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9

사업/직장WP 비자 근로소득세 및 본드금액 관련문의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suesue1(cutomorrw) 2016-11-29
추천수 : 0 조회수 : 2,190

안녕하세요 8월말에 입싱하여 근무중인 직장인입니다. 현재 서비스직에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 약3주전부터 무릎에 통증을 느껴서 병원에도 가보고 약 먹우면서 일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주중에 엑스레이도 찍어볼 예정입니다.. 한국에 있을때는 이런적이 한번도 …

  • A

    타지에 나와 해보지도 않은 고생에 몸이 힘드신가봅니다.... 현재 8월 말 입국하셨다면 3개월이 지났으니 노동법아래 보장될것입니다. <치료> 우선 WP/SP 홀더는 의무적으로 회사에서 보험을 가입해주어야 합니다 현재 엑스레이나 치료비는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3개월 지난 시점부터 법적으로 병가며 회사 내부등록 병원 사용이 가능할것입니다. (이부분 과연 회사에서 제대로 알려주었는지는 모르겠네요.) 허나 병원비용처리 관련 계약서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특별히 금액 제한 된것이 없다면 처리가 가능할것입니다.  <쉬는날> 그리고 주당으로 계산하기에 쉬는 날이 없다? 말도 안되며 일주일 (법적으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입니다)에 한번은 쉬어야 합니다. 하루도 안쉬는데 일주일에 48시간을 안넘길수가 있나요?반나절씩 2번 쉬는 날도 없는것인가요? 반나절쉬는 것도 사실상 합법적으로는 쉬는날은 아닙니다만 인력이 부족해서 이렇게 돌리기도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허나 요청할것은 당당히 요청해 보심이 좋겠지요.  법적으로 쉬는날 2일사이 (주 1회 씩 2주간) 근무시간은 12일을 넘겨서는 안됩니다. <공휴일> 공휴일은 법적으로 보장 받아야 하는 날입니다.  여기에 물어보는 것도 좋지만 mom사이트에 들어가서 사이트를 공부하다보면 여러가지 자신이 내세울수 있는 부분을 찾고 일을 그만둘때 걸수있는 사항이 생기지 않을가 싶네요. 뭐 결정은 본인이 하시겠지만 진흙탕까지 가면은 갈수도 있습니다. 한국이나 여기나....... 예를들면   1.치료비 회사 제한 없을경우 병가부터 입원까지 해서 보험처리하고 안줄경우 소송을 걸겟다 치료비가 커버될 시 병원 가시고 MC 가 나온다면 일을 안하면됩니다. 근무한지 3개월밖에 안되서 법적 유급병가일이 5일 (입원시 15일)밖에 안되니 5일 이상시 유급병가는 안되겠지만 무급으로라도 일안하고 버티는 거지요. 회사 클리닉가서 MC 며칠 받고 엑스레이 찍고 싶다고 또 가서 찍고 MC 받고 버티는 겁니다. MC상태에서 근무하다가 사고가 나면은 회사 산재처리도 안되니 그 이유로 일 나가지 말고요. 2.법적으로 못받은거 다 mom에 신고하고 가겠다 (스케쥴표 사진 또는 근무 시간표시 내용을 사진으로 남겨두셔야지요) 등등? 병가도 유급+무급 병가에  치료비까지 토해내야하고 또는 비자가 취소된 상태가 아니라 쿼터도 부족할텐데 사람하나 못쓰고 그냥 나가고 있으니 이렇게 되면 회사쪽에서 조정을 하려고 할수도 있을 것입니다.  거기서 먼저 짜르면 일을 못한것이 질문자님의 귀책사유가 아니니 페널티를 낼 필요는 없어지겠지요. 물론 막장의 경우 이구요. 한번 시간내서 mom 사이트들 쭉 한번 보시는게 좋으시겠네요. 물론 모든 조항들은 계약서 상에 내용을 먼저 봅니다. 계약서 내 별도의 사항들이 없다면 mom에서 지정된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이지요. 병가-http://www.mom.gov.sg/employment-practices/leave/sick-leave  휴일-http://www.mom.gov.sg/employment-practices/hours-of-work-overtime-and-rest-days 공휴일 -http://www.mom.gov.sg/employment-practices/public-holidays-entitlement-and-pay   그럼 몸도 불편하신데 잘 관리 하시기 바랍니다.      

