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Q

NO.1425

생활미국에서 입싱준비 질문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runa(runaruna) 2018-11-09
추천수 : 0 조회수 : 4,469

안녕하세요 곧 미국에서 입싱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만 4살 8살 아이들 SAS다닐 예정이고 아이 아빠는 NUS쪽에 회사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어려서 학교 근처에 살아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아이 아빠 통근하는게 너무 멀것 같기도 하고 정말 싱가폴 사정을 하나도 모르겠네…

  • A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1. 아이들이 K1,G3로 아직 어리니 경험상 학교 근처 추천드립니다. 7시 전에 스쿨버스 타야 하는 지역도 있어서 힘들어 하더군요. 스쿨버스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ㅎㅎ 층간소음이 걱정되신다면 학교 근처에 주택을 렌트하시면 됩니다. 아빠직장이 너무 멀어 걱정이시면 가능한 스쿨버스 늦게 타는 콘도를 알아보세요. 운전하신다면 직장까지는 30분 이내 가능합니다. 2. 에이전에게 원하는 지역이나 콘도를 얘기하면 리스트 만들어서 뷰잉시켜 줍니다. 3. 시민권자시면 봄학기 진학에 큰 무리 없을 것 같습니다. 4. 가전은 와서 새로 사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5. 이사비용이 지원된다면 가구는 가져오시고, 집 구하실 때 가구 없는 집으로 보여달라고 하시면 됩니다(콘도를 얻으실 경우, 침실에 대부분 붙박이장이 있습니다). 어느 나라나 그렇지만 가구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1
  • A

