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NO.12854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토익봐야 할 일이 있어서 알아봤는데 여기는 시험이 굉장히 자주 있더라구요.. 한국은 한달에 한번내지 두번 꼴이었는데, 한국에서 시험없을 때도 여기는 시험이 있다는건데 유형이나 난이도나 그런 차이는 없는건가요? 학교 다닐 때, 사설 모의고사…
크게 다르진 않은것으로 아는데 한국에서는 외국에서 본 토익점수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토익시험 치는 사람들은 거진 한국인이랑 일본인뿐이라 시험비용이 한국에 비해 비쌉니다.
NO.12853
한국으로 치면 오피스텔같은 곳이 싱가폴에도 있을까요? 법적으로 문제없는곳이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NO.12852
안녕하세요. 한국나이로 10살(3학년 예정), 국제학교 Y4에 재학중인 아이의 로컬 시험 준비를 위해 Sanyu사립학교(노비나 소재)로 학교 변경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집도 거리상 정말 가깝고요. 기존 글을 검색해보고 주변에 문의를 해봐도 정보가 너무 없어 이곳에 글 …
산유를 경험했던 학부모로서 만족하고 아주 좋은 기억을 남아있어요. 지금은 공립을 다니지만 아이도 산유다니는 동안 재밌게 잘다녔어요. 초딩 저학년을 다녔지만 공부를 꽤 많이 시키고 중국어 수준이 꽤 높았어요. 그덕분에 공립학교 시험을 잘봤어요. AEIS 를 준비한다면 이만한 학교가 없습니다. 분위기는 국제학교와 다릅니다. 엄격하다면 엄격할 수 있고 규율이 공립학교와 다르지 않습니다. 3학년이면 학습 수준도 첨에 좀 따라가셔야할 꺼예요. 산유에서 모든 과목을 잘 따라가는 아이는 공립에서도 중국어 포함 아무 문제 없어요. 채플수업은 걍 제 아이도 잘 들었어요. 큰 딜은 아닌듯해요. 제 아이가 다녔을때는 PE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학교에서 했어요. 요즘에 바뀐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산유는 로컬 공립 커리쿨럼을 반영시킨 학교여서 사립으로 운영되지만 교육과정은 공립과 같다고 들었습니다. 그외사항은 쪽지로
NO.12851
안녕하세요 혹시 싱가폴에 한국인 변호사분이 계실까요? 혹시 알고 계신분은 연락처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말로 자문 받을수 있는분을 찾고있습니다 문자나 쪽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9123-7966
NO.12850
안녕하세요. 운영자님! 한국촌에서 많은 정보와 지식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수영동호회를 한국촌 동호회에 정식으로 등록을 시켜주셨으면 해서 글을 올립니다. 지금 현재 인원은 7명이며, 지속적인 문의와 전화가 오고 있습니다. 한국촌 사이트의 동호회 란에 저희 수영동…
안녕하세요. 한국촌 운영자입니다. 요청주신 내용은 쪽지로 안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NO.12849
안녕하세요. 싱가폴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돌아가 직장을 구하려고 합니다. 제가 한국에서 일할 때는 퇴직 증명서를 당연히 받고 퇴사를 했는데요. 아무래도 한국에서 다시 직장을 구하려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다니는 회사에 문서 포맷을 찾아봐도 퇴직 증명…
일반적인 퇴사절차로 출근 마지막날 세금정산 및 각종 클리어런스를 정리하고 남은 마지막달 급여의 수표와 리자인 노티스를 악셉트 했다는 정도의 답신을 받습니다. 새 회사 조인시 필요할수고 있기 때문에 받아두면 좋습니다. Acknowledge a letter of resignation이나 relieving letter등으로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NO.12848
안녕하세요 한국인이 싱가폴에서 경찰서 또는 수사관련 기관으로 취직할 수 있는 길이 있을까요? 그저 경찰서 같은 범죄수사관련 기관에서 일해보고 싶은거라서 인턴 또는 파트타임이라도 상관없습니다. 혹시 관련하여 아시는 분은 쪽지 주심 감사드리겠습니다!!/
사실 이쪽 전문가도 아니고 정확한 지식은 없습니다만, 싱가포르는 경찰권도 외주를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한국처럼 국가기관이 아니라 사설기관에서 auxiliary police를 맡고 있는 기관들이 있을거에요. https://www.aetos.com.sg/Contact-Us 그 중 하나 기관인거 같은데 이곳에 이력서를 넣고 이런곳에서 경험을 쌓는것은 어떤지요? 제가 님의 현재 상태(취업비자인지, 영주권자인지, 싱가포리언인지) 잘 몰라서 얕은지식이나마 답변 남겨봅니다.