    1 채택답변
Q

NO.37

사업/직장싱가폴 호텔 일 중이신 분들 계신가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용형(ys901230) 2016-11-09
추천수 : 0 조회수 : 2,817

현재 최종 면접을 앞두고, 많은 정보를 접하고 보았지만, 직접 생활하시고, 직장다니시는 분들께 도움을 받고자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1750불의 월급으로 책정되어있고, 제가 듣기로는 초반의 생활이 힘들 것으로 판단되지만, 최대한 아껴서 생활 할 생각입니…

  • A

    주변 호텔 근무 하시는 분들 봤을때,  요즘 보시면 호텔 월급 엄청 짠걸로 알고 있는데 첫 시작으로 1750 은 그렇게 낮은 월급은 아닌거 같네요. 급여 인상은 본인 능력에 달려 있는 거같습니다. 3개월 이후 수습 기간이 끝나고 조금 월급을 올려주는 경우는 봤지만 3~6개월 간격으로 계속 급여 인상을 하시는 분은 아직 못봤습니다. ㅎㅎ 한류로 아직 싱가폴에서는 한국인 이미지가 나쁘지 않기에, 본인이 열심히 하는 모습만 보여주고 잘하신다면 문제 없으니 크게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될꺼같습니다.      

    1
  • A

    안녕하세요. 저랑 비슷한 경험을 하셨기에 답장드립니다. 제가 조언하고 싶은 것은, 일단 지금 회사에서 버티시고 다른 회사로 이직을 노려보는 걸 추천합니다. 임금 인상에 대한 기대는 크게 안하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저의 케이스를 예로 들게요. 전 처음 입싱했을 때, 3~6개월동안 급여인상을 해주겠다는 말도 들었고,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월급은 1600달러 받았습니다.(추가근무수당까지 포함하면 1750정도 받았어요) 그래도 알뜰하게 살아가면서 매달 500달러씩은 저축했습니다. 3개월쯤 된 시점에 사장이랑 면담해서 임금인상에 대해 물어보니 다른 핑계를 대면서 못해주겠다고 하더군요. 온갖 힘들일 다하고(정말 군대만큼 힘들었습니다.유일하게 회사를 버티게 해줬던 희망은 이 직무가 미래에 도움이 된다는 거였어요. 그거 하나로 버텼습니다.) 몇개월동안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이런 대우를 받으니 정말 서운하고 화났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6개월 쯤에 50불 올려주더군요. 기가차서 말이 안나왔어요 솔직히. 한편으로는 회사 입장에서 이해해봤죠. 회사가 임금 인상을 해준다고해도 그 포지션에 대해서는 분명 한계점이 있을거라는 판단을 했습니다. 또한 사장 마인드가 글렀으니 좋은 기대는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땐 너무 우울했고, 희망도 없게 느껴졌어요. 회사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1000번 한거 같네요 6개월 동안. 한편으로는 독을 품고 회화도 6개월동안 꾸준히 연습했었어요. 그래서 6개월 지난 시점에 Jobstreet에 지원해서 운좋게 면접 제의가 들어왔고, 한번에 합격해서 MNC에 입사했습니다. 월급은 3500달러 받게 되었습니다. 전회사를 지옥에 비유하면 여긴 천국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 현상황에 감사하고 만족합니다. (정말 2500만 받아도 소원이 없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너무 월급은 과분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글쓴이 님도 분명 회사에 입사해서 다니시면 힘들 수 있지만, 미래를 보고 어떻게든 견디셔서 이직 기회를 노리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제가 호텔업쪽은 아니라서 잘모르지만 제 답변이 긍정적으로 생각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응원할게요. 화이팅!      

    1 채택답변
Q

NO.34

사업/직장8월에 취직했는데 이직하려고 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4
답변완료
하히후헤호(hoejja) 2016-10-20
추천수 : 0 조회수 : 2,970

안녕하세요 8월말에 입싱해서 일을 시작한 청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일하는곳과 스타일이나 월급면에서 맞지 않아서 이직하려고 지금 다니고있는 직장이랑 처음 연결해준 에이전시측에 다 얘기해서 다음달 6일까지 일하기로 결정났습니다. 물론 다음 직장에서는 에이전시를 끼지…