    입싱 축하드려요, 걱정 많으시겠네요. 저도 5년전에 미국에서 왔는데 예전 생각이 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몇 자 적어요. 1. 아이들이 어리니 스쿨버스를 타더라도 조금은 덜 움직이는 곳으로 추천드려요. 한국인들이 많이 사는 부킷티마 같은 지역에 계시면 아이들이나 남편분 직장 중간에 위치해 있으니 괜찮을 듯 하네요. 부킷티마에서 버스로 NUS로 출퇴근하고 중학생 아들이 SAS 다니는 지인이 있어서 드리는 말씀이네요. 차량 구매를 어떻게 하실 지 모르겠지만 남편 분 차를 소유할 계획이라면 차로 출퇴근하니 거리가 덜 제한적일 수도 있죠. 근데 차량 구매, 회사에서 주는 거 아니면 솔직히 미국 기준으로 동일 차량에 3-4배 주고 구매한다는게 전 금전적보다 정신적으로 감당이 안되더라구요. 2. 아파트 렌트는 솔직히 뭐라고 말씀드리기 힘든게 입싱을 일단 하시고 둘러보셔야 해요. 전 여기 와서 아이 하나랑 부부가 호텔 방에서 한 달을 지내면서 집을 알아봤어요. Propertyguru에서 알아보는게 제일 무난하기는 한데 에이전트랑 연락을 하시면 보통 로컬 휴대폰 번호 물어보고 체류 신분이 뭐냐고 물어보기에 미국에서 일을 처리하시긴에는 조금 힘들거에요. 렌트 이전에 최소한 한 달 정도 계실 곳을 마련하시고 여기서 마음에 드는 아파트 골라보시는게 최선일겁니다. 어차피 지인도 없으시면 혼자 일을 처리하셔야 되니까요. 1-2년 계약을 하지만 체류 신분이 확실하면 1년 계약 하시고 나중에 더 좋은 곳으로 이사를 가세요. 콘도가 무난하고 돈을 조금 절약하시려면 HDB 역시 나쁘지 않아요. 콘도 HDB 둘 다 살아본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미국 어디 계시는지 모르겠지만 전 뉴욕에서 왔는데 여기 아파트 미국 아파트들보다 훨씬 좋은 환경이니 걱정하지 마시구요. 그리고 층간 소음은 솔직히 저희 아들 둘 막 뛰고 이래도 한국에서 이야기하는 층간 소음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어요. 와서 경험하시고 문제가 혹시 된다면 그 다음에 land property 이사를 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네요. 3. 남편분이 아마 EP로 들어오실거라 짐작하는데 그럼 님과 아이들은 당연히 DP겠죠. 그럼 여기서 SAS 들어가기 전까지 pre-school 이나 enrichment class 보내실 있는데 그게 매일 9-5 이런 기준으로 들어가기엔 시설이나 등록인원에 따라 힘들 수도 있지만 하루에 2-3시간이나 주말 프로그램 등등 기준으로는 미술, 중국어, 영어, 주말 한국어 학교 등등 여러가지가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일단 SAS 등록이 우선이니 그걸 해결하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미국시민권자냐 아님 미국회사에서 일하느냐 등의 기준에 따라 입학순서가 달라지는건 아실거라 생각해요. 물론 6개월 이상 초등학교 아들을 엄마가 잘 보살피기엔 둘째 아들도 있고 힘드실거라 예상을 하니 입싱 시기는 조금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4. 미국에서 쓰던 가전제품 가지고 오지 마세요. 전 네스프레소, 한국 쿠쿠 밥솥 등 가지고 와서 변압기로 쓰려다 안되서 창고에서 먼지만 쌓이고 있어요. 플러그도 다른 건 둘째 치더라도 변압기를 써서 사용해도 안되는게 있으니 그냥 맘 편하게 두고 오세요. 전력 많이 잡아먹는 헤어드라기니 이런건 아예 들고 오지 마시구요. 5. 가구는 천차만별이구요, 정말 필요한 가구 아니면 들고 오는 비용보다는 여기서 구매하시는게 쌀 거에요. 물론 피아노는 모르겠어요. 필요하시면 당연히 가져오셔야죠. 저도 혹시 몰라 가구 몇 개 들고 왔지만 옮기는 비용이 그리 비싼 건 아니었지만  IKEA 가구는 운송도중 파손된 게 몇 개 있어 결국 한 두 해 사용하다 버리고 여기서 또 구입했어요. 여기 콘도 대부분이 unfurnished가 많지만 집 구조에 따라 가지고 오신 가구가 안 맞을 수도 있구요. Furnished 아파트들도 있지만 님의 취향이랑 맞지 않을 수 있고 결국 렌트에 다 반영되는거죠. 콘도 같은 경우 침실마다 붙박이 장이 있으니 큰 옷장은 필요없구 침대, 책상, 식탁, TV station, 소파 뭐...이 정도 예상하시면 되죠. 완전 조립된 가구를 고집하지 않으시다면 IKEA 가시면 되요. 미국 IKEA나 싱가포르 IKEA 비슷한 가격이지만 배송 및 조립 서비스도 미국보다 저렴해요. 6. 컴퓨터나 휴대폰 같은 전압에 상관없이 되는 기기들은 그냥 가져 오셔서 사용하세요. 미국은 레터 용지를 쓰고 싱가포르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로 A4를 사용하니 혹시라도 미국에서 서류를 가져오시면 보관할 케이스나 파일 등은 완벽하게 셋팅을 해 오세요. 예를 들어, 의료기록, 이민서류 등등 개인적인 서류요. 아이들 예방접종 기록은 그대로 가져 오셔서 사용하실 수 있으나 싱가포르에 오래 계실 생각이면 현지 의사 정해서 현지 기록 만드시는게 좋을 거구요. 그리고 미국 은행 계좌 유지하실 거 같으면 시티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추천드려요. 아시아 전역에서 사용하기 가장 편하구요, 싱에도 시티은행이 꽤 많이 있어서  미/싱 양쪽으로 은행 관리하기 더 쉽네요. 물론 현지 은행 DBS, OCBC, UOB 은행 중 한 곳에서 현지계좌를 여실 걸 추천드리구요 - 미국처럼 데빗카드가 사용되는게 아니라 여기 싱 자체 네트워크 통해 NETS 라는 데빗 기능으로 크레딧카드 받지 않는 가게에서 현금처럼 사용하실 수 있는데, 이게 싱 현지 은행들만 제공되는 기능이라 시티은행 크레딧카드에서는 제공이 안 되요. 제 경험으로는 시티은행을 미/싱 주거래 은행 계좌로 하시고 현지 은행 계좌 하나 여신 다음 NETS 기능되는 카드 만드시는게 생활하기엔 편할거에요. 마지막으로 의료보험에 관한 점은 할 이야기가 많지만 여기서 하기엔 그러니 패스할게요.   다른 질문이 혹시 있으면 쪽지 주세요. 답변 해 드릴게요.        

