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NO.1219
오늘 계약서에 싸인하고 비자 폼을 회사에 보냈는데 이 회사는 정말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번복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비자 신청 취소시 다음 비자 신청시 혹시 저에게 불이익이 있을까요
지금 회사에 메일을 보내시면 됩니다. 크게 문제될거는 없는데... 회사에서 비자신청했으면 신청비가 들었을거에요.. 회사 비자 담당자가 짜증을 낼수는 있을거에요 ㅋㅋ 회사에 정중하게 이메일을 보내서 사정을 말하세요 비자 승인 전, 이후 비자 취소하는것으로 본인에게 불이익 가는것은 없습니다.
NO.1218
현재 잡 오퍼를 받은 상태인데 제가 원하는 곳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플랜B가 4-5개월정도 다니고 그만두고 한국으로 오는 것인데, 싱가폴에서 일해보지 않아서 계약조건이 보통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EP 예정입니다. 1. 수습 3개월 이내에 그만두는 경우 2. 1년 만근…
소득세를 신경쓰세요 거주자와 비거주자 기준은 180일 입니다.. 비거주자일때는 세율이 단일 세율로 적용되기때문에 소득세를 많이 내셔야 할수도 있어요. www.iras.gov.sg 싱가폴 국세청 www.mom.gov.sg 싱가폴 노동청
제 짧은 소견으로는 입사하시기도 전에 퇴사를 생각중이시라면 입사를 다시한번 생각하시길 추천합니다. 싱가포르는 한국 과는 달리 중도에 계약을 혜지하면 불이익이 많아요 말씀하신 대로 월세 같은 경우도 중도에 혜지할 경우 3개월 월세는 기본이고 거게에 + 나머지 계약분에 대해서도 보상을 해야하는 상황이 있을수 있어요 (계약서와 집 주인의 성향에 따라) work contract의 경우에도 최소 x년의 계약을 지키지 않을 경우 돈을 (꽤 큰 금액)을 토해내야 한다는 조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꼭 다시 한번 신중히 고려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계약서를 잘 살펴보세요. 보통 EP의 경우 최소 근무 기간은 없을 거에요. 저는 입사 한 후 5~6개월 이전에 이직할 뻔해서 헤드헌터한테 확인해보니 별 문제 없었어요. 근데 입사 전에 금방 그만 두실 계획이면 싱가폴 이직을 다시 고려해보세요. 해외 이사부터 이것저것 챙겨야 할 게 엄청 많고 윗분 얘기한 것처럼 집렌트 등 이것저것 손해볼 수도 있구요. 만약 대학원 진학 생각하시면 싱가폴에서 회사 다니면서 파트타임으로 대학원 다닐 수도 있어요.
NO.1217
집주인이 아무래도 보증금을 돌려줄 생각이 없는것같고 더이상 싸우기도 지쳐 그냥 포기하고 나가려고 합니다. 보증금이 한달 렌트비 전체였는데 포기시 청소 안하고 그냥 나가도 되나요? 이번달 펍비도 50불 내고 나가야하는데 이것도 안내고 보증금에서 까라고 해도 되는건가요…
NO.1216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 고용 계약을 하게 되었는데요, 좀 의아한 부분이 있는데 싱가포르에 고용 노동법이 확실치 않아서요. 사인하기전에 고용 계약서를 검수 받거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예를들면 싱가포르에서 일하는 한국인 노무사분에게나 노동부에서요. 도와주세요!!…
NO.1215
아래 파크인피니트에 관한 글을 읽다가, 제 옛 경험이 생각나서 아쉬운 마음에 제가 들은 어드바이스를 공유합니다. 참고로 전 싱가포르에 대략 10년째 살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 처음 와서는 대부분 집이나 방을 렌트해서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 좋은 집주인을 만나는게 중…
공유해 주신 팁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께도 많은 도움이 되실 거에요. 저는 지금 세번째 콘도로 이사왔는데...지난 콘도 디포짓 돌려받는데 에너지를 쏟아 붓느라 새로 이사온 곳의 비디오 촬영을 못했내요. 이미 가구들이 다 들어와 있는데 지금 해도 될런지 궁금합니다. 공유해 주신 팁에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습니다. 특정시간대에 뷰잉을 하는 게 다 이유가 있고, 어떤집은 가니까 빈집에 텔레비젼을 틀어놓고 있었는데 그건 주변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꼼수라고 하더군요. 어떤집은 창문을 절대 안열어 놓았는데 그건 아래집 카레요리 냄새가 너무 심해서 꼼수를 부린 거구요. 