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7

사업/직장WP이직하려고합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tom92(hyunuk92) 2016-04-27
추천수 : 0 조회수 : 3,486

2월달에 취직을 했고 5월달에 이직을하려고합니다 이미 사직서는 냈고, 새로운 직장도 구한 상태입니다. 싱가폴은 비자를 받을때 다른 나라로 나가서 받아야한다고하는데 저는 조호바루를 생각하고있었거든요. 근데 몇몇 주변사람들이 그러길 무조건 한국으로 가야한다고 그러는 겁니…

  • A

    왜냐하면 WP 캔슬 시 회사에서 한국행 티켓을 사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회사에서 티켓을 구매 안해 주셨다면 MOM 사이트에 나와있으니 보여주세요 그럼 사줄겁니다. 그리고 조호바루 갔다가 오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비자가 이미 승인이 났다면 아무곳이나 가셔도 상관이 없 겠지만 WP는 제가 알기로는  싱가포르에 있으면 신청이 안되기 때문에 무조건 다른나라에 있어야 하구요 그 다 음에 신청이 들어가고 승인이 나기 때문입니다. 만약 승인이 안나면 싱가포르에 입국을 할 수 없는 상황도 생기기 때 문이죠. 한국행 티켓이 있다면 비자가 승인이 안나도 티켓 보여주고 나 집에간다 귀국전에 잠깐 여행했다 그러면 되 겠지만 한국행 티켓도 없고 비자도 없고 또 조호바루 갔다가 2틀만에 들어오고 하면 당연히 다 눈치 챌 것입니다.             

    채택답변
  • A

    위에분이 답변 잘 주셨지만 조금더 설명을 보태서 답변드립니다.   작성하신 글로 미루어 볼때 새로운 직장에서도 WP로 이직을 하신것 같습니다. WP의 경우 비자 신청 당시 반드시 해외(싱가폴이외)에 있어야 승인이 나옵니다. 취소 역시 WP를 캔슬하게 되면 고용주는 노동자를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의무로 되어있습니다. 티켓은 요청 할 수 있으나 경유 항공편을 주던 직항공편을 주던 배를 주던 고용주 마음데로 입니다. WP 캔슬시 7일 이내로 출국하여 본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여권 소지인의 여권발행 국가로 돌아가셔야 하지만 WP취소 후 말레이시아나 다른 국가를 경유하여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말레이시아로 가는 것도 혀용이 되는 것 입니다. 출국 후에는 본국으로 돌아가던 돌아가지 않던 관여 하지 않습니다만 반드시 지정한 출국장을 통해서 출국하셔야 합니다. ex) 우드랜드 포인트로 지정하여 WP를 캔슬 하였을 경우 창이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국 하실 수 없습니다. 마찮가지로 항공권을 제출 하신후 티켓을 취소하고 우드랜드로 출국하실수 없습니다.   WP소지한 상태에서 SP나 EP로 이직을 하신 경우 싱가폴에 그데로 체류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새로운 회사에서 일을 시작할 날짜가 잡혀있다면 이미 새 직장에서 신체검사를 받고 새로운 비자가 승인이 난 상태로 생각 됩니다만... 그럴 경우 wp가 아닌 SP나 EP로 진행을 하셨을 거라 생각되네요. 만약 SP나 EP가 아닌 WP에서 비자가 승인이 나지 않은 상태라면 5월 6일 취소하고 10일 일을 시작하기에 조금 빠듯한 시간이 아닌가 생각이 되네요. 5월 6일 오전에 캔슬하고 바로 말레이시아로 넘어가서 오후에 새 회사에서 바로 비자를 신청한다면 토,일주말 지나고 10일 까지 비자가 바로 나올지 모르겠네요. WP비자 받는데 3일은 걸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SP나 EP라면 비자 승인 레터를 MOM에 제출하면 출국없이 캔슬을 허가해주며 스페셜 패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점 있으면 쪽지 주세요^^      

    채택답변
Q

NO.15

사업/직장이직하고싶어요..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진행중
바바바바(kjs2215) 2016-04-13
추천수 : 0 조회수 : 5,273

안녕하세요 . 현재 호텔 f&b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달됬는데 주 6일근무 1400 받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생각하고 온거랑 너무 다르네요 . ㅜㅜ 집값에 생활비하니까 도저히 생활이 안됩니다 . 사무직 쪽으로 이직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요 . 도와주세요 선배…