    1
Q

NO.1420

부동산부동산구매하는게 좋을까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꼰니찌와(yjb210) 2018-10-09
추천수 : 0 조회수 : 7,030

안녕하세요.? 싱에 온지 몇년이 지나고 보니 콘도를 구매하는게 좋 은지 .향후 몇년뒤에{떠나게될경우} 팔면 렌트비가 살아있지않을까 하는맘에 집을 구매하려보니 머리가 아픈 나머지 생활의 의욕마저 상실되어 힘드네여.  집을 구매 하지않아 나중 에 집이 더 올라 앞으로 집을…

  • A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operational expense 를 capital expense로 전환하는 것은 의미가 있기는 합니다만,,,, 사실 쉽지 않은 질문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부동산 전망 보다 님의 재무설계에 대한 점검이 우선 인 듯 보입니다. 혹시 주변에 재무설계하시는 분 중에 믿을 만한 아시는 분이 있으면 조언을 구하면 좋을 듯 싶군요.   첨언하자면, 제가 아는 지인들이 제게 비슷한 질문을 하면 저는 다시 아래의 두가지 질문은 합니다. "구매시 수반되는 일회성 비용과 앞으로 계속 렌트시 렌트비용을 비교해 보았나?"  아마도 이미 계산해 보셨을 듯 한데요. 이것을 계산해 보시면 3년 정도가 분기점이 됩니다. 예로 님께서 PR이라고 가정시 $1.5milion SGD 콘도를 구매하시면 $119,600를 stamp duty로 지불하셔야 하는데, 이 비용은 대략 30개월치 렌트비에 해당합니다. (월 4000불 렌트시). 그러므로 3년 정도 싱가포르에서 머물다가 떠나실 경우 비용적으로는 이익이 없어 보입니다. (구매 자산의 가치 상승분 및 하락분은 별도 사항 이기에 이 계산에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다음 리스크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나? " 1. 부동산 하락으로 인한 손실 2. 매도가 용이 하지 않을 경우 현금 흐름 상태 악화 3. 매도 하지 않고 렌트를 할 경우 공실기간에 대한 손실    이런 종류의 리스크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싱가포르에서는 주택을 매입하시면 안되십니다.    만약, 싱가포르에서 10년 이상 장기 거주할 계획이라면, 다른 접근이 필요하지만 님의 글에 앞으로 몇년 살다가 떠나실 것을 고려하시기에 이 정도로 만 적습니다. 참고로 전 싱가포르의 부동산 전망은 홍콩 부동산 처럼 급격한 상승은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 상승율 정도만 올라줘도 다행인 상황이죠.       

    1
Q

NO.1413

생활PR ㅁㅔ디 쉴드라이프 관련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진행중
햄버거그만(qlqlaqkq) 2018-08-24
추천수 : 0 조회수 : 1,476

  안녕하세요 PR 이 되고 나서 집으로 이제 MediShieldLife 우편물이 날아왔는데요 제가 가입된 상품이 MediShield Life premium 이라고 되어 있고  얼마 정도를 Medisave 계좌에 언제까지 입금하라고 되어 있는데요 MediShi…

  • A

    이건 PR/Citizen 은 어른/아이할것 없이 필수로 매년 돈을 내야하는 건데 PR받은 첫 해는 CPF에 적립되는 금액이 미비해 Medisave account에서 빠져나갈 돈이 없으니 top up 하라는 겁니다. 한마디로 우리가 좀 더 보장해줄테니 매년 돈 더내라이건데...솔직히 쓸일이 없어요...이거 쓸일이 생긴다면 정말 많이 아픈거예요....일반 통원치료시는 못써요   anyway, 중요한건 수입이 없는 부양 가족이 있다면 가족 중 CPF가 적립되는 분으로 바꾸셔야되요. 전 전화해서 난 이거 필요 없다 메일 좀 그만 보내라 했더니 웃으면서 와이프/딸까지 다 내야한대요. ㅎㅎ  그래서 ok 근데 어차피 적립되면 그돈으로 내지 굳이 현금내고 top up하고 싶은 맘은 없다 하니 적립금이 어느정도 쌓이면 내라해서 그냥 놔두고 몇 달뒤에 어느 정도 쌓인뒤 와이프랑 아이꺼 다 냈던 기억이 납니다. 메일은 걍 월간 잡지 받듯이 그냥 계속 받았습니다.. 현금으로 굳이 지금 안내셔도되요              

    2
Q

NO.1412

기타싱가폴 변호사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 답글 : 4
  • 댓글 : 1
답변진행중
sunny16(cyworld518) 2018-08-24
추천수 : 0 조회수 : 2,925

