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2

기타건강보험에 관한 질문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babe(youngshinp) 2006-06-08
추천수 : 29 조회수 : 1,214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온지도 2년이 다 되어가네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싱가폴에서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엄청난 의료수가에 놀라서 가능하면 다음부터는 한국서 치료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한국을 떠난 이후로 건강보험료를 안내서 지금 자격이 정지되어있는것으…

  • A

    싱가폴에서는, CPF란게 있는데 그중 일부는 건강보험료로 내실 수도 있습니다만, 영주권자나, 현지인에게만 해당이 되므로,, 아무래도 개인이 직접 건강보험을 가입하셔야될것 같네요.. 한 예로,, AIA, PRUDENTIAL etc,,  외국계 건강보험을 가입해도 무관할 것 같습니다. 한국인이라도 싱가폴에서 병원치료정도는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약, 영주권을 받게 되시면 한국 주민등록번호는 말소 신청을 하셔야 되므로 한국의 건강의료보험혜택을 아마도 못 받으실것 같네요.. ( 그리고, 밀린 보험료 를 다시 내시면 보험은 부활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온지도 2년이 다 되어가네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싱가폴에서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엄청난 의료수가에 놀라서 가능하면 다음부터는 한국서 치료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한국을 떠난 이후로 건강보험료를 안내서 지금 자격이 정지되어있는것으로 아는데 다시 부활시키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또한 제가 지금 영주권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영주권이 있을시에도 한국 건강보험 부활이 가능할까요? >해외에 나와있으니 좋은점도 있겠지만 아플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 A

    싱가폴 영주권을 받아도 거주여권(뭐...국민연금 환급등의 이유로...)을 다시 만들지 않았으면 한국의 건강보험에는 영향이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영주권만 받았을뿐이지 한국에서의 기록상으로는 아무런 변화도 없으니... 해외 거주등의 이유로 건강보험을 정지했더라도, 한국 귀국후 건강보험센터에 다시 신고하면 되고, 신고하지 않더라도 일정기간(한달여 정도였던가...??) 한국에 체류하면 건강보험료가 다시 청구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정확하진 않아요...^^; 그러니 필요하다면 바로 신고하시는게 좋겠죠~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온지도 2년이 다 되어가네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싱가폴에서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엄청난 의료수가에 놀라서 가능하면 다음부터는 한국서 치료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한국을 떠난 이후로 건강보험료를 안내서 지금 자격이 정지되어있는것으로 아는데 다시 부활시키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또한 제가 지금 영주권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영주권이 있을시에도 한국 건강보험 부활이 가능할까요? >해외에 나와있으니 좋은점도 있겠지만 아플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Q

NO.21

기타영주권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march() 2006-03-02
추천수 : 9 조회수 : 1,135

영주권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 A

    >남편이 현재 싱가폴 다국적기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P1 EP를 가지고 올 1월부터 일하기 시작했는데요.... > >1. 영주권을 신청하면 장단점이 무엇이 있나요?   - 제 생각에는 영주권 취득시 장점은 향후 님 자녀들이 이 나라에서 학업을 할 경우에 현지인과 같은 대우를 받을 수있다는 점이 있겠구요...각 종 세금 문제도 현지인과 외국인과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싱가폴에서 영구히 사실 계획이라면 영주권 당연히 잇어야 하겠구요..다만 남편 분이 싱가폴에서 계속 일하실 게획이 아니라면 굳이 복잡하게 영주권 신청 하실 필요가 있을까요?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실때 우리나라 주민등록 다시 살려야 하는등 신경 쓰일것 같은데요.. > >2. 최소 6개월은 지나야 신청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게 맞는 말인가요?    - 최소 6개월치 급여 명세서 첨부 해야 합니다. 그래야 일단 신청 자격 주어지구요..P1이라고 해서 무조건 신청만 하면 다 영주권 나오는게 아니라 얼마나 전문적인 잡 포지션인지 이 나라에서 얼마나 희소성이 있는 직업인지 등등 싱가폴에서는 쉽게 찾지 못하는 직업군이어야 합니다.즉 희소가치를 따진답니다. 싱가폴 영주권 심사 까다롭습니다.참고로 제 와이프 어머니 친구분이 현재 싱가폴 이민국에서 일하고 계십니다. 아마 이 부분은 정확할 겁니다. > >3. 한국사람은 영주권을 잘 안준다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 물론 이유가 분명하고 자격이 충분하다면 영주권 취득 쉽습니다..꼭 한국사람이라고 영주권 잘 안주는건 아닙니다. 나라마다 약간 씩 차이를 두고 있는건 사실이지만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이유로 영주권 받기 힘든건 아닙니다. 오히려 인근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등 싱가폴 보다 국민소득이 낮은 나라들은 영주권 심사시 좀 까다롭다고 들었습니다. 이유는 설명 안해도 아시겠죠..얼마전 위나라 국민들도 싱가폴 관광 입국 시 90일짜리 비자 스템프 찍어준다고 들었습니다. 싱가폴에서 90일짜리 부여하는 나라는 미국과 대한민국 두나라 뿐입니다. 이상 제가 아는 한도에서 답변 드렸습니다,,,다른 분들은 저와 다른 이견을 가지신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까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어디까지나  결정은 님께서 하시는 거니까요.. 더운 싱가폴에서 즐거운 생활 하세요... > >전문가님들의 답변을 기대하겠습니다. > >건강하세요.     