  • A

    전공이 그쪽이시라면 우선 집에서 용돈을 좀 보탬 받는다고 하고, 경력을 쌓으시길 바래요. 전공과 상관없는 사무직으로 옮기시기엔 너무 빠른 결정 같습니다. 한국에 2017-20년까지 제주, 인천에 많은 리조트들이 생깁니다.  싱가폴에서 경력 쌓으시고 2년후 한국으로 복귀 하시는건 어떠 신가요? 어차피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를 예를 들었을때도 한국은 경력 직만 뽑으니,, 전공이 호텔쪽이 아니시면 당장 옮기시는것도 괜찮을거 같구요.        

    1
  • A

    아무리 인턴이나 무경력이라 해도 1400은 이해불가네요... 여기 호텔업계 월급이 짜다는건 알고있지만 뭔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어떻게 취직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최소한 1800 을 받는다고 호텔에 근무하는 한국인턴으로 들은거 같은데 그것도 2~ 3년 전에요. 지금은 더 물가가 오르고 모든게 상승된 마당에 월급이 점점 더 다운되는 건가요? 호텔경력을 쌓을려면 최소 5성급부터 출발하라고 하고 싶어요. 한국에선 5성급 이하 경력취급 어렵습니다. 그리고 한국인을 정말 필요로 하는곳을 알아보시고, 월급을 조정하시는게 맞을것 같아요... 쥐어짜며 살아도 여기선 1400 으로 당연히 생활 안되죠....집에서 다니는 것도 아니고. 열심히 찾아 보세요. 어딘가에 나은 곳이 있을거예요.... 쉽게 포기하지 마시구요. 한가지 재산이 있으시잖아요?  돈으로도 못사는 젊음! 화이팅 입니다!      

    2
  • A

    저도 호텔 경영을 전공 하였습니다만... 호텔에서 6개월간 Industrial Training 을 한 이후로 호텔쪽에서 일하는 것은 그냥 맘을 접었습니다. 전공이 참 저의 성격과 잘맞고 재밌기는 했는데, 실제로 일을 하다보니, 박봉에 3교대가 쉬운일은 아니더라고요. 돈만 많이 준다면이야 그깟 3교대 쯤이야! 하겠지만 실질적으로 박봉인게 힘들지요.  싱가포르에서 직업을 구하기 위해서는 영어도 영어지만 경력도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신입이면 좋은 자리가 잘 없더라고요.  그런 의미에서 영어가 되신다면 말레이시아 쪽에서 경력을 쌓고 다시 싱가포르로 넘어오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물론 싱달라 대비 하면 얼마 안되는 돈이지만 싱에서 1400 버느니 말레이시아에서 5000-6000 링깃 버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1
Q

NO.12

생활EP승인전 IPA 레터 없이 싱가폴 입국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m6135(m6135) 2016-02-28
추천수 : 0 조회수 : 3,289

내일 한국에서 싱으로 가는데요. 이직하는 회사에서 EP 신청은 저번주 수욜에 했고 아직 승인 안난 상태에서 입국이라 IPA 레터를 이민국에 보여 줄 수 없는 상황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삼개월이내 KL 또는 제 삼국에 가는 티켓이라도 끊을까요? 회사에서 받는 EP …

  • A

    저의 경우는 IPA나 아무런 서류없이 리턴티켓없이 그냥 입국했습니다.. 들어와서 다다음날 패스 신청하고, 며칠있다가 패스나오기도 전에 한국에 갔다와야 해서 나갈때 IPA보여주고 나갔다가 왔죠. 참고하세요..      

