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593

생활계좌개설 관련 질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땡전(lovens0103) 2017-12-07
추천수 : 0 조회수 : 1,256

계좌를 만들 때 디파짓이 필요하다고 들었는데 이 디파짓은 나중에 해지할 때 100% 환급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한국에 은행계좌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한국 하나은행에 계좌가 있는 상태) 현지에 있는 동일한 은행에서 계좌를 만든다면 연계가 가능한가요? (원화와 …

  • A

    1. 싱가폴에서 계좌 만들때 일반적으로 말하는 Deposit 이라는 것은 입금 으로 Minimum Balance 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하실겁니다. 즉 '계좌 유지 최소 잔액' 이 되겠죠. 물론 이건 글쓴이분 돈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돌려 받습니다.. 2. 싱가폴에 있는 한국계 은행들은 제가 알기론 개인계좌를 만들수 있더라도 한국과는 별개인 '싱가폴 지점 만의 계좌'입니다. 계좌번호 방식도 다를겁니다. 물론 KRW, SGD이체 가능하나 '실시간'은 아닙니다. 한국으로 송금 신청 시 싱가폴 지점->한국 본점->수취인 계좌 관리 지점 으로 swift라는 것이 발생합니다. 몇시간 걸립니다.(POSB->하나은행 송금도 동일) 3. 신한, 하나 은행등 아마 Minimum Balance가 필요할겁니다. 자세한건 각 은행 Teller와 상담하시길.. 그 외로,, 한국계은행 계좌를 만들면.. 불편하실텐데요. ATM도 없으며 인터넷뱅킹도 사용 불가능, 송금, 출금 신청시 지점 방문 필요, 업무시간 외 주말포함 입출송금 불가....굳이 한국계은행 계좌를 만드실 이유가..ㅎㅎㅎ      

    채택답변
Q

NO.592

생활거주등록과 은행계좌 개설 관련하여 문의드려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haley531(paradies31) 2017-11-07
추천수 : 0 조회수 : 1,318

안녕하세요, 이번주 입국하여 싱가폴에 단기로(약 4개월)근무하게 되었는데요,, 은행계좌 개설할 때 거주등록서 같은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된다... 혹은 우편물(이름과 주소가 직혀있는)로도 인정을 해준다고하는데.. 먼저 단기계약근무여서 거주등록이 어려운상황인데 우편물로…

  • A

    거주지 확인 안합니다. 하지만 증명 서류 자체가 폰빌이나 집 계약서를 요구해서.. 그부분이 명확하다면 문제 없습니다.  (정확한 이름과 주소)     

  • A

    Certificate of Employment 재직증명서를 다니시는 회사에서 발행해 주면 그것을 가지고 은행에 가시면 가능할수 있습니다. 가실때는 본인 여권과 Work Visa 워킹비자카드지참하셔야 합니다. 기간이 단기간이라서 은행계좌 개설여부는 은행의 재량에 달려 있습니다. 재직증명서에는 필히 본인세부사항 이름, 생년월일, 여권번호, Visa Fin number,월급여,직업,근무시작일 그리고 거주지기재와 이를 회사에서 확인한다는 내용이면 됩니다. 그러나 보통 은행계좌를 개설하고 6개월내에 해지하면 위약금($30)이 있습니다. 그리고 초기 보증금($1000)을 내고 $500은행 해약할때 찾을수 있습니다. OCBC은행의 경우입니다. 그리고 매달 통장잔액이 기준금액($1000~$3000)에서 이하이면 수수료($2)가 가산 됩니다.         

    채택답변
Q

NO.587

생활학생 dbs계좌오픈하려면 어떡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1014426(a1014426) 2017-09-30
추천수 : 0 조회수 : 1,811

네이버 검색해보니 proof of residence인가랑.. 신분증, 여권이 필요하다는데 student pass는 있구요.. proof of residence가구체적으로 어떤게 필요한건가요? 제가 한국에서 현재 살고있는 주소로 받은 우편물이 있는데요.. 이런 우…

  • A

    핸드폰 청구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E-mail 로 받는 경우에도 거주 주소 포함 되어 있으니 프린트 해가시면 됩니다.     