  • A

    대략 정리하자면 에이전시 이야기 하는 것으로 미루어, 현재 비자가 WP인 것으로 짐작이 되고요. 1. 비자를 취소하면, 일정기간 (WP는 보통 7일인가?) 이내에 싱가폴을 출국하라는 Letter가 발급이 되고요. 2. MOM은 인력부로, 세금을 관할하지는 않고요. 3. 에이전시 또는 현직장과 맺은 계약서에 페널티에 대한 설명이 있을꺼고요. 4. 근로소득세정산은 IRAS에서 진행이 되며, 이를 위해 대부분의 회사들은 마지막 급여를 홀딩하고 있다가    IRAS 납부확인서가 오면, 해당금액을 제하고 나머지를 지급합니다. 5. 8월말이라 하시어 정확하지가 않아서, 입사일기준 60/61일(?) 미만은 근로소득세를 징수하지 않고요 6. 회사가 WP를 신청하면 회사측의 Levy, Security Bond 등의 과정이 있읍니다.     모든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WP에 대한 IPA를 발급하게 되는데...     해당 여권번호가 싱가폴에 체류중으로 확인되면, 자동적으로 신청이 기각 됩니다.     즉, WP가 승인되었다는 IPA가 발급되기 전까지는 싱가폴 입국하시면 안 됩니다.        

    4 채택답변
Q

NO.33

사업/직장한국 헤드헌터 평판조회...? 해보신적 있으세요?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Ast(symsg) 2016-10-08
추천수 : 0 조회수 : 5,489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금융회사서 일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한국으로 이직을 알아보다가 우연히 사람인에서 한국헤드헌터 업체 (N으로 시작하는 회사)에서 올린 광고를 보고 지원을 했었는데요.. 전화가 와서는 제가 회사가 찾는 캔디데잇이 맞는거 같다고 이야기를 하고는 …

  • A

    2년전 mnc에서 mnc로 이직시 hireright통해서 background check 받았습니다. 물론 면접 전에 확인들어갑니다. 이유는  http://www.hireright.com/why-hireright에서 확인가능.   제 동료도 같은 방법으로 이직했고 요즘 추새입니다. reporting manager 및 동료 2명에게까지 확인했지만 저는 별로 크게 개의치 않았어요. 업무 평과에만 평가해서는 안되고 기분 상할 필요없고 근태, 인성 등등 당연히 해야됩니다.       

  • A

    무척 황당하셨을 것 같네요.  그게 이 곳 싱가폴에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라서 피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만 헤드헌터회사에서 의뢰인의 동의없이 HR에 직접 컨택하는 건 이상합니다.  회사를 그만둔 사람이 아니라면 신원조회는 의뢰인에게 치명타라는걸 모를 사람들이 아닐텐데요. 그리고 참고인은 자기에게 우호적인 인물로 설정하시고 미리 이런 전화나 메일을 받을 수 있다는 걸 언질해 주셔야 합니다.  직속상관이라면 껄끄러울 수 있으니 굳이 같은 팀이 아니더라도 직위가 본인보다 높은 사람으로 얘기해두면 됩니다.   HR의 경우는 애매합니다.  HR에서는 신원조회가 들어왔다는 것을 반드시 해당부서에 통보를 하는 것 같더라구요.  원칙대로 해야하는 부서이다보니 친분으로 비밀보장 해주는 경우는 없을겁니다.  따라서 헤드헌터가 HR에 컨택하는건 못 하도록 선을 그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헤드헌터와 얘기할 때는 모든걸 서면상으로 남겨놓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어떤 이들은 모든 이메일 커뮤니캐이션을 매번 새로운 이메일로 하는데요, 예전 이메일에 Reply해서 사용해 달라고 얘기하시면 내용들을 계속 추적할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1
  • A

    이직은 현재 고용주와의 유대관계가 아주 특별한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마지막까지 현재 회사에게 알리지 않는게 보편적이지 않나요? 헤드헌팅 회사에서 많이 이기적이고 성급했다고 판단됩니다. 개인적으로 거의 고소감이라고 생각되는데요. 동의서 작성을 하셨으니 법적인 조치야 안되겠지만, 어쨌던 매우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라고 봅니다. 대부분의 경우 거의 마지막 round혹은 오퍼를 앞두고 누구에게 전화하겠다 하고 공지한후 확인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저는 그렇게 해왔습니다. 7년간 4번이직하면서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어요. 만약 이게 정말 추세이고 합법이라면 기업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고 구직자에게는 무척이나 불리한 악법이고 악습이겠네요. 그 한국헤드헌터 회사에 정식으로 항의하시고 매니저급에게 사과받으셔야 한다고 봅니다. 이건 뭐 깜빡이도 안키고 그냥 들이받아버리는 식이네요.      