이웃이 참 어렵지만 시세보다 이상하게 저렴하다면 하자가 있는지 한번 의심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제가 살던 Park Infina 콘도는 private lift 라고 메인 현관으로 들어가는 엘레베이터는 카드키를 스캔하면 자기집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뒷문은 공용계단으로 access가 가능하구요. 저희 이웃떄문에 경찰이 3 번 출동하고 경찰서에 가서 리포트 한것이 추가로 1번, 관리사무소와 경비실에는 더 많은 횟수를 리포트 했었습니다. 문제는 private lift로는 집주인이외에 관리사무소나 경찰이 강제 진입을 할수가 없는데, 4층 할아버지가 집주인 본인이고 문을 안열어주니 들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뒷문으로 경고장을 보내려고 보니 뒷쪽 문을 모두 노란색 duck tape 으로 틈새를 봉인해버렸고 초인종은 아예 전선을 끊어놓았었습니다. 경비와 관리사무소 모두 그 할아버지 또..이러면서 난색을 표하고..결국 제가 management council에 리포트 하겠다고 하니 회의를 한번 열었습니다. 나중에 세번째 경찰이 왔을 때는 경비실에서 그 집에 수도를 잠구고 경찰이 2시간을 기다렸습니다. 그 할아버지가 보통 오후에 늦게 기상하는데..일어나서 물이 안나온다고 경비실에 연락을 해와서 경찰이 들어가 볼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경찰이 왔다간 후에 저희집에 밤 10시에 침입을 시도하고 말리는 경비들에게 쌍욕을 하고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정말 시달린 걸 생각하니...에효... 그런 상황에서도 저희 집주인은 "잘 알겠고 유감스럽지만 내가 어찌 할수 없다. 계약을 일찍 종료할려면 3개월치 월세를 내고 나가라." 이렇게만 답을 하고..그렇게 2달 반을 시달리다가 할아버지가 다른 나라에 갔는지 약을 다시 먹는지 어쨌거나 알수없는 이유로 갑자기 조용해져서 평화가 찾아오고 몇달 안남은 계약기간을 버티고 나왔네요. 제가 살던 집 집주인도 60대 후반 중국인이더라구요. 경찰서에 가서 처음 봤네요. 계약서에 와이프 할머니까지 두사람 이름으로 작성하는 파크인피티아 3층 유닛이었습니다. 정말 두번다시 겪고 싶지 않은 일이네요.
공유해주신 이야기에 감사드려요. 서울과 다르게 여기 싱에서는 콘도마다 플로어플랜도 다르고, 또 말씀해 주신 것처럼 주위환경(이웃하는 윗집, 옆집등등) 등은 살아보지 않는 이상 알 길이 없음에도, 부동산 에이전시에서 알려주는 것에도 한계가 있어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렌트비로 큰돈을 매달 지불하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또 deposit을 돌려 받아야 하니, 안좋은 점이 있다 하더라도 알려주기가 쉽지 않아보입니다. 그래서 말인데, 저희들끼리라도 현재 살고 있는 콘도의 장점, 나쁜점( 이점을 알게 되면 추후 콘도 계약시 참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에서 말할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노비나 콘도 쉐어해주신 것처럼, 일반적인 사실만 나누어도 큰 도움이 되지 되지 않을까요? 관심있으신 분들끼리라도 공유해보고 싶습니다. 쪽지주시던지, 한국촌이 창을 이용하던지 상관은 없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NO.1214
안녕하세요 뉴튼 노비나 지역에 있는 파크인피니아 콘도 3 층에 거주했었는데 혹시나 이 콘도 3 층 2 베드룸을 게약하시려는 한국분이 있으시면 일단 주의하시고 제게 문의해주시면 혹시나 제가 살던 곳인지 아닌지 알려드릴게요. 제가 살던 파크인피니아 콘도에는 한국분 일본분…
안녕하세요. 현재 부동산업을 하고 있습니다. 고생 많으셨네요. 저도 Park Infinia 자주 가는데요 도움이 되는 정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혹시 다른 부동산 중개인 오셔도 말씀하신 내용은 꼭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개인의 입장에서도 1년, 2년 계약하시는동안 세입자와 함께 이런저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한두번 뷰잉해서는 알수 없는 이런 부분들을 미리 알면 이집은 스킵하고 다른 집을 추천해 드리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NO.1213
안녕하세요 처음 입싱하게된 사회초년생입니다 싱가포르 호텔들은 대부분일년에 휴가가 어느정도 있나요? 계약서를 보니까 일년에 7일이던데 괜찮은 건가요? 그리고 호텔이랑 직접 계약하는게 아니고 에이전트랑 진행하게 되는데 괜찮은건지ㅠㅠ 괜히 불안하네요.
