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392

생활PR 유지조건과 시민권획득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도라군(Doragoon) 2021-06-16
추천수 : 0 조회수 : 8,225

안녕하세요.싱가폴 생활을 하면서 PR도 받고, 갱신도 한번 했습니다.아직 결정은 안났지만 제가 한국으로 귀국을 해야할지도 모르는데, 와이프와 아들은 싱가폴에서 계속 생활을 할 계획을 하고 있구요...PR/시민권 관련해서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고수분들께 조언을 좀 구하…

  • A

    - 싱가폴에서 수입이 생기지 않고 세금을 안내면 PR 갱신은 어려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변사례로 싱가폴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렌트수입이 계속 있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경우에도 PR연장은 되지 않았습니다.- 14살아들의 경우 아직 학업이 남아 있고, 가족이 모두 시민권 신청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아들만 단독으로 시민권 획득은 어려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A

    14 세 아드님은 영주권자면 싱가폴애서 국방의 의무(National Service)가 발생합니다.  한국에서 신체검사 나오기 전에  싱가폴 시민권으로 전환하지 않고 싱가폴 영주권 한국시민권자로 지내게 되면 한국과 싱가폴 양쪽에서 국방의 의무가 발생합니다. 한국 18 개월, 싱가폴 2년. 싱가폴의 경우 만 16.5 세가 되면 enlisting 싱가폴 징집대상자 명단 ? 이런데에 등록이 되고 만 18 세가 되는 때부터 병역이 시작되어서 보통 고등학교 마치고 대학 붙어놓고 ns 2 년 다녀와서 대학교 1 학년 시작합니다 20 대의 소중한 나이에 4년에 가까운 양 국가에서의 군복무는  직업군인이 목표가 아닌이상 좀 가혹한 듯 합니다.  이부분도 잘 고려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양국모두에서 병역의무가 발생함은 제가 한국 병무청에  직접 확인한 내용입니다

  • A

    5년 중 최소 3년 소득세를 만족하면 그래도 1년 연장은 나올 수 있지만 현재 REP가 3년 후라면 그때는 연장이 안될 가능성이 매우 높네요.여기서 아내 분 아래로 사업자등록 후 계속 소득을 발생시키고 CPF도 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남아 2세는 결국 국적을 선택해야만하니 아이가 적응하기 수월한 국가로 국적선택을 하셔야할 것 같아요. 아드님만 신청할 수 있어요. Are a PR studying in Singapore; and have been residing in Singapore for more than 3 years (of which, at least one year as a PR); and have passed at least one national exam (i.e. PSLE, GCE ‘N’/‘O’/‘A’ levels), or are in the Integrated Programme (IP). If you are aged 15 years old and above, please apply for a Singpass and log in via MyICA to apply. If you are below 15 years old, any Singapore Citizen can sponsor your application via their MyICA account.한국인 남아 영주권 2세대는 불행하게도 여기 영주권은 메리트가 별로 없자나요...결국 여기 시민권을 선택해야만 하고 그게 아니면 한국으로 돌아가야하는데 그럼 한국의 군복무 후 학생비자/취업비자는 어려우니까요...시민권도 복불복이지만 빨리 신청해서 그 결과에 따라 선택하셔도 되구요.  1년 정도 걸리는거보면 REP 전에 알 수 있습니다. 

Q

NO.1390

생활입싱준비 - 전자제품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aelle(pomypomy) 2021-06-12
추천수 : 0 조회수 : 7,952

안녕하세요. 곧 입싱 예정이라 이것저것 궁금한게 산떠미이네요^^한국에서 사용중인 전자제품을 가져가려고 하는데, 선배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당! 1. 에어프라이어2. 다이슨 드라이기 (1달전에 샀네요ㅠ)3. 테팔청소기4. 쿠쿠밥솥5. 32인치 컴퓨터모니터 (재택근무할려고 …

  • A

    노트북이나 피아노 등등 일반 프리볼트 전기제품은 크게 이상없이 돼지코 어뎁터로 사용하실수 있지만 전열기기는 헤르즈까지 프리볼테이지 인지 확실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싱가폴은 전압이 240볼트이고 50헤르츠 입니다. 한국은 220볼트에 60헤르츠 이고요. 설명서를 자세히 살펴보시면 허용 전압 헤르츠 나옵니다. 참고로 초창기 삼성 스마트오븐  20분만에 태워 먹었습니다.쿠쿠밥솥은 다행히 한국서 구매시 허용전압 확인하여서 6년째인데 이상없네요. 그외 가벼운 가전은 현지서 구매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채택답변
  • A

    윗분 말씀처럼,주파수(헤르쯔) 를 확인하셔야 합니다.제품에 50~60Hz 라고 되어 있으면 크게 문제없이 사용하실수 있고,60Hz 라고 되어 있으면 복불복입니다. 잘 될 수도 있고, 사용하다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저도 한국에서 사온 쿠쿠밥솥은 문제없이 잘 쓰고 있네요.)