  • A

    >남편이 현재 싱가폴 다국적기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P1 EP를 가지고 올 1월부터 일하기 시작했는데요.... > >1. 영주권을 신청하면 장단점이 무엇이 있나요? > >2. 최소 6개월은 지나야 신청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게 맞는 말인가요? > >3. 한국사람은 영주권을 잘 안준다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 >전문가님들의 답변을 기대하겠습니다. > >건강하세요. 저는 영주권 받은지 6개월 정도 되었는데, 딱히 장단점은 모르겠네요. 장점이라면, 5년간 이민국 갈필요 없다는것과, CPF 정도. CPF도 당장은 통장에 들어오는 돈이 상당히 줄어드니깐...필요할 경우엔 단점이 될수도 있고요...^^; 1월부터 근무하셨다면...당분간은 신청 하시지 마세요. 서류 작성하느라 피곤하기만 해요. 저희도 8개월 지나서 한번 신청 했었는데, 거절되었습니다. 정확히 2년 지나서 다시 신청하니 금방 나오더군요.     

Q

NO.18

기타싱에서 살고 싶은뎅...(필독)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베케트(bekett) 2005-04-27
추천수 : 17 조회수 : 1,135

저두 싱가폴에서 살고 싶은데요.. 님들은 모두 어떻게해서 싱가폴에서 사시고 계시나요? 취업으로요? 배우자 따라서요? 싱가폴에서 취업으로 영주권받으려면 Q,P PASS를 받아야 되던데요. 급여도 2,500 (싱달러)이상되어야 동반가족을 데려올수 있고... 그런쪽의 취업 …

  • A

    >저두 싱가폴에서 살고 싶은데요.. >님들은 모두 어떻게해서 싱가폴에서 사시고 계시나요? >취업으로요? 배우자 따라서요? >싱가폴에서 취업으로 영주권받으려면 Q,P PASS를 받아야 되던데요. >급여도 2,500 (싱달러)이상되어야 동반가족을 데려올수 있고... >그런쪽의 취업 PASS 는 좀 까다로운것 같기도 하고요... >싱가폴 국가에서는 유능한 인력을 받으려고 하겠지만요...(IT쪽?) >IT 계열 말고는 2,500달러 이상 받고 PASS 받아서 영주권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다른 방법은 없는건가요? 이상한 소리 같지만 싱가폴에서 진짜루 살고 싶어서요.이 생각이 벌써 3~4년째 머리속에서 뱅뱅 돌고 있음다. >싱에서 거주하는 분들이 모두 IT쪽으로 가시지는 않으셨을것 같은데,,, >가이드,목회자,주재원등 다양하겠지만,, 취업이라도 2,500달러 이상이고 >PASS도 가능한 방법은 없는지요?     

  • A

    여러가지 길이 있습니다. 한국회사 주재원, 현지 취업, 국제 결혼 등등.... 주재원은 한국에서 이쪽으로 발령나니 회사에서 모두 알아서 해 주고요.. 현지 취업은 여러가지 자료를 모으셔서 현지에 있는 외국계회사나 한국계 회사에서 현지채용시 이력서제출, 면접을 통해 취업이 되시면 비자신청하게 됩니다. 취업에 관한 정보는 여기 구직란이나 한인회 구직란, 또는 인터넷구직 사이트등을 보시고 여기 게시판을 옛날 내용부터 차근차근보셔도 많은 정보를 얻을 실 수 있습니다. > >>저두 싱가폴에서 살고 싶은데요.. >>님들은 모두 어떻게해서 싱가폴에서 사시고 계시나요? >>취업으로요? 배우자 따라서요? >>싱가폴에서 취업으로 영주권받으려면 Q,P PASS를 받아야 되던데요. >>급여도 2,500 (싱달러)이상되어야 동반가족을 데려올수 있고... >>그런쪽의 취업 PASS 는 좀 까다로운것 같기도 하고요... >>싱가폴 국가에서는 유능한 인력을 받으려고 하겠지만요...(IT쪽?) >>IT 계열 말고는 2,500달러 이상 받고 PASS 받아서 영주권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다른 방법은 없는건가요? 이상한 소리 같지만 싱가폴에서 진짜루 살고 싶어서요.이 생각이 벌써 3~4년째 머리속에서 뱅뱅 돌고 있음다. >>싱에서 거주하는 분들이 모두 IT쪽으로 가시지는 않으셨을것 같은데,,, >>가이드,목회자,주재원등 다양하겠지만,, 취업이라도 2,500달러 이상이고 >>PASS도 가능한 방법은 없는지요? >     

