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8

기타전자제품 - 변압기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jamesboy(jamesboy) 2003-11-13
추천수 : 26 조회수 : 1,984

한국에서 쓰고 있는 저자제품 중 모터가 없는 제품은 가져가 쓸려고 합니다. 변압기(트렌스)를 사용시 한국 전자제품을 쓸수 있다고 본 질문&답변에서 보았습니다. 저는 한국 및 미국 전자제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전자제품 : 220V / 60Hz 미국산 전자…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오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싱가폴은 230V를 사용하기 때문에 220V를 110V로 변압하는 것을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조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한국에서 쓰고 있는 저자제품 중 모터가 없는 제품은 가져가 쓸려고 합니다. > >변압기(트렌스)를 사용시 한국 전자제품을 쓸수 있다고 본 질문&답변에서 보았습니다. >저는 한국 및 미국 전자제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 전자제품 : 220V / 60Hz >미국산 전자제품 : 120V / 60Hz > >위 2가지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시 어떠한 변압기를 한국에서 가져가야 할까요? >변압기 종류가 2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승압기 (예. 110V를 220V로 변압) 과 강압기 >(예 220V를 110V으로 변압)중 위 한국산 및 미국산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할경우 어떤 변압기가 필요한지요? > >또한 한국에서 어느제조사 변압기가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A

    답변 감사합니다. 120V / 60Hz 제품은 어떤 변압기가 필요하죠?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싱가폴에 오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 >싱가폴은 230V를 사용하기 때문에 220V를 110V로 변압하는 것을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조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한국에서 쓰고 있는 저자제품 중 모터가 없는 제품은 가져가 쓸려고 합니다. >> >>변압기(트렌스)를 사용시 한국 전자제품을 쓸수 있다고 본 질문&답변에서 보았습니다. >>저는 한국 및 미국 전자제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 전자제품 : 220V / 60Hz >>미국산 전자제품 : 120V / 60Hz >> >>위 2가지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시 어떠한 변압기를 한국에서 가져가야 할까요? >>변압기 종류가 2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승압기 (예. 110V를 220V로 변압) 과 강압기 >>(예 220V를 110V으로 변압)중 위 한국산 및 미국산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할경우 어떤 변압기가 필요한지요? >> >>또한 한국에서 어느제조사 변압기가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220V / 60Hz 제품은 싱가폴 전기와 거의 같기 때문에 그냥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120V/60hz 제품은 220v를 120 or 110v등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는 변압기가 있는데요, 전자상에 문의해 보시면 어렵지 않게 구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답변 감사합니다. >120V / 60Hz 제품은 어떤 변압기가 필요하죠? > > >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싱가폴에 오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 >>싱가폴은 230V를 사용하기 때문에 220V를 110V로 변압하는 것을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조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한국에서 쓰고 있는 저자제품 중 모터가 없는 제품은 가져가 쓸려고 합니다. >>> >>>변압기(트렌스)를 사용시 한국 전자제품을 쓸수 있다고 본 질문&답변에서 보았습니다. >>>저는 한국 및 미국 전자제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 전자제품 : 220V / 60Hz >>>미국산 전자제품 : 120V / 60Hz >>> >>>위 2가지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시 어떠한 변압기를 한국에서 가져가야 할까요? >>>변압기 종류가 2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승압기 (예. 110V를 220V로 변압) 과 강압기 >>>(예 220V를 110V으로 변압)중 위 한국산 및 미국산 전자제품을 싱가폴에서 사용할경우 어떤 변압기가 필요한지요? >>> >>>또한 한국에서 어느제조사 변압기가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Q

NO.36

기타휴~` 컴 고쳐주시는분...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cap(capkhc) 2003-11-13
추천수 : 62 조회수 : 1,629

컴이 맛이 갔네요.. 한국에서 이삿짐으로 컴을 받았는데요... 부팅하면 바루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디스크 정밀검사 - bad sector 없음이라구 나오구... 디스크 조각모음 - 완료하구요... 그래두 다시 부팅하면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정상모드를 선택하면 글…

  • A

    컴터를 켜고 F8을 누르면 여러가지 옵션이 나옵니다. 거기서, 이전에 올바르게 부팅이 되었을 때의 상태대로 부팅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지금 그 이름이 생각이 안나네요. 암턴 그런 이름이 있으니까 그 옵션으로 부팅을 해보세요. 중요한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다면 윈도우를 덮어쓰고(재설치), 아니면 다시 포맷(가장 손쉬우면서도 귀찮은 작업)을 하고, 윈도우를 처음부터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컴이 맛이 갔네요.. >한국에서 이삿짐으로 컴을 받았는데요... >부팅하면 바루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디스크 정밀검사 - bad sector 없음이라구 나오구... >디스크 조각모음 - 완료하구요... > >그래두 다시 부팅하면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 >정상모드를 선택하면 글자가 깨지며 "컴퓨터를 전원을 꺼도 됩니당"이라는 메세지가 나오구 꺼지네요... > >제피씨를 어케 해야 하나요... > >피씨가 조립한건데 A/S는 힘들거 같구... >혹시 피씨 출장 수리해주시는분 없으신가요? >아시면 부탁드립니다.     

  • A

    혹 가까운 동네라면 제가 한 번 봐드리죠. 아직 못 고치셨고.. 포맷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도 된다면...*^^* >컴이 맛이 갔네요.. >한국에서 이삿짐으로 컴을 받았는데요... >부팅하면 바루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디스크 정밀검사 - bad sector 없음이라구 나오구... >디스크 조각모음 - 완료하구요... > >그래두 다시 부팅하면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 >정상모드를 선택하면 글자가 깨지며 "컴퓨터를 전원을 꺼도 됩니당"이라는 메세지가 나오구 꺼지네요... > >제피씨를 어케 해야 하나요... > >피씨가 조립한건데 A/S는 힘들거 같구... >혹시 피씨 출장 수리해주시는분 없으신가요? >아시면 부탁드립니다.     