여기도 참고하세요. https://www.theonlinecitizen.com/2014/05/03/more-foreigners-to-be-police-officers/
NO.12847
일반국제학교도 재단이 외국이냐 싱가폴이냐에 따른 차이가 있는것같은데 한국국제교와 다른 국제교는 커리큘럼에서 차이가 많은가요? 중학생되는 아이는 일반국제교 AIS CIS SAIS 이런 곳을 생각하고 있는데 괜찮은가요?
NO.12846
안녕하세요^^ 입싱 한달차 입니다 두달 뒤에 와이프와 아이들이 들어오는데 막내아들 보낼 태권도 찾고있어요 ㅣ 영어는 못해서 한국사범이면 좋겠고 초3또래 아이들 많은 곳으로 추천해주세요 가격이나 분위기 위치 등등
일도태권도 경희태권도 등 있어요. 저희는 아들 둘 일도태권도 부킷티마 보내고 있는데 애들이 좋아해요. 선생님들도 좋구요.경희는 안보내봐서 모르겠네요. 두곳다 구글에 치면 정보떠요.. 페북페이지도 있구요. 학원비는 가물한데 한시간반수업 일주일에 한번가는데 한달에 130-150불 사이요 트라이얼 수업 가능하니 문의해보세요
NO.12845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국에서 싱가포르 해외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입니다. 다름아니라, 최근에 싱가포르 회사(물류/영업) 2군데에서 job offer를 받았고 어떤 쪽으로 선택해서 가야 할지 고민중입니다. 첫번째 회사는 한인 기업으로써 조건은 2000싱달…
1. 최저생활비는 20대 30대 초반 싱글인 경우는 최대한 아낄 수 있는 상황이면 월 1300~1500 정도 되는 것 같긴 합니다. 주거비 600 + 교통비 100 + 통신비 100 + 식비 하루 20불 x 30 = 600 말 그대로 최저생활비 입니다. 인간이 밥만 먹고 사는건 아니잖아요. 음주와 흡연하고 택시타면 기하급수적으로 늡니다. 또 6개월에 한국 다녀오려면 추가적으로 100만원씩 듭니다. 아시겠지만. 2. 케이스바이 케이습니다. 이건 선배들 조언 잘 들으세요. 3. 싱가포르 대졸 초임은 평균 3500~4000 정도 합니다. 그런데 싱가포르 사람과 외국인 노동자 직접 비교 힘듭니다. 싱가포르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싸게 들여와서 쓰는 시스템이 잘 갖춰진 나랍니다. 외국인 청춘들의 젊은을 싸게 사는거죠. 이건 이 게시판 예전 글들 잘 찾아보세요. 여러 취업 분쟁과 갈등, 고민들 찾아볼 수 있을 겁니다. 4. 어려운 문제입니다. 계약 조건이 가장 중요하다는 글들을 이 게시판에서 잘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대졸 초임에 대해서 추가로 답변 드려요. https://stats.mom.gov.sg/Pages/Graduate-Starting-Salary-Tables2017.aspx 여기서 H3. 참고 해보시면 알겠지만, 싱가포르 3개 대학의 2017년 초임 나타낸 표입니다. NUS, SMU, NTU 문이과 졸업자 rough하게 평균내서 알려드리면, 3300 정도 입니다. 그리고, 이 3개 대학은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세계 랭킹에서도 꽤나 잘 쳐주는 대학들입니다. 물류직은 전세계에서도 유독 임금이 짠 편이기도 해서, 2500+a정도면 비경력직으로 처음 시작하는 경우에서는 어느정도 평균적인 offer일듯 합니다. 답변이 좀 두서 없어 졌는데 다시 말씀드리자면, 1. 싱가포르 대졸초임 자체는 높지 않다. 2. 그리고 상기 대학들은 싱가포르에서 초 일류 대학들임 3. 상대적으로 그보단 조금 낮을(이렇게 서열화 하는건 좀 말도안되긴 하지만, Ranking으로 매겨지는 in-out put을 참고했을때) 한국 대학졸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임금 수령예상(대졸 초임의 경우) 4. 경력직의 경우 필요 position이나 이전 경력, 현재 급여등을 바탕으로 협의, 상승폭 매우 큼 5. 그리고 초임이 낮게 시작하지만 4번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개개인이 본인 능력 여하에 따라, 이직 또는 내부에서 임금 상승을 시키는 편 입니다. 윗분 말씀처럼, 최저 생활비가 꽤나 비싼 나라인지라, 상대적인 임금은 외국인 입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누군가의 조언 보다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정보들 잘 모아놓고 본인이 판단하는게 제일 좋을듯 해요. 어떤 결정을 하든 건승하시길 바래요!
