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428

부동산구직하러 싱가폴 처음 가는데 어떻게 집 구하는 게 좋을…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완료
gookenhaim(gookenhaim) 2017-03-27
추천수 : 0 조회수 : 2,675

안녕하세요!  구직을 하러 처음 싱가폴로 가려고 합니다 .   1.  크게 여기서 미리 집을 다 구하고 계약하고 간다  2. 집은 여기서 알아보되 거기서 직접 둘러보고 계약한다.    두가지 옵션 중에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집을 계약 안 하고 가면 호텔이…

  • A

    제생각엔 싱가폴에 LTVP를 받으실만한 아무런 연고가 없고 그냥 잡을찾아서 오시는것 같은데 합법적으로 정식 부동산 렌탈 계약은 불가능합니다. HDB 플랫은 아예 계약자체가 성립할수 없구요. 간혹 단기로 콘도의 방을 렌트해주는 에이전트들이 있긴한데 만약 입주자가 소셜비짓패스로 체류중 불법체류관련 문제가 생기면 거주지를 제공한 사람도 처벌이 되기때문에 정식 IC가 없으시면 여권만 가지고는 정식적인 렌탈을 하시기 힘드실겁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상 체류허가가 있는 사람에 한해서 부동산 렌탈이 가능하구요. 부동산(콘도만 가능, HDB해당안됨)을 소유한 외국인이 자신의 친구나 가족이 놀러오는경우 자신의 집에 체류하는것은 문제가 되지않지만 그게아니라면 소셜비짓패스로 오시는 분들은 가급적이면 숙박업소에 묵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한달 단위로 계약을 하시거나 처음입국하실때 90일 도장을 받으면 그기간만큼만 계약을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90일 안에 취업이 되시면 다행이지만 정식 고용비자없이 무리하게 체류를 연장하시다가 입국이 거절되면 수년간 싱가폴에 입국하실수 없으니 주의하시구요. URA나 HDB홈페이지에서 관련 검색을 해보시면 권고사항을 찾으실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3 채택답변
Q

NO.427

생활싱가포르 소득세 관련 문의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영미가바둑이찾는다(yhsuh829) 2017-02-08
추천수 : 0 조회수 : 2,893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싱가포르로 넘어가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게 되었는데, 오늘 회사 인사팀과 이야기를 해보니 싱가포르는 monthly가 아닌 yearly로 세금을 낸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집 구할 수 있는 시간을 일주일정도 제공해주어서 호텔에서 묵을 수 있게 …

  • A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Income-Tax-Rates/ 여기에 나와있구요 일년에 한번 한큐에 낼수도 있고 installment로 나누어 낼수도 있구요. 호텔 머문다고 소득세 더 낸다는 이야기는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지금 호텔 비용을 taxable인컴으로 잡을경우 그럴수도 있긴 하겠네요. 세금은 한국에 비교하며 괜찮은편이네요.      

  • A

    윗분 이야기에 보태서... 싱가폴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소득세신고를 1년에 한번 합니다. 전년도 소득에 대해서 올해 4월15일까지 신고 합니다 (예, 2016.01.01~2016.12.31 소득에 대해 2017.04.15까지 신고) 신고된 소득에 대해서 국세청 (IRAS)에서 검토하여 이상이 없으면 납부고지서 (NOA: Notice of Assessment), 이상이 있으면 소명자료요구를 발송합니다. 신고의무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입니다. 회사의 경리부서 등에 해당업무를 해주는 직원이 있으면, 회사에 "위임"은 가능합니다.   호텔에서 묵는 비용을 회사에서 개인 앞으로 지급처리하였다면.... 본인의 부가소득으로 판단이 됩니다. 따라서 소득이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income tax가 많아진다는 얘기가 됩니다.   EP로 오시는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계약서에 명시된 복리후생 이외에는 없읍니다.        