  • A

    공항근처 Bayshore에 사는데요... 고치기는 요원하구요..  ㅜㅡ 근데 한글 윈도우이신가요? >혹 가까운 동네라면 제가 한 번 봐드리죠. >아직 못 고치셨고.. 포맷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도 된다면...*^^* > > >>컴이 맛이 갔네요.. >>한국에서 이삿짐으로 컴을 받았는데요... >>부팅하면 바루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디스크 정밀검사 - bad sector 없음이라구 나오구... >>디스크 조각모음 - 완료하구요... >> >>그래두 다시 부팅하면 안전모드로 들어갑니다. >> >>정상모드를 선택하면 글자가 깨지며 "컴퓨터를 전원을 꺼도 됩니당"이라는 메세지가 나오구 꺼지네요... >> >>제피씨를 어케 해야 하나요... >> >>피씨가 조립한건데 A/S는 힘들거 같구... >>혹시 피씨 출장 수리해주시는분 없으신가요? >>아시면 부탁드립니다. >     

Q

NO.35

기타싱가포르 EP(Employment Pass) 취득시 문…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궁금이(hongkichoi) 2003-11-06
추천수 : 10 조회수 : 1,659

이제 곧 싱가폴에서 일을하게 될 텐데요. 현재 한국에서 이런저런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요즘은 싱가폴 워킹비자인 EP(Employment Pass) 를 위해 구비 서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근데, 한가지 문제가 있더군요! EP 준비 서류증에 출생신고와 결혼증명서를 대체…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취업하신 것을 축하 드립니다. 출생신고와 결혼증명을 위한 서류는 영문 주민등록등본 또는 호적등본을 제출하셔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호적등본은 한국에서 영문으로 번역하고 공증을 받으면 비용이 많이 들수 있구요, 싱가폴에 오셔서 한국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으시면 매우 저렴하게 공증받으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에 나오시면 한국의 서류가 필요한 경우가 생기는데요, 미리 여분의 서류를 종류별로 만들어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이제 곧 싱가폴에서 일을하게 될 텐데요. 현재 한국에서 이런저런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요즘은 싱가폴 워킹비자인 EP(Employment Pass) 를 위해 구비 서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근데, 한가지 문제가 있더군요! > >EP 준비 서류증에 출생신고와 결혼증명서를 대체하기위해서 영문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한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일하게 될 회사에서도 역시 그것을 가져오라고 했구요. > >그러나 저같은 경우에는 대만 사람과 국제 결혼을 한탓에 주민등록등본에는 제 처의 인적사항이 기록되어 있지가 않습니다. (제 처가 귀화를 하면 주민등본에 올라간다고 하더군요...) >이것 저것 살펴보니 호적등본에 제 출생지와 혼인 사실이 기재되어 있기에 호적등본을 한국에서 번역 및 공증을 해서 가지고 가면 되지 않을까 하는데요. > >혹시 이에 관련해서 정확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께서 좀 알려주시면 저가 가지고 있는 이 답답 모호함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감사드립니다...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싱가폴에 취업하신 것을 축하 드립니다. > >출생신고와 결혼증명을 위한 서류는 영문 주민등록등본 또는 호적등본을 제출하셔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호적등본은 한국에서 영문으로 번역하고 공증을 받으면 비용이 많이 들수 있구요, 싱가폴에 오셔서 한국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으시면 매우 저렴하게 공증받으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싱가폴에 나오시면 한국의 서류가 필요한 경우가 생기는데요, 미리 여분의 서류를 종류별로 만들어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이제 곧 싱가폴에서 일을하게 될 텐데요. 현재 한국에서 이런저런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요즘은 싱가폴 워킹비자인 EP(Employment Pass) 를 위해 구비 서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근데, 한가지 문제가 있더군요! >> >>EP 준비 서류증에 출생신고와 결혼증명서를 대체하기위해서 영문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한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일하게 될 회사에서도 역시 그것을 가져오라고 했구요. >> >>그러나 저같은 경우에는 대만 사람과 국제 결혼을 한탓에 주민등록등본에는 제 처의 인적사항이 기록되어 있지가 않습니다. (제 처가 귀화를 하면 주민등본에 올라간다고 하더군요...) >>이것 저것 살펴보니 호적등본에 제 출생지와 혼인 사실이 기재되어 있기에 호적등본을 한국에서 번역 및 공증을 해서 가지고 가면 되지 않을까 하는데요. >> >>혹시 이에 관련해서 정확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께서 좀 알려주시면 저가 가지고 있는 이 답답 모호함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감사드립니다... >     

Q

NO.34

기타싱가폴에 안과..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멍멍아(dkfhd72) 2003-11-05
추천수 : 22 조회수 : 1,411

제가여 라섹 수술이라구.. 그걸하구 가는데여.. 정기적으로 한국에서 내원 치료가 불가능해서여.. 혹시 싱가폴에 좋은 안과 추천과 위치 좀 부탁드립니다. 그리구 유학생 보험 들면 진료비가 대략 얼마나 드는지두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오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싱가폴에도 안과가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안과는 미대사관 길건너에 있는 Gleneagles Hospital이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National Eye Centre(http://www.snec.com.sg/index.asp ) 도  잘 알려져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과 지료비는 첫 방문에는 보통 100불(70,000원)정도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라섹 수술과 이후 치료에 대해서는 보험적용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보험을 드실 경우 보험사에 자세히 문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제가여 라섹 수술이라구.. 그걸하구 가는데여.. >정기적으로 한국에서 내원 치료가 불가능해서여.. >혹시 싱가폴에 좋은 안과 추천과 위치 좀 부탁드립니다. >그리구 유학생 보험 들면 진료비가 대략 얼마나 드는지두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Q

NO.33

기타싱가폴 식수상태는 어떠한지...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솔리맘(whwlgus) 2003-11-05
추천수 : 23 조회수 : 2,513

안녕하세요? 12월에 입싱하게 될 아기엄마입니다. 걱정되고, 궁금한 문제를 한국촌의 유용한 정보를 통해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 것은 한국에서는 아기때문에도 정수기를 사용해서 모든 식수를 해결하였는데 싱가폴의 수돗물 사정은 어떠한…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입싱을 환영드리구요, 한국촌의 정보가 많은 도움이 되신다니 참 기분이 좋습니다. 싱가폴의 수돗물은 매우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실제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분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보통 수돗물을 끓여 먹거나 생수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생수를 구입해서 드시기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기가 있으신 경우는 수돗물을 꼭 끓인후 우유를 타거나 마시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코어유치원은 정확히 몇개월 부터 입학이 가능한지는 문의해 봐야 겠는데요, 그외에도 여러가지 알아 보셔야 될 것이 있으실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전화문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화번호는 6442-2033이구요, 한국인 선생님과 통화하시면 되기 때문에 언어문제는 걱정하시기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꼼꼼히 준비하셔서 입싱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안녕하세요? >12월에 입싱하게 될 아기엄마입니다. >걱정되고, 궁금한 문제를 한국촌의 유용한 정보를 >통해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 것은 한국에서는 아기때문에도 정수기를 사용해서 >모든 식수를 해결하였는데 싱가폴의 수돗물 사정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거기서도 정수기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그리고 코어유치원은 아이 개월수는 몇개월(몇세)부터 입학 가능한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2