안녕하세요~ 벌써 계약에 싸인을 하신 상황이신지. 만약 아직 싸인 안 하셨다면, 여기 싱가폴은 minimum 7일이 paid-leave입니다. MOM에 걸리지 않게 딱 7일만으로 규정을 한 것 같긴한데, 조금 더 네고를 하셔도 될 것 같긴해요. 보통 여기 로컬사람들 보니깐 average로는 12-15일로 잡고 합니다. 참고로 싱가폴은 sick paid-leave를 3개월 후부터는 최대 14일을 따로 줍니다. MOM 링크 참고하세요. https://www.mom.gov.sg/employment-practices/leave/sick-leave/eligibility-and-entitlement Entitlement The number of days of paid sick leave you are entitled to depends on your period of service, up to 14 days for paid outpatient sick leave and 60 days for paid hospitalisation leave. The 60 days of paid hospitalisation leave includes the 14 days paid outpatient sick leave entitlement.
안녕하세요 혹시 에이전트소속으로 계약하신다는건지 에이전트가 대행을 해준다는건지... 에이전트 소속으로라면 절대 하지마세여 에이전트가 중간에서 오티로 나온돈 다 뜯어갈지도 모릅니다... A 호텔에서 근무해도 에이전트 소속으로 호텔 복지 혜택 받지도 못합니다
NO.1212
안녕하세요.이번에 아이 유학으로 싱가폴에거주예정입니다. 이번에 들어가는날 학생비자 인터뷰가 있고 바로 집을 구하려고 하는데요. 부모의 장기체류비자는 아이의 학생비자를 받고 난 후에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비자를 신청만 한 상태에서 콘도 렌트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비자신청한 서류만 가지고도 렌트는 구할수 있더라구요. 집주인과 상의 후 진행하셔도 렌트가능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렌트, 전기(pub)연결까지 집주인에게 우선 연결 해달라하면 해줄겁니다 렌트는 propertyguru.com 에서 condo 찾으실수 있구요. 대개 집주인 에이젼들이 직접 포스팅해서 에이젼 커미션 주실 필요없이 계약도 1년씩 하세요. 처음에 2년을 권할거예요. 1년 살아보고 좋으면 연장한다 하세요.