  • A

    우선 싱가포르에 오시는 걸 환영합니다. 세금 관련은 다른 분들이 이미 설명해 주셨네요. 한가지 부가 설명 드리자면, 세금은 1년에 한번 한국의 종소세 신고 방식으로 합니다.  본인이 신고하고 나면 세무서에서 집으로 세금 납부 통지서를 보내줍니다. (인터넷 신청하시면 인터넷으로 다운 받을 수도 있습니다.) 통지서 받은 후 납부기한내에 납부 하시면 되는데, 일시납부와 월할 납부로 선택할 수 있답니다.월할 납부로 하시고 싶으시면 세무서에 월할 납부하겠다고 GIRO 신청하시면 됩니다.   복리 후생은 회사마다 다르고 계약 마다 다른데요. 싱가포르에서 일하는 외국인으로서 최고의 리스크라 하면 의료비 입니다. 이곳은 의료비가 상상외로 고가이므로, 회사에서 부양 가족까지 의료보험을 들어 주는지 확인해 보시고 가족까지 포함이 안될 경우, 이곳에 정착하셔서 바로 의료보험을 알아 보시길 권합니다.        

Q

NO.425

기타관광비자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입싱하곱(zxzx1306) 2016-12-15
추천수 : 0 조회수 : 2,271

1월31일날 출국해서 4월초에 귀국할예정이에요!  일주일간은 호텔에서 머물다가 친구집에서 지낼생각인데 ! 한 60일정도 머무르는거에대해 크게 문제가 있을까요?! 보통 비자없이 90일 체류가 가능하다고하던데...!      

  • A

    싱가포르에 관광혹은 단순업무로 입국하는 한국 여권소지자는 90일동안 무비자로 체류가 가능합니다. 입국 심사시 입국하실때 작성하신 화이트 카드의 반쪽에 체류기간이 찍힌 도장을 확인하시고 해당기간만큼 체류하시는데는 아무문제 앖을것 같다고 예상해봅니다. 보통 90일을 찍어주는데 입국심사관에따라서는 30일이나 60일을 받은사람도 있다고하네요. 일반적으로는 체류 예정기간과 묵는 숙소를 보고 그냥 도장을 찍어주지만 입국하는 외국인의 행동이 수상하거나 미심쩍은 경우 입국심사관에 따라서는 돌아가는 티켓을 보여달라고하거나 기타 이것저것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문제가 생기시더라도 당황하셔서 더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지마시고 그냥 친지방문 목적으로 관광왔다고 말씀하시면 되구요. 화이트카드 반쪽은 출국하실때 내셔야하니 버리지 마시구요 체류예정일 보다 짧은 기간의 도장을 받으셨다면 ICA에 문의하셔서 체류기간을 연장하실수 있습니다      

    1
  • A

    리턴 티켓과 그 기간만큼의 체류 할 호텔 예약표&여행 자금이 있다면 체류 기간 길게 적으셔도 그냥 통과 하실 겁니다. 하지만 위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무턱대고 체류기간 길게, 리턴티켓 한참 뒤로 끊어 오시면 입국 심사 까다롭고 어쩌면 입국 거부 당하실 겁니다. 그리고 만약 예전에 싱가포르에 방문 하셨던 적이 있으시면 거부 확률 올라갑니다.싱가포르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 입니다. 복불복이죠. 운이 작용 합니다. 요즘 특히 한국 젊은 사람들이 입국 거부를 당하거나 입국 심사를 까다롭게 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걸 한국에서도 알기 때문에 싱 체류 비자가 없는 사람이 편도만 끊어 출국 하려고 하면 한국에서도 리턴 티켓을 사야 출국 시켜준다고 하네요. 그리고 글을 읽어 보니 친구분 댁에서 장기 체류 하시려고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 친구분이 렌트한 방에서 사시고 그걸 이미그레이션에 얘기 하신다면 그것 또한 이미그레이션에서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잘 들어오셔서 몇 달 계시다 가시면 다음번 싱에 오시는건 취업비자 같은 장기 비자를 받고 들어오지 않으시는 이상 입국 가능 확률이 이번보다 확 줄어들 겁니다. 지금까지 내용은 어디까지나 앞에서 말씀 드렸듯이 제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선에 내용이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 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그리고 편법이 있지만 그 방법을 써서 60일에서 90일 체류 비자 도장이 아닌 30일 받으시고 제가 원망을 들을 까봐 말씀 드리지 않겠습니다. 한국촌 게시판에 검색해 보시면 비슷한 질문과 편법이 담겨있는 답변이 많으니 직접 찾아보시고 결정 하세요.     