기타에어컨,냉장고.......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상윤맘(hellena12) 2003-11-05
추천수 : 29 조회수 : 1,557

에어컨시설이 집마다 다되어있다하는데,스탠드나 벽걸이 식인가요?아님집자체에 중앙집중식으로 되어있나요(한국에 큰 건물처럼)필요하다면 한국에서 쓰던 스탠드형 에어컨을 가져가도 되나요? 가전제품을 가져가면 변압기를 가져가면 대체로 쓸수있다던데 변압기는 어디서 구하고,220볼트…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오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싱가폴에서는 대부분 벽걸이용 에어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콘도(한국의 개인 아파트)에 따라 중앙집중식으로 된 곳도 있습니다. 싱가폴의 콘도에는 에어콘은 기본으로 달려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하시던 에어콘은 가져오셔도 사용하시기 어려울 것 같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과 싱가폴의 전기는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는데요, 다만 헤르츠가 50, 60으로 다르기 때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을 제외하고는 제품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것도 모터가 달린 제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그나마 별 탈없이 잘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변압기는 전기 볼트를 조절해주는 기계인데요, 헤르츠 조절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이에 관련된 문의가 많아 변압기 만드는 공장에 전화로 문의 했더니 "전압을 조금 낮추어주면 헤르츠가 조금 낮더라도 큰 무리없이 사용이가능하다"라는 답변을 들은 적은 있습니다. 이사짐과 초기정착에 대해서는 한국촌 홈페이지에 있는 싱가폴 생활기(구 게시판에 원하시는 정보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와 질문&답변에 들어가시면 결정하시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많이 있사오니 꼼꼼히 읽어 보신 후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도움이 되실만한 글 중 안나님께서 작성하신 "싱가폴 살러 오시는 분을 위하여"라는 글 1건을 붙여 두오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이사에 관련해서는 "편리한 해외이사" 게시판에 문의 하시면 구체적인 가격과 방법등에 대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꼼꼼히 준비하셔서 입싱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안나  추천: 3, 수정: 3, 조회: 1145, 줄수: 91, 분류: Etc.   싱가폴에 살러 오시는 분을 위하여   [CGISERVER 공지사항]  Q/A게시판 인증 쌀이 떨어졌네요.......... 혼자 있으면 안 먹었거나 대충 빵조각으로 때웠을텐데, 마리아랑 같이 사니까, 점심을 제대로 먹게 돼서 좋아요. 한달에 들어가는 생활비가 장난이 아니네요. 나는 먹는거랑 에프킬라밖에 사는 게 없는데....... 친구들이랑 언니한테 전화해서 사정을 좀 알아봤죠. 후.......역시나 부모 밑에 있을때가 제일 좋아요.... >>>>>>>>>>아니......웬 태풍이야.....나무가 뽑히것네......<<<<<<<<<<< 이따 3시에 비산역 가야하는데, 그때까지 멈추지 않을 거 같네요...... 조그만 양산밖에 없는데... 올때 덥다고 양산은 챙겼는데, 정작 우산은 안 가져온 거 있죠?! 싱가폴로 이사오시는 (특히 새댁)분들을 위해서 가져오면 편할 품목들을 몇가지 적겠습니다.한달분량 기준입니다 (특히 새댁은)가구빼고 사 놓은 것들은 다 가져오면 좋아요.(제 경우엔) 왜냐면 처음 와서는 아무데도 모르잖아요. 물론 영어나 만다린에 능통하다면 조금 다르겠지만요. 그리고 한국서 가져오는 것이 품질이 우수해요. 1. 냄비, 주전자, 접시, 수저(싱가폴에는 스텐 젓가락 없어요)   행주, 조리용 긴 나무젓가락, 주걱 및 국자셋트,도마, 칼, 과일칼   병따개, 통조림따개, 감자깍기, 과일깎기 도마, 뜨거운 거 받치는 거,   뜨거운 거 들때 쓰는 두꺼운 천장갑, 에프런 거의 필요없어요(더워요)   움푹한 후라이팬, 조미료(식용류, 참기름, 외간장, 조선간장등등 포함),   위생봉투와 장갑, 랩, 은박지, 신라면 몇개, 3분요리 몇개,콩, 티백보리차   쌀(여기는 호주쌀이 우리와 비슷하지만 맛없고   중국쌀은 길쭉한 것이 끈기가 없어요), 찹쌀, 낱개 포장된 김   (통으로 포장된 김은 한번 뜯으면 금방 눅져서 못먹어요),미역, 다시마   북어,종류별 통조림, 진공포장된 김치, 마른반찬, 세제, 쑤세미등등 2. 세수비누, 빗,샴푸, 린스, 바디샴푸, 바디타월(때밀이 타월 거의   필요없어요, 여기는 하루에 거의 두번은 샤워해야 하거든요)   수건, 치약, 칫솔,옥시크린, 빨래(가루)비누, 빨래린스(이름이   생각안남), 고무장갑, 여기는 옷을 줄이는데도 돈 내야 하구요   일주일 걸리고, 드라이 크리닝 하는데도 일주일 걸립니다. 3. 우산, 양산, 화장품, 스프레이 또는 젤, 침구셋트-얇은 면이불   (이불은 보통 긴 타월같은 것이 좋고, 매트리스에는 호텔처럼    하얀 천을 보통 싸매더라구요, 저는 베로 된 얇은 요를 가져왔는데    참 좋아요),   여름 정장 몇 벌과 케쥬얼 바지,치마, 티등(여기는 유행이 별로 없고   패션쇼하는 여자들도 별로 없어요, 정장 입을 날도 별로 없고,그리고   다 아시겠지만 옷감이나 디자인이 한국것이 뛰어납니다)      4. 컴퓨터, 밥통, 전화기, 탈착가능한 서서 밀수있는 길지만 작은 청소기,   헤어드라이기, 다리미, 다림질할때쓰는 얇은천, 가벼운 옷걸이 여러개,   카메라, 선풍기    5. 홈메트, 붙이는파스, 물파스, 훼스탈, 활명수, 솜, 설사약, 배탈약,   후시딘, 소독약, 비타민, 회충약, 방향제, 곰팡이 먹는 하마, 물먹는 하마   알람시계 6. 영한사전, 한영사전, 필기도구, 요리책    상기 적은 것들은 모두 물론 싱가폴에서 구입할 수 있는것이에요. 전자제품은 오히려 여기가 싸대요. 단지, 처음이니까 있으면 편하구요, 싱가폴의 한국슈퍼는 좀 비싸거든요. 제가 가지고 나올때는 한진택배를 이용해서 비행기로 옮겼구요, 이사용 누런박스로 10박스 (몇Kg이었는데 까먹었어요-제가 집에서 했어요, 회사서 박스는 가져왔죠) 그리고 컴퓨터 나무포장, 공항까지 이동, 집까지 배달하는데 약70만원 들었구요. 옷이랑 크리스탈 접시랑 김치는 나올때 들고 나왔어요. 다들 아시죠? 한 사람당 몇kg씩인지 잊었는데, 기내로 가져갈 짐은 보딩체크할 때 가져가지 말고 수화물을 보내구요, 끝나고 나서 기내로 짐을 가지고 타세요. 여기 인도네시아 접시공장이 있대요, 접시가 싸다 그러내요. 싸고 쓰기 편하고 그렇대요. 저는 엄마가 코렐접시 종류별로 6개씩 주셔서 접시 따로 안 사고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일단 생각나는 것만 적었는데, 생각하셔서 짐을 싸시면 될 거예요. 제가 가지고 나온 것을 기준으로 적은 것이니까요. 하여간 싱가폴로 오시는 분이 계시다면 즐거운 맘으로 가벼운 발걸음으로 오시길 바래요....... 그리고 특히 신혼이시라면 시원한 싱가폴 저녁이 되시길 바랍니다. >>>>>>>>>>>비가 그쳤네요, 이제 나갈 준비를 해야겠어요<<<<<<<<<<< 참, 그리고 싱가폴은 무슨 수수료가 그렇게나 많은지, 특히 택시비 갖고 시비 붙지 마세요....... >에어컨시설이 집마다 다되어있다하는데,스탠드나 벽걸이 식인가요?아님집자체에 중앙집중식으로 되어있나요(한국에 큰 건물처럼)필요하다면 한국에서 쓰던 스탠드형 에어컨을 가져가도 되나요? >가전제품을 가져가면 변압기를 가져가면 대체로 쓸수있다던데 변압기는 어디서 구하고,220볼트콘센트랑 같은건지도.. >애들 유치원도 5살이랑,24개월아이가 둘이서 같이다닐만한곳도 있는지도 궁금.. >옷가져갈때 여름옷외에 봄가을이나 겨울옷은 전혀 안가져가도 되는지..여러가지 좀 알려주세요.애기 엄마들 읽으시면 제가 질문한거 외에도 제게 도움될만한거 있으면 무조건 좀 알려주세요..꾸벅....     