  • A

     오늘 입국하시나 보내요. 이 경우 정말 요즘은 복불복 입니다. 만약 글 쓰신분이 젊으신 여성 분이시라면 복불복에서 안 좋은 결과를 받으실 확률이 크고 남자분이시면 그나마 조금 그 확률이 줄어 든다고 생각되네요. 가장 좋은 방법은 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충분한 현금과 리턴티켓이 있는게 좋을 듯 합니다. 만약  복불복에서 나는 안 걸리겠지 라는 생각으로 입국하시다 이미그레이션에서 걸리셔서 입국거부 당하시면 취업비자가 나와도 입국 못 하시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아무조록 현명한 선택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Q

NO.11

사업/직장WP 비자인데 이직할때 어떻게해야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홍디(hj0379) 2016-01-14
추천수 : 0 조회수 : 6,657

제가 일한지 3개월이 되었습니다 한국에전시를 통해 왔지만 한국에서 말하던 금액이랑 여기에 와서 받는 금액이 달라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워크퍼밋이면 이직할때 비자 취소를 하고 다른나라에 나갔다 와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1. 비자 취소후에 다른나라에 가게 되면 …

  • A

    WP비자를 취소하면 일주일안에 싱가폴을 떠나야합니다. 1. 직장을 구하셨다면 하루에도 비자가 승인납니다.     그 회사의 HR에서 얼마나 빨리 업무를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2. 비자가 승인난 상황이라면 리턴티켓은 필요없겠지요.    비자 승인문서를 보여주시면 됩니다 3. 건강검진은 다시 합니다 4, 직장을 구하셨다면 대부분 조호바루로 갔다가 돌아옵니다..      

  • A

    안녕하세요 최근 이직해서 새삶을 살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입니다. 퇴사당시 Worst of Worst한 케이스를 겪어서 Employment Act와 Pass관련 규정을 다 읽고 해석하고 MOM에 고발했었습니다. ㅎ 1.우선 원하는 날짜에 퇴사는 것은 노동자의 권리입니다. wp 취소는 고용주나 인가받은 에이전트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원칙적으로 WP취소는 노동자를 본국으로 보내는 것이 고용주의 의무이기때문에 회사에서 티켓을 발급해주어야 하구요. 경유 항공이나 다른 수단으로도 본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드랜드 체크포인트를 통해서 출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WP취소시 출국일과 출국편을 작성하게 되어있습니다. 회사에 계약서에 작성되어 있는데로 퇴사 노티스를 주거나 계약서 상의 노티스 기간만큼 보상금을 물어주면 본인이 원하는 날짜에 퇴사를 할 수 있습니다. 퇴사 요청을 거부하면 망설이지말고 E-mail같은 증빙 자료를 만들어 MOM에 리포트하세요. Offence Letter 발급대상이며 최소 6개월간 외국인 고용시스템을 이용할수 없게 됩니다. 회사에서 더이상 일을하지 않게된 날 WP는 바로 취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소한 퇴사일로부터 최대 7일 이내에 고용주는 WP를 취소해야 합니다(온라인으로 취소하니 바로 확인하시고 여권이랑 반납할 WP 지참해서 가세요.). 또한 퇴사를 거절하거나 Work PASS를 이용해서 노동자를 괴롭히거나 어떤 불순한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 증명되면 고용주는 벌금과 최소 6개월 이상의 외국인 고용시스템 사용 불가 처분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티스를 주면 회사에서는 퇴사하는 노동자에게 반드시 IR21 form(세금) 작성을 요청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노동자의 동의하에 마지막달 월급은 세금을 위해서 홀딩하게 됩니다. 보통 2주에서 3주가 걸리며 추후에 세금을 처리하고 나머지를 지급하게 됩니다. 6개월 미만이시라면 납부하실 세금이 비율이 조금 많지만 3개월 월급에 대한 것이니 한국돈으로 몇십만원 내외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 SP나 EP가 신체검사까지 마쳐서 완전히 승인이 난 상황에서 발급대기 상태라면 리턴티켓은 필요 없습니다.   3. 건강검진이 일주일이상 걸리므로 SP 승인이 났다면 신체 검사를 먼저 받으시기 바랍니다. WP취소후 Special PASS를 발급받으시는데 체류 가능 기간이 최대 7일 밖에 안되니 반드시 건강검진을 먼저 받으시기 바랍니다. 건강검진을 안받으시고 wp가 취소되면 건강검진 기간 때문에 출국하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4. 이미 새로운 SP나 EP가 승인이 난 상태라면 조호나 바탐 어디든 다녀오셔도 되지만 반드시 MOM에 리포트한 출국장과 출국편을 통해서만 출국이 가능하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약속한 출국날 자정이 지나면 바로 불법체류자됩니다.   추가로 궁금한것이 있으면 쪽지주세요      