Q

NO.16

기타국민연금 환급시 제가 영주권자임을 어떻게 증명하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오리너구리(shera) 2004-12-22
추천수 : 83 조회수 : 1,548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이라고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어떻게 영주권자…

  • A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이라고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A

    새로 pr여권 발급받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지금 여권은 보통 여권이고 pr받고나서 몇가지 도장만 꽝꽝 찍혀 있습니다. 그것말고 법적으로 영주권자인걸 증명할만한게 또 뭐 없을까요?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어쩌구 저쩌구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 A

    PR여권이 있는지는 모르겠구요 저는 영주권 처음 받을때 CERTIFICATE를 받았는데요 >새로 pr여권 발급받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지금 여권은 보통 여권이고 pr받고나서 몇가지 도장만 꽝꽝 찍혀 있습니다. > >그것말고 법적으로 영주권자인걸 증명할만한게 또 뭐 없을까요? >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어쩌구 저쩌구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     

Q

NO.15

기타보증인에 대한 질문이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제시카(kdhcmj) 2004-09-23
추천수 : 26 조회수 : 1,081

안녕하세요 10월쯤 들어가서 공립초등학교에 큰애를 보낼려고 하는데 이민국에 보증인을 세우라고 하네요. 유학원은 패키지를 이용해야 보증을 서준다고하고,싱가폴에 아는사람 하나 없는데 대체 어디서 보증인을 구한단 말입니까? 보증인 자격은 영주권이나 시민권이 있는사람중에 월수…

  • A

    >안녕하세요 10월쯤 들어가서 공립초등학교에 큰애를 보낼려고 하는데 이민국에 보증인을 세우라고 하네요. 유학원은 패키지를 이용해야 보증을 서준다고하고,싱가폴에 아는사람 하나 없는데 대체 어디서 보증인을 구한단 말입니까? 보증인 자격은 영주권이나 시민권이 있는사람중에 월수 100만원이상인자가 서야한다고 서류에 나와있습니다. 혹시 보증보험이나 다른 방법은 없는지요? 저희는 신분은 확실한 사람들이거든요. === 보증인은 moe에 소속된 학원이면 학원을 통해서도 가능 합니다. 대게 200불 정도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학원 등록시에는 수업료와 책값외에 등록비(대게 150),스폰서비(대게 200), 학생비자 신청 대행료(대게 150)정도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이가 학교가 선정 되었을 때에는 학교에서는 스폰서를 대행해 주지 않기 때문에 그때는 또 다른 사람을 찾아야 하는데 있습니다. 물론, 어머니께서 같이 계시다보면 좋은 사람을 만나서(이곳의 한국이웃들은 마음들이 너무 좋거든요 - 문제가 해결 될 수도 있구요. 오로지 영어와 중국어를 애들에게 가르치고자 하는 용가만 가지고 준비하고 있는데, 서류상르로 제일 큰 문제가 보증인 문제입니다.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외국어를 모르는 상황에서 초등1학년 들어가면 적응도가 어떻는지요? >애들은 어느정도스트레스를 받을런지요? === 스트레스는 당연히 받지요. 아이들이 말을 안해서 그렇지생각해 보세요. 대단할꺼에요. 제 아이도 3학년을 3개월째 다니고 있는데, 그아이의 마음을 생각하면 어쩔때는 미안하기도 합니다. - 순전히 제 생각이에요. - 반면에 나이가 어릴수록 적응이 빠르다고 합니다. 또래 집단과 어울리면서 말을 배우기 때문도 있고, 어른들과 달리 마음이 순수해서 있는 그대로를 흡수 하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올해 1학년에 입학시킬 생각이신지요? 바쁘실것 같아요. 싱가폴 의 신입생모집이 10월인가 11월에 있는데 우선은 형제가 그학교에 다니는아이가 우선순위, 부모가 그 학교 출신인지가 그다음, 학교와 집이 가까운 학생이 그 다음, 그리고 나서 결원이 생겼을때 외국인 학생을 ... 의 순서로 학생을 입학시키는걸로 알고 있거든요. 한가지 다행스러운것은 요즘, 싱가폴도 아이를 많이 안 낳아서 초등학교는 빈자리가 많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느, 어느 학교에 빈자리가 많은지는 사실 저도 모르지만요. >영어와 중국어 과외를 시켜야 되는지요?  우리나라 복지회관처럼 저렴하게 가르쳐주는데는 없는지요? > === 과외는 시키셔야 될것같아요. 우선은 아이가 빨리 현지에 적응을 해야 아이도 어머니도 마음이 편할테니까요. 그러기 위해서는 제 경험상으로는 개인 튜션을 하시는것이 낳아요. 저 같은 경우는 최소 6개월에서 1년은 생각하고 있거든요. 복지관 같은 곳은.... 들어 보기는 했는데, 어디에 있는지 등등 그런곳은 저도 모르겠어요. 다만 싱가폴의 사교육비가 저렴하지는 않다는것은 미리 알고 계시는것이 낳을 거에요. 그리고 처음에는 개인과외가 효과가 좋은 장점도 있습니다. 좋은 싱가폴의 생활을 만드시기를 바랍니다.     