Q

NO.31

기타싱가폴은 네일아트 많이 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레오공쥬(naeunsa) 2003-10-31
추천수 : 47 조회수 : 2,455

한국에서 네일아트 전공한 학생인데.. 싱가포르는 네일아트가 많이 활성화 됐는지 궁금합니다.. 네일아트가 한국도 들어온지 얼마 안되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미국이나 일본만큼 대중화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인식이 있다면 그곳에서 일해…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예전에도 네일아트 문의하신 분이 계셔서 흰구슬님께서 답변을 드린적이 있었습니다. 아래에 예전 답변을 붙여 두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갑네요...네일샵 생각하신다구요? 여기 싱가폴에서도 네일케어 받는 사람들은 많더라구요. Mall에 있는 네일샵에 가면 울 나라처럼 예약하고 기다려야 하구요... 그런데 한번 받고 나서 정말 실망 많이 했어요.... 다시는 안가겠다고 맘 먹었죠. 한국분이 오신다면 저는 거기로 갈껍니다.... 얼마전 한국에 갔다가 네일케어 받았는데 어찌나 깔끔하고 이쁘게 하던지.... 역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재주가 좋은 것 같아요... 가격은 네일만 프렌치 칼라로 했었는데 20불(울나라 돈으로 14,000원 정도)이었던것 같네요....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한국에서 네일아트 전공한 학생인데.. >싱가포르는 네일아트가 많이 활성화 됐는지 궁금합니다.. >네일아트가 한국도 들어온지 얼마 안되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미국이나 일본만큼 대중화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인식이 있다면 그곳에서 일해보려구요.. >그쪽에서 일하려면 간단한 의사소통만으로도 가능할까요?? >답변부탁해욤~*(^.^)*     

  • A

    메니큐어는 여기저기서 많이들 합니다 가격은  색칠하는데 10불정도, 메니큐어는 20 ~ 40불 정도,  피디큐어 까지 같이 하면 50 ~ 100불까지... 항상 예약을 하곤하지만 그냥 walk in 도 많이 받아주더군요 한국분이 깔끔하게 이쁘게 해 주신다면 샾이 없어도 집으로 찾아와 주시면 아마 잘될껄요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예전에도 네일아트 문의하신 분이 계셔서 흰구슬님께서 답변을 드린적이 있었습니다. 아래에 예전 답변을 붙여 두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반갑네요...네일샵 생각하신다구요? >여기 싱가폴에서도 네일케어 받는 사람들은 많더라구요. >Mall에 있는 네일샵에 가면 울 나라처럼 예약하고 기다려야 하구요... >그런데 한번 받고 나서 정말 실망 많이 했어요.... >다시는 안가겠다고 맘 먹었죠. >한국분이 오신다면 저는 거기로 갈껍니다.... 얼마전 한국에 갔다가 네일케어 받았는데 어찌나 깔끔하고 이쁘게 하던지.... >역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재주가 좋은 것 같아요... >가격은 네일만 프렌치 칼라로 했었는데 20불(울나라 돈으로 14,000원 정도)이었던것 같네요....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 > >>한국에서 네일아트 전공한 학생인데.. >>싱가포르는 네일아트가 많이 활성화 됐는지 궁금합니다.. >>네일아트가 한국도 들어온지 얼마 안되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미국이나 일본만큼 대중화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인식이 있다면 그곳에서 일해보려구요.. >>그쪽에서 일하려면 간단한 의사소통만으로도 가능할까요?? >>답변부탁해욤~*(^.^)* >     