Q

NO.9

기타싱가폴 취업에 대해 선배님들게 질문드립니다!ㅠㅠ

  • 답글 : 6
  • 댓글 : 2
답변진행중
로웰씨(dasol9408) 2015-08-18
추천수 : 0 조회수 : 10,699

안녕하세요 현재 싱가폴 취업을 알아보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우선 인터넷에서 정보를 알아보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한국 에이전시한테 상담도 받아보았지만 실제로 싱가폴에 계신 분들의 말씀도 들어보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싱가폴 취업에 언어와 경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들었…

  • A

    1500 은 좀 너무 낮네요. 마케팅이 아니라 세일스를 해도 대졸 신입이 2500은 받을껄요. 그리고 시작 월급이 너무 낮으면 나중에 이직할때도 그 월급을 토대로 인상해서 주기때문에 처음에 잘 받고 들어가는게 중요하다고 들었어요.       

    1
  • A

    죄송하지만 턱없이 작은 금액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저도 대학을 졸업하고 호주에서 컨설팅 firm 에 첫직장을 잡았을때 주급으로 겨우 살아갈 수 있을 정도만 받고 버티었던 기억이 있어서 버티면 버틴다 라고 할수 있지만..글쎄요..... 그 당시에는 3-5년 경력쌓고 한국에 들어갈 경우 연봉을 아주 잘 받곤 했지만, 요즘 추세는 전 직장에서 얼마 받았느냐 라는게 아주 중요해서 그것에 많아야 10% 정도 up에서 주는데가 많아요.  솔직히 싱가폴에 와서 다수의 한국 청년들이 박봉을 받으며 타지에서 일하는것을 보면 마음이 아픕니다.  저의 기억도 다시 되살아 나서 슬픔이 더 하죠. 앞에 글쓰신 분의 말씀처럼 첫직장이라 생각하면 최소 2500 정도는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 현지인들의 경우, 마케팅 전공이라 할때 2500-4000 부터 시작하는 대졸 구직자가 많다고 합니다 (저희 회사 HR에 물어보니).  참고 하십시요.        

  • A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직장생활 1년하다가 얼마전에 싱가폴에 와서 일하고 있는데요. 다른 분들 댓글처럼 1500은 여기 물가 생각했을 때 너무 적다고 생각이 드네요. 프리랜서로 번역일 하실만큼 영어도 잘하시고 중국어도 하신다면 굳이 그렇게 낮은 월급 제시하는 에이전시 통하시지 말고 직접 찾아보시는 것도 해볼만 하다고 생각해요. 대학 졸업 후 1년밖에 안되는 짧은 경력이었지만 저는 에이전시 없이 그냥 혼자 피플앤잡, 링크드인같은 해외취업 구직 사이트 수시로 체크하면서 관심있는 곳 직접 지원해서 오게됐어요. 물론 쉽진 않겠지만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저도 지원할때만해도 이렇게 해서 될까했는데 계속 문을 두드리다보니 지금은 한국에서보다 훨씬 만족스러운 조건으로 좋은 환경에서 즐겁게 일하고 있어요. 에이전시 통해서 기다리는 것보단 직접 여기저기 지원하고 어필하는게 훨씬 빠른 길 일수도 있지 않나 조심스럽게 말씀드려요. 몇 달전까지 저도 확신 안서는 마음으로 싱가폴에 있는 일 찾아봤어서.. 남 얘기 같지가 않아 답변 남겼어요. 모쪼록 좋은 조건에 원하는 일 찾으시길 응원할게요. 더 궁금하신 것 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Q

NO.7

부동산계약 완료 2개월 앞두고 방빼면 보증금 못받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Gorgeous Kim(buttonhole) 2015-03-27
추천수 : 0 조회수 : 2,702

안녕하세요.  이직으로 살던집을 비우고 싱가폴을 떠나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현재 집에서 2년 10개월 동안 살고 있습니다.  처음 2년 계약을 맺었고, 집이 맘에 들어서 1년 재계약해서 살고 있습니다. 근데 1년 재계약 중 10개월만 살고…

  • A

    안타깝지만 어쩔 수가 없네요. 계약대로라면 보증금 포기하셔야죠. 천사같은 잡주인이 아니시라면.     