NO.1211
안녕하세요 oxfordcamp라는 에이전트를 통해서 콘도 플랫의 커먼룸을 렌트해서 살고 있습니다. 평소에 2주마다 오는 청소, 각종 가전 수리 및 집에 발생하는 수리 문제 등을 에이전트가 담당하고 있어서 집에 문제가 생기면 그 회사에 연락을 하면 와서 해결해주는 식…
제 사견입니다만 에이전트가 말씀하신 부분은 법적으로 맞는 부분이에요. 이게 정말 누구 탓인지 자잘못을 떠나서요. 아무래도 법적으로는 불리하시지만 그래도 왠가 합의점을 찾을 수 있다면 좋겠네요. 만약 3개월 미만 계약건 때문에 신고를 하신다면 님이 더 피곤한 상황이 생길 수 도 있어요. 여러가지 법적이 사항인 입주자 보다는 세입자에게 유리한 부분이 대부분이니까요. 잘 해결되길 기원합니다~
NO.1210
안녕하세요. 제목의 글처럼 작년 10월에 재계약을 할때 이것저것 생각하다가 2년 3개월로 재계약을 했는데요... 1년이 다가오는 지금 생각을 해보니까 내년 3월경에는 이사를 해야할거 같아서요. 중간에 나가는 거니까 에이젼피를 내야할거 같은데... 재계약한거고.…
에이전트 피 보다 더 중요한것은 재계약이든 처음 계약이든지 간에, 지금 계약하신 2년 3개월보다 먼저 나갈 경우 아무런 페널티 없이 나갈 수 있도록 집주인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최우선인 듯 합니다. 저희 집주인은 3개월치 집세를 내고 나가든지 살든지 하라고 하던데요. 먼저 집주인과 현재 계약 기간보다 먼저 나갈수 있는지를 상의하셔야 할 듯 합니다. 그리고 어떤 집주인 들은 일찍 나가는 데 동의하는 경우 온갖 구실을 붙여서 보증금을 잘 안주기도 합니다. 오늘 저희 회사 동료에게 들은 경우는..정말 나가야만 하는 상황으로... 매일 밤 소음으로 경찰이 수도 없이 왔다갔다 한 경우...집주인이 계약의 조기종료에는 동의했으나 결국 여러 구실로 2달치 디포짓을 안주었다고 합니다. 이것 저것 다 바꾸어야 한다고..그러면 네가 낼 돈이..000 인데 그냥 디포짓 내에서 내가 해결하겠다는 식으로 나왔다고 합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집주인이 일찍 이사나가는 지에 동의해주느냐의 여부이고, 에이전트 피는 계약서에 잘 나와있겠지만, 일찍 나가는 날짜만큼 일할계산해서 물어내면 됩니다. 예를 들어 7개월 일찍 나가는 거라면 에이전트 피를 7개월 만큼 물어내야 하는 식으로 게약서에 적혀 있더라구요. 계약서를 먼저 보시고 집주인이랑 잘 협상하시기를 바랍니다.
NO.1209
안녕하세요 이제 막 첫 직장에서 오퍼가 컨펌이 됐습니다. 회사에서 제가 비자를 받을 수 있는지 MOM에 확인을 해야 한다고 서류를 작성해서 보내라 해서 제 인적사항 등 적힌 거 써서 보냈구요. 아직 회사와의 계약서는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보통 이럴경우에 1) 승인이…
MOM에 자격요건 체크를 한다는거는 https://www.mom.gov.sg/eservices/services/employment-s-pass-self-assessment-tool SAT 한다는거에요. 이건 본인이 간단히 할수도 있는거에요.. 이것으로 확인후 SP인지 EP가 나오는지 확인 가능하며 그 기준으로 MOM에 비자 신청이 들어가는거에요. 또한 회사와 계약서 사인을 안했다면 오퍼를 받았더라도 확정이 난것이 아닙니다.. 어떤 회사는 사인 다하고도 연락이 없는곳도 있어요 정확히 확인하시는것이 좋을듯 하네요 1. 비자 승인기간 은 요즘 복불복입니다. 2달 걸리는 사람도 있고 2주만에 나오는 사람도 있고 .. 그걸 정확하게 대답해줄분은 아마 없을듯합니다. 2. 회사의 자격요건도 비자승인에 포함되기때문에 본인이 아무리 자격요건이 되더라도 안될수 있어요.. 본인만의 자격요건이 충족하는지를 볼려면 위의 SAT한번 해보세요
NO.1208
안녕하세요 이번달 입싱 준비중에 있습니다. 집을 알아보다가 괜찮은 Cluster house를 발견했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1. 콘도처럼 securiy가 있는지 없더라도 살기에 안전한지 궁금합니다. 2. 보통 저층은 벌레들이 나와서 기피한다고 하시던데…
NO.1207
1년 계약 렌트가 만료되고 1년 재 계약을 하려하는데 에이전트를 끼고 전에 진행했던 던 계약입니다 재 계약시에 다시 에이전트비를 지불해야 한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계약서 상에 재계약시 에이전트 피 내야한다고 되어 있으면 무조건 내셔야하고 아니면 상의 후 낼지 안낼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안냈어요 주인만 내는걸로 알고 있읍니다 에이전한테 말씀하세요 재계약은 에이전피 주인만 내는 걸로 알고 있다고요