Q

NO.30

기타해물 시장좀 알려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심청이(knhrabbit) 2003-10-28
추천수 : 24 조회수 : 1,404

초보 주부라서 그런지 제눈에 해물들이 잘 안띄이네요. 게는 흔히 볼수는 있지만 껍질이 한국에서 게찌개를 끊이던거랑은 다른거 같던데 낙지나 여러 해물종류를 살수있는 정보를 주실  주부님들의 조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Turf City에 가시면 싱가폴에서 가장 유명한 해산물 시장을 보실 수 있는데요, 한국에서 보기 힘든 큰게, 바다가재, 조개류, 생선류 등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형 수퍼마켓이나 식당들이 많이 들어서 있기 때문에 구경거리가 될 것 같습니다. 낙지와 고등어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참고로 Turf City는 옛날 경마장을 쇼핑센터로 개조해서 최근에 새로운 쇼핑중심지로 알려지고 있는 곳이구요, 내부에는 대형 식품유통점과 싱가폴 최대의 해산물 시장, 각종 레스토랑등이 함께 들어 고객들로 부터 좋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방법은 Ang Mo Kio, toa Payoh, Clementi 버스인터체인지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하시거나, Newton MRT에서 66,67,171번...Turf City가는 버스를 타시면 됩니다. 주차비는 24시간 무료입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초보 주부라서 그런지 제눈에 해물들이 잘 안띄이네요. >게는 흔히 볼수는 있지만 껍질이 한국에서 게찌개를 끊이던거랑은 다른거 같던데 낙지나 여러 해물종류를 살수있는 정보를 주실  주부님들의 조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Q

NO.29

기타한달 생활비가 얼마인가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뿔루(bluesyi) 2003-10-27
추천수 : 16 조회수 : 2,055

중1.초등4학년의 가장입니다. 4인가족이 먹고 사는데 어느정도가 드는지 궁금합니다. 흔히 얘기하기를 한국에서는 가장 혼자 벌어서 먹고 살수있지만 외국은 그게 힘들다라고들 합니다. 물론 어떻게 먹고 사느냐가 중요하겠지만 보통 시민처럼 먹고 산다면 싱달러로 어느정도 드는지…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2000년 통계에 따르면 싱가폴의 1인당 국민소득 U$24,740불(한국 S$8,910)로 알고 있는데요, 서민 가정의 월 평균 수입은 S$3,000~5,000(2,100,000원~3,500,000원/맞벌이가 많습니다)정도로 생각됩니다. 보통 서민 4인가족의 학비랑 월세를 뺀 순수 먹고 입고 관리비등등의 비용은 월1,500불~2,000불(1백만원~1백5십만원)정도 될 것 같습니다. 년봉에 대해서는 직업의 종류나 경력, 자격, 기술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 외국에서 근무하시면 한국과 비교해 거주비, 생활비등의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의 2배정도 받으시면 잘 계약하시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최근 한국과 싱가폴의 경기가 좋지않고 실업률이 높아짐에 따라 연봉을 많이 낮추어서 취업을 하시는 분들도 계시기는 하지만 이는 개인의 사정에 따라 조정하셔야 될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중1.초등4학년의 가장입니다. >4인가족이 먹고 사는데 어느정도가 드는지 궁금합니다. >흔히 얘기하기를 한국에서는 가장 혼자 벌어서 먹고 살수있지만 >외국은 그게 힘들다라고들 합니다. 물론 어떻게 먹고 사느냐가 중요하겠지만 >보통 시민처럼 먹고 산다면 싱달러로 어느정도 드는지요? >학비랑 월세를 빼고 순수 먹고 입고 관리비등등 비용을 얘기해주세요... >그리고 10년정도의 직장경력이 있다면 년봉이 어느정도 되는지요? >한국에서 받는정도 받으면 먹고 사나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Q

NO.28

기타재외국민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김혜원(shera) 2003-10-24
추천수 : 24 조회수 : 1,631

제외국민인가...재외국민인가..등록은 외국에 나온지 3개월 지나면 해야된다고 들었는데 나온지 8개월이나 됐고 영주권도 받았기 때문에 꼭 해야될거 같은데 어디서 하면 됩니까? 한국 대사관(영사관?)에 가서 하나요? 갈땐 뭘 준비해 가야하나요? 글고 등록하고나면 한국에서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한국촌이 많은 도움이 되신다니 참 감사합니다. 아래에 싱가포르 한국대사관(http://www.koreaembassy.org.sg/)에서 재외국민등록에 관한 자세한 안내를 복사해 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재외국민등록을 대사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E-mail로 신청하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재외국민등록이란? 재외국민등록은 외국에 거주 또는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대사관에 등록하도록 하여 재외국민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재외국민의 국내외 활동의 편익증진, 행정사무(자녀 전·입학,국내 재산, 은행 관련 업무에 필요한 해외거주 사실확인 등)의 적정한 처리와 기타 재외국민 보호정책의 수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등록대상·등록기간 싱가포르에 계속하여 90일이상 거주 또는 체류자로서, 싱가포르에 주소 또는 거소를 정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다른 외국에 거주하다가 싱가포르로 이주한 경우에는 싱가포르 대사관에 재외국민 등록 이동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등록사항 1. 성명 2. 생년월일 및 주민등록번호 3. 성별 4. 본적 5. 직업 및 소속기관 6. 병역관계 7. 체류목적 및 자격 8. 거주 국내의 주소,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변경신고 위의 등록사항에 변경이 있는 때에는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변경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등록, 변경 또는 이동신고 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은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하여 E-mail 신고를 받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교부신청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의 교부를 받고자 할 때는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교부 신청서에 의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등본의 교부는 본인 또는 대리인이 대사관 영사과에 직접 나와서 받아야 합니다.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발급 수수료 : S$1.00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제외국민인가...재외국민인가..등록은 외국에 나온지 3개월 지나면 해야된다고 들었는데 >나온지 8개월이나 됐고 영주권도 받았기 때문에 꼭 해야될거 같은데 >어디서 하면 됩니까? >한국 대사관(영사관?)에 가서 하나요? 갈땐 뭘 준비해 가야하나요? >글고 등록하고나면 한국에서 주민등록상에 이름이 빠지는걸로 알고있는데, 주민등록증도 소용이 없어지는건가요? >따로 신청 안해도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이 해지가 되나요? 아님 재외국민 등록이랑 상관없이 한국에서 신청 다시 해야하나요. >관청 다니는거 좋아할 사람 없겠지만, 여기 계시판 읽다보면 한국 대사관이 쌀쌀맞기 그지없다는 소릴 넘 많이 읽어서 가기가 꺼려집니다. 뭐 하나 빼먹고 가서 reject (빠꾸)당하기 싫으니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더불어 대사관(영사관)주소도 좀 알려주시구요. >항상 생각하지만 한국촌 사이트 없이 싱가폴에 어떻게 살수 있었을까 생각하며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Q

