부터 고장난 것 고치고 없는 것 채워넣고 했어요. 마지막 날 에이전트와 집주인이 와서 총 두 시간 동…

  • A

    참 힘든 시기였지만 또다시 깨달음을 얻게 해 주네요. 그나마 논리로 통하는 집주인이라 다행이라면 다행이었습니다. 우선은 어처구니 없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 의견 조율이 안되면 스몰코트 가겠다는 메일을 먼저 보냈구요. 집 벽의 상태는 누수에 의한 것이면 마루 바닥은 온전할리 없다는 주장과 입주 전 체크리스트에 못알아볼 글씨로 저희쪽 에이전트가 마스터룸 벽의 스크레치를 표기해 놓은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같은 집이니 벽 상태는 같을 것이다는 주장으로 억지를 막았습니다. 그랬더니 6대 에어컨 중 4대 에어컨 문이 작동되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더군요. 그것도 처음 에어컨 점검할 때 부터 있었던 사항이라 그 때 에어컨업체에서 청소해 주고 가면서 써준 종이가 있었습니다. 이미 분실한 상태였지만 청소 업체에 원본이 있냐고 알아보았더니 모두 메일로 보내주더군요. 그 다음이 처음부터 없던 에어컨 리모컨 뒷부분 건전지 덮개를 이야기 하더군요. 그건 말하기 싫어서 근처 노점상에 중고 수리해서 파는 것 있어서 사서 줬습니다. 한 개에 50달러 줬어요. 이 나라 에어컨 리모컨은 왜 그리 비싼지.... 중고도 새 것 처럼 고쳐서 팔면서 가격표는 125달러 흥정하면 80달러 요구하더군요....그것도 말하자면 길지만 오리지널 리모컨 찾으려고 고생하신 분은 제 맘 아실겁니다. 참고로 주롱이스트 쇼핑몰 페어프라이스 옆에 리모컨 파는 곳이 있구요. 저는 동쪽이라 템피니스 마트 노점상에서 샀습니다. 여하튼 리모컨 가격도 따져서 깎았습니다. 오늘 남편이 수표로 보증금 받아왔습니다. 처음 이런 일을 겪으면 황당하지만 흥분하지 말고 차근히 따져서 다 받아냈습니다. 다른 분들은 저 같은 경험이 없으시면 좋겠지만 혹 생기시더라도 우리의 잘못이 아니라면 꼭 증거를 찾아서 받아내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는 미리 대비하지 못했던 탓이 크더라구요. 미리 문제 있으면 그때그때 집주인과 에이전트에게 연락해 두시고 마지막날 다 좋다고 돌려주겠다는 이야기를 하더라도 꼭 쪽지 쓰고 사인받는 철저함이 필요하겠습니다. 집을 함부로 써서 망가트렸다면 보증금을 돌려받을 생각을 하면 안되겠지만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잘 관리하실 겁니다. 집주인들이 한국인과 일본인을 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인이 어이없이 당하는 봉이 되어서는 안되겠지요. 부디 보증금으로 인한 분쟁은 겪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Q

NO.63

기타집주인이 보증금을 부도수표로 돌려줬는데 어찌해야할지..…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진행중
pinn(burnout) 2010-06-12
추천수 : 3 조회수 : 1,935

이런 경우에 어떻게 처리를 해야할지요? 먼저 상황부터 설명드릴께요. 1. 저는 지난 5월 11일까지 싱가폴에 있다가 귀국했어요. 한국에서 몇달간 일을 하게 되서 11월에나 다시 싱가폴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2. 2010년 1월 6일부터 5월 10일까지 중국계 싱…