첫번째 계약이 끝나고 새로 계약을 하는 시점에서 이전의 에이전트를 그대로 끼고 계약을 하면 에이전트피를 내는 것이고, 나는 에이전트 빼고 직접 집주인 측과 계약을 하겠다고 하면 안 내도 됩니다. 집은 그대로 머물면서 에이전트만 바꾸고 싶다면 다른 에이전트를 끼고 계약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새로 계약을 하게되는 에이전트는 (그 집 계약 만료 시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현재 시점으로서는) 한 일도 없이 돈이 굴러들어오는 격이 되겠지요. 집주인 역시 자기 에이전트를 써도 되고, 새로운 에이전트를 써도 되고, 아예 에이전트 없이 글쓴님측과 계약할 수도 있고, 그건 집주인과 집주인 에이전트 사이의 일이며, 집주인 사정입니다. 살던 집을 그대로 재계약할 경우에는 집주인 측, 글쓴님 측 양측 에이전트들이 한 일이 없기 때문에 새로이 계약 시 계약당사자인 집주인과 글쓴님이 에이전트를 안 쓴다고 해도 아무 이의제기를 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 위의 분께서 쓰신 것처럼 재계약 시에도 에이전트피를 내야 한다는 내용이 첫번째 계약서 상에 있다면 따르셔야겠지요. 만약 그런 조항이 있었다면 이번에는 빼고 계약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에이전트를 빼고 계약을 하면 에이전트비가 절약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약 만료 시점에 에이전트가 있어서 편리한 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양쪽의 장단점 잘 고려하셔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NO.1206
HDB도 아니고 콘도도 아니고 로비도 있고 상주하는 스태프 있는 조그마한 레지던스 빌딩에서 2년 넘게 살았는데.. landlord는 개인이 아니고 이 레지던스 운영하는 업체입니다. 아무튼 이번달까지만 살고 방 빼려고 엊그제 노티스 주고 이거저거 질문을 했는…
1번만 답변 드리자면 방 빼고 14일까지는 주인측에서 보수 상태 체크로 인하여 홀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 달은 금시 초문이네요.
일단 진정하셔요....우린 돈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자나요. 싱가폴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일입니다. 저도 집을 여러번 옮기다보니 여러 성향의 집주인을 만나보니 돈을 쥐고 있는 입장이 집주인이다보니 너무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게 일단 최선이긴 합니다. 지금은 디파짓 금액이 크지 않으시지만 보통 수백만원 혹 천만원도 하니까요. 먼저, 디파짓은 바로 돌려주지 않아요. TA 상엔 14일이긴한데 보통 이 기간을 넘기기 일수예요. 이는 TA를 확인해보세요. 대부분 14일로 되어있었지만 실제로는 20일 이상 걸렸렸어요. 물론 빨리 준 집주인도 있었지만요. 집상태를 꼼꼼하게 보기도 하지만 수리나 청소 이런 저런 견적을 내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빨리 되지 않더라구요. 그 견적에 따라 디파짓에서 offset 해서 줍니다. 그리도 TA 를 보시면 디파짓으로 월세를 낼 수 없다고 명시 되어 있을꺼예요. 그래서 월세를 안내는건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너는거라 봐도 됩니다. 금액이 적어도 집주인쪽에서 액션들어 갈 확률이 큽니다. 이런 상황은 지금은 싱가폴을 떠나시더라도 언제 자신에데 불이익으로 돌아올지 모르니 조금만 진정하셔요. 클레임을 걸어도 월세를 안내면 세입자가 완전 불리합니다. 디파짓을 언제 돌려주는 것 보다 디파짓을 다 받는게 더 중요합니다.
NO.1205
Dbs에서 계좌 열려고 은행갓다왓는데 미니멈 3000달라있어야되는 계좌열어야한다고 하면서 온라인으로 계좌개설하먼 미니멈 없는거 열수있다고 알려줬어요 근데 푸르푸오브 레지덴셜 레터를 유틸리티빌 폰빌 모 이런거 가져오라해서 집 계약한지 한달도 안됫고 어차피 남편이름으로 …
오래전 제가 EP이고, 아이가 DP일때...의 경험에 따르면 EP소유자의 계좌가 있는 은행에서 EP의 reference/sponsor(?)로 별다른 proof of residence가 없는 DP도 별도의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가능했읍니다.