  • A

    저번에도 관광비자로 입국해서 일하려고 한다고 글올렸던 사람같은데   같은 한국인들 인식 나쁘게 하지마시고   그냥 정상비자취득 후 입국하세요   안그래도 요즘 관광비자로 입국해서 불법으로 술집에서 일하는 호빠선수새끼들이랑   창녀들 때문에 한국인들 이미지가 나빠지고 있는데   본인 배채울려고 엄한사람들 피해주는행동은 하지 맙시다   그리고 입국심사대에서 친구네집에 머물꺼라고 하면 입국심사관 중 몇몇사람들은   친구번호 물어보고 전화도 해보는사람 많아요   60일이내 직장 못구해서 줏어들은말로 조호바루 갔다 오면 된다라고해서 갔다가   추방당하는사람들도 많으니   왠만하면 정식으로 일자리구해서 인터뷰보고 퍼밋레터받고 정식비자 취득받으세요   싱가폴이 한국처럼 만만하지 않아서 거리불신검문도 많고 집요해서   의심가는사람 정해놓고 몇날몇일 몰래 사진찍어서 충분한 증거 확보한후에   벌금 이빠이 떄린다는거 잊지마시고   외국인이라고 벌금 안받고 그런거 없어요 여기는 미국 할애비가 와도   태형 떄릴꺼 다 떄리는나라니깐요          

Q

NO.424

사업/직장호텔취업 관련 질문입니다.

  • 답글 : 7
  • 댓글 : 3
답변진행중
유럽오빠(beba4) 2016-10-26
추천수 : 0 조회수 : 6,032

안녕하세요~ 호텔취업 관련 질문입니다. 싱가포르 호텔취업과 관련해 안좋은 글들이 많네요. 특히 급여가 작다는 점인데.. 저도 에이전시에 물어본 결과 기본급+주택보조금+ 추가근무수당까지해서 1300~1500싱가포르 달러준다는데 , 그 소리 듣자마자 화가나고 어이가 없더…

  • A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 에이전시는 취업시켜야 지원금이 나오기 때문에 취업률에 매진하여 취업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더군요. 싱가폴 경비용역도 1800 이상 받습니다. 1300-1500이면 예전 서비스업종에서 필리핀 (영어가 된다나..??), 건설에서 서남아 등이 받던 급여수준 입니다. 특기사항은 이들은 전부 숙소제공의 조건이었읍니다. 오로지 취업률을 위해, 최하위직종만을 최저의 가격에 제시하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어딜가나 최하위직종은 이직율이 가장 높은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에이전시의 책임은 없겠죠).        

  • A

    에이전시한테 욕한번 시원하게 해주시고 직접찾으시길..     

  • A

    저도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여기 나라자체가 나라크기에 비해서 대체인력이 많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인도/필리핀 등등 영어가능한 대체 인력이 많습니다. 그러니깐 고용주 입장에서는 돈을 많이 줄 필요가 없는것 같습니다. 저분들에게는 저 돈도 본국에서 버는것보다 많기 때문에, 다들 수긍하고 합니다. 조선소나 이런데 가보면 진짜 밑에 일하시는분들 월급이 한국돈으로 70~100만원선정도인데도 계속 자기들 계약 연 장해 달라고 하더라구요. 특히 요새는 영어잘하는 필리핀분들이 많이 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겔랑이나 이런데 가보시면 압니다. 이 분들 진짜 적은 월급 받으시고, 숙소비 없어서 밖에서들 주무시곤 합니다ㅠ 한국인분들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현상인것 같습니다.ㅠㅠ      

Q

NO.423

사업/직장wp 퇴사후 리턴티켓과 급여문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omic99q(kjs2215) 2016-10-20
추천수 : 0 조회수 : 2,346

오늘 10월 20일 리자인신청했습니다. 원래 2주뒤에 그만둘수 있다는데 매니저가 니가 원하면 이번주까지만 하고 그만둬도 된다고 해서 이번주까지하고 그만두기로했습니다. 그대신 2주 치 월급 을 제가 현금으로 지불 해야 된다네요. 일단 지불했는데 hr에서 이번달 월급은 묶…