    채택답변
Q

NO.32

사업/직장세일즈/트레이딩 분야 귀중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뽀로로(rhaudtn1) 2016-09-29
추천수 : 0 조회수 : 1,942

안녕하세요, 현재 싱가폴에서 근무중인 28살 청년입니다. 싱가폴에서 사립 대학교를 나왔으며, 싱가폴 거주 8년 중국 10년.경영학과  졸업했습니다. 중국어 영어 다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첫 직장에서는 프렌차이즈 중국 한국마켓 업무를 했습니다. 프렌차이즈 문의…

  • A

    점심시간이라 시간내서 조언드려 봅니다.  알고 계신대로 대부분 구인하는 회사들이 경력직만 선호하죠.  제 경험을 토대로 조언드리자면 경력직에도 그냥 무조건 지원해 보라고 하고 싶어요.  저도 싱가폴에서 직장을 10년째 다니고 있는데.. 싱가폴에서의 첫직장은 전자회사 세일즈 및 CS 담당이었어요.  원래 한국에서 하던 일이어서 그다지 어렵지 않게 구했구요.  헌데 전공이 회계이고 좀 더 길게 본다면 회계쪽이 좋을것 같아서 3년일하고 지금의 직장에서 회계쪽일을 하고 있어요.  현직장 들어오기 전까진 회계경력은 전무했고.. 구매/세일즈경력만 있었어요. 이직할때 회계쪽에 여러군데 이력서를 넣어는데 계속 실패했다가 지금의 회사에서 경력이 없어도 좋다고 받아줬어요.  입사후 들은 얘기는 물론 경력직을 찾았지만 경력자 여러후보들 가운데 제 영어가 제일 나아서 절 뽑았다고 하네요.  물론 제 영어도 아주 잘하는 편은 아니었는데.. 다른 경력 후보자들은 대화를 해보면 말은 그런대로 하는것 같은데 듣는 이해력이 떨어져서 너무 아쉬웠다고.. 대신 저같은 경우는 언어로는 문제가 없어보였고 회계경력은 없어도 전공은 했으니까 가르치면 될것 같았고.. 업무를 새로 가르치는 번거로움이 언어소통 안되는 사람하고 일하는것보다는 훨씬 나을것 같았답니다. 사실 예전 직장 그만 둘때 제 후임자를 뽑을때도 이력서는 참 많이 들어오는데 정말 적임자가 없더라구요.  경력이 되면 언어가 딸리거나 언어가 되면 경력이 전혀 없거나.. 그때도 더 선호했던건 경력보다는 언어능력이었어요.  일은 가르치면 되니까요..  물론 언어도 잘되고 경력도 있는 후보자가 있으면 당연히 그사람을 뽑겠지만.. 생각보다 둘다 갖춘사람 찾기가 그리 쉽지 않더라구요.  언어/경력 되는데 대학졸업장이 없어서 비자문제로 못뽑은 경우도 있었구요. 삼개국어가 원활하시다고 하는것 보니, 꾸준히 시간을 갖고 찾아보시면 가능성 있을겁니다.  거기다 전공도 경영쪽이라 메리트가 있고요.. 행운을 빕니다.        

Q

NO.31

사업/직장워크퍼밋,(WP) 캔슬및이직 문의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라이라이차차(thdals456) 2016-08-24
추천수 : 0 조회수 : 4,522

안녕하세요!  지금 4개월정도 WP로 일을하고있는 사람입니다!! 근데 직장이너무안맞아서 이직을하려고하는데 6개월이상일을하지않고 이직을한다고한다면 15% 의 세금을 내야한다고들었는데 그게 월급의 15% 인지 총소득의 15%인지 궁금하구요.. 그리고 다른글을보니 …

  • A

    근로소득세를 문의하시는 내용으로 1. 싱가폴 체류기간은 아니고, 근무기간 입니다. 2. 근무기간 182일 미만은 Non-Resident Tax Rate로 총소득에 대하여 일률 15%이고요     근무기간 183일 이상은 Resident Tax Rate로 소득총액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 됩니다.     내용은 :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Income-Tax-Rates/     에서 오른쪽 보시면 Resident와 Non-Resident 각각의 Calculator가 있읍니다. 3. Non-Resident는 일률 15%로 , 최저2만불이 적용되지 않고요,     Resident는 누진세율으로 총액 2만불이하는 세금이 0 맞습니다.      

