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57

사업/직장워크퍼밋,(WP) 캔슬및이직 문의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라이라이차차(thdals456) 2016-08-24
추천수 : 0 조회수 : 4,549

안녕하세요!  지금 4개월정도 WP로 일을하고있는 사람입니다!! 근데 직장이너무안맞아서 이직을하려고하는데 6개월이상일을하지않고 이직을한다고한다면 15% 의 세금을 내야한다고들었는데 그게 월급의 15% 인지 총소득의 15%인지 궁금하구요.. 그리고 다른글을보니 …

  • A

    근로소득세를 문의하시는 내용으로 1. 싱가폴 체류기간은 아니고, 근무기간 입니다. 2. 근무기간 182일 미만은 Non-Resident Tax Rate로 총소득에 대하여 일률 15%이고요     근무기간 183일 이상은 Resident Tax Rate로 소득총액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 됩니다.     내용은 :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Income-Tax-Rates/     에서 오른쪽 보시면 Resident와 Non-Resident 각각의 Calculator가 있읍니다. 3. Non-Resident는 일률 15%로 , 최저2만불이 적용되지 않고요,     Resident는 누진세율으로 총액 2만불이하는 세금이 0 맞습니다.      

  • A

    WP 취소시 귀국항공권을 제공하는게 맞지만, 이직을 해서 WP이 transfer된다면 귀국항공권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돌아갈 필요가 없으니까요.   사직시 tax cleance는 즉시 유효하며, 바로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HR에서 마지막 월급을 withholding한뒤, 세금 처리후 release를 해주던가, 세금만큼을 공제한뒤, 남은 월급을 정산, 공제한 양은 HR에서 IRAS에 납부하거나 합니다.   그리고 싱가폴 체류기간이 맞습니다. (소셜, 학생 비자 제외 -  소득을 획득할 수 있는 비자 획득 시점인걸로 알고 있어요) 또한 2만불에서 22천불로 chargable incometax 최소 금액이 바뀐걸로 알고 있습니다.      

    3
Q

NO.255

사업/직장인테리어계열 디자이너 입싱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삼각자(ohjsono) 2016-08-05
추천수 : 0 조회수 : 7,404

안녕하세요. 저는현재 실내디자인관련 싱가폴 취업을 희망하는 4학년 준비중인 휴학생입니다. 현실적으로 졸업후 바로 비경력으로 취업이 어렵다는것은 많이 들었는데 제가 그것외에도 학자금대출, 여윳돈이 없어서 일단은 1~2년정도 한국에서 관련 일을 하다 대출갚고 여윳돈만들어 …

  • A

    참으로 힘든 길을 가실려고 하시네요. ㅎ 그리고 대단하세요. 저 대학 4학년땐 생각하면 아무 생각없이 지낸 것 같은데  좋은 직장 구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고 제품 디자이너로 싱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세한 필드 이야기는 못 해드리고 또한 잘못된 정보를 드릴 수 도 있어서 조금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답변 남기네요. 샐러리에 대한 이야기만 해드리면, 아래는 https://www.jobsbank.gov.sg 라는 싱 정부에서 운영하는 잡서치 사이트이구요  여기에 21일이가 2주인가 공고를 해야 회사에 외국인을 구인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것 저것 다 떠나서 현실적인 하나만 알려드리면 한국도 박봉이지만 여기도 그에 못지않은 박봉이네요. 54개 잡 오픈이 있으니 일은 적은 편은 아닌것 같아요 하지만 경력이 없으면 S$1800부터 시작인데요 오늘 환율로 한국돈으로 백오십만원이 안되네요. (물론 한국에서 연봉 1200만원에 일을 시키는데도 있다고 들었습다만....)물가 비싼 여기서 살기는 빠듯해보여요. 경력 3년되어도 S$3000불 정도 여기 4년제 졸업한 친구들이 받는 월급정도네요. 시니어나 리더로 가면 많이 오르네요 ㅎㅎ 여기 폴리텍( 우리나라로 치면 전문대 정도) 학생들이 졸업하고 인테리어 에이젼시으로 대부분 간다고 해서 박봉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어느 정도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기를 추천드리고요. 좋은 포트폴리오 쌓아 놓으시면 충분히 승산이 있어 보입니다.  물론 언어는 기본이겠지요? 현장에서 일할때 중국어도 알고 계시면 도움이 많이 될 듯합니다.  한가지더 말씀 드리면 구인 게시판에 인테리어 디자이너 구인한다는 공고를 가끔 봤습니다. 거기에 직접 컨택해서 문의하는 것이 제일 좋고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지나고 보니까 첫직장이 참으로 중요하고 생각됩니다. 사회생활의 첫단추가 될테니까요. 좋은 직장에서 감각있는 디자이너로 성장하기시를 바라겠습니다.          