  • A

    이미 계좌 오픈 하셨을 것 같지만.. 그래도 답변을 드리자면.. 저는 3월에 개설했구요, 알고계신 것 처럼 proof of residence가 꼭 필요합니다. 저는 집 계약서를 가져갔었구요, 문제없이 개설했었습니다. 저는 e-saving account 였구요 만 29세 이전에는 deposit이나 계좌유지비가 없었습니다. 나이 지나고 계좌 잔액이 3000 SGD 미만이면 계좌유지비가 발생하는 계좌였어요 (deposit은 계좌마다 다를테니 은행에서 꼭 확인해보세요) 개설할 때 갔던 직원분이 별다른말 없이 그냥 해주셔서 다른 옵션이 뭐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주소랑 이런거 저런거 확인하고 간단히 인터넷뱅킹 로그인하는거 설명해주시고 끝났어요. 계좌 관련해서는 개설하러 가셨을 때 직원분과 직접 이야기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저의 경우에는 proof of residence로 쓰려고 계약서 들고 갔는데 어떤 직원분이 검토하시더니 안된다고 까이기도 했습니다. 아파트 처럼 몇 호 이런게 주소 상에 없었던 것 때문에 안된다고 그러더라구요.... 집이 HDB나 콘도 그런 형태가 아니고, 집 하나 지어서 학생들 대상으로 장단기 렌트하는 업체이다보니......근데 이건 다른 지점에 그대로 들고 갔더니 또 별말 없이 넘어가더라구요... (물론 구두로 물어보긴 하는데... 전체가 하나의 집인거라 방 호수 말고는 따로 없다고 그랬더니 별 말 안하시더라구요)  잘 되시길 바래요!!      

    1
Q

NO.585

생활WP비자로 은행계좌 개설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maggy(ssum0711) 2017-09-25
추천수 : 0 조회수 : 2,631

지난 주말쯤 MOM으로부터 WP카드를 받았습니다. HR에서 은행계좌 만들어 오라는데 계좌 개설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요. 거주지 증명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은행 종류는 상관 없습니다. 거주지 증명서류 말고 또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혹시 평일에 늦게 까지 하는 곳이 있…

  • A

    가까운 은행에 가서 물어보세요 여권부터 WP 카드까지 복잡합니다 다만 거주지 증명은 부동산 계약서 공증된 서류로 처리하는 듯 합니다. 은행 문 여는 시간에 일찍 가서 처리하시는게 좋습니다. 다른 시간에 가시면 1시간 이상 대기하여야 살 수도..     

  • A

    Wp 비자시면 회사에서 도움을 받아 posb로 계좌를 만드시던가 아니시면 UOB에서 계좌를 만드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Posb는 회사에서 신청을 해주면 카키부킷이라는 곳에 위치한 wp홀더 전용 지점에 가셔서 디파짓 없이 계좌 오픈 가능하시고(자세한건 hr담당자에게 물어보세요.) Uob의 경우는 디파짓 1000불+여권+워크퍼밋 카드+주소증빙 서류 이렇게 들고 가시면 됩니다. 디파짓의 경우 계좌 오픈하시고 바로 다 찾으실 수 있지만 500불 미만일 시 2~3불 정도 계좌 유지 비용으로 매달 빠짐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게 주소증빙 서류인데요. 집계약서나 싱텔이나 스타허브 같은 큰기업에서 본인 이름으로 주소지에 빌을 보낸 것을 들고가셔도 됩니다. 둘다 없다면 회사에 요청하셔서 주소지 증명서 발급해 달라고 하세요. 회사에서 확인한 레터 있으면 그걸로 사용 가능합니다. 추가로 알려 드리면 다른 은행은 Dbs의 경우는 wp홀더는 계좌 오픈이 안 되고 ocbc의 경우는 디파짓 500불이 홀딩이고 citi의 경우는 디파짓이 비용이 몇천불 합니다.      

    3
Q

NO.584

부동산싱가폴 Condominium 구매 계획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han2017(chobo2017) 2017-09-20
추천수 : 0 조회수 : 6,406

안녕하세요. 11월1일부터 싱가폴에서 EP비자로 새직장에 이직하게 되었습니다. 나머지 가족(와이프, 초등 딸, 유치원 아들)은 1월이나 2월에 이동할 예정인데 집을 어떻게 구할지 고민입니다. 저는 약 1달간 회사에서 제공하는 숙박시설에 머무를 예정입니다. 1달간 가족의…

  • A

    1년 정도 집세 내고 사는것을 낭비라고 생각하시면 좀 그렇습니다만... 대부분 여기 분들 집세 내고 살고 있어요. ㅎ ㅠㅠ 여튼, 1달차와 2달차 1년차에 싱가포르 보는 관점이 많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 A

    집을 알아보실려면 어차피 에이전트 도움을 받으셔야 할텐데, 에이전트와 상의하시면 됩니다. 구매의향이 있다고 하시면 에이전트가 은행담당자 소개 해줍니다. 싱가폴의 구매절차는 은행에서 대출가능한도/%가 확인되는 letter를 받은 후, 조건에 맞는 주택을 보러 다니게 됩니다.  은행심사를 위해 제출하는 서류 중에 NOA (Notice of Assessment = 소득세신고확인서) 가 있으니, 체류기간 & 납세실적도 확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호호2님이 이야기 하는 것처럼 좀더 기간을 두시고 검토하시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1 채택답변
  • A