  • A

    마지막 날 그것도 수표로 그나마 부도 수표로.... 찌질한 아주 나쁜 사람이군요. 부도 수표일 경우 받는사람이 돈을 지불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벌금을 내지요. 회사로 전화하겠다고 하세요. 회사로 이멜을 보내시던지.. 경찰에 신고도 할거라고... 그래도 해결 안나시면 저에게 쪽지 주세요... >이런 경우에 어떻게 처리를 해야할지요? 먼저 상황부터 설명드릴께요. > >1. 저는 지난 5월 11일까지 싱가폴에 있다가 귀국했어요. 한국에서 몇달간 일을 하게 되서 11월에나 다시 싱가폴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 >2. 2010년 1월 6일부터 5월 10일까지 중국계 싱가폴인 부부(두 사람 IC사본 다 가지고 있습니다.) HDB에서 방을 빌려 살았어요. 월세는 600달러였고 이사 전에 보증금 600달러를 냈지요.  부부 중 남자가 부동산 에이전트이고 이 사람이 자기가 사는 집에 있는 방을 빌려준 거죠.  (이 사람 웹페이지입니다. http://kenpehzy.myweb.sg/) > >3. 5월에 한국에 들어오게 돼서 한 달 전부터 이야기했는데 집주인은 출국 당일에야 현금이 없다며 개인수표로 보증금을 돌려주겠다고 했어요. 그나마도 비행기 타러 가기 직전에 SC은행 부인 명의의 개인수표로 돌려주더라구요. > >4. 한국에 와서 거래은행에 매입의뢰를 했고 그쪽에서 매입을 해주었는데, 열흘 정도 지난 후에 그 수표가 부도수표라며 받은 돈+수수료 25싱달러를 재입금하라고 하더구요. > >5. 집주인한테 전화를 하니 메일로 자세한 사항을 보내라고 해서, 보증금+수수료를 싱가폴의 제친구에게 주라는 내용의 메일 보냈는데 며칠이 지나도 답이 없고 이제는 전화를 안받네요. 싱가폴 친구가 몇번 연락을 해봤는데도 통화가 안 되나봐요. > >이럴 땐 어떻게 처리를 해야할까요? 제가 일단 싱가폴로 당장 갈 수 없는 상황이고, 계약서, 집주인 두 사람의 IC 사본, 부도수표임을 알리는 은행 쪽 전신문 이런 것들은 모두 가지고 있어요. 한국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요? 혹시 경험이 있으신 분 아니면 조언해주실 수 있는 분 도움을 기다리겠습니다.   > >아, 정말 상식적으로 부동산 에이전트인 사람이 이러면 도대체 누굴 믿고 싱가폴에서 방을 빌려 산답니까.     

    2
Q

NO.61

기타급해요 ㅠㅠ도와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5
답변진행중
coco(sooji) 2010-04-16
추천수 : 9 조회수 : 2,259

저랑 친구랑 HDB 아파트를 계약한지 4개월째가 되어가는데요, 3개짜리 방인데, 마스터룸을 잠그고 나머지 방 2개를 쓰는 조건으로 빌렸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어떤 남자가 찾아오더니, 주인이름을 대면서, 이 사람들 여기 사느냐고 하면서 이것저것 묻더군요. 후에, …

  • A

    싱가폴의 심각한 주택가격 상승 (HDB 포함)때문에 요즘은  HDB 불법임대 신고 쎈타까지 설치 했습니다.모든 사람들이  다 아시는것처럼 HDB 는 서민을 위한 주택인데..월 약 10%의 이익을 얻을 수있는  HDB 렌탈때문에 아주 많은 사람들이 서민아파트인  HDB 를 좋은가격에 사들여 불법으로 세를 주기 때문에 가격이 자꾸 상승하는 요인이 되다보니 정작 필요한 서민은 상승하는 서민아파트 가격에 불만이 많게 되자 (특히 결혼을 막해서 새로 가정을 꾸미는 신세대들)이 컴플레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단속이 좀 심합니다. 에이젼의 말  visa 때문도 아니고 집주인의 말 낮은 월세금 때문도 아닙니다(정말 인간들 사람 놀리는것도 가지가지 입니다). 다시 단속이 나오면 집주인이 해외로 자주 간다는 거짓말 하지 말고 그냥 모른다고 하세요. 집주인이 왜 돌려 대지 않았느냐고 하면 거짓말 들통나면 책임질꺼냐고 말하세요. 만약 이런일이 자주 발생해서 골치 아프면 이사하세요. 주인이 보증금 안돌려 준다고 하면  HDB에 그리고 경찰에 (거짓말 하라고 시킨죄)신고 한다고 하세요. 좀 쪼잔하게 들리겠지만 싱가폴에선 자잘한 거짓말 해도 안봐줍니다. 다음에 이사갈땐  HDB 허가난 집을 구하시고 편안하게 사세요. 좀  비쌀겁니다. . >저랑 친구랑 HDB 아파트를 계약한지 4개월째가 되어가는데요, 3개짜리 방인데, 마스터룸을 잠그고 나머지 방 2개를 쓰는 조건으로 빌렸습니다. > >그런데 오늘 아침에 어떤 남자가 찾아오더니, 주인이름을 대면서, 이 사람들 여기 사느냐고 하면서 이것저것 묻더군요. 후에, 에이전트에 전화를 걸어 상황설명을 했더니, >제 비자상태를 보고하지 않아서 그렇다군요.(비자가 확실한 친구이름으로 계약을 했으나, 방문비자상태인 저는 동거인인 상태고, 3개월 비자가 만료되자 이 후의 상태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새로 받은 비자 스캔해서 보내주겠다고 하고 끊었습니다. > >오늘 오후에 주인이 저희집에 와서 하는 말이, 정부에서 방이 3개인 아파트인데 왜이렇게 렌트값이 싸냐는 추궁을 받았다. 세금을 많이 내기 싫어 거짓보고를 했다. 그러니 앞으로 누가 물으면 내가 이 집에 사는데, 해외로 자주 드나든다고 해라. > >답답합니다. 에이젼트에선 분명히 제 비자때문만이라고 했는데, 주인은 딴소리하고, 저희더러 앞으로 거짓말을 하게 하고.. >저희 여기서 불법으로 살고 있는건가요?? HDB렌트해서 살면 불법인가요? 찝찝하네요, 법을 몰라 피해보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에이젼트랑 주인이랑 짜고 저희한테 불법 렌트를 내준걸까요?잘못되면 저랑 친구랑 한국으로 쫓겨나나여? >도와주세요,... >     