  • A

    계약은 계약입니다. 이미 Diplomatic clasue가 빠지는 걸 아시고 주인과 고져스킴님이 서로 "계약"을 맺으신 거니까, 계약에 따르는 게 맞다고 봅니다. 집 주인도 생각이 있어서 1년 연장시 그 조항을 빼자고 한 건데, 이제 와서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하는 건 계약과 맞지 않는 것 같아요.  위로보다는 솔직한 답변을 드렸습니다.       

  • A

    미리 diplomatic clause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를 하고 계약을 했고, 두달치 deposit을 지불을 한 경우라면, 계약을 지켜야 하지만, 계약을 잘 못한 점은 1년으로 제계약을 했는 데 2달 deposits를 지불한 건 아니죠. 1달치만 지불했으면 되죠. 양쪽 agent들도  당연히 1년 계약시에는 집주인한테서만 (렌트비가 3천불이상인경우) 반달치를 받아서 나눠가져겠죠. 2년 계약시에는 1달치  참고로 청소나 집상태가 좋지 않게 해놓고 나가는 경우는 당연히 관련청구를 하게 되니 모든 건 정확하게 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그쪽 에이전트가 잘못 언급을 한 것 같은 데 1년계약이라도 diplomatic clause는 항상 들어가죠.        

Q

NO.6

사업/직장디자이너인데 비자 문의합니다. SP 와 EP 차이점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dkhdf(m9103) 2015-02-16
추천수 : 0 조회수 : 4,580

디자이너로 싱가폴에서 현지 회사에서 반년동안 일하고 이직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전 회사에서는 WP 받았고요, 이직하기 전에 한국 다녀왔습니다. 그리고 다시 일을 알아 보고 있는데, 면접 본 회사에서 EP와 SP 중에 내준다고 하는데 어떤 점이 다른가요? 세금이 …

  • A

    같은 급여라면 당연히 EP를 받으셔야 합니다. SP는 회사가 정부에 레비를 내야하고 본인외 배우자나 자녀를 데려올수도 없고 영주권 신청시도 EP가 더 유리합니다. 세금요율과 체류기간은 같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잘 아시는분께 다시 확인해보세요     

  • A

    좀 장문인지라 쪽지 보내 드렸습니다. 확인해 보세요~     

    1
  • A

    ep 받는 것이 유리하지만 ep는 3300 이상 받아야 하고, 조금 MOM이 강화되어 어려운 점이 없지 않아 있을 것으로 압니다. 일단 ep, sp 둘 다 회사에서 MOM으로 신청을 할 수 있구요, MOM에서 EP를 받을만 하면 ep로 주고, 아니면 sp로 줍니다. 일을 관두게 되었을 시, 두 비자의 경우 모두 1달간의 기한을 주고,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아도 되요. 한 달 내에 못구했을 시, 말레이시아에 갔다가 3개월 관광비지 받고 들어올수 있습니다. 세금은 1년에 약 50만원 정도 인걸로 알고 있어요~.(일한 달 수 에 따라 다르지만 6개월-1년기준)      

Q

NO.4

기타job offer 받을 때 꼭 챙겨야 하는게 뭘까요?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진행중
화우(florain) 2011-04-21
추천수 : 2 조회수 : 1,869

연봉이외에 뭘 확인해야하는지 몰라서요. 의료보험이나, 집, 그리고 아이 학비 지원금 까지는 알겠는데 다른사항에 대해 확인해야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CFP(?) 싱가폴 국민연금에는 외국근로자들은 포함이 안되나요? 개인부담금과 회사부담금이 있다고 들었는데 맞…