Q

NO.13

기타싱가폴 영주권 받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토미(tommi) 2004-07-23
추천수 : 3 조회수 : 1,604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

  • A

    싱가폴와서 일 하시면서 차차 생각을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영주권을 받는다고 해서 받는 사람에 대해서 특별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다만 CPF 혜택을 볼수 있고, EP 를 갖고 있는것 보단 이민국을 좀더 덜 가도 된다는 장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시민권을 받는다는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는 겁니다. 한국에서 낸 국민연금은 영주권이 나오면 다 받을수 있다고 합니다. 싱가폴엔 국민의료보험 없습니다. 건강하셔야 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혜택을 보시겠지만, 많은 분들이 여기 의료 시스템이 user 입장에선 한국보다 friendly 하다고 생각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어느 나라던지 일단 와서 한번 겪어 보시면서 생각 하시는게 좋을겁니다. 겉으로 보기엔 한국보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높고 선진국 처럼 보이지만, 좀 특이한 나라입니다.  그리고 복지라는 개념도 별로 없는거 같구요. 국민의 1/4 이 외국인이고, 근로인구의 1/3 이 외국인입니다, 보통 외국인의 pay 가 많이 높구요. 그래서 국민소득이 높아 보이는거 같습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중에 말레이시아 PR 인 사람이 있습니다. MD 라서 소득역시 엄청 높죠. 하지만 여권은 여전히 말레이시아 입니다. 영주권만 있어도 사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굳이 한국국적을 포기하면서 까지 싱가폴 시민일 필요가 있을까요 ? 와서 생활해보시면 한국의 장점을 많이 발견 하실수 있을겁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000만원정도 됩니다만, >현재로선 수급자격이 요원하고, >해외이민자의 경우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취업을 위해 나왔습니다만, 재 입국을 할 생각은 그다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이민을 할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싱가폴시민이 되면 한국의 의료보험제도와 같은 혜택이 있는지요? >또, 만약에 싱가폴영주권을 받고서 나중에라도 다시 미국으로 들어간다면, >미국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받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을까요? >영주권이나 시민권에 대한 이주선배님들의 고견을 주시면 저의 판단의 근거로 삼겠습니다.     

  • A

    결론 부터 제 의견은...  싱가폴은 젋은 시절 나그네로서 잠깐 지나가기에는 좋은 곳. 그러나 여러 정황을 비교할 시에 결코 영주하고 싶은 나라는 아님.   우선 영주권은 직장을 이곳에서 6개월 이상 다니시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이민국에서 심사 후에 영주권을 줍니다. (심사 기준은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 보통 5년 정도의 한정 기간 영주권을 주고 갱신시에 과거 3년 이상 싱가폴 직장 경력을 증빙해야 또 영주권 갱신해 줍니다.  보통 우리가 아는 영주권과 개념이 틀리지요.  즉 직업을 갖고 있는 한 부여되는 영주권입니다.(  결혼해서 영주권을 받은 경우는 또 다릅니다만 그것도 다른 선진국과는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지요) 참고로 저는 이곳 영주권자입니다.  영주권이 있으면 세금이나 cpf 혜택을 받는정도의 혜택이 있지요.   해외 선진국이랑은 여러모로 정말 틀립니다...   윗분이 병원 예를 드셨는데요... 쪼끔 더 보태면... 한번 출산하면 최하 200만원 들지요.여기는 작은병도 큰병도 한 번 걸리면 돈 장난 아니게 듭니다... 전문의 찿아가면 한번 방문에 최소5만원- 8만원 (병원과 처방에따라) , 의사 기다릴려면 최소 40분... 그렇다고 의사의 수준이 높는가하냐면...  좀 의심 스러울 때가 많죠... 보통 주택가에 있는 일반 의원은 한국의 80년대 초반 시골의 보건소 같은 느낌..!!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말이 많지만 그래도 그 정도면 엄청난 혜택입니다!! 그러니 정말 건강해하는데  바깥 날씨는 일년 365일 한국의 삼복 찜통더위, 사무실은 에어콘 땜시 얼어 죽을 지경이지요. 집에서는 부채질도 힘들어 늘어집니다.  입맛도 떨어지고 감기를 달고 삶니다..! 그냥 이곳 삶의 한 부분을 말씀드립니다.  저랑 다른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니 다른 분의 의견도 들어보시고 본인도 직접 경험해 보세요.  개인마다 원하는 삷이 틀리니까요.  그럼 즐거운 입싱되세요! >싱가폴와서 일 하시면서 차차 생각을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 >영주권을 받는다고 해서 받는 사람에 대해서 특별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다만 CPF 혜택을 볼수 있고, EP 를 갖고 있는것 보단 이민국을 좀더 덜 가도 된다는 장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 >그리고 시민권을 받는다는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는 겁니다. 한국에서 낸 국민연금은 영주권이 나오면 다 받을수 있다고 합니다. > >싱가폴엔 국민의료보험 없습니다. 건강하셔야 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혜택을 보시겠지만, 많은 분들이 여기 의료 시스템이 user 입장에선 한국보다 friendly 하다고 생각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 >어느 나라던지 일단 와서 한번 겪어 보시면서 생각 하시는게 좋을겁니다. 겉으로 보기엔 한국보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높고 선진국 처럼 보이지만, 좀 특이한 나라입니다.  그리고 복지라는 개념도 별로 없는거 같구요. 국민의 1/4 이 외국인이고, 근로인구의 1/3 이 외국인입니다, 보통 외국인의 pay 가 많이 높구요. 그래서 국민소득이 높아 보이는거 같습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중에 말레이시아 PR 인 사람이 있습니다. MD 라서 소득역시 엄청 높죠. 하지만 여권은 여전히 말레이시아 입니다. 영주권만 있어도 사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굳이 한국국적을 포기하면서 까지 싱가폴 시민일 필요가 있을까요 ? >와서 생활해보시면 한국의 장점을 많이 발견 하실수 있을겁니다. > >그럼 수고하세요.. > > > >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000만원정도 됩니다만, >>현재로선 수급자격이 요원하고, >>해외이민자의 경우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취업을 위해 나왔습니다만, 재 입국을 할 생각은 그다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이민을 할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싱가폴시민이 되면 한국의 의료보험제도와 같은 혜택이 있는지요? >>또, 만약에 싱가폴영주권을 받고서 나중에라도 다시 미국으로 들어간다면, >>미국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받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을까요? >>영주권이나 시민권에 대한 이주선배님들의 고견을 주시면 저의 판단의 근거로 삼겠습니다. > >     