NO.26

기타많이 기다렸는데 다행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바다의 섬(hwangne) 2003-10-18
추천수 : 11 조회수 : 1,507

담변 주셔서 감사하구요. 주인장의 정성스러운 답변에 왠지 이 사이트에 믿음이 생기는 군요. 또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4년재 미술 대학을 졸업한 사람인데.. 싱가폴에서 메이크업 아트를 공부할수 있는 난크레딧 대학이나 학교가 있나 궁금합니다. 스페셜 메…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앞번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니 기분이 좋네요... 이번에 문의하신 영와나 c.f등의 특수효과 분장 메이크업 아트 학교나 학원에 대해서는 자세한 정보가 없어서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만, 싱가폴은 미국에 비해 메이크업 아트나, 특수분장 분야에 있어 많이 뒤떨어 지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실제 싱가폴 TV, 영화등은 한국과 비교해도 많이 처진다고 생각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원하시는 정보를 얻으실 수도 있사오니 아래의 싱가폴 야후에 들어가셔서 원하시는 검색을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싱가폴 야후: http://www.hahoo.com.sg 좋은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담변 주셔서 감사하구요. 주인장의 정성스러운 답변에 >왠지 이 사이트에 믿음이 생기는 군요. >또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4년재 미술 대학을 졸업한 사람인데.. >싱가폴에서 메이크업 아트를 공부할수 있는 난크레딧 대학이나 학교가 있나 궁금합니다. >스페셜 메이크업 아트로 영화나 c.f 등의 특수효과 분장을 말합니다. >만약 있다면 학비나 또는 학교 사이트 주소를 아시면 가르쳐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살기 안전한 곳이라고 하니 다행스러운데...늘 인생의 모든것에는 좋은것과 나쁜것이 동시에 있어 ...선택의 갈등을 겪어야만 하는군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Q

NO.25

기타싱가포르의 교통상황은 어떤가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영호충(kima0608) 2003-10-16
추천수 : 73 조회수 : 1,849

싱가포르에서 일하게 될지도 모르겠는데요, 아는게 너무 없어서요. 지하철도 있는거 같은데 대부분의 지역을 지하철로 움직일수 있나요? 보니까 차값이 무지 비싸고 렌트비도 장난이 아닌데 버스나 전철로 통근을 하기가 괜챃을지요? 각종 가격 버스비, 전철비, 차 렌트비등(작…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취업하셨다니 축하드립니다. 싱가폴은 저희 한인들이 적응하기에 참 좋은 곳인데요, 깨끗한 환경과 편리한 교통등에 만족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의하신 지하철은 싱가폴 중요 거주지까지는 대부분 연결되어 있고 버스와도 잘 연계되어 있는데요, 가격은 거리에 따라 금액이 다릅니다. 보통80센트(560원)~1불20세트(840원)정도 보시면 되겠습니다. 자동차 렌트비는 아래의 가격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1,500cc(3개월) S$1,650/월 1,500cc(1년) S$1,600/월 1,800~2,000cc(1년) S$2,000/월 식생활비는 싱가폴 서민의 경우 한국과 비슷하거나 어쩌면 더 저렴하다고도 보실 수 있는데요, 싱가폴에서 한국음식과 식품만으로 생활을 하시게 되면 한국보다 훨씬 더 들 수 도 있습니다. 한국촌 홈페이지와 게시판을 둘러 보시면 생활에 필요한 많은 정보들을 보실 수 있사오니 꼼꼼히 준비하셔서 입싱하시면 생활하실 때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싱가포르에서 일하게 될지도 모르겠는데요, 아는게 너무 없어서요. >지하철도 있는거 같은데 대부분의 지역을 지하철로 움직일수 있나요? >보니까 차값이 무지 비싸고 렌트비도 장난이 아닌데 버스나 전철로 통근을 >하기가 괜챃을지요? >각종 가격 버스비, 전철비, 차 렌트비등(작은거) 알수 있음 좋겠구요. >그리고 음식값은 비싼가요? 대충 어느정도나?(한국에서 보통 식당에서 >식사기준)     

Q

NO.24

기타엔지니어 연봉에 대해...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romy(emnicie2000) 2003-10-14
추천수 : 42 조회수 : 2,321

약 10년정도 경력을 가진 대졸 엔지니어가 싱가폴에 있는 업체에 근무한다면 연봉을 얼마정도 받나요? 연봉이 좀 막연하다면  월 단위로 대충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직종은 IT쪽이고 다른 조건들은 (언어,이전 직장) 다 상 (상,중,하중에서)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에…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연봉은 학력, 경력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요, 싱가폴(외국)에서 취업하실 경우에는 주거비, 식생활비, 자녀교육비 등이 한국보다 더 많이 들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보다 더 많은 연봉을 받으셔야 생활이 가능하게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예전에 한국과 싱가폴의 경기가 좋았을 때에는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의 두배 정도 생각하면 적정선이라 생각했었는데요, 경기가 좋지 않은 최근에는 연봉을 적지 않게 줄여서 입사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본인의 여러가지 여건과 조건에 맞추어 잘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봉 책정시에는 주택 렌트비와 차량렌트비, 자녀교육비등을 감안하시어 계약을 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 같사오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약 10년정도 경력을 가진 대졸 엔지니어가 싱가폴에 있는 업체에 근무한다면 연봉을 얼마정도 받나요? 연봉이 좀 막연하다면  월 단위로 대충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직종은 IT쪽이고 다른 조건들은 (언어,이전 직장) 다 상 (상,중,하중에서)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에서 받는 수준으로 협상하자니 그 정도로 싱가폴에서 생활이 가능한지 감이 오지 안아서요.( 예를 들어,한국에서 받는 월급 수준과 그곳을 비교해볼 자료가 없어서요) >혹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꾸벅...     