  • A

    10년의 경험으로 짧게 제 의견을 적어보겠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알고 있는부분이 있으면 아무분이나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세금: 첫해는 면제고 두번재해는 50% 세번째 해부터 다 내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율은 수입따라 적용율이 다르며 IRAS홈페이지에서 수입에따른 세금계산이 가능합니다. 세금 납부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원천징수 아님) 무이자로 GIRO를 통해 매월 내도 되고 한방에 내도 됩니다. 무이자로 내는것이 좋겠죠. 2.CPF(개인연금) - 영주권자에 대해서만 해당됩니다. 영주권자는 20%의 본인 월급에 대해 내고 12-15%(회사마다 다름)는 회사에서 내줍니다. 물론 총액에 대해서는 Cap이 있어 약 950불정도 회사는 540불까지 밖에 안냅니다. 개인연금은 집을 샀을때 대출금 상환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3.기타 챙겨야 할 것 외국회사는 말씀하신 것 외에는 별로 복지 정책이 없습니다. 학비 지원도 굉장히 좋은 조건인데요. 만약 Expat조건이면 다음을 좀 더 우겨볼 수 있을것 같은데요. - 교통비 - 6개월 또는 1년에 한번 전 가족 귀국 항공권 - 초기 이주비 그리고 언제 사표내야하는 Notice Period가 있는데 짧을 수록 좋습니다. 1개월이 보통이죠. 이곳 싱가폴은 Job Market이 매우 활성화 되어 대부분이 바로 일 시작하길 원합니다. 3개월의 Notice Period때문에 저도 좋은 자리 놓친적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회사로 옮길때 현재 Base and Incentive Salary가 기준이 되므로 나중에 학비 지원등 다른 경비를 기본 월급에 넣도록 네고 잘 하세요. 그리고 오시자마자 영주권 신청 바로 하세요. 별로 차이는 없지만 오래 계실꺼면 여러모로 편리하십니다. > >연봉이외에 뭘 확인해야하는지 몰라서요. > >의료보험이나, 집, 그리고 아이 학비 지원금 까지는 알겠는데 다른사항에 대해 확인해야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CFP(?) 싱가폴 국민연금에는 외국근로자들은 포함이 안되나요? 개인부담금과 회사부담금이 있다고 들었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아 그리고 급여에 대한 세금은 일년에 한번만 낸다고 하던데 그것도 맞는지 %는 얼마나 되나요? > >한국에서 싱가폴로 이직하신 선배님들의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2
Q

NO.3

기타싱가폴 취업이민 준비중 입니다. 도와주세요.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collin() 2007-09-09
추천수 : 10 조회수 : 2,296

안녕하세요. 저는 32살 미혼남이며, 현재 저는 싱가폴 글로벌 회사의 한국 지사에 근무합니다. 내년에 싱가폴 본사 사무실로 이직하려고 합니다. 주제원이나 파견이 아닌 이직입니다. 아직 계약은 안했지만, 대략 내년초에 갈 생각으로 준비 중입니다. 올해 안으로 …

  • A

    1) 현재 싱가폴 렌트비가 상당히 올라 있습니다. 콘도는 방 두개 짜리만 렌트하더라도 최소 2,000 정도는 생각 하셔야 할겁니다. 세금은 후불제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올해 번 돈에대한 세금을 내년에 할부로 내죠. 생활비는 전기세, 물세, 가스비 등등해서 월 200불 안쪽으로 나올거구요. 혼자라고 하시면 하숙 하셔도 될거구요 아마 월 1,000 정도면 하숙 하실수 있을 겁니다. 20 Kallang Avenue는 한국으로 치면 구로공단 같은 지역이라고 해야할까요? 대부분의 공장들이 있는 지역이죠. 2) 취업비자는 Job offer가 있으면 바로 가능 할 겁니다. 3) 한국 송금은 자유롭구요. 여러가지 길이 있으니 추후에 찾아보세요. 게시판에 쓰기는 좀 그렇구요... 4) 요즘 영주권을 잘 주는 편이라고 합니다. 취업비자 2년 받으신 후에 1년 6개월 정도 지나면 싱가폴 MOM 이라는 곳에서 영주권에 대한 편지가 올겁니다. 그대 신청하시면 될거구요. 5) 기본적으로 차가 비쌉니다. 쏘나타 2.0이 원화로 3,600 만원 입니다. 옵션도 한국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구요. 기름값은 한국에 비하여 싸지만 자동차세가 비싸고 차량 수리비등이 상당히 비쌉니다.     