    2
  • A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지만 건축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싱가폴의 중소규모 인테리어는 한국만큼, 어쩌면 한국보다 더 열악합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월급 모든면에서 만족스럽지 않아 보입니다. 따라서 중소규모 이하의 사무소에서 꿈을 키워 나가기는 쉽지 않을것 입니다. 따라서 님이 생각하는 싱가폴 인테리어 회사를 다니려면 외국계 인테리어 회사 혹은 대규모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가장 나을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은 취업이 쉽지 않지만, 일단 들어가면 싱가폴에서 인테리어 경력 및 실무실력을 쌓는데 큰 도움이 되며, 생활하는데도 무리 없을 정도의 월급을 받을겁니다. 그러니 큰회사로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우선은 대학 졸업장이 있어야 취업이 수월하니 졸업먼저 하세요. 그리고 어차피 2-3년 한국 경력이 있어도 싱가폴에서는 신입으로 취업될테니 졸업후 바로 한국에서 일 하며 포트폴리오 차근차근 준비하시고 동시에 해드헌터, 잡헌팅 웹사이트, 회사홈페이지 직접 검색 3가지 방법으로 꾸준히 두드려야 취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중소규모의 인테리어 업체 - 작은 규모 리테일 샵, 쇼핑몰의 Kiosk, HDB 혹은 콘도의 집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프로젝트 진행 속도가 빠르고, 완공된 자신의 디자인을 실제로 볼 기회가 잦음. - 다양한 로컬 영세업체와 함께 일함. - 일자리 많음. 고급영어 보단 실용회화 가능 유무로 판단. - 신입사원 예상월급 s$1500-2200, WP 혹은 SP 발급   *대규모 인테리어 업체 혹은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 - 호텔, 오피스, 쇼핑몰 등 건물 단위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체계화된 업체들과 협의 및 진행. - 프레젠테이션 및 협의가 많아 제대로 된 영어 실력이 필요함. (말하기, 듣기, 쓰기 모두 필요) - 신입사원 예상월급 s$2500이상, SP 혹은 EP 발급   첫 단추가 중요하니, 힘들더라도 첫 회사를 좋은곳으로 선택하세요.      

    1 채택답변
  • A

    인테리어 디자인?? 쉽게 말하면 노가다죠.....건축디자이너도 대접 못받기는 마찬가지 이니까.... 한국은 여전히 Designer 의 가치를 인정 해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없으니.... 취업을 하게 되시면 아시겠지만 현실은 매일 야근에 철야죠..그래서 이직도 잦고..디자인 이라기 보다 위에 꼰데가 시키는 데로 샵만 치겠죠...ㅋㅋ 한 3년간 결국엔 버티다 건설회사(발주처)나 공기업 등등 으로 옮기죠....  싱가폴... 건축분야는 아직 한국에 비해 뒤쳐져 있습니다(지금은 건축경기도 별로고)....누구나 알만한 명문대 출신이 아니면 신입이 좋은 회사 들어 가기도 힘들고 .... 다만 한국보다 업무시간은 덜 빡시겠죠.... 일단 계획대로 취업후 해외 진출을 노리신다면 지금부터 걱정하실필요는 없을 듯...몇년 지나면 자연히 알게 될겁니다.. (주) 킹스맨 www.kingsmen.co.kr 싱가폴 회사중에 유일하게( 지금은 모르겠고) 한국에 법인이 있는 회사입니다...일단 이렇게 해외 branch 거나 해외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에 들어가서 경험을 하시길..... But 인테리어 및 여러 협역업체가 그렇틋...전문업체는 해외 Client 에게 직접 수주를 하는 경우보다는 한국건설사의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그나마 규모가 큰 인테리어 회사는 건설사와 대부분 연결이 되 있죠....( 친인척 or 자회사 or shareholder ) 현재 해외 건축 사업을 하는 건설사는 대기업 이외에는 없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참 그리고 TV에서 처럼  셔츠입고 사무실에서만  일하는거 절대 아닙니다....여자라도 현장 나가서 일해야됨....ㅋㅋ        

    1
Q

NO.253

생활07월 입싱 예정.(문의사항)

  • 답글 : 2
  • 댓글 : 9
답변완료
jo진풍(jolove78) 2016-06-13
추천수 : 0 조회수 : 6,653

안녕하셔요. 07월에 입싱 예정입니다. 궁금한 것이 하나 둘이 아님니다. 신중히 판다하고 입싱을 하려고 하니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문의 드릴 것이 많아서~~~ 하나하나~! 나열해보겠습니다.   1. 급여 세율은 어떻게 되는지요?   (싱가포르는 …