Q

NO.11

기타자녀들을 싱가폴에 유학시키고 싶으신 분들은...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하늘 사랑(lesgod) 2004-07-14
추천수 : 13 조회수 : 1,051

저는 중어 중문학을 전공한 한국 사람으로 싱가폴인과 결혼해서 싱가폴에 거주한 지 오래되었고 영주권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싱가폴에서 유학중인 한국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하고 있으며 숙소와 학교 알선 및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자녀분들을 …

  • A

    >저는 중어 중문학을 전공한 한국 사람으로 싱가폴인과 결혼해서 >싱가폴에 거주한 지 오래되었고 영주권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싱가폴에서 유학중인 한국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하고 있으며 >숙소와 학교 알선 및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자녀분들을 싱가폴에 유학시키고 싶으신 분께서는 연락바랍니다. >연락처는  6 5 ) 6 7 6 7 - 9 7 5 0   입니다 !     저는 초등5학년의 엄마입니다. 아이와 유학가기전에 답사차원으로 8월중 약3주간 입싱하고 싶습니다. 혹 묵을 믿을만한 한인 홈스테이(교통편한곳)집과 3ㅜ간 입시교육을 해줄 과외교사를 알선해 주실수 있는지요? 학원을 다녀볼려니 학생비자가 필요한것 같더라구요. 그건 시간이 안될것 같아서 과외를 받아봐서 싱가폴 교육에 적응할수있을 지 시험해 볼려구요.홈스테이 비용,괴외비용,10월중의초등편입시험,공립과사립의 입학가능여부,제학년으로의 입학가능여부등이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Q

NO.8

기타싱가폴로 이민갈경우 구직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passion(thqkd48) 2003-12-09
추천수 : 6 조회수 : 1,711

저는 40세의 가장으로서 처와 어린아이 둘을 부양하고 있는데 싱가폴로 이민가고 싶은데요 저도 영주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지, 또 저는 거기서 선박을 부두에 정박시켜주는 도선사(pilot)를 하고 싶은데 도선사를 할려면 어떤과정이 필요하고 어디에다 문의해야 되는지 알고…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은 이민을 받아주는 나라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구요, 영주권도 특별한 경우(국가에 현저한 이득이 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자, 재력가 등/신청자격은 "추가된정보(거주자)"를 열어보세요..)를 제외하고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대해서는 싱가폴에 취업이 되시고 고용비자(EP)를 받으시면 장기간 체류가 가능하시게 되구요, 영주권에 대해서도 더 깊이 생각해 보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신 도선사는 한국에서는 매우 인정받는 직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싱가폴 도선사들의 대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아는 것이 없어서 답변을 드리기 힘든데요, 잘 아시는 분이 계시면 답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성공적인 취업과 원하시는 일들이 잘 진행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저는 40세의 가장으로서 처와 어린아이 둘을 부양하고 있는데 싱가폴로 이민가고 싶은데요 저도 영주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지, 또 저는 거기서 선박을 부두에 정박시켜주는 도선사(pilot)를 하고 싶은데 도선사를 할려면 어떤과정이 필요하고 어디에다 문의해야 되는지 알고 싶군요. 또 거기에선 도선사가 공무원신분으로 분류된것으로 알고 있는데 보통 보수는 얼마나 되는지등 어디에다 문의 해야 되는지 알려주세요. >전 해양전문대학 출신입니다     