NO.1204
(image) 급하게 귀국하게되어 계약기간1년중 5개월가량만을 채우고 계약을 해지하게되었습니다 (부킷판장쪽에 살구요) 집주인 얘기에 의하면 저희는 우선 1) 입주할때 냈던보증금 한달치와 2) 집주인이 에이전트에게 냈던 금액중 일부 3) 저희계약파기로 인해…
질문하신 3번의 경우 싱가포르에서는 그렇게들 많이 요구해요, 배상을 하라고. 어떤 집주인은 계약서 기간 동안의 모든 월세를 다 내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는데 그래도 4,000불이면 2-3개월 분 밖에 안되네요. 아주 흔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계약서에 보면 2달 전에 계약 해지 통보를 해야한다고 나와 있는데 혹시 갑자기 이사를 해야하는 상황인가요? 그럼 추가로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올리신 계약서에 그렇게 명시돼 있네요~
싱가폴에서 5년이상 살아오신분들이라면 이런경우를 여러번 한국촌을 통해 보셨을겁니다. 렌탈이 2500불이든 1500불이든 상관없이 회사를 퇴사하든 다른나라로 이직하든 이나라를 떠나야 하는 법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이유가 없는한 계약에 동의한다고 본인이 싸인 하셨으니 나머지 기간에 책임지셔야합니다. 반대로 랜로드가 자기 이익을위해 렌트비를 더 주겠다는 사람에게 렌트를 주려고 현재 살고있는 사람을 내쫒으려면 계약서에 동의, 싸인한 기간중 나머지기간의 렌트비를 주며 쫒아내야 하는겁니다. 즉 양측이 서로 싸인한것에대한 법적 책임이 따릅니다. 이경우 랜로드가 그리 심하지 않습니다만 네고하며 사정을 해보시든가 새 테넌트를 구해 놓을테니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네고 하실수 있습니다. 위 솔 솔님 말씀처럼 추가 배상 요구가 올수 있습니다. 잘못된 답변은 자칫 힘든입장에 놓인분들을 돕는게 아니라 혼란스럽게 할수있으니 답변다시는분들 유의하셨으면 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1. 노티스는 언제주었고, 언제 집을 비운다고 했는지요? 또한 (f)항목으로 우편으로 보내지 않았다고 잡아뗄수있을것 같은데, 우편으로 보냈는지요? 안보냈다면 빨리 보내는게 좋을거 같네요. 2. 한달 월세는 얼마인지요? 집주인 에이젠트 비용을 pro-rata로 지불하게 되어있네요. 위 계약서에 보면, 3번은 분명이 전혀 있지도 않고, 2개월 노티스, 혹은, 2달치 월세를 준다라고 되었고, 에이전트 비용을 Pro-rata로 지불해준다라고 되어있네요. 귀국은 분명히 위 계약서에 들어있는 사항입니다. (the Tenant to leave Singapore.....)
NO.1203
안녕하세요. 항상 한국촌을 통해서 싱가포르 생활을 하는데 있어 많은 싱가포르에서 생활하시는 한국분들한테서 좋은 조언을 많이 받았고 그래서 잘 지내고 있는 한 사람입니다. 다시 이렇게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이유는 현재 룸렌트해지 관련해서 문의 드리려고자 합니다. …
너무 오래 참으셨네요. 계약해지하면 ...그런식의 문자가 왔을때라도 바로 소송을 진행하셨으면 손해배상청구도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제가 변호사가 아나라 정확하게 말씀드릴수가 없는데 다행히 증거를 좀 가지고 계셔서 스몰클레임에 가셔서 물어보시고 그다음을 준비하시거나 변호사상담을 받으시던지요. 여기는 영국법을따라서 테넌트가 별로 보호를 받지 못한다고 싱가폴 변호인들이 하나같이 하는 이야기 입니다. 단 딱 두번 손해배상까지 받아 이사 나간 한국분들은 현지변호사님과 일 진행해서 이사비용+계약 기간중 남은기간 렌트비를 받아서 기러기엄마는 한국으로 나가셨고 직장인 남자분은 이사하신걸로 알아요. 케이스마다 달라 또 계약서에 따라 달라집니다. 싱가폴인이 아니라 승소 못한단는 그런생각은 왜 하시는지요? 여기 법정이나 스몰클레임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영국인들이 법관으로 메디에이터가 영국인인으로 함께 일을해서 부정을 저지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혹시 계약서에, 만약 집 공사가 제때 안 이루어 졌을시,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겠다 라는...