  • A

    WP 취소시 귀국항공권을 제공하는게 맞지만, 이직을 해서 WP이 transfer된다면 귀국항공권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돌아갈 필요가 없으니까요.   사직시 tax cleance는 즉시 유효하며, 바로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HR에서 마지막 월급을 withholding한뒤, 세금 처리후 release를 해주던가, 세금만큼을 공제한뒤, 남은 월급을 정산, 공제한 양은 HR에서 IRAS에 납부하거나 합니다.   그리고 싱가폴 체류기간이 맞습니다. (소셜, 학생 비자 제외 -  소득을 획득할 수 있는 비자 획득 시점인걸로 알고 있어요) 또한 2만불에서 22천불로 chargable incometax 최소 금액이 바뀐걸로 알고 있습니다.      

    3
Q

NO.30

사업/직장소시오패스같은 직장상사. 조언 부탁 드립니다.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진행중
kk-gg(kellylopez) 2016-08-23
추천수 : 0 조회수 : 4,070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 로컬회사에서 세일즈 및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20대 후반 직장인입니다. 글이 길지만 시간적 여유가 있으시면 읽어보시고 저에게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모시고 있는 사수분(싱가포리언)은 본인의 지시에 무조건 Yes 라고 하는 직…

  • A

    정말 꼴보기 싫고 밥숟가락 올려 놓는 것도 꼴이 보기 싫은 건 이해는 하지만 본인의 미래를 위해서 그냥 밥숟가락 올려놓는 걸 눈감고 넘어가는 수준으로 용인해 주는 것이 어떨가 싶네요. 아무리 보스가 자기가 한거라고 우겨도 이미 다른 사람들은 님이 한거라고 다 알고 있을 겁니다.        

    3
  • A

    저도 꽤나 오래 세일즈&마케팅분야에 종사하여서 경험담을 이야기드리자면, 밥숟갈 얹으려는 상사.... 인종, 국적 안 가립니다... kk-gg님의 선택은 - 이제껏 했듯... 꾿꾿하게 혼자서 일을 하시면서 "사수"가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기를 기다리시거나 - 본인이 생각했던 것처럼... 실적을 보여주었으니 이직을 하는 방법 입니다. 많이들... 첫번째의 선택이 현실적이라고 할 것 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두번째 선택이 맘 편해서 많이 했었읍니다.      

    1
  • A

    공유하신 글 잘 읽었습니다.  많이 힘들어하시는게 글에서 느껴져 댓글 하나 남깁니다. 세상이 다 내 마음같지가 않지요.. 여기에 댓글을 달아주신 분들이 이미 언급하셨지만, 굳이 진실을 밝히려 하지않아도, 주위 사람들은 다 알고있을겁니다. 새상에 비밀이 없듯이요. 제 소견으로는 다른 회사로 이직하기 전까지는, 비록 숟가락만 올리는 상사가 정말로 밉겠지만 협업을 해서 프로젝트 잘 마친 후, 이직을 하면 어떨까 싶네요. 결론은 그 사람이 님 한테 그렇게 한다고 해서, 님도 똑같이 대하면 스트레스나 마음의 화만 쌓일 듯 하니 오히려 정신적으로 본인만 힘들 듯 합니다, 그래도 상사가 밉지만 같이 으쌰으쌰해서 프로젝트 잘 마치고 MD 한테 칭찬도 듣고 하면. 장기적으로는 그 상사도 님한테  " 아 나는  이 친구한테 못 살게 굴었는데  그래도 이 친구는 나를 많이 도와줬구나" 하고 많이 느낄겁니다. 인간이라면요..불쌍한 중생 구제한다 생각하시고, 스트레스 너무 받지마시고 지금 본인에게 많이 힘든 시기겠지만, 잘 버티고 대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또한 곧 지나가리." 다소 구체적인 답변보다는 추상적인 답변이라 죄송합니다. 무튼 힘내시고 잘 이겨내시기를 바랍니다       

Q

NO.29

사업/직장비자 발급이 된 상태이고 컨트랙에 사인 안 했는데 이직…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bambi2(barbie3430) 2016-08-23
추천수 : 0 조회수 : 2,145