Q

NO.7

기타이민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영은(deukwife) 2003-11-21
추천수 : 86 조회수 : 1,600

현재 이곳은 한국입니다 싱가폴에 대해 알고싶어 확인하였더니 한인촌이라는 사이트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다른분들의 글을 읽고 카나다나 미국처럼 이민이란것이 없다는것을 알게되었는데요 저는 한국에서 공무원으로 15년정도 근무하다가 아이때문에 퇴직을 하였구요 남편은 기중기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관심이 있으시다니 참 반갑습니다. 알고 계신 것 처럼 싱가폴은 이민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이곳의 대부분의 한인들께서는 회사 주재원으로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크레인기사이시면 건설쪽이신것 같은데요, 싱가폴내에도 한국 건설업체들이 많이 들어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문의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세한 연락처는 저희 홈페이지 상단의 "한인기업"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건설업체에서 사람이 필요하고 근무가 가능해 지면 회사의 협조를 얻어 비자신청을 하실 수 있구요, EP를 받으시면 가족비자도 함께 신청하실 수 있게 되므로 싱가폴에 거주하실 수 있게 됩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다니는 경우에는 학생비자신청이 가능하구요, 아이들의 모친은 보호자 자격으로 가족비자 신청이 가능해 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익에 관련된 일은 하실 수 없도록 되어 있는데요, 싱가폴 생활에 적응하시면서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직장을 구하셔서 정식 고용비자를 받으실 수도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에서 운영되는 한인업소는 저희 홈페이지 상단에 보시면 "한인업소"란을 보실 수 있구요, 현재 있는 업종을 참조하시면 사업에 대해 구상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일이 생기셨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현재 이곳은 한국입니다 >싱가폴에 대해 알고싶어 확인하였더니 한인촌이라는 사이트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다른분들의 글을 읽고 카나다나 미국처럼 이민이란것이 없다는것을 >알게되었는데요 >저는 한국에서 공무원으로 15년정도 근무하다가 아이때문에 퇴직을 >하였구요 >남편은 기중기 기사 즉 크레인기사 거든요 >무거운물건을 들어주거나 빌딩같은것을 지을때 타워크레인같은거요 >그곳에서도 직장 구할수 있는지 >직장을 구하고 직장을 다니면서 영주권신청을 하는게 정착하기 쉬운지 >아니면 아이들을 유학형식으로 가서 그곳에서 장사같은것을 해서 영주권 >신청을 하는게 정착하기 쉬운지 알고싶습니다 >만약 장사를 한다면 어떤것이 좋은지도..... > >     

Q

NO.6

기타싱가폴 영주권을 얻어 살고싶은데..제가잘몰라서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soft iron(karerase) 2003-11-07
추천수 : 16 조회수 : 1,942

안녕하세요..오늘 처음으로 가입을 했는데요. 싱가폴이 살기가 편한곳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민을 하기로 마음을 정하려 하는데, 제가 아는게 별로 없어서요.. 그곳으로 이민 하신 님들께서 답변 달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이민을 준비 하려면 무…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 참 반갑구요, 한국촌 회원이 되신 것도 축하드립니다. 싱가폴은 나라가 서울보다 조금 더 큰, 작은 도시국가 이기 때문에 이민을 받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싱가폴에 계신 대분의 한인분들은 회사주재원으로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회사나 가계를 열어서 고용비자(EP)를 받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리고 싱가폴에서는 EP를 받으시려면 해당업무에 맞는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계시거나, 학교에서 전공을 하셔야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의 환율은 싱달러 1불에 한화 700원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싱가폴의 물가는 한국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것은 싱가폴사람들의 경우이구요, 저희 한국인들은  한국음식을 한국에서 수입한 음식을 먹게 되기 때문에 한국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싱가폴의 국민 년평균 소득은 25,000불 정도로 한국의 3배에 가깝지만 보통 서민들의 급여는 월 150만원 선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쌀값은 한국의 절반정도로 저렴하구요, 식사비는 한국짜장면 7,000원이지만 싱가폴 현지 국수는 2,000원 정도면 드실 수 있습니다. 싱가폴의 교육은 대부분 영어로 하게되며, 중국어 및 각 인종에 따라 다른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싱가폴 사람들은 2~3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희 한인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학교는 국제학교, 한국초등학교, 로컬학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 안녕하세요..오늘 처음으로 가입을 했는데요. >싱가폴이 살기가 편한곳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민을 하기로 마음을 정하려 하는데, >제가 아는게 별로 없어서요.. >그곳으로 이민 하신 님들께서 답변 달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일단 이민을 준비 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절차는 어떻게 밟아야 하는지요. >그리고 이주를 해서 취업하는데 큰 무리는 없는지 ..? >(참고로 저는 고졸출신이며,직업은 별로 가리는 성격은 아님니다.) >그리고 싱가포르와 한국의 환율차이를 알고싶구요. ^,.^; >평균한달 수입과 시중물가의 차이가 한국과 비슷한지 알고 싶습니다. >(한국은 한달평균수입은 150~200정도이구요.쌀20Kg에 5~6만원정도, >일반 식당 에서 점심식사 비용은 5천원 정도 들어 갑니다.ㅋㅋ) >마지막으로 그곳의 교육환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제가알기론 3개국 언어를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자녀들 교육은 어느나라말로 가르치며, >이민국 사람들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가 따로 있는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불편하시더라도 리플부탁합니다..     