NO.12844
안녕하세요. Wp비자 취소 후 귀국을 앞두고 있습니다. Wp비자가 취소되면 싱가폴 내에 일주일 간 머물수 있는 Special Pass가 발급이 되는데 이 Special Pass로 조호바루를 당일치기로 다녀올 시 이 비자 또한 취소되는 것이라 알고있습니다. 그렇…
비자 취소 때 회사에서 MOM에 제출한 서류가 한국가시는 티켓인가요?? 비자 취소를 위해서는 출국하는 날짜와 출국장,교통수단(비행기면 비행기표,버스면 버스)에 대해 등록하게 되어 있습니다.한국가는 비행기표를 등록하여 비자를 취소하셨다면 JB로 못 나가세요. 글을 읽어보니 회사에서 비행기를 등록하셨다고 하셨으니 안 됩니다. 꼭 취소시 등록한 곳으로 출국 하셔야 합니다. 만약 회사에서 JB로 버스타고 나간다고 출국장을 우드랜드 체크포인트로 해놨다면 우드랜드 체크 포인트로 출국 하셔야 하고요. 이런 경우 다시 싱가포르에 들어오시는건 복불복입니다. 한국 가시는 리턴티켓이 있으시다면 들어오실 확률이 높지만요. 입국하실때 좀 많이 이것저것 물어 볼 겁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 드리면 출국하기로 등록한 장소로 그 날짜에 출국하셔야 합니다. 그 기간 안에 타국출국은 불가능합니다.
NO.12843
싱가폴 발령받고 급하게 파닉스 시작하고 있는 8세와 한글 시작하고 있는 6세가 있습니다. 5월에 입싱 예정이라.. 3,4월 한국에서 초등학교 입학했다가 국제학교 입학하려고 합니다. 회사에서 학비지원이 별로 안되어 둘째까지 고려하여 저렴한 국제학교를 찾고 있습니…
쪽지 드렸어요.
NO.12842
한국촌 부동산 란을 통해서 룸 렌트를 하려고하는데 어떤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감이 잡히지않습니다 단기로 방을 구하는사람에게 적합하다고 들어서 찾아보게되었는데요 계약서를 따로 작성하지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그럼 한국인분의 이름으로 집주인과 계약되어있는상태로 살…
지금 질문하신 내용이 매우 민간한 질문이라서 이 글에 대한 답변을 드려도 되는지 판단이 잘 안되네요. 제목에서 급하다고 하셨는데….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하죠? 합법적인 방법으로 싱가포르 에이전트를 통해서 집을 구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전대(sublet)는 싱가포르에서 불법입니다 (전대의 정의는 네이버 사전을 참고바람). 모든 법에는 예외 조항이 있듯, 싱가포르에서도 전대에 대해서 예외적인 조항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작성자분이 찾고자 하는 경로로는 아무래도 전대일 가능성이 매우 (대부분) 큽니다. 법이 매우 강한 싱가포르에서 위법을 하지 않기를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집 주인이 집을 세주는것은 합법이죠. 그런데 그 집을 소유한 기간 및 누가 소유주인가 따라서도 렌트 가능성 여부가 달라지며, 즉 규제가 있습니다. 집의 형태 및 소유주의 조건에 따라서 거주할 수 있는 사람의 수도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해야 하니 에이전트를 통하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제가 집을 구할 때 확인하는 항목은 계약서 상의 집주인이 싱가포르 정부 산하 홈페이지(어디인지 기억은 안나네요)에서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 현재 입주 가능한 인원을 초과하지 않는지 입주 후에는 에이전트에게 입주 후 (stamp duty 완료 후) 제가 그 집의 기록에서 에 거주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요청 (이것은 집주인 발급 가능) 한줄 간단히 말씀드리면, 한국인 집주인으로 된것을 확인하고 (한국인이 실제 구매한 콘도 또는 HDB) 그 집에 세입자로 들어간것을 싱가포르 정부에 보고하는 stamp duty를 하셔야 합니다. 전대와 관련해서 예외 항목을 제외하면, 합법적인 거주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Stamp duty는 우리 나라의 경우에 이사후에 동사무소 가서 주소 옮기죠? 전세나 월세 살 때 안옮기면 뒤에 거기 거주자로 인정안되서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 처럼… 여기는 모든 거주지 변경시 정확한 기간은 기억 안나지만, Singpass로 로그인해서 변경해야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들을 토대로 적은 답글이니 참고만 바랍니다.