    2
Q

NO.58

기타다른 피해없길..

  • 답글 : 1
  • 댓글 : 8
답변진행중
liberal() 2009-10-16
추천수 : 11 조회수 : 2,790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않아, small claim에 신청을해 일주일있음 재판같은걸 하는데요 얘기하자면 너무 길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3개월계약을 했는데 처음 집보러 갔을때와 너무 다른환경을 만들어서(시끄럽게하고 TV license도 없어서 인터넷 된다는데 안되고, …

  • A

    많은 분들이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해 당한 케이스이지만, 우선, 저렴하게 스몰클레임(Small claim)을 진행하셔서, 변호사 없이 재판을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승소하신 후에 법원에서 지정한 날짜에 돈을 받지 못하시면, WSS (Writ of Seizure and Sale)을 법원에 신청하여 영장집행인(bailiff officer)과 함께 주인을 찾아가 차압을 들어가면 주인이 WSS 신청 비용과 영장집행직원의 비용까지 물어야 하며, 물건 혹은 자산의 경매로 인한 손해까지 봅니다. WSS는 승소한 레터와 함께 간단히 법원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법원에서 WSS 날짜가 잡힌날 (보통 신청 후 3주 이내) 차압시에는 집행 직원과 함께 본인이 가거나, 대리인을 내세워서 가셔야 하며, 주인은 $2,000 이하 금액인 경우 최소 경매비용이 $150 이며, $2,000 이상인 경우 최소 $800 이상을 경매비용으로 내야 합니다. 보증금 뿐 아니라, 작은 금액이지만 돈을 돌려 받지 못한 경우 이용하시면 됩니다. 작년에는 아는 외국분이 외국계 대기업의 핸드폰 문제로 환불이 되지 않아 싱가폴 HQ를 상대로 재판을 직접 진행하여 결국 모두 환불 받고, 그 외국계 대기업에서는 청구비용보다 두배가량 더 지불 했습니다. WSS의 진행 방법과 필요한 서류는 아래 싱가포르 법원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도움이 되셨길.. http://www.ifaq.gov.sg/subcourts/apps/fcd_faqmain.aspx?qst=2fN7e274RAp%2BbUzLdEL%2FmCxs7iwcgv8gv2atNDOvsLCfbdM2QKzm4N1nNdwqY5ss0bXg%2FkERTLqyCE3K5JuVHIn1HloBWqvEggodG9Wg2SQJw2p1%2BYsnPpYhWKxLJmwLL1HkG5WpNzUbn9XqOm2zob8CyNYyeaP36Zx0C7wsGOnV1seijBhll9xvVThpYI75O0ZDUU%2Fmr8v7Ia9hf9jbhHFM7pSBs4vi7uyJfA5pwC5VFCC0Cg9clw%3D%3D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않아, >small claim에 신청을해 일주일있음 재판같은걸 하는데요 >얘기하자면 너무 길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3개월계약을 했는데 처음 집보러 갔을때와 너무 다른환경을 만들어서(시끄럽게하고 TV license도 없어서 인터넷 된다는데 안되고, 제가쓸 화장실도 다른사람이 계속 오랫동안 쓰고, 에어컨 갑자기 끄고, 방에 맘대로 들어와서 리모컨 가져가고, 소리지르면서 욕하고) 4일만에 합의하에 제가 나가고 그다음사람이 들어오면 보증금을 돌려준다고 했는데 다음사람을 구하니까 갑자기 방렌트 안하겠다고 하면서 보증금도 안주고 중간에 에이전트비 먹은 에이전트도 >뭐 어떻게 할줄도모르고 ... 혹시나 해서 물어보는데 small claim에서 돈 받지 못하면 >다른 기관에 신청할수있나요? 돈을 받게 되더라도 어떻게 다른식으로도 신고하고싶은데요.. >주변에선 에이전트 신고하라그러고 경찰에 리포트 하라그러는데 >엄청 큰돈도 아닌 제돈잃은거때문에만이 아니라, > 대놓고 외국인이라고  사람가지고노는 싱가폴 사람때문에 너무 화나서 >할수있는 일은 다해보려고 하는데요.. >나이도 그리 많지않고 여자인데 새벽 2시에 욕하면서 집나가라고 해서 스트레스 못견디고 나왔거든요.. 밤에 길거리에 짐들이랑 있다가 간신히 친구집에 얹혀살고있는데.. >저뿐만이 아니라 다른한국분들도 피해보지않게 하기위해서라도 >돈에환장한 미친놈들 제가 받은 스트레스 잃은 돈만큼 꼭 갚아주고 싶은데요... >꼭 좀 도와주세요     