Q

NO.5

기타회사 설립요건에 대한 질의 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ap(capkhc) 2003-10-30
추천수 : 93 조회수 : 1,757

싱가폴에 회사를 하나 만들어야하는데요... 중간에 기표할 회사가 필요해서... 1. 회사 설립요건이 자세히 나와있는 자료를 어디서 찾을수 있을까요? 2. 회사 설립하면서 영주권신청도 가능한지요?    페이퍼 컴퍼니가 될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아래의 질문 밑에 답변을 달아 두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회사 설립요건이 자세히 나와있는 자료를 어디서 찾을수 있을까요? 답변: 아래의 싱가폴 사업자등록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회사 설립요건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보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rcb.gov.sg/ 2. 회사 설립하면서 영주권신청도 가능한지요? 답변: 아래는 싱가폴 이민국에서 요구하는 싱가폴 영주권 신청자격입니다. * 싱가폴 시민권 또는 영주권자의 배우자와 미혼의 자녀(21세 이하) * 싱가폴 시민의 연세드신 부모 * 고용비자(Employment Pass/P 또는 Q비자)를 가진자 * 투자자 또는 기업가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싱가폴에 회사를 하나 만들어야하는데요... >중간에 기표할 회사가 필요해서... >1. 회사 설립요건이 자세히 나와있는 자료를 어디서 찾을수 있을까요? >2. 회사 설립하면서 영주권신청도 가능한지요? >   페이퍼 컴퍼니가 될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4

기타영주권에 대한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ap(capkhc) 2003-10-29
추천수 : 101 조회수 : 2,044

싱가폴에 들어온지 이제 4개월되네요... EP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족(처하구 딸둘)을은 지금 DP가 나올예정이구요... 1. 가족들 DP가 나오자마자 영주권을 신청할수 있는지요.    - 제가 듣기로는 6개월정도 지나야 한다고 들었었는데요. 2. 영주권을 신청하게…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래에 이민국에서 알려주는 영주권에 대한 자료를 붙여 두오니 참고하사기 바랍니다. 그외 질문하신 세금은 영주권 신청이후에도 별 차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국민연금은 급여에 따라 내는 금액이 달라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영주권을 취소하신 후에도 EP는 받으실 수 있지만 다시 영주권을 받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싱가폴 영주권 신청자격 * 싱가폴 시민권 또는 영주권자의 배우자와 미혼의 자녀(21세 이하) * 싱가폴 시민의 연세드신 부모 * 고용비자(Employment Pass/P 또는 Q비자)를 가진자 * 투자자 또는 기업가 * 홍콩 거주자들은 싱가폴의 SMC Management Consultants Pte Ltd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신청장소 * Permanent Resident Services Centre 5th Storey, ICA Building 10 Kallang Road (Next to Lavender MRT station) Singapore 208718 필요한 서류 A) 싱가폴 시민권 또는 영주권자의 배우자 또는 자녀의 경우 * 1 set of completed Form 4 obtainable at the Permanent Resident Services Centre. Applicant is required to complete Part A to Part E and Part G and local sponsor to complete Part F and Part H of the application form (Form 4);    B) 싱가폴 시민권 또는 영주권자의 남편의 경우 * A female Singapore Citizen or Permanent Resident may sponsor her husband for permanent residence. Each application will be considered on its own merits. * Two sets of completed Form 4A (one original and one photocopy) instead of the Form 4. You may obtain the form at the Permanent Resident Services Centre. You will also have to download the Accompanying Notes to Form 4A. This will list the supporting documents that will have to be submitted together with your application.    C) 싱가폴 시민의 연세드신 부모의 경우   * 1 set of completed Form 4 (an original) obtainable at the Permanent Resident Services Centre. You will also have to download the Accompanying Notes to Form 4. This will list the supporting documents that will have to be submitted together with your application.    D) 고용비자(P or Q Pass)를 가진자 * If you are applying under the Professionals/Technical Personnel and Skilled Workers Scheme, you will need to submit 2 sets of completed Form 4A (one original and one photocopy). You may obtain the form at the Permanent Resident Services Centre. You will also have to download the Accompanying Notes to Form 4A. This will list the supporting documents that will have to be submitted together with your application.      E) 투자자 또는 기업가 * Foreign investors with substantial capital and good entrepreneurial track records may apply for permanent residence under the S$1.5 million Deposit Scheme. For more details, please contact: Singapore Economic Development Board 250 North Bridge Road #24-00 Raffles City Tower Singapore 179101 Tel: 6336 2288    F) 홍콩 거주자 * Persons born in Hong Kong or who can show proof that they have or used to have rights of abode in Hong Kong may apply for in-principle approval for permanent residence by submitting an application through: SMC Management Consultants Pte Ltd 51 Cuppage Road #04-05 StarHub Centre Singapore 229469 Tel: 6722 1766 Fax: 6734 8373 비용 입국허가비 100불 재입국 허가비 10불/1년 비자 20불 * 현금카드(NETS)로 지불요망 소요기간 영주권 신청후 소요기간은 약 3개월정도 소요되며, 우편으로 통보받게 됩니다. 만약 신청자의 주소가 바뀐 경우는 반드시 변경되 주소를 미리 알려 주어야 합니다. >싱가폴에 들어온지 이제 4개월되네요... >EP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족(처하구 딸둘)을은 지금 DP가 나올예정이구요... > >1. 가족들 DP가 나오자마자 영주권을 신청할수 있는지요. >   - 제가 듣기로는 6개월정도 지나야 한다고 들었었는데요. >2. 영주권을 신청하게 되면 세금이 올라가나요? >3. 영주권자는 국민연금을 얼마나 내는지요. >4. 영주권을 신청하고 시민권을 안받던지 마니면 영주권을 포기하게 되면 >  추후 싱가폴 EP가 안나온다는 설이 있던데 사실인지요... >     