처음 싱가폴에 와서 구직활동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회사가 없어서 그냥  합격한 적당한 곳에서 일하겠다고 했거든요 헤드헌터를 통해서 제공된 직장이구요.  그런데 회사가 생각보다 체계적이지 않고... (진행하게 되면서 느낌) 비자 발급중에 다른 회사를 시험 봤는데…

  • A

    비자가 발급된 상태이시라면 이전 비자를 먼저 취소하셔야할것 같습니다. 새직장에서 비자신청 및 승인은 받을수 있지만 최종 비자 발급을 받으시려면 이전 비자를 취소하시거나 트랜스퍼 하셔야합니다. 에이전트 쪽이나 이전회사에는 사실대로 말하는것 보다는 다른 이유로 회사를 다닐수 없다고 말씀하시는게 추후에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보이네요. 이직을 방해하려고 일부러 비자를 취소 안하고 시간을 끄는 경우가 있습니다.(저도 겪었구요) 이전직장이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하신걸로 짐작컨데 이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충분히 있을것 같네요 회사를 옮기시더라도 에이전트에 진행하신 부분은 원활한 처리를 위해 비용을 깜끔하게 부담하시는게 좋을것 같구요 따로 사인하신게 없으니 표면적으로는 어떤 문제도 없어보이지만 비자 기간이 너무 짧게 유지되었다가 취소하는경우 회사측에서 부담해야하는 패널티 같은게 있다고 들었습니다. 모쪼록 잘 해결하시고 무사히 이직하시길 바랍니다.     

    2
  • A

    먼저 받으신 비자를 취소하기전 새로운 직장에서 비자를 받으시고 취소를 하셔야 합니다. 새로운 직장에서 비자가 나오고 나서 먼저받은 비자를 취소하셔도 됩니다. 혹시 걱정이 되시면MOM과 상의를 하시는 편이 좋을듯 싶네요. 그리고 헤드헌트는 사인을 하는순간 안가게 될경우 혹은 3개월이내 퇴사시에는 통상 한달치 급여를 헤드헌트 회사에 지불하는 조건으로 되어있습니다. 일이 잘 마무리되어 새로운 직장에서 좋은 출발을 하시길 기원합니다.      

Q

NO.28

사업/직장직장 계약서 관련

  • 답글 : 4
  • 댓글 : 9
답변완료
waltervon(kainstory2) 2016-08-22
추천수 : 0 조회수 : 2,045

안녕하세요   저는 오는 9월로 싱가포르에 온지 1년되는 현지업체에서 세일즈 마케팅 직무로 일하고 있는 27살 직장인입니다. 요즘 고민이 많아서 이글까지 올리게 되었네요 처음회사에 왔을때 한국인 직원이라고는 아무도 없고 직원들 모두 한국마켓에 대해서는 까마득한 …

  • A

    자꾸 이런 식이면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겠습니까?? 얼마나 일할 때가 없으면 저런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도 일을 할까 그것도 주말에도 미친 듯이... 이런 시각이겠죠. 진짜 올려논 글만 보면 심하게 말해서 노예죠.  염장지르는 게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면  그런 주말에도 나와서 일하는 열정이면 한국이나 미국 일본등 같은 데서 충분히 성공하죠.  그리고 출장비와 호텔비와 필요시 차량지원이나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등 같은 공공대중교통이용금액등 당연히 회사규모와 아무런 상관없이 회사업무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 지극히 당연히 지원하는 거랍니다. 한마디로 급여를 주는 것처럼 당연한 법적인 회사의 의무와 책임이랍니다.  한국대기업에서 근무는 커녕 글 작성한 분은 사회생활 시작자체가 싱가폴에서 처음인게 분명한 것 같은 데,     나도 오지랍 그만부려야지 하면서.. 진짜 답답하군요... 왜 그런 열정으로 우리나라 한국에서 아님 미국 일본등 그런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훨 많고 훨씬 정상적인 기업시스템을 가진 그런 나라들에서 지금과 같은 열정으로 도전하고 일하지 않는 지?? 솔직히 이해가 안되는 군요.  이건 뭐 외국까지 와서 구멍가게같은 곳에서 완전 남 좋은 일이나 시키고 싱가폴에서 로컬회사따위 경력은 냉정하게 말해서 향후 커리어에 아무런 도움도 의미도 없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왜? 다른 곳으로 소위 한국이든 미국이든 일본이든 다른 회사들 다른 다국적기업 대기업에 지원하면 그 전회사의 규모와 자본금등 간단하게 낱낱이 다 확인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다른 후배들에게도 항상 하는 말이지만 어디서 어떻게 사회생활을 즉 자기경력을 시작하는 지가 사실 은퇴시까지 평생 직장커리어 전체를 좌우한답니다.        