  • A

    답변 고맙습니다.^^ > >1) 현재 싱가폴 렌트비가 상당히 올라 있습니다. 콘도는 방 두개 짜리만 렌트하더라도 최소 2,000 정도는 생각 하셔야 할겁니다. 세금은 후불제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올해 번 돈에대한 세금을 내년에 할부로 내죠. 생활비는 전기세, 물세, 가스비 등등해서 월 200불 안쪽으로 나올거구요. 혼자라고 하시면 하숙 하셔도 될거구요 아마 월 1,000 정도면 하숙 하실수 있을 겁니다. >20 Kallang Avenue는 한국으로 치면 구로공단 같은 지역이라고 해야할까요? 대부분의 공장들이 있는 지역이죠. > >2) 취업비자는 Job offer가 있으면 바로 가능 할 겁니다. > >3) 한국 송금은 자유롭구요. 여러가지 길이 있으니 추후에 찾아보세요. 게시판에 쓰기는 좀 그렇구요... > >4) 요즘 영주권을 잘 주는 편이라고 합니다. 취업비자 2년 받으신 후에 1년 6개월 정도 지나면 싱가폴 MOM 이라는 곳에서 영주권에 대한 편지가 올겁니다. 그대 신청하시면 될거구요. > >5) 기본적으로 차가 비쌉니다. 쏘나타 2.0이 원화로 3,600 만원 입니다. 옵션도 한국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구요. 기름값은 한국에 비하여 싸지만 자동차세가 비싸고 차량 수리비등이 상당히 비쌉니다.     

  • A

    글쎄요, 급여만 생각하면 싱가폴이 한국보다 월급이 적은점을 감안하면 나쁘지는 않으나 그것만으론 생활이 불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대부분 외국인들은, 경력자 기준, 회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고있고 그것이 없으면 월급만으론 먹고자고 쓰는데 모든 돈이 들어갈겁니다. 우선 이곳 회사와 계약할때 집값에 대한 보조금을 받아야 합니다. 보통 중간 경력자라고 치면 월 지원금이 2,000~4,000불 정도가 일반적인거 같구요. 당장은 중요하지 않겠지만 자녀들에 대한 학비도 보통 전액에서 70~80% 정도까지는 지원해 줍니다. 인터내셔날 기준이지요.     또한 월 교통비도 회사가 일정금액까지는 지원을 해 줍니다. 한국과 같은 퇴직금이 없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보상으로 pension을 요구해야 하구요. 그리고 의료비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회사에서 어느정도까지 cover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곳은 한국과 같은 의료 보험 시스템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휴가시 home leave ticket도 제공 받을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재 외곽 콘도 기준 방 두개짜리가 보통 월 3,000불 이상입니다. 방하나짜리는 시내 중심으로 있다보니 더 비쌉니다. 취업 비자는 회사에서 대행해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1.6L 가 현금 일시불 기준으로 6만불 정도합니다. 대출을 받으면 1~2만불 더 잡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 >저는 32살 미혼남이며, 현재 저는 싱가폴 글로벌 회사의 한국 지사에 근무합니다. > >내년에 싱가폴 본사 사무실로 이직하려고 합니다. 주제원이나 파견이 아닌 이직입니다. > >아직 계약은 안했지만, 대략 내년초에 갈 생각으로 준비 중입니다. > >올해 안으로 계약 해야겠죠. > >무엇보다 현지 상황에 대한 감이 없어서 현지에 계신 여러분들께서 정보를 주시기 > >바랍니다. 모든게 궁금하지만 압축하면... > >1) 급여조건이 월5500싱달러 인데, 이돈으로 작은 콘도나 아파트빌리고(거실과 방1짜리), >   >   세금내고, 생활비 하고, 저축이 가능 합니까? 부족하니 더 달라고 해도 될까요? >   >   참고로 회사가 있는 동네는 -->>> 20 Kallang Avenue   > >2) 취업비자 특징 및 승인의 절차 > >3) 소득에 대해 한국으로의 송금 조건이 자유로운지... > >4) 나중에 아에 눌러 앉을려면? (시민권을 획득하려면?) > >5) 싱가폴에서 차를 사는 건 거의 불가능 하겠죠? ㅋㅋ; > >그냥 여쭤 보는 것이 아닌, 꼭 알고 싶은 내용이니 도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Q

NO.2

기타싱가폴에 계시는 분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배더러(smi002) 2007-03-26
추천수 : 5 조회수 : 979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한국에서 국내 대기업에 다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큰 무리없이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중에 어느날 헤드헌터를 통하여 싱가폴에 있는 P전자에 포지션이 나서 오퍼를 받은 상태입니다. 하는 일은 제가해오던 일과 유사한것으로 확인은 된상태입니다. 뭐 아…