Q

NO.3

기타재외국민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김혜원(shera) 2003-10-24
추천수 : 24 조회수 : 1,611

제외국민인가...재외국민인가..등록은 외국에 나온지 3개월 지나면 해야된다고 들었는데 나온지 8개월이나 됐고 영주권도 받았기 때문에 꼭 해야될거 같은데 어디서 하면 됩니까? 한국 대사관(영사관?)에 가서 하나요? 갈땐 뭘 준비해 가야하나요? 글고 등록하고나면 한국에서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한국촌이 많은 도움이 되신다니 참 감사합니다. 아래에 싱가포르 한국대사관(http://www.koreaembassy.org.sg/)에서 재외국민등록에 관한 자세한 안내를 복사해 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재외국민등록을 대사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E-mail로 신청하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재외국민등록이란? 재외국민등록은 외국에 거주 또는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대사관에 등록하도록 하여 재외국민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재외국민의 국내외 활동의 편익증진, 행정사무(자녀 전·입학,국내 재산, 은행 관련 업무에 필요한 해외거주 사실확인 등)의 적정한 처리와 기타 재외국민 보호정책의 수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등록대상·등록기간 싱가포르에 계속하여 90일이상 거주 또는 체류자로서, 싱가포르에 주소 또는 거소를 정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다른 외국에 거주하다가 싱가포르로 이주한 경우에는 싱가포르 대사관에 재외국민 등록 이동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등록사항 1. 성명 2. 생년월일 및 주민등록번호 3. 성별 4. 본적 5. 직업 및 소속기관 6. 병역관계 7. 체류목적 및 자격 8. 거주 국내의 주소,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변경신고 위의 등록사항에 변경이 있는 때에는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변경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등록, 변경 또는 이동신고 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은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하여 E-mail 신고를 받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교부신청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의 교부를 받고자 할 때는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교부 신청서에 의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등본의 교부는 본인 또는 대리인이 대사관 영사과에 직접 나와서 받아야 합니다.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발급 수수료 : S$1.00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제외국민인가...재외국민인가..등록은 외국에 나온지 3개월 지나면 해야된다고 들었는데 >나온지 8개월이나 됐고 영주권도 받았기 때문에 꼭 해야될거 같은데 >어디서 하면 됩니까? >한국 대사관(영사관?)에 가서 하나요? 갈땐 뭘 준비해 가야하나요? >글고 등록하고나면 한국에서 주민등록상에 이름이 빠지는걸로 알고있는데, 주민등록증도 소용이 없어지는건가요? >따로 신청 안해도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이 해지가 되나요? 아님 재외국민 등록이랑 상관없이 한국에서 신청 다시 해야하나요. >관청 다니는거 좋아할 사람 없겠지만, 여기 계시판 읽다보면 한국 대사관이 쌀쌀맞기 그지없다는 소릴 넘 많이 읽어서 가기가 꺼려집니다. 뭐 하나 빼먹고 가서 reject (빠꾸)당하기 싫으니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더불어 대사관(영사관)주소도 좀 알려주시구요. >항상 생각하지만 한국촌 사이트 없이 싱가폴에 어떻게 살수 있었을까 생각하며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