싱에서 안좋은 일이 좀 있어서요. 음..좀 심각하긴 합니다. 형사사건이고 저는 피해자입니다. 변호사값이 워낙 비싼 나라라 제가 듣기로는 무료로 해주시는 변호사도 계신다고 들었는데 일단 probono lawsociety 여기는 피고인 상대로만 하고 있고 저는 증인이자…

  • A

    형사사건 피해자라면 경찰서 신고가 순서 일 듯 한데요? 민사라면 모를까 형사사건이라면 원고측이 굳이 변호사를 선임할 이유가 있을까 싶네요.... 경찰서 가서 상담해 보심이 어떨지요.   (도움이 안되는 댓글이지만 그냥 제 생각 적어 봤어요. 잘 해결 되시길....)      

  • A

    안녕하세요, 일단 안좋은 일이 있다고 하시니 조속히 해결 되었음 좋겠습니다 남편이 현지 로컬 변호사인데요, 무료 상담까지는 모르지만 제게 쪽지 주시면 남편한테 대략적인 것 물어보고 님께 전달해 드릴께요(물론 돈 상관 없이요)남편이지만, 한국인의 정보단 서양인의 합리적인 마인드가 큽니다.      

    1
  • A

    어떤일인지 안타깝네여... 그래도 피해자 이시니깐....변호사를 만나서 상담을 받아보시는게...무료상담은 해주시나 무료로 일을 해주시지는 않겠죠 ㅠㅠ 제가 이용하는 변호사 분이 계신데 원하시면 연락처 드릴께요 쪽지주세요      

Q

NO.1411

부동산콘도 렌트에 대한 여러가지질문이요..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진행중
유우(euyu) 2018-08-24
추천수 : 0 조회수 : 7,080

안녕하세요 남편일때문에 이민오게되었어요 엊그제 싱가폴에 와서 집을 빨리 구해야하는데 어렵네요 ㅠ . 1.한국분들 몇분 컨택해봤는데 답변이 아직 없어서 일단 급한대로 일본에이전트로 연락해봤는데 .. 원래 보증금을 두달치랑 에이전트비용은 한달치 나가는게 맞…

  • A

    처음이라 힘드실거라 생각됩니다.. 저도 이사를 해야되서 2일만에 마음에 드는 집을 구했습니다^^ 콘도 가격이 전에 비해선 많이 내려간 편이라 생각하시는 예산이라면 적당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 보증금은 보통 2달을 계약전에 내야합니다. 월세는 미리 납부하는것이므로 3달치를 준비하셔야 되고요.. 2년계약을 하시면 보통 요즘은 주인이 부담합니다. 2. 비자가 없이는 계약을 하실수 없습니다. EP혹은 SP가 있어야 됩니다. DP는 남편분 EP 진행하실때 같이 신청했어도 가능했는데 남편분이 우선 받으신 후 DP를 진행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어느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싱가폴은 비자가 없이는 통장도 개설할수 없고 아무것도 진행할수 없습니다. 요즘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제경우는 영업일기준으로 10일정도 걸렸습니다..좀 더 걸리시는 분들도 있는것 같습니다. 3.에이전시는 propertyguru보시면 바로 WhatsApp메세지를 보내시면 에이전시로 부터 연락이 옵니다. 물론 에이전시가 여러군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콘도라도 다른 에이전시가 진행하므로 건건이 에이전시에 연락해서 약속을 잡으시면 됩니다. 4. 노비나는 토파요지역은 중심가와 가까우니 가격이 있습니다. 빨간색(?)라인으로 조금더 윗쪽으로 찾아보세요.. 보통 국제학교때문에 주재원분들이 노비나 지역에 콘도를 많이 구하시는데 아이가 없으면 구지 20-30분 거리도 불편하지 않을거예요.. 싱가폴은 교통이 잘되있어서 어느지역에 가시는 다운타운(?)까진 그리 멀지는 않습니다. 5. 참고로 propertyguru 보시면 최근 거래된 금액이 나와있어요.. 네고하실때 참고 하세요^^          