    5 채택답변
  • A

    정말 어의가 없네요 ㅠ 어떻게 출장비를 본인이 내라하죠?? 이럴때 싱가폴에 정이 떨어지네요.      

    1
  • A

    글 읽다, 내속이 뒤집혀서 글남깁니다. 조카뻘 될것 같은데요.... 일단,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회사라고 할 수 없는 곳인것 같습니다. 출장관련 상황만 놓고 봤을때 말이죠. 일단, 서두리지 마시고, 일도 열심히 하지 마시고,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내가 싱가폴에 꼭 머물고 싶은지.. 만약, 싱가폴이라는 나라에 정착 하고 싶다? 가정도 꾸리면서 말이죠... 그렇다면,  NUS 나 NTU 에 파트타임 석사과정에 다니세요. 입학준비 하시고,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2년 고생 하시면, 훨씬 좋은 직장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모님께 도움이 못얻을것 같으시면, 일단, 다른회사로 이직하시고, 학교 다니세요.   꼭 싱가폴이 아니라, 외국이면 된다 싶으시면, 일본, 호주등지로 이력서 날려 보세요. 특히 일본에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말이 다 옳다고 볼수도 없읍니다만, 경험을 적어 봤습니다. 혹, 로컬 회사라고 하셨지만, 한국 오너인가요? 그렇다면, 회사이름좀 남겨주세요. 그럼, 건승하세요               

    1
Q

NO.26

사업/직장인테리어계열 디자이너 입싱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삼각자(ohjsono) 2016-08-05
추천수 : 0 조회수 : 7,282

안녕하세요. 저는현재 실내디자인관련 싱가폴 취업을 희망하는 4학년 준비중인 휴학생입니다. 현실적으로 졸업후 바로 비경력으로 취업이 어렵다는것은 많이 들었는데 제가 그것외에도 학자금대출, 여윳돈이 없어서 일단은 1~2년정도 한국에서 관련 일을 하다 대출갚고 여윳돈만들어 …

  • A

    참으로 힘든 길을 가실려고 하시네요. ㅎ 그리고 대단하세요. 저 대학 4학년땐 생각하면 아무 생각없이 지낸 것 같은데  좋은 직장 구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고 제품 디자이너로 싱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세한 필드 이야기는 못 해드리고 또한 잘못된 정보를 드릴 수 도 있어서 조금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답변 남기네요. 샐러리에 대한 이야기만 해드리면, 아래는 https://www.jobsbank.gov.sg 라는 싱 정부에서 운영하는 잡서치 사이트이구요  여기에 21일이가 2주인가 공고를 해야 회사에 외국인을 구인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것 저것 다 떠나서 현실적인 하나만 알려드리면 한국도 박봉이지만 여기도 그에 못지않은 박봉이네요. 54개 잡 오픈이 있으니 일은 적은 편은 아닌것 같아요 하지만 경력이 없으면 S$1800부터 시작인데요 오늘 환율로 한국돈으로 백오십만원이 안되네요. (물론 한국에서 연봉 1200만원에 일을 시키는데도 있다고 들었습다만....)물가 비싼 여기서 살기는 빠듯해보여요. 경력 3년되어도 S$3000불 정도 여기 4년제 졸업한 친구들이 받는 월급정도네요. 시니어나 리더로 가면 많이 오르네요 ㅎㅎ 여기 폴리텍( 우리나라로 치면 전문대 정도) 학생들이 졸업하고 인테리어 에이젼시으로 대부분 간다고 해서 박봉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어느 정도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기를 추천드리고요. 좋은 포트폴리오 쌓아 놓으시면 충분히 승산이 있어 보입니다.  물론 언어는 기본이겠지요? 현장에서 일할때 중국어도 알고 계시면 도움이 많이 될 듯합니다.  한가지더 말씀 드리면 구인 게시판에 인테리어 디자이너 구인한다는 공고를 가끔 봤습니다. 거기에 직접 컨택해서 문의하는 것이 제일 좋고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지나고 보니까 첫직장이 참으로 중요하고 생각됩니다. 사회생활의 첫단추가 될테니까요. 좋은 직장에서 감각있는 디자이너로 성장하기시를 바라겠습니다.          