  • A

    리턴티켓은 한달 아니 그이하를 일하더라도 WP가 발급되었다면 취소할때 무조건 본국으로 돌아가는 티켓을 제공하는 것이 맞습니다. 혹시 계약서에 리턴티켓과 관련된 내용이 있고 거기에 사인을 하신거라면 어쩔수 없구요. 일단은 MOM 사이트에 면담을 할수있는 창구가 있으니 가장 빠른 날짜로 예약을 잡으시구요. 지금까지 퇴사진행 과정에 주고받은 이메일, 메세지 각종 영수증 질 준비하셔서 가세요. 그리고 MOM에 간다고 에이전트랑 고용주에게 말하시구요. 가급적이면 앞으로 일어난 일들의 기록을 명확히하기위해 이메일로 주고받으세요. 다시 정리하면 1. 보통 퇴사시 한달정도 미리 리자인레터를 제출하여 그 기간중에 소득세를 정산하는 것이구요. 외국인 노동자가 개인 소득세를 납부하도록 확인하는것이 고용주에게 의무가있습니다. 하여 마지막달 급여를 홀딩하는데요. 직접 IRAS에 세금정산 신청을 하실수도 있지만 그동안의 페이슬립을 다 모으고 이런저런 폼을 작성하셔서 오늘 내시더라도 2~3주 정도 걸립니다. 2. 티켓은 WP를 신청한 고용주가 무조건 비자취소후 노동자를 본국으로 돌려보내야할 의무가 있구요 Wㄹㄹ 취소할때 귀국 증빙 서류로 일반적으로 비행기 티켓을 등록하여 취소절차를 끝낼수있습니다. 일단 비자가 취소되기 전까진 출국하지 마시고 문제를 다래결하시고 가시길 바랍니다 그럼 원만히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Q

NO.421

부동산워킹비자없이 아기랑 2달간 어디서 지내나요?ㅠㅠ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완료
뿡뿡이맘(dulre1024) 2016-07-26
추천수 : 0 조회수 : 3,593

  안녕하세요.  지금 태국에 거주중인데, 남편회사일 때문에 곧 싱가폴로 갑니다. 남편말로는 요즘 워킹비자가 늦게나와서 2달정도 걸린다고하네요... 콘도 정식계약을 하기전까지 2달정도의 시간동안 어디서 지낼지 막막하네요 2살된 아기도 있어서 한인민박도 힘들꺼같고…

  • A

    <부동산> 게시글 보시면, 한국에 가야한다던지 그런 이유로 단기로 렌트해주는 분들 있어요 그 중에, 원룸이면 좀 비싸지만, 호텔보단 나을 듯 하구욤.. 그냥 마스터룸 같은 경우라면, 다른 방에 사는 사람이 2달정도만 아이가 지내는걸 괜찮다고 하면, 원룸보다는 더 싸게 지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단기가 아니라 장기로 원하시는 분들에게도 다 연락해보세요~ 그 분들도, 잠깐 2달 누가 살고, 그 후에 장기 구해도 되는 분들도 있을테니깐요~   서쪽이면, 한국분들이 말씀하신 주롱이랑, 추오추강 그 쪽에도 많이 사시던데,  그 쪽 근처로 한번 부동산 글들 찾아보세요~ 직접 시간들여서 찾으셔야 될 것 같아요~    지역을 잘 모르실테니, 구글지도와 싱가폴지하철 노선도 보면서 해보세요~ 화이팅하세요!!      

    1 채택답변
  • A

    집 계약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쪽지 확인하시고 연락 주세요.      

Q

NO.418

부동산집주인 우편함 공유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sunny~(sunokpa) 2016-04-13
추천수 : 0 조회수 : 2,912

안녕하세요 지난달 말쯤에 입싱을 시작해서 ~ 지난주에 겨우 집 계약을 맞춰서 무사히 안착했네요~   부동산은 어찌어찌 새콘도 저렴하게 한거 같긴 한데... 에이전시가 집주인쪽이라서 좀 우여곡절이 있긴했지만, 커미션도 안내도 되공 금액적인 부분은 절약이 된거 같…