    1
  • A

    2년 계약시 월세 2달치가 보증금은 맞는데 Tenant 는 에이전트 비용을 안냅니다. 보증금과 별도로 월세 한번 내면되요.  에이전트는 보통 집주인이 고용하고 에이전트 비용도 집주인이 냅니다. 만약 집주인 에이전트가 수수료 요구하면 그냥 신고한다하면 됩니다. 한 에이전트가 양쪽에서 못받습니다.  님께서 굳이 따로 개별 에이전트를 고용하실 필요가 없어요. 의미도 별로 없구요. Stamp duty 계약 등등 집주인 housing agent 가 알아서 해주니 체크만 제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Novena/Newton 은 싱가폴에서도 비싼 거주지 중에 한곳이라 2500으로는 스튜디오도 힘들어요... 3000~4000도 아주 작은 집이나 가능하나 기대치를 좀 낮추셔야하고 5000~6000 잡으셔야 집다운 집 구하는 거주지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압구정동 바로옆 잠원동정도에 집을 구하시는거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PropertyGuru 에서 예산을 2500 MAX 로 걸어놓으시고 거기에 맞는 콘도를 보고 빨강MRT 라인 근처인곳을 연락하시는게 좋을 것같아요.  Toa payoh도 시티와 근접한 지역으로 인기가 높고 HDB 가 MRT 주변에 많고 콘도는 MRT 에서 좀 떨어져 있을꺼예요. ang mo kio 쪽도 알아보세요.   지하철 정거장 몇 정거장 더가도 집이 역하고 가까운게 최고예요.  Whatsapp 으로 연락하셔도되니 문자로 소통하시는게 나을거같네요. SGD 2500 으로 Novena/Newton 찾으면 에이전트도 방이 없어서 아마 호의적이지 않을 수 있을것 같네요      

    1
  • A

    1. 보증금은 보통 1년 계약에 1달치, 2년 계약에 2달치 냅니다. 보통 2년이 기본이고 1년 계약은 네고합니다 월세가 조금 오르기도해요~ 에이전트비용은 월세가 얼마냐에따라 다르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100% 적용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월세가 얼마든 집주인이 전액 지불하는 집도 있고 반반 내야되는 집도 있고 세입자가 전액 지불해야하는곳도 있습니다. 애초에 에이전시에 에이전트비용을 집주인이 내는 집만 보고싶다고 요청하세요~   2. 집주인이나 에이전트의 재량인거같습니다만 IPA 서류만으로도 집 계약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에이전시에 확인하셔야할듯해요.   3. 회사가 오차드시면 River Valley Road 도 고려해보세요 미니콘도들이 몇 군데 있습니다 수영장이나 바베큐핏, 짐 등의 퍼실리티를 최소화하고 지은 콘도들이에요 이런 콘도들은 월세 2300불 정도 선에 거실 분리된 원베드룸 구하실 수 있어요. 전용면적이 크진 않은데 아이가 없으시다니 둘이 살기에는 적당할거에요~ 리버밸리는 mrt 권은 아닌데 오차드로가는 버스가 자주 있구요 위치에 따라선 걸어서도 가실 수 있으실 정도로 교통이 매우 편리한지역입니다. 콘도지역이라 조용하고요 상권도 잘 되어있어서 편해요~ 살기 정말 좋은 동네에요!   4. 조건 맞춰줄수있는 에이전시 통하시려면 여러군데 컨텍해보시는게 무조건 좋아요~ 저는 property guru에서 지역이랑 가격 설정한후 마음에드는 콘도 가지고있는 여러 에이전트에 연락을 다 돌렸구요 연락하면 그쪽에서도 질문을 몇가지 합니다 그거 답장하면서 원하는 집의 조건을 먼저 제시했습니다. 에이전트피 집주인이 전액 부담할것, 1년 계약 가능한지여부, IPA 서류로 계약 가능한지여부, 쇼핑몰이 가까이 있는지, 햇볕 잘드는지 기타 등등등.. 다 오케이 해주면 그때 집 볼 약속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에이전트들이랑 전화연락은 잘 안합니다 문의부터 약속 잡는거까지 거의 모든 과정을 whatsapp 이라는 채팅어플 통해서 합니다~   5. 마지막으로 계약시에는 계약서 검토 꼼꼼히 하시구여 7일이내 발견된 이미 있었던 하자에 책임묻지않는다, 거주중 소모품의 고장에 150불까지만 세입자가 지불한다 등등의 내용이요!   너무 겁 내지 않으셔도 된다는 말씀 드리고싶습니다 ㅜㅜ 괜찮아요 여기도 다 사람사는곳인데요^^ 좋은 집 구하세요~      

    2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