  • A

    윗분과 비슷한 질문인데요.. 보통 우리나라에서 받는 수준의 두배 정도 생각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우리나라에서 연봉 5천정도 받는 10년 경력의 엔지니어라면 1억정도나 그 이하를 부르면 적정선이 되는 건가요? 우리나라 돈으로 1억이면 싱가폴 달러로 153,000 정도 되는데.. 실제 이정도를 받는다는게 좀 믿기지 않기도 하구요. 싱가폴 에서는 능력있는 엔지니어의 대우가 그정도는 되나요? 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잘 알고 계시겠지만 연봉은 학력, 경력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요, 싱가폴(외국)에서 취업하실 경우에는 주거비, 식생활비, 자녀교육비 등이 한국보다 더 많이 들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보다 더 많은 연봉을 받으셔야 생활이 가능하게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예전에 한국과 싱가폴의 경기가 좋았을 때에는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의 두배 정도 생각하면 적정선이라 생각했었는데요, 경기가 좋지 않은 최근에는 연봉을 적지 않게 줄여서 입사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본인의 여러가지 여건과 조건에 맞추어 잘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봉 책정시에는 주택 렌트비와 차량렌트비, 자녀교육비등을 감안하시어 계약을 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 같사오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약 10년정도 경력을 가진 대졸 엔지니어가 싱가폴에 있는 업체에 근무한다면 연봉을 얼마정도 받나요? 연봉이 좀 막연하다면  월 단위로 대충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직종은 IT쪽이고 다른 조건들은 (언어,이전 직장) 다 상 (상,중,하중에서)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에서 받는 수준으로 협상하자니 그 정도로 싱가폴에서 생활이 가능한지 감이 오지 안아서요.( 예를 들어,한국에서 받는 월급 수준과 그곳을 비교해볼 자료가 없어서요) >>혹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꾸벅...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 회사에 취업하시는 분들은 비교적 엔지니어와 같은 이공계 분야에 계신분들이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10년 경력의 엔지니어이시고 한국에서 연봉 5천만원을 받고 계신 경우이시면 1억원 이내에서 연봉을 책정하시면 좋은 계약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앞번 답변에서도 말씀드린 것과 같이 현재 한국과 싱가폴의 경기가 좋지 않고 실업률이 높은 점을 감안하면 이와 같은 연봉책정은 쉽지 않으리라 생각되구요, 취업하시는 분의 사정에 따라 적절한 배팅을 하셔야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와 비슷한 연봉이면 그냥 취업하시는 경우도 있사오나 이와 같은 경우는 외국생활의 불편함, 더 많은 생활비등과 같은 정신적, 물질적 비용면에서 더 많은 지출이 예상되기 때문에 한국에서 근무하실 때보다 실제 수입은 적지 않게 줄어들 것을 염두에 둔 결정으로 생각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윗분과 비슷한 질문인데요.. >보통 우리나라에서 받는 수준의 두배 정도 생각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우리나라에서 연봉 5천정도 받는 10년 경력의 엔지니어라면 1억정도나 그 이하를 부르면 적정선이 되는 건가요? >우리나라 돈으로 1억이면 싱가폴 달러로 153,000 정도 되는데.. 실제 이정도를 받는다는게 좀 믿기지 않기도 하구요. >싱가폴 에서는 능력있는 엔지니어의 대우가 그정도는 되나요? >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 >>잘 알고 계시겠지만 연봉은 학력, 경력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요, 싱가폴(외국)에서 취업하실 경우에는 주거비, 식생활비, 자녀교육비 등이 한국보다 더 많이 들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보다 더 많은 연봉을 받으셔야 생활이 가능하게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예전에 한국과 싱가폴의 경기가 좋았을 때에는 한국에서 받으시던 연봉의 두배 정도 생각하면 적정선이라 생각했었는데요, 경기가 좋지 않은 최근에는 연봉을 적지 않게 줄여서 입사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본인의 여러가지 여건과 조건에 맞추어 잘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봉 책정시에는 주택 렌트비와 차량렌트비, 자녀교육비등을 감안하시어 계약을 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 같사오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 >>>약 10년정도 경력을 가진 대졸 엔지니어가 싱가폴에 있는 업체에 근무한다면 연봉을 얼마정도 받나요? 연봉이 좀 막연하다면  월 단위로 대충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직종은 IT쪽이고 다른 조건들은 (언어,이전 직장) 다 상 (상,중,하중에서)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에서 받는 수준으로 협상하자니 그 정도로 싱가폴에서 생활이 가능한지 감이 오지 안아서요.( 예를 들어,한국에서 받는 월급 수준과 그곳을 비교해볼 자료가 없어서요) >>>혹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꾸벅... >> >     

Q

NO.23

기타어학에 관련된 정보 좀 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애비짱(r119) 2003-10-12
추천수 : 34 조회수 : 1,591