Q

NO.1383

생활ocbc sms 토큰 메시지를 한국에서도 받을수 있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박종현(keto73) 2021-05-18
추천수 : 0 조회수 : 6,130

현재저는 한국에있습니다.ocbc otp가 배터리가 다되어서 이제 사용을 할 수 없는데,돈을 송금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sms 토큰을 이용해볼려고 하였으나, 한국 폰으로는 문자가 날라오지를 않네요.싱가폴에서 번호를 만들어서 등록을 할려고해도, ocbc개인정보 수정시 ot…

  • A

    싱가포르 번호 만드시는 것이 가능하다면 ocbc 한국지점으로 전화해서 한 번 문의해보게요. 서울에 지점이 하나 있습니다.

  • A

    이게 될지는 모르겠지만...남의일 같지 않아서 한번 제안을 해봅니다.지금 ocbc도 그렇고 대부분의 은행들이 이미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 곧 물리적 토큰은 사용이 중지되죠. 그래서 ocbc 앱을 다운받으시고 디지털 토큰을 활성화 하면 되는데...최초에 활성화 할 때 번호가 오는 방법이 1) 등록된 전화번호로 문자 2) 기존 물리적 토큰에서 생성되는 번호 입력 입니다.이 2가지가 다 안되니 다음 방법은 우편으로 번호를 받는 것인데 은행에 등록된 주소로 우편이 옵니다. 주소는 사실 전화로도 변경을 할수가 있습니다.+65 6363 3333으로 전화를 걸어서 주소를 업데이트 하고 모바일 번호가 바뀌었는데 디지털토큰을 활성화 할 최초의 번호를 우편으로 보내달라고 합니다.우편물을 받으면 아래 링크에 나와있는 것처럼 앱을 받아서 디지털 토큰을 활성화 합니다. 이떄 우편 주소를 외국으로 해도 되냐고 물어봐서 된다고 하면 한국으로 우편을 받고...만약 안된다고 하면 싱가폴 지인에게 보내서..우편물 받은 다음에 번호를 알려달라고 하면 됩니다. 어차피..은행 앱 깔고 아이디 비번치고 들어가야 그 다음에 이 인증번호가 소용이 있기 때문에..그냥 이 인증번호를 다른 지인이 받아도 이 번호만으로 할수 있는 일은 없고 따라서 도난/오용의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https://www.ocbc.com/personal-banking/help-and-support/digital-banking/online-banking-onetoken만약 위의 방법으로 안되면 서울에 있는 OCBC branch를 방문하면 거기서 주소나 모바일 번호를 업뎃할 수 있을 겁니다. 전세계 어느 지점이던지 가능하다고 했거든요. 미리 전화로 한번 물어보시고 방문하면 헛걸음 안할 듯 합니다. 그리고 제가 은행에 직접가서 문의했을 때는..꼭 싱가폴 번호가 아니어도 혹은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폰이어도 한번 디지털 토큰을 활성화 하면 그 모바일 기계로 계속해서 디지털 토큰을 사용할수 있다고 했거든요. 많은 외국인들이 싱가폴 떠나면서 자기네 나라 번호로 여전히 우리은행을 이용한다 면서요..그러니 한번만 디지털 토큰을 활성화 하시면 될겁니다.꼭 가능하시기를 바랍니다. 시도해 보시고 결과도 알려주세요. 

Q

NO.1375

생활한국에 국제결혼 혼인신고 이후 재외국민 등록 (의료보험…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지부르(forswim21) 2021-04-21
추천수 : 0 조회수 : 3,962

안녕하세요 내년에 싱가포르에서 싱가포르 로컬분과 ROM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ROM 한 후에 한국대사관에 혼인신고를 하게 되면 혹시 재외국민 혹은 해외이주자로 분류가 되나요?그리고 그렇게 되면 한국에 들어갈 때 의료보험을 받지 못하는지 여쭙고자 문의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A

    이게 굉장히 애매하고 논쟁의 여지가 많은 부분같아요...그래서 대부분 알고 계셔도 여기에 답을 달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단 현지인과 결혼 유무를 떠나 재외국민은 님의 신분이 중요해요. 님이 영주권자면 100% 재외국민 대상입니다. 현지인 결혼 -> 재외국민은 아니라는...여기서 영주권자라도 grey area는 재외국민신청은 의무가 아니고 강제성도 없어서 영주권자여도 재외국민등록을 안하면 한국에서 알길이 없다는....정석대로라면 영주권자면 재외국민신청을 하고 그렇다면 한국에서 6개월 체류하셔야 의료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바로 못받습니다. 주민번호도 말소됩니다.  반면, 영주권자여도 재외국민이 아니면 한국 입국한 후에 급여해제 정지 신청하면 의료보험 혜택 가능합니다. 물론 이때 혜택받은 만큼 정산됩니다. 주민 번호가 살아있다? 한국입국해서 의료혜택 바로 받는다? 영주권자면서 재외국민 등록안하신 분 혹 취업비자,거주비자,학생비자 기타 등등주민 번호 말소다? 의료혜택받으려면 체류 6개월해야한다? 영주권자면서 재외국민 등록하신 분그래서 한국의 재외국민 숫자는 통계보다 훨~~~씬 높다고 봅니다. 