한국분이 집주인이 아니라면.....음....그냥 신뢰로 사는거죠머... 집주인이면 몰라도 아니면 계약서는 의미 없어 보입니다. Tenant가 다른 사람에게 렌트를 줄 경우 콘도도 실제 집주인의 허락을 맡아야합니다. HDB subletting 도 아래의 조건이 아니면 허락하지 않습니다. With effect from 1 June 2015: You are not allowed to sublet your premises, except to related companies. Related companies refer to: Sub-tenant which is wholly-owned by the tenant/ licensee or vice versa Tenant/ licensee and sub-tenant are 100% owned by the same parent company Percentage shareholding relationship (not including common individual directors and shareholders) between the tenant/ licensee and the sub-tenant is at least 51% Tenants/ licensees with existing approved subletting to non-related companies or individuals may continue their subletting up till 31 December 2017. Thereafter, they will not be allowed to sublet anymore
NO.12841
안녕하세요 한국촌 회원님들~ 임신해서 이것저것 궁금한게 많아서 질문 많이했었는데, 벌써 출산하고 아기가 다음주면 6개월이에요.. 진짜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네요.. 4개월간의 출산휴가를 끝내고 현재 복직하여 일하고 있는데, 앞으로 아기를 어떻게 해야하나..또다른…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댓글 기능이 안되네요... 아이를 키우는 방식은 부모 철학이 가장 중요하고 그게 사람마다 너무 달라서 이런 글에 대해서 답변달기가 조심스럽지만... 아마 인펀트케어 한번 둘러보셨는지 여쭙고 싶네요.. 아마 둘러보셨다면 답은 이미 나왔을것 같아서요...관리 잘 되지 않아요...그냥 아이들 작은 침대에 가둬두는 정도예요... 세상에 백프로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인펀트케어가 그렇다고 말은 할 수 없겠죠..그렇지만 대부분이 그래요. 전 가장 후회하는게 그 어린나이에 호기심 많고 많이 안아줘야 하는 시기에 인펀트 케어 보낸점이예요. 저도 사정이 있었지만...암튼 그래요. 엄마가 못보는 상황이라면 하루종일 핸드폰만 보는 헬퍼라도. 헬퍼가 보는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NO.12840
2월에 입싱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한국 국제학교 보내려고 하고 있구요. 집은 아직 구하고 있는 중입니다. 처음에 부키티마에서 찾아보다가 마음에 드는 집이 없어서, 한국분들이 많이 사신다는 인터레이스도 고민중입니다. 다만 아이들의 통학버스가 가장 걱정입니다. 혹시…
NO.12839
안녕하세요. 먼저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에게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저는 싱가폴에서 사립 대학교를 졸업 한 후 외국계 대기업에 취업하여 현재 3년째 근무중인 여성입니다. 전공은 business 였지만 워낙 general한 전공이기에 구…
개략적으로 소개하자면 현실 속에서 승진/회사내 성장와 개인적 여유를 조화시킨다는 것에는 어려움이 많죠. 생각해보실 부분은 어느쪽에 우선순위를 먼저 두겠냐는 선택입니다. 20대에 대략 4000/월이라면 괜찮은 편인데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면, 회사내 교육지원제도도 알아보시고 (싱가폴소재회사의 직원 외부교육과 관련하여 싱가폴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들도 있읍니다), 아니면 야간학교에 다니시어 ; 본인이 생각하시는 경력/스펙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실 수가 있읍니다. 이 경우, "여유"는 약 10년후로 미루어 두시는 겁니다. 여유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면, 현재의 자리를 지키면서, 천천히 꾸준하게 싱가폴소재의 다른 다국적기업들에 지원하시면 됩니다. 여유를 가지고 접근하시면 언젠가는 기회가 옵니다. 대부분의 다국적기업 중간관리층은 2-3년 임기로 바뀌므로. 물론, "성장"은 기회가 올때까지 더디어 집니다. 그리고, 한국으로 돌아가셔서, 한국에서 외국계기업에 지원하는 방안 보다는 ; 싱가폴의 다국적기업에 취업하여 내부기회를 활용하여 한국지사로 발령받는 방안을 생각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러 환경 및 조건상 유/불리가 있읍니다.