  • A

    간단히 메일을 드렸습니다. 좋은 판단하시길.....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한국에서 국내 대기업에 다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 >큰 무리없이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중에 어느날 헤드헌터를 통하여 싱가폴에 있는 P전자에 포지션이 나서 오퍼를 받은 상태입니다. 하는 일은 제가해오던 일과 유사한것으로 확인은 된상태입니다. 뭐 아직 영어는 조금 부족한 상태이지만 좀더 노력이 필요한 상태이고 중국어는 아예 하지 못하는 상태이구요. 너무 갑작스럽게 진행된 일이라서 확실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인데 국내에서 직장을 이직하는 것도 아니고 해외로 가서 그것도 외국기업에서 일한다는것이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물론 한편으로는 새로운 세계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있구요. 이미 저와 유사한 경우로 싱가폴에 가셔서 일하고 계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것 같아서 용기를 내어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현재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그곳회사에 가서 적응을 잘할 수 있을지 가 궁금합니다. 물론 개인의 능력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봤을때 한국의 기업과 그곳의 기업의 문화의 차이점이라든지 어떤 점이라도 장점과 단점을 현지에 계시는 분들의 여러 경험담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생활을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도 부디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한국기업에서 해외주재원으로 가는것도 아니고 아예 직장도 외국기업으로 옮기고 사는터전도 옮기는 일이라서 무척이나 갈등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     

Q

NO.1

기타싱가폴로 이민가고픈 이....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이직희망..(foreman74) 2004-11-21
추천수 : 15 조회수 : 1,283

직업은 하드웨어(약간의 firmware)엔지니어인데(경력 5년)... 근데....영어를 잘 못합니다. 그래도 이민이 가능한가여?? ^^; 영어는 꼭 배워서 가야 겠죠??? ^^; 이글을 쓰는 저도 부끄럽네요......^^;     

  • A

    >직업은 하드웨어(약간의 firmware)엔지니어인데(경력 5년)... >근데....영어를 잘 못합니다. 그래도 이민이 가능한가여?? ^^; >영어는 꼭 배워서 가야 겠죠??? ^^; >이글을 쓰는 저도 부끄럽네요......^^; 싱가폴은 이민이 어려운 나라가운데 하나로, 현재 투자이민만 가능(미화 100만불이상으로 알고 있음)하고, 현지 회사 취업을 통해서 고용비자를 받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이민은 아니죠. 나중에 PR을 신청할 수도 있지만.... 아무튼 싱가폴영주권 따는게 미국이나 호주 시민권 따는 것 보다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단기간 유학이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게 아니라면 쉽지않을 거 같습니다. 헌데 왜 싱가폴 이민을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나라도 작고, 먹고 살만한거 정말 업는데..... 모든 정보가 거의 오픈되어, 다른 동남아 국가보다 사업거리도 거의 업죠.     

  • A

    리플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굳이 이민은 아니고요... 한 2~3년 정도 취업을 하면서....견문도 넓힐겸....해서 싱가폴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언어도 영어권이고....(영어도 배울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고..) 그럼 이민이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가는건 괜찮은건가요??? 그렇게 해서 가는거라면 적절한 추천이라도.....^^; 암튼 답변 감사드립니다.....한마디 한마디가 도움이 되네요...(하나도 모른지라...) > >>직업은 하드웨어(약간의 firmware)엔지니어인데(경력 5년)... >>근데....영어를 잘 못합니다. 그래도 이민이 가능한가여?? ^^; >>영어는 꼭 배워서 가야 겠죠??? ^^; >>이글을 쓰는 저도 부끄럽네요......^^; > >싱가폴은 이민이 어려운 나라가운데 하나로, >현재 투자이민만 가능(미화 100만불이상으로 알고 있음)하고, >현지 회사 취업을 통해서 고용비자를 받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이민은 아니죠. 나중에 PR을 신청할 수도 있지만.... >아무튼 싱가폴영주권 따는게 미국이나 호주 시민권 따는 것 보다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단기간 유학이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게 아니라면 쉽지않을 거 같습니다. > >헌데 왜 싱가폴 이민을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나라도 작고, 먹고 살만한거 정말 업는데..... >모든 정보가 거의 오픈되어, 다른 동남아 국가보다 사업거리도 거의 업죠.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