    1 채택답변
Q

NO.1374

생활싱가폴은 living cost 가 비싼 나라 인가요??

  • 답글 : 5
  • 댓글 : 1
답변진행중
고냥인(genesisjk) 2021-04-12
추천수 : 0 조회수 : 10,833

조만간 sing에 자리잡고 살지도 모릅니다. ( 이직 )10여 년전에 어학연수 비슷하게 싱가포르에서 몇 년간 학교를 다녔고, 그때 느낀것이 '생활비 참 싸다' 였습니다. (당시 환율이 700정도...)식비는 워낙 음식이 잘 맞아서 food court 매우 사랑했고, 교…

  • A

    생활비 비싸다는 생각은 들어요~도쿄에서 살다 왔는데 도쿄보다는 비싼 느낌입니당.호커에서 먹으면 절약되긴 할텐데 위생상 아이들이랑 부인 데리고 매일 먹기엔 좀 안맞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그렇게 되면 대부분 한식 일식 중식 외식이 될텐데 둘이 가도 왠만한 곳은 150불 이상 나오구요..집세는 다른 선진국들과 비슷한 수준인데 의료비도 무시 못하죠~회사에서 커버해주는 보험에 한계가 있을거에요.. 연간 몇천불정도까지 제한이 있어서요..그럼 현지 사람들이 드는 보험을 추가로 들거나 사비로 지불해야하거든요. 한번 스페셜리스트 가는데 200불정도 들구요~아이들 있으면 예상치 못하게 병원 갈 일도 있을텐데 그런 점도 고려해보셔야 할것 같아요~싸다고 느낀건 택시비 통신비(한달 30불정도)랑 열대과일 비메이커 옷 다른 중국산 기성품들 인것 같아요~그래도 소득세 안내는 부분이 커서 월급 실수령액은 많이 오르니까 그만큼 저축은 할 수 있는거 같아요~~

  • A

    다른분이 거의 말씀 하셨으니 저는 교육적인 부분을 얘기해 보자면… 과외비 한국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아이가 과외. 학원 없이 스스로 잘 하는 아니라면 한국이든 싱가포르든 지출이 없겠지만  과외없이 어디까지 기대하느냐에 따라 학원을 보낼지 말지가 결정 되겠지요. 로칼학교 보낸다는 전제하에 학원은 과목당월  250-300 사이 이고,  중국어는 필수이니 중국어,  수학, 영어 콤포 정도 보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중학교 입시는 35-40, 고등학교 입시는 과외비가 시간당 50-80 입니다. 영주권자가 아니라면 공립학교 학비도 상당히 비쌉니다.초등이 월 500불 이상  할거에요 x12개월 입니다. . 아이가 아주 어리지 않아서 초등 고학년 나이 이상이면 국제 보낸다고 생각하는게 마음 편하실 겁니다. 로컬 들어 가려면 에이스 시험 치뤄야 하고 그렇게 해서 들어가 금방 중학교 입시 되면 좋은 성적 받기 어려운데 전체 하위 40프로는 익스프레스가 아닌 노멀 코스로 가게 됩니다. 학제 얘기하면 복잡한데 노멀은 익스프레스가 중학교를 4년에 졸업 한다면 5년간 다니게 됩니다. 그 노멀 코스는 다시 아카데믹과 테크니컬로 나눠져 있고요. 이렇게 저렇게 중학교를 마치면 고등학교 입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2년제 JC를 가서 대입을 준비 하느냐, 3년제 전문대를 가느냐, 그 성적도 안되거나 노멀 테크니컬이면 직업전문학교. 또 이렇게 저렇게 JC를 간다면 진짜 대입이니 과외나 학원은 뭐… 말할 필요가 없지요. 아이를 선택의 폭이 넓은 상위그룹에 속하게 하기위해 학원과 과외를 돌릴수 밖에 없는 현실 입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주변에 학원. 과외 없이 스스로 열심히 잘 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결론은 내 아이가 평범하고 공부욕심 없으면 국제 보낸다 생각 하시면 됩니다.    

    1
  • A

    아마 십년전에 그렇게 생각하셨던 이유는 젊었고 아이가 없으셨기 때문일거예요. 저도 아이가 생기긴 전까진 같은 생각이었거든요..아이가 생기면 집도 큰집으로 옮겨야 하고 (비용발생) 먹는것도 아이가 먹는것이니 더 신경 (아이를 호커센터에서 매일 먹일수 없으니 식비도 더 지출) 그리고 기타 과외활동에 학비.... 그리고 아이들..많이 아파요. 아직 스스로를 가눌수 있는 시기가 아니라 예상치 못한 의료비 지출도 생기고요. (예를 들면 축구하다 다리가 부러짐 등등)  이런거 생각하면 한국이랑 비교할수 없이 비싼 나라...맞는것 같아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