  • A

    제가 아는 내용만 답변드릴께요 1. 세율 : 40,000불이면 550불              그 이상 금액의 7% 1400불   2000불정도... 예상됩니다 2. 학비 : 한국학교의 경우에도 입학금 3,000불, 초등학교의 경우 월 850불가량입니다              홈페이지 침조하세요..               국제학교는 한국학교의 2~3배정도 됩니다    집 렌탈비 : 콘도 룸 3개 3,500~4,500불 사이입니다    가족과 같이 생활한다면.... 연봉 60,000불은 적어보입니다 4. EP : 4년재 졸업자로써 월 소득 4,500불이상 (경력 필요) - 쿼터가 필요없습니다     SP : 기준소득 2,500불정도 급여, 쿼터 필요 - 가족 동반시 월 소득 5,000불이상     WP : 소득 제한 없으나, 가족동반 불가능 6. 스마트 한국에서 가지고 오셔도 됩니다        

    9
  • A

    두 아이의 가장으로서 많은 고민이 되시겠습니다. 하지만 한가지씩 고민을 풀어가세요. 너무 한 꺼번에 모두 생각하지 마시고요.  그래 봤자, 어차피 해결은 안되고 머리만 아픕니다. 1. 급여세율: 싱가포르 국세청 가서 엑셀 다운받아 입력하시면 금방 나옵니다.  2. 적정급여: 이 부분은 어느정도 생활 수준을 기대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므로 참으로 힘든 질문입니다. 한국에서 현대 그렌져급 이상 몰고 도심 아파트에서 거주했으면 연봉 20만불 받아도 그 정도 수준 유지. 참고로 서울 도심 근처 깨끗한 아파트 단지 생활 하셨던 분이라면 HDB생활은 포기하세요. 와이프랑 이혼하는 지름길 입니다. 솔직히 6만 받아서 두 아이들 국제학교 보내기 힘겨우실 겁니다. 요즈음 공립학교에서는 영어 소통 안되는 외국인 받지 않는 다고 하니 공립학교는 고려대상에서 제외.     3. 급여 송금 방법: 그냥 모았다가 환전해서 들고 가세요. 4. 취업비자 차이점: 다른 분이 답변했으니 패스 5. 영주권 획득 기준: 아직 그런 고민 하실때는 아닌 듯 싶어서 패스 6. 입싱시 챙겨야 할 품목: 가장 중요한 "멘털" 챙겨 오세요. 대부분 입싱 초기에 멘붕 됩니다. 다른 건 여기서 살면서 구입해도 별 문제 없습니다.          

    채택답변
Q

NO.252

사업/직장Wp 리자인 후 세금관련 조언부탁드립니다 ㅜㅜ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둉둉이(guswjd6363) 2016-05-03
추천수 : 0 조회수 : 1,574

안녕하세요 제가 리자인을 쓰고 5월 중순에 한국을 들어가는데 제월급이 매달 1일 입니다. 그런데 저번주금요일 들어왔어야할 4월 월급이 안들어왔더라구요 알고보니 마지막월급은 personal income tax를 뗀후 줘야해서 회사에서 hold를 한다는데 맞는건가요? …

  • A

    이야기하신 내용을 풀어서 설명하자면 근로소득세의 부과기준이 1월1일-12월31일이므로 2015년6월부터 2016년5월까지의 소득합계를 이야기하시는 것은 맞지가 않고요.. 2015년도 소득세신고는 4월15일까지 완료가 되었어야 하고 (추측컨데, 총소득이 2만불이하라 소득세는 0이었을 것 입니다) 2016년도분은 1월1일부터 비자취소일까지의 소득합계에 대하여 소득세가 발생합니다. 비자취소를 접수하면 MOM에서 IRAS에 연락하여 세금정산을 하기 때문에 hold하는 것은 맞습니다. 아마도 회사측에서는 Non-Resident로 계산하여 일률15%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서류가 미비하여 일률15%를 적용받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작년의 Pay Slip 또는 NOA를 가지고 IRAS 방문하시면 됩니다. 계속 근무한 것이 확인되면, 올해분도 정상적으로 Resident세율로 적용받을 수 있읍니다.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Income-Tax-Rates/#title3      

    1
Q

NO.250

생활2년 근무후 택스리펀 세금환급 가능여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언제나즐겁게(sueunji) 2016-03-21
추천수 : 0 조회수 : 1,821

  안녕하세요 현재 싱가폴에서 근무중이고 곧 귀국하는 상황인데요   작년에 85불 정도 택스 내고 올해는 뭐때문인지 360불이나 냈는데요   제가 궁금한게 요게 제가 다시 돌려받을수 있나 해서요 친구의 친구가 인도네시아로 돌아갈때 세금 환급을 꽤 많이 …

  • A

    세금 환급이란것은 처음 들어봅니다.... 아마도 친구의 친구라는 분이 영주권자라 cpf부은 것은 환급 받은것은 아니었는지요..... 아마도 작년에 적게 내신것은 그 전년도 2014년에 일한 개월수가 1년 미만은 아니셨는지요. 세금이 연도로 끊다보니 작년 2015년에 내신 것은 2014년에 대한 INCOME부분이고 올해는 2015년에 대한 부분이시지요. 거기다가 제 기억으로는  작년에 같은 경우 싱가포르 정부로부터 50프로 REBATE이 들어가 50프로를 적게 내었습니다. 우선 전체 INCOME부분 신고된 부분을 비교하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세금 율이 올랐다는 뉴스는 아직 못본듯 합니다.      