    글쓴이께서 한국회사인지 외국계 회사(싱가폴 현지 회사)인지 확실치 않지만 우선 말씀드리자면 구매는 하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부동산 또는 자산관리 분야에 있어서 전문가들이 더 많으시겠지만 단순히 rent비 부담으로 인해 구매는 더 부담 되실 수 있습니다.   콘도 구매 비용에 고려하실 부분이 계약금,대출금, 부동산 에이전트 커미션, 인지세(stamp duty)가 대표적인 비용으로 있을텐데 제가 아는 한에서는 먼저 내셔야할 계약금이 20%입니다. 인지세는 15%(외국인 첫 주택 구매기준) 입니다. (출처:https://propertynet.sg/what-is-stamp-duty/)   그렇다면 단순하게 웬만한 콘도를 100만불(약8억원)으로 '대충' 편하게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계산하시면 당장 계약금+인지세(35%)에 필요하신 금액이 35만불입니다. 그리고 계약금은 내 집에 쓰는 돈이라 그렇다치더라도 인지세라는 게 정부에 내는 세금이라 사실상 되찾지 못하는 금액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15만불(약1억2천만원)은 더 쓰시는 금액입니다. 물론, 다소 외곽지역인 Woodlands, Sembawang, Choa Chu Kang, Yishun지역 방3개인 콘도는 40~60만불 대이기에 회사위치, 가족들이 필요한 학교와 편의시설이 만족되는 지역을 선정하셔서 부동산 전문가들과 상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그 이외에  환차손익 가능성과 차후에 혹시 싱가폴 떠나시면서 주택 처분할때 번거로울 수 있는 가능성 등을 고려하신다면 렌트가 유무형적으로 덜 부담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짧은기간 거주하시면서 부담해야할 비용들을 구매와 렌트 중에 비교를 해보셔야 할 것같습니다. 혹여나 싱가폴에서 구매하실 준비가 되셨다면 터무니 없는 생각이지만 차라리 한국에서 주택 구입을 하여 월세를 놓고 그 수입으로 싱가폴의 월세를 부담하시고 상쇄하시면 그나마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주택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새로운 정책들의 변수가 있지만 그래도 싱가폴 정부는 저에게만큼은 돈을 '확실하게, 많이' 걷어가는 정부로 비춰져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아직 나이가 어린편 인지라 전문가들도 계시고 더 좋은 의견들이 있으시겠지만 구매 보다는 렌트를 하시고 다른 곳에서 위험부담을 상쇄하시는 편이 낫다고 조언드립니다.  작은 의견이지만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Q

NO.580

기타Ocbc 적금 이익? 불이익?

  • 답글 : 4
  • 댓글 : 1
답변진행중
dttm(mcgilstudent) 2017-08-06
추천수 : 0 조회수 : 2,890

Ocbc 은행에서 great eastern 보험회사랑 연계한 Maxgrowth enhanced 적금이예요 적금 무지한데 20대중반인 저에게 사망보험을 권하더 라구요 10년약정 월60만원 5년 저금하고 나머지 5년은 제돈안쓰고 보험회사에서 저금해줘서 이자율 챙기기예…

  • A

    10년후 보장하는 원금이 납입한 금액보다도 작다고 이미 말씀하셨네요. 정확히 하자면, 이 상품은 적금이 아니고 보험입니다. 한국에도 있는 저축성 생명보험이에요. 10년 내에 해약하려고 하면 수수료를 더 많이 떼일 거에요. 그리고, 회사 운용실적에 따라 추가 이자를 준다고 하니 10년뒤에 과연 원금만큼이라도 돌려받을지 더 많이 돌려받을지는 완전히 회사 운용실력과 향후 세계경제 상황에 맡기는 거네요. 저 같으면 안할 것같아요. 10년동안 깨지 않고 유지할 자신이 있으시다면 이와 리스크는 비슷하지만, 떼이는 수수료가 적은 펀드상품에 가입하는 게 나아보입니다.       

    1
  • A

    보험이네요 적금이아니고.. 당연히 저라도 안하죠..      

  • A

     먼저, 저는 한국 하나은행에서 비슷한 보험(하나생명)을 들었는데요. 5년동안 매달 일정금액씩 적금을 넣고 다시 5년이 지난후 총 10년만기로 끝나는 보험이예요. 오천만원 또는 1억 만들기 상품이었던거 같아요. 이자율은 보통 적금보다 좋았던거 같고요. 그대신 다른 혜택은 없고 이자율만 조금 높았던거 같아요. 요즘은 은행에서 직접 적금상품을 내놓지 않고 연계된 보험회사 상품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은거 같아요.  두번째로 싱가폴 시티은행에도 비슷한 적금식 보험을 하나 들고 있는데요. 요건 1년에 한번 일정금액을 내는데 5년간 총 5번을 내고..역시 5년이 지난후에 10년 만기로 끝나는 상품입니다. 요 상품도 이자율이 괜찮았던거 같아요. 전 펀드나 투자같은건 잘 모르고..그냥 예금통장에 넣어두면 이자는 거의 없고해서.. 최소한 원금은 보전되는 적금형 상품만 넣고 있습니다. 잘 비교해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