한국에서 외국계 회사에 다녔고, 다른 외국계 회사랑도 일하다 이직한 20대입니다. 국내기업만큼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국내의 외국계 회사들 대부분 업무 환경이 국내 기업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저는 일에 대한 욕심이 많아서 싱가폴에 왔으나 여유롭기만 하고 실제로 열정을 불태울(?) 곳은 아니라 생각이 들어서 회의감이 들기는 합니다. 물론 이 곳에 있다보니 여유로운 생활에 익숙해져서, 한국가서 다시 치열하게 살 수 있을 지 자신이 없어 아직 남아있긴 합니다. 커리어는 열심히 쌓고 싶은데 여유로운 삶도 포기하지 못한다는 것은 조금 모순이 있는 것 같아 치열하게 커리어를 쌓고 싶은 건지, 아니면 그냥 저냥 여유롭게 살고 싶으냐 중에 뭐가 더 중요한 지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이 곳에서도 치열하게 사는 사람들은, 열심히 (물론 워라밸을 어느정도 포기하고) 커리어를 쌓으며 살고 있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먼 미래에 한국에서 사는 것이 목표인지, 싱가포르에서 머무르는 것이 목표인지도 중요할 것 같네요 :)
NO.12838
안녕하세요? 싱가폴도 한국처럼 큰 식자재 마트나 납품업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소금 10kg, 설탕 10kg같이 데용량ㅇ로 파는 마트나 업체가 있는지요?
Pasir Panjang Wholesale Centre 에 있습니다.
NO.12837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서 세 달 째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방학을 맞아 한국에 2주 정도 갔다 오려 하는데, 많이 긴 기간은 아니지만 휴대폰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유심칩은 한국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가지고 있긴 한데, 통신사에 등록을 하자니 이렇게 …
다른사람들 보니 짦은시간이라도 한국에서 가입한 통신사 정지해둔 것을 풀고 사용하더라구요 아니면 선불 유심칩 구입하시면 될 것 같네요
선불유심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1.공항내 또는 주변 알뜰폰 업체의 유심을 사용 2.GS25등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선불유심 사용 3.KT프라자 선불유심 구입 제가 지난달 한국방문시 여러가지 알아보고 3번으로 사용했습니다. 1번,2번은 업체별로 유심구입비와 통화료가 다양한데 생각보다 싸지는 않았습니다. 3번의 방법으로 한달 유효기간에 2기가 데이터, 유심칩 구입비까지 약 3만5천원 낸것 같습니다. 단기간 KT가입을 하는거라 KT와이파이도 이용가능합니다. 무료제공 음성통화가 적은게 단점인데, 보이스톡을 쓰거나 만원 내외 추가비용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KT대리점에서는 안되고 KT프라자에서만 가입 가능하므로 가까운 위치를 검색해 보시고 가세요.
한국출장이 너무 잦아서 저도 이런저런 방법 다 해봤는데 기존 번호 살려두는게 젤 편하겠지만, 전 온지 오래되서 없앴거든요,, 앤텔레콤이라고 KT알뜰폰 같은 업체에서 공항으로 출장나와주셔서 도착하자 마자 데이터 무제한 유선전화 무제한 해서 기간별 금액만 내고 사용하다 돌아갑니다. 10일기준 출장비까지 5마넌 냈구요 ,, 공항 sk나 kt에서 개통하는 폰은 데이터가 무제한이고 조금 더 저렴한 대신 유선전화가 안되니 일할때 불편하더라구요,, 그렇다고 일반 대리점가서 개통해보니 보이스톡이나 인터넷 많이 쓰면 길거리에서 잘 안터지고 데이터가 너무 빨리 닳아서 불편했구요,, 이것저것 해보니 알뜰 선불폰 심카드 사서 쓰다가 오는게 젤 만족스러웠습니다. 공항이나 본인 집이나 출장가는 회사로 방문출장오시고 개통 15분정도 걸렸던거 같네요~ 그리고 작년11월부로 법 바뀌어서 한국인은 여권으로 휴대폰 개통이 안되더라구요,, 신분증 (주민증이나 운전면허증) 꼭 꼭 지참해서 가세요!!