  • A

    저도 소득세 환급은 처음 들어봐서 정확한 답변은 못 드리구요! 작년과 올해 신고된 소득이 같은데 세금이 다른 것은  작년에 싱가포르 개국 50주년 기념으로 소득세의 50%(최대 1,000달러까지)를 감면해 줬기 때문이에요. 이전에 세금 관련한 레터 보시면 그런 내역이 나와있을 거예요 ^^      

Q

NO.249

사업/직장EP비자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이브라(sunmium) 2016-01-25
추천수 : 0 조회수 : 2,540

EP비자는 wp와 달리 세금을 또 낸다하는데 어떤 세금이고, 얼마정도인가요? 소득세는 wp와 같은 비용인거 맞나요? 또 메디컬바용을 화사에서 지원해주는지요? Ep 준비하는데 wp로만 일해봐서.. 번역공증서루니 뭐니하여 비용이 많이 드네요..^^;     

  • A

    EP에 또 낸다는 세금... 은 무언지 모르겠네요. 혹... EP비자 발급시 납부하는 비자수수료 & 신분증수수료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 근로소득세는 적용기간이 1월1일부터 12월31일이며, 신고는 4월15일까지 하게 되어있읍니다. 즉, 작녀의 소득을 몇달후에 신고하도록 되어 있지요. 근로소득세가 얼마가 될지는 작년의 근로일수와 관계가 있으므로, 현재의 정보로는 답을 못드리고요. 근로소득세는 개인기준으로... 비거주자 일률15%, 거주자 누진 0-20% EP 승인후의 신체검사비용은, 매우 단순한 검사로, 큰 비용들지는 않지만, 대부분 지원해줍니다. 메디컬비용이라하신 내용이 근무중 병원비용의 문의이시라면, 회사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번역공증 ? 한국도 대부분의 서류 (졸업증명서, 주민표 등) 영문 발급해주는데요 ? 글구, 왠만한 제출서류들은 본인이 직접번역하여 원문+번역본 가지고 대사관 가시면 영사인증 해줍니다. (한장에 SGD3.-이던가??)      

    채택답변
Q

NO.242

생활wp 6개월이내 퇴직시 세금 질문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하이헫(eskim87) 2015-12-05
추천수 : 0 조회수 : 2,020

제가 사정상 4개월정도 일하고 관둘것같은데 6개월이내 관둘경우 지금까지 번돈에 15%를 내야한다는걸 알았습니다 정말인가요? ㅠㅠ액수가 너무많은데 별다른 방법이없는건가요? 그리고 번돈이 총 2만불이 안되면 세금면제된다는 글도봤는데 팩트가 궁금합니다.   답변 …

  • A

    183일 안되서 퇴사하게 되시면 총 번 소득에 무조건 15% 내는게 맞아요.. 비거주자로 되어서요 183일 이상 일하셧을 경우에는 거주자로 인정되어서 2만불 이하 버셧을 경우 면제구요. 퇴사하는 시점에서 2만불 이상 벌면 그 플러스 된 금액에 대한 2%입니다..결론은 내셔야되고요 15%면 정말 많죠.. 급하지 않은 이상 2개월 더 하고 가시는게 낫죠..금전적으로요. 저같은 경우는 다른 싱가폴 회사에서 5개월 그리고 현재회사꺼 합쳐서 183일이 넘어서 택스레지던트가되엇어요,. 혹시 싱가폴 다른 회사에도 잇으셧으면 합치면 확 줄어드세요     

  • A

    윗분 말대로 182일미만 = 비거주자 소득세율 = 일률 15% 183일이상 = 거주자 소득세율 =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Income-Tax-Rates/      

  • A

      지식 Q&A  글 보다가 오히려 제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183일 안 되면 세금 15% 내야 된다고 하셨는데 그 세금을 회사에다가 내는건지요. 아니면 근로자가 어떤 기관에 가서 내야하는지요. 그것도 아니면 회사에서 세금을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급여로 지금하는지요...     제가 곧 그러한 상황이 될 것 같아서 조심스레 답글에다가 질문 드려봅니다.   곧 싱가폴 일 그만두고 한국 돌아갈 것 같아서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