건 안 하셨는지요? (예를 들어, 한달-2달 미루어 졌을시에 렌트비는 면제해줌) 원래 집 공사라는게 백퍼 계속 미루어 집니다. 특히, 집공사 contractor를 말레이시아쪽 worker들을 썼다면 더 더디어지는게 뻔하고요. 집 들어가서 살때 보통 한달내로 집에 문제 생기면 house owner가 다 책임지고 고쳐주고 빨리 처리해주는게 맞습니다. 오너도 양심없고, agent도 좀 협조를 안해주는 것 같은데 agent가 오너 쪽인지 궁금합니다. 머리아프신 상황일텐데, 여기 한인변호사나 로컬 변호사와 상담을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NO.1202
안녕하세요, 이직 진행 중 문제가 발생하여 답답한 마음에 조언을 얻고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애기들 키우느라 경력 공백이 5년 정도 있어서 작은 회사에서 남편의 EP로 LOC를 받아 1년 전에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던중 지인(사촌)의 소…
MOM이 맞아요....ㅜㅜ 심지어 비자 승인후에도 첫 출근을 하지 않았다면 Employment Act 가 성립되지 않아요. 지금은 그보다도 전 단계이기에 확실히 고용관계가 없기에 보상받기란 불가능해보입니다. 시간과 돈을 투자해도 과연 남는게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새로운 직장을 찾거나 전 직장에 자리가 아직 있다면 돌아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싱가폴에선 전 직장 사람들과 관계가 좋다면 다시 돌아가는건 어려운게 아니니까요. 새 회사를 너무 믿지 마세요. 미국 회사 Opening은 언제든 hold/closed 될 수 있으니 기다리는건 본인만 지치고 힘듭니다. 미국회사만 6번을 다니다 보니 그들의 말을 골라서 걸러듣게 되더군요 새 회사는 방법을 알지만 그 방법을 쓰지 않고 있어요. 간단하게 님에게 EP를 신청하면 됩니다. 하지만 회사가 가능하면 LoC를 선호하는 이유는 낮은 임금을 주고 채용이 가능하기때문이예요. 일정 월급이상이면 LoC가 아닌 취업비자를 발급해야 하고 정말 채용을 원하면 월급과 무관하게 쿼터에 영향받지 않는 EP를 신청하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엔 Offer 에 서명하기전 job title을 포함 계약서를 정말 꼼꼼히 읽어보시고 서명하셔야해요. job title이 다르면 왜 다른지 오퍼에 서명 전에 해결이 되었어야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꼭 주의하셔야해요. 많은 분들이 고용계약서를 꼼꼼히 읽지 않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정말 중요한 부분이고 서명전 고치고 싶은 부분은 고치고 혐상을 마치셔야해요. 저라면 채용 할 직원을 몇 달째 힘든시간을 주고 확실한 해결을 하길 주저하는 회사를 기다리보단 새로운 직장을 찾기를 추천합니다.
NO.1201
안녕하세요. 현재 콘도 살 고 있는데 신식이 아니라 그런지.. 바퀴벌레가 한두번씩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신식 스튜디오로 갈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혹시 계약할때 바퀴벌레가 보이거나 하면 페스트컨트롤 무조건 불러달라는 요런 조항 넣어달라고 하면 넣어줄까요?? …
저희 콘도는 정기적으로 방역한다고 따로 뭐 안해주던데요.. 신축이라도 벌레는 나오더라구요
NO.1200
한국천 통해서 거래하면 에이전트없이 계약된다고 하던데... 어디서는 비자 사증이랑 여권 있으면 가능하다고 하고 어디서는 거주증명서가 필요하다고 하도라구요.. 은행마다 다른건가요?? 비자랑 여권만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지점마다 디포짓여부도 있는곳 없는곳 따로…
거주증명서는 룸렌트 계약서 제시하시면 됩니다. 은행계좌같은 경우는 거의 모든은행이 디파짓 필요하다고 보시면 되구요.(POSB같은경우는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디파짓 필요없습니다) 물론 거주증명서도 필요합니다. 절대 여권이랑 비자로만 발급해주지않아요;;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