    1
Q

NO.56

기타콘도를 직접 보지 않고 계약하려는데, 괜찮을까요?

  • 답글 : 1
  • 댓글 : 7
답변진행중
해피버니(econfish) 2009-07-23
추천수 : 12 조회수 : 1,659

친구가 가서 대충 둘러보고 괜찮다고 하긴 했는데, 그냥 계약해도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싱가폴 렌탈 마켓 사정도 잘 모르고, 싱가폴 집주인들이 얼마나 믿을 만한 사람들인지도 모르겠고... (싱가폴은 1인당 국민소득은 미국을 뛰어넘는데, 사람들의 인식이나 사회 시스템이 선…

  • A

    반드시 들러보신 후 꼼꼼히 체크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집 커디션도 컨디션이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집주인과 에이전트라고 생각합니다.   저희의 경우 집주인과 지척에 살아서 자주 집주인에도 놀러가고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라 부부가 드실 홍삼선물세트 같은 걸 재계약할 때나 추석, 설날에 드리면 무척 좋아하십니다.  물론 주인아저씨도 저녁초대며, 와인이며, 해외여행 다녀오신 후 선물 같은걸 주십니다.  지난 8년간 가족처럼 지내다보니 문제될 것도 없어 마음이 편합니다.  덕분에 렌트비도 주변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구요. 1~2년정도의 Short term contract이라면 좀 다른 경우일수도 있겠습니다만, 여전히 사람과 풀어갈 수 있는게 많을거라 생각됩니다. >친구가 가서 대충 둘러보고 괜찮다고 하긴 했는데, >그냥 계약해도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싱가폴 렌탈 마켓 사정도 잘 모르고, >싱가폴 집주인들이 얼마나 믿을 만한 사람들인지도 모르겠고... >(싱가폴은 1인당 국민소득은 미국을 뛰어넘는데, 사람들의 인식이나 사회 시스템이 선진국 수준인지, 여기 글들 읽어보면서 약간 의문이 생겼습니다. >미국에서 렌탈 하면서 디파짓 내면서 부당한 이유로 디파짓을 다 돌려받지 못할 거라고는 생각해본적도 없고, 못 질 하면 안 된다니...황당하기도 하고...) > >콘도 빌딩 자체는 2002년에 지어진, 시내 중심가에 있는 대형 콘도 빌딩인데... >에이전트가 찍어 보내준 사진 속 가구들은...대부분 마음에 안 들어서 제가 사서 써야 될 것 같습니다. >콘도를 직접 보지 않고, 계약했을때의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 수 있을까요? >조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