  • A

    그런데 집 주인 사는 곳이랑 연락처를 저희가 알 필요가 있나요? 저도 처음에 집 주인 어디 사는지 물어보긴 했었는데, 살고 보면서 딱히 집 주인이 어디 사는지는가 제가 렌트한 집에 사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더군요. 그리고 주인이랑 직접 계약하신 것도 아니고 집주인 에이전트와 협의 후에 계약한시건데 집 주인이 왜 필요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집에 문제 생겨서 집 주인에게 문의가 필요한 경우 에이전트에게 연락을 하면 됩니다. 그럼 에이전트가 중간에 집 주인에게 물어보고 답변해 주는 식으로 중간 창구 역할을 해줍니다. 집 주인들의 경우 직접 관리하기 힘드니 에이전트 두는 것이구요. 혹시라도 님께서 집 주인 에이전트랑 대화가 잘 안되시면 tenant 쪽에도 에이전트 지정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집 주인 agent랑 본인 agent랑 협의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저희가 외국인 들이다 보니 이 국가 시스템을 다 아는 것도 아닌지라 agent끼리 상의하는게 편한 부분도 있습니다. 단, agent 비용을 내야한다는 최고 단점이 있긴합니다. 마지막으로 저희도 우편함 공유하긴 합니다. 다만, 집 주인이 매일와서 가져가는 것은 아니고, 보통 1년에 한 번 정도 가져가고 그나마도 안 가져 가서 우편함이 좀 찼다면 agent한테 연락하세요. 그러면 agent가 가져가서 집주인에게 전달해 줍니다.      

    1
  • A

    계약서에는 보통 집주인과 계약자의 풀 네임과 신분증 번호를 모두 쓰게 되어 있습니다. 에이전트가 대리해서 집주인을 직접 못 보는 경우에도 사인은 받아 옵니다. (에이전트를 통해 연락하므로 주소나 연락처는 보통 주지 않습니다) 우편함의 공유는 일반적인 경우가 아닙니다. 실거주자가 아닌데 주소지만 그곳으로 되어 있다는 뜻이니까요. 세입자의 양해가 필요한 부분이지 일방적으로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또 전기,수도세 등이 아닌 일반 관리비는 집주인이 내게 되어 있습니다. 관리비를 세입자가 내는 경우는 없습니다.      

    1
  • A

    보통 싱가폴에서는 집주인과 직접 연락하지 않고 에이젼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세입자가 집주인의 연락처를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계약서상에 집주인의 집주소만 나와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우편함 공유는 제 생각에는 실질적 공유라기 보다는 이쪽 집으로 집주인의 우편물이 들어올 수 있으니 (예를 들어 집대출 관련이라던가 입주민 회의 내용 등)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 확인하겠다는 의미일것 같습니다. 집을 렌트하실때 집주인 에이젼만 끼고 하셨다고 하시는데 아무래도 그런 경우에 에이젼은 집주인의 입장을 더 고려합니다. 돈을 아끼신 만큼 좀 고충이 있는 부분입니다.      

Q

NO.409

사업/직장한국전문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lee7789(rkelrkel789) 2015-09-19
추천수 : 0 조회수 : 2,274

미래에 싱가폴에서 일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아직 대학교를 안다녀서 질문 할께요 한국에서 2년제 대학이랑 여기서 외국대학 어드밴스디플로마 끝낸거랑 같나요? 전공은 호텔경영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에서 전문대 졸업후 싱가폴에 있는 외국대학 배첼러로 들어가서 졸업후…

  • A

     일단 얼마전 제가 공부할려고 알아본바는 한국에서 4년제를 나와도 싱가폴 외국대학교 배첼러 들어가기가 쉽지 않아요. 토플이나 아에일츠를 요구합니다. (아이엘츠 6.0이상) 물론 아이엘츠를 더 선호하구요. 한국은 영어기반 대학교가 아니라면서 말레이시아의 대학교 나와도 싱가폴에 오면 디플로마부터 시작하라고 하는말에 좌절했지요.. 좀 자존심도 상하고  듣는데 기분이 어~~엄청 나빠서.. 나 IT전공이라서 모든 책들을 원서(영어)로 공부했다는 쓸데 없는 소리했다가 더 자존심 상해했지만요 .. ^^;;;;;;;;;;;; 직장구하시고 이민까지 생각하신다면 더더욱 싱가폴에서 하나하나 관련한 준비를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 A

    안녕하셔요? 저도 이왕 싱가포르에서 자리를 잡겠다고 하시면 이곳에서 공부를 하시는것이 여러모로 더 첩경이 아닐까 합니다. 졸업후 취업은 한국이나 싱가포르이나 본인이 얼마만큼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지만, 무엇보다 싱가포르 대학은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것이 취업을 앞두고는 가장큰 메리트가 되지않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