현재 나이는 30이고 한국에서 웹에이젼시를 하고 있습니다. 뜻한바가 있어 싱가폴에 영어를 배우러 갈 계획입니다. 영어가 많이 서투른 편이고 기간은 1년 정도 잡고 있습니다. 환경이 좋으면 그곳에서 정착할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본어와 스페인어를 아주 조금 할줄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서 영어를 배우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싱가폴은 영어를 주로 사용하고, 어학연수 학원에서는 네이티브 스피커들로 부터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열심히 하시면 좋은 성과를 얻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싱가폴은 동양권이기 때문에 문화적응이나 인종차별을 거의 느낄 수 없고 치안이 대단히 좋기 때문에 안심하시고 생활하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의하신 자세한 어학연수와 학원소개, 학생생활, 학원비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거주자안내->어학연수"를 열어 보시면 보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에서 어학연수를 하시는 경우 아르바이트(Part time job)를 하실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싱가폴은 법이 매우 엄격하므로 벌금외에 다른 불이익을 당하실 수도 있사오니 어학연수를 하시면서 싱가폴에서 정식 직장 or 사업을 알아보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목적하신 바를 다 이루시는 어학연수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현재 나이는 30이고 한국에서 웹에이젼시를 하고 있습니다. >뜻한바가 있어 싱가폴에 영어를 배우러 갈 계획입니다. >영어가 많이 서투른 편이고 기간은 1년 정도 잡고 있습니다. >환경이 좋으면 그곳에서 정착할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본어와 스페인어를 아주 조금 할줄 압니다. 내세울 정도는 안되고요..간단한 인사정도.. >와이프도 같이가서 공부할 계획입니다. >주택과 학원/학교 에 관련된 정보좀 부탁드립니다. 어찌해야하느지를.. >혹시 제가 가서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웹에 관련된일을 할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영어가 서툴러서 구하기는 힘들겠지만요.. >초면에 많은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제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좀 주시기 바랍니다.. >     

Q

NO.22

기타싱가폴에서 웹디자인의 개념이?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big605(big605) 2003-10-09
추천수 : 48 조회수 : 1,645

한국에서는 웹디자이너 라는 개념이 일상화 되어있고.. 구인사이트에도 웹디자이너라는 직종이 개별적으로 나오는데요... 싱가폴의 구인사이트들 찾아보니까.. 웹디자인에 대한 사항이 없는것 같아요.. .. .. 싱가폴에는 웹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아직 정립이 되지 않았는지 궁금합…

  • A

    웹 디자인 회사들 무지하게 많습니다. Yahoo에 올라간 회사들입니다. http://sg.dir.yahoo.com/Business_and_Economy/Business_to_Business/Communications_and_Networking/Internet_and_World_Wide_Web/Web_Site_Designers/By_Region/Countries/Singapore/Complete_List/ 개념도 단순한 프리랜서 수준부터 Total Marketing Consulting 이상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무지하게 쌉니다. 왜냐하면 웹 디자인 회사들중의 왠만한 곳은 Signapore에서 중요한 일만 하고 나머지는 인도나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싼 인력으로 Production을 하기 때문입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한국에서는 웹디자이너 라는 개념이 일상화 되어있고.. >구인사이트에도 웹디자이너라는 직종이 개별적으로 나오는데요... >싱가폴의 구인사이트들 찾아보니까.. >웹디자인에 대한 사항이 없는것 같아요.. >.. >.. >싱가폴에는 웹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아직 정립이 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내년에 싱가폴로..진출 할려고 준비하고 있거든요.. >..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답변..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구요... 현재 한국에서는 메이져급 에이젼시에서 팀장을 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사이트 개발부터...다방면의 경험이 있는데.. 싱가폴에서도 저의 능력을 발휘할수 있을 회사가 있을꺼라 생각을 들지만.. 아직까지는 막막하고 걱정이 앞서는군요... 그래도 많은 정보 알아보기 위해 노력중입니다...^^ 혹시라도 이쪽분야에 좋은정보를 발견하셨다면...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한번...답변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합니다... 박대형 big605@chol.com >웹 디자인 회사들 무지하게 많습니다. > >Yahoo에 올라간 회사들입니다. >http://sg.dir.yahoo.com/Business_and_Economy/Business_to_Business/Communications_and_Networking/Internet_and_World_Wide_Web/Web_Site_Designers/By_Region/Countries/Singapore/Complete_List/ > >개념도 단순한 프리랜서 수준부터 Total Marketing Consulting 이상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무지하게 쌉니다. 왜냐하면 웹 디자인 회사들중의 왠만한 곳은 Signapore에서 중요한 일만 하고 나머지는 인도나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싼 인력으로 Production을 하기 때문입니다. > >참고가 되셨기를 > >>한국에서는 웹디자이너 라는 개념이 일상화 되어있고.. >>구인사이트에도 웹디자이너라는 직종이 개별적으로 나오는데요... >>싱가폴의 구인사이트들 찾아보니까.. >>웹디자인에 대한 사항이 없는것 같아요.. >>.. >>.. >>싱가폴에는 웹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아직 정립이 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내년에 싱가폴로..진출 할려고 준비하고 있거든요.. >>..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Q

NO.20

기타싱가포르의 의사에 대하여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biotae(biotae) 2003-09-19
추천수 : 41 조회수 : 1,797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의사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신혼여행 때 싱가포르에 한 번 가보고는 너무 인상이 좋았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의사로 생활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MOH와 NUS 등에 알아보았더니,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보다도 실제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저희가 예전에 싱가폴 의사협회에 한국의사면허 인정여부에 대해 문의한 적이 있었지만 불가하다는 답변을 받은 적이 있는데요, 정말 MOH와 NUS에서 한국의사면허로 싱가폴에서 의사로 일할 수 있다는 회신을 받으셨는지요? 싱가폴 의사들의 어떤 생활을 문의하시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대충 답변을 드리면 싱가폴 의사와 치과의사 급여는 개인차가 크겠지만 S$5,000~S$15,000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싱가폴에서도 공부 열심히 하는 분들은 법대와 의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의사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신혼여행 때 싱가포르에 한 번 가보고는 너무 인상이 좋았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의사로 생활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MOH와 NUS 등에 알아보았더니,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보다도 실제 싱가포르에서 생활하시는 분들께 싱가포르 >의사는 생활이 어떤지 여쭙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전문적인 정보 >를 여쭙는 게 아니라, 싱가포를 현지인의 말씀을 듣고 싶은 것이오 >니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A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받은 회신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full registration은 아니고, conditional registration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conditional registration을 위해서는 MMed degree가 필요한데, 이것은 case-by-case basis로 추가과정 없이 시험으로 통과할 수 있다고합니다. conditional registration을 한 후에는 계약된 병원에서 일할 수 있구요, MMed가 있는 상태이므로, advanced specialty training도 가능합니다. 아직 application을 낸 상태는 아니고 알아보는 정도입니다. full registration을 하려면 외국인은 6년간의 conditional registration상태로 public sector에서 6년간 일해야 한다더라구요. 한가지 질문 : public sector라는 것은 어떤 병원을 말하는지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