NO.12836
안녕하세요 작년에 싱가폴 회사에서 오퍼를 받은후 12월부터 EP비자 신청을 해둔상태인데요 연말연초라 그런지 한달이 다되도록 안나오고 있네요 보통 발급 기간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비자 나와서 이동하기전 일단 프리랜서 형식으로 한국에서 일을 하면서 수당을 받고 일을…
전 한달 조금 넘게 걸린거 같아요. 잘 기억나지 않지만 원래 6주안에 올꺼라고 알려줬었던거같네요. 그리고 relocation cost는 계약에 따라 다른거기때문에 계약에 나와있으면 해주는거고 아니면 계약할때 넣어달라고 하던가 아니면 못받는거로 알고있습니다.
싱가폴이 다르다기 보단 relocation 지원은 회사마다 직급마다도 달라요. 싱가폴 올 때도 많은 분들이 받고 오시지만 아니신 분들도 계시구요. 보통 아예 처음 혹은 연봉협상과정에서 relocation지원이 없으면 사전에 지원자의 동의를 얻고 진행합니다.
NO.12835
글 보다보니 원칙적으로 비자심사기간이나 그럴때 혹은 관광비자로 구직은 불법이라고 봤는데요 비자인터뷰같은건 어떤식으로 하셨나요? 제가 현재 거주하는 나라같은 경운 한국에 거주하고 있어서 해당국 한국에 있는 대사관에서 인터뷰하고 비자에 필요한 서류냈거든요 그리고 거기도 …
취업 형태 및 급여에 따라서 WP work permit 또는 EP employment pass가 발급됩니다. 취업이 결정되면 고용주가 알아서 필요한 서류를 보내라고 하고 서류시사를 통해서 승인되면 IPA 라고 승인레터 받고 입국하면 됩니다. 입국후 30 일이내에 이민국 가서 사진찍고 지문 채취하고 그러면 EP 카드가 발급됩니다., 대사관 인터뷰 필요 없습니다.
싱가폴의 취업비자는 절차상 대사관 인터뷰가 없습니다. 피고용인이 외국에 있는 경우 고용주가 고용결정을 하면 신청서 작성에 필요한 서류를 이메일로 제출하면고용주나 에이전트가 MOM에 신청을 할수 있습니다. 신청서의 심사가 끝나면 다음 절차인 지문과 사진등록을 위해 입국을 하며 이때 무비자 협정국가의 여행객이 불분명한 입국사유로 입국시 입국거절이 되는 사례도 있기때문에 비자승인이 나온사람은 IPA 절차승인서를 소지하고 안전하게 입국할수 있습니다. IPA는 비자 종류에따라 최소 2주에서 최대 6개월의 유효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이 기간안에 그 전의 모든것을 정리하고 오시면 됩니다. 고용비자를 내주는 곳은 MOM이지만 출입국은 ICA에서 관리를 하는데 ICA에서 입국이 거절되면 최소 2년 정도는 재입국이 힘들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하며 ICA에 어필해서 풀수는 있지만, 절차적으로 시간이 걸려 MOM에서 비자 승인이 나오더라도 입국거절 기록을 일정기간안에 풀지못해서 취업을 못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구직을 목적으로 입국을 하는것은 불법이 아니지만 확정된 직장이나 연고가 없는 사람이 90일을 체류하면서 불법 체류 노동이나 기타 불법적인 요소에 노출이 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입국시 거절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2010년 쯤에는 EPEC라는 구직 비자 제도가 있어서 당시에는 관광비자에서 고용비자 신청이 아예 되지 않았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그런제도가 없고 특히 한국인은 내국에서 WP신청이 가능하도록 변경되 어느정도는 외국인노동 비자가 완화 된것 같습니다. 다만 급여 상승률 대비 일부 비자의 최소 기본급 조건이 가파르게 오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모든 조건이 명확하다면 문제없이 입국하실수 있으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