    2
  • A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지만 건축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싱가폴의 중소규모 인테리어는 한국만큼, 어쩌면 한국보다 더 열악합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월급 모든면에서 만족스럽지 않아 보입니다. 따라서 중소규모 이하의 사무소에서 꿈을 키워 나가기는 쉽지 않을것 입니다. 따라서 님이 생각하는 싱가폴 인테리어 회사를 다니려면 외국계 인테리어 회사 혹은 대규모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가장 나을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은 취업이 쉽지 않지만, 일단 들어가면 싱가폴에서 인테리어 경력 및 실무실력을 쌓는데 큰 도움이 되며, 생활하는데도 무리 없을 정도의 월급을 받을겁니다. 그러니 큰회사로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우선은 대학 졸업장이 있어야 취업이 수월하니 졸업먼저 하세요. 그리고 어차피 2-3년 한국 경력이 있어도 싱가폴에서는 신입으로 취업될테니 졸업후 바로 한국에서 일 하며 포트폴리오 차근차근 준비하시고 동시에 해드헌터, 잡헌팅 웹사이트, 회사홈페이지 직접 검색 3가지 방법으로 꾸준히 두드려야 취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중소규모의 인테리어 업체 - 작은 규모 리테일 샵, 쇼핑몰의 Kiosk, HDB 혹은 콘도의 집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프로젝트 진행 속도가 빠르고, 완공된 자신의 디자인을 실제로 볼 기회가 잦음. - 다양한 로컬 영세업체와 함께 일함. - 일자리 많음. 고급영어 보단 실용회화 가능 유무로 판단. - 신입사원 예상월급 s$1500-2200, WP 혹은 SP 발급   *대규모 인테리어 업체 혹은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 - 호텔, 오피스, 쇼핑몰 등 건물 단위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체계화된 업체들과 협의 및 진행. - 프레젠테이션 및 협의가 많아 제대로 된 영어 실력이 필요함. (말하기, 듣기, 쓰기 모두 필요) - 신입사원 예상월급 s$2500이상, SP 혹은 EP 발급   첫 단추가 중요하니, 힘들더라도 첫 회사를 좋은곳으로 선택하세요.      

    1 채택답변
  • A

    인테리어 디자인?? 쉽게 말하면 노가다죠.....건축디자이너도 대접 못받기는 마찬가지 이니까.... 한국은 여전히 Designer 의 가치를 인정 해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없으니.... 취업을 하게 되시면 아시겠지만 현실은 매일 야근에 철야죠..그래서 이직도 잦고..디자인 이라기 보다 위에 꼰데가 시키는 데로 샵만 치겠죠...ㅋㅋ 한 3년간 결국엔 버티다 건설회사(발주처)나 공기업 등등 으로 옮기죠....  싱가폴... 건축분야는 아직 한국에 비해 뒤쳐져 있습니다(지금은 건축경기도 별로고)....누구나 알만한 명문대 출신이 아니면 신입이 좋은 회사 들어 가기도 힘들고 .... 다만 한국보다 업무시간은 덜 빡시겠죠.... 일단 계획대로 취업후 해외 진출을 노리신다면 지금부터 걱정하실필요는 없을 듯...몇년 지나면 자연히 알게 될겁니다.. (주) 킹스맨 www.kingsmen.co.kr 싱가폴 회사중에 유일하게( 지금은 모르겠고) 한국에 법인이 있는 회사입니다...일단 이렇게 해외 branch 거나 해외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에 들어가서 경험을 하시길..... But 인테리어 및 여러 협역업체가 그렇틋...전문업체는 해외 Client 에게 직접 수주를 하는 경우보다는 한국건설사의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그나마 규모가 큰 인테리어 회사는 건설사와 대부분 연결이 되 있죠....( 친인척 or 자회사 or shareholder ) 현재 해외 건축 사업을 하는 건설사는 대기업 이외에는 없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참 그리고 TV에서 처럼  셔츠입고 사무실에서만  일하는거 절대 아닙니다....여자라도 현장 나가서 일해야됨....ㅋㅋ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