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24

사업/직장WP에서 SP로 이직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나짜응(nacchan0103) 2018-09-11
추천수 : 0 조회수 : 2,707

현재 직장에서 WP로 일하고 있는데, 이번에 이직을 하게 되며 SP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SP는 모두 승인이 났고 IPA를 받자마자 사표를 내서 1 month notice를 한 상태입니다. 퇴사일(WP가 캔슬되는 날)은 10월 5일이고 다음 회사 출근 날짜는 10월 1…

  • A

    안나가셔도 됩니다. 이미 새로운 IPA가 나왔기때문에 상관없어요     

  • A

    윗분이 잘못 설명하셨는데, WP비자 취소후 일주일만 유효한 비자가 나오게 되고 그 일주일이 지나면 무비자 상태가 됩니다.  IPA는 비자가 아닙니다. IPA들고 입국하시더라도 short term visit pass를 받게 되는데, 이게 비자입니다. (무비자가 아니라 정확히는 도착비자를 비용없이 최대 3개월간 받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결론은 7일 (wp취소후 short term vist pass)이후 이 비자가 expire되면 무비자 상태가 되며 굳이 따지자면 적법한 비자 없이 채류하게 되는겁니다.  그래서 다른 곳에 나갔다 오시던지, 또는 이직할 직장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비자를 미리 이슈 해 달라고 하는 수밖에 없을 듯 합니다.  WP든 SP든 valid한 기간동안 고용주는 levy를 내야하므로, 3국을 갔다가 오시는게 무난한 방법이 될 듯 합니다.      

    1 채택답변
  • A

    질문자님 글 내용에는 WP가 캔슬예정일이 10월 5일이라고 하셨는데.. 지금 다니시고 계시는 직장 HR팀 직원이 10월 5일 (또는 그 이전) WP 캔슬을 MOM 온라인을 통해 진행할때 캔슬이유를 싱가폴내에 다른 직장을 구했다고 지정할 경우에는 굳이 싱가폴을 떠나지 않아도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럴려면 현재 근무하고 계시는 직장의 HR팀 당당직원에게 이직하는 직장에서 IPA레터를 받았다고 사전에 알려줘야하지 않을까요?           

Q

NO.218

사업/직장퇴사하면..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올띠(choisunny123) 2018-07-28
추천수 : 0 조회수 : 2,410

보통 퇴사하게 되면 노티스가 2개월전인데.. 보통은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비자 해결한뒤에 퇴사 notice를 주는데 저는 먼저 현 직장에  notice 를 주고 이후에 다른 회사를 알아보며 이직을 생각하려고 하는데... 추후 비자를 발급받을때 악영향은 없나요?   …

  • A

    고용계약서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notice period는 4주 입니다. 이경우 비자 해결 실제 첫 출 근까지 2개월 가까이 소요됩니다.  2개월이면 긴편에 속하며 새로운 직장에서 첫 출근까지 3개월 정도를 기다려줘야하는데 그럴 회사가 많지 않아 핸디캡이 있어요...notice period가 4주인이 8주인이 확인 다시해보세요. 새 직장에서 한달치 월급을 내고 4주로 줄이는 경우는 있으나 드물어요   1. 새로운 직장에서 EP/SP 승인 (인터뷰+비자신청+승인 - 최소 2~3주) 2. 현재 직장에 Resination letter 3. 이때부터 4주 4. 마지막 출근 현재 EP 취소 5. 첫 출근  그렇기 때문에 비자신청/승인(5~14일) + 님의 2개월 Notice 를 포함하면 새로운 직장에서 최소 2.5~3개월 채용후 기다려줘야합니다. 먼저 notice 를 주고 job을 찾으시면 무조껀 2개월 + 30일(EP 경우) 안에 꼭 취업하셔야합니다. 리스크가 있겠죠 왜냐면 인터뷰가 여러번 있을시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누구도 장담 못합니다...      

Q

NO.214

사업/직장싱가폴 경력직 이직 문의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dhckemdpemfl(qiupeng) 2018-06-17
추천수 : 0 조회수 : 4,604

싱가포르 내 경력직 취업 문의드립니다. 중국에서 한국 중견기업 준주재원으로 1년반 b2b영업을 했었고 그 뒤 중국 IT스타트업에서 프로덕트 매니저, 마케팅 매니저, 영업 매니저 등의 일을 4년정도 했습니다. 현재는 자카르타에서 이커머스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대…

  • A

    글을 읽어보면 궁극적인 목적은 이직이 아니라 이주라는 생각이 드네요. 젊을때 몇년간 경험해 볼 생각으로 싱가포르로 홀로 이직해서 오는 것과 결혼 후 가족을 동반해서 이직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는 점은 이미 아실테니 그 점은 스킵하고.... 우선 첫째로, 말씀하신 괜찮은 직장의 정의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으나, 다국적 거대기업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영어가 제1순위언어임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외국어 몰라도 영어 네이티브 가깝고 선진국 쪽 학부/대학원 졸업장 있으면 다른 제2외국어 몰라도 입사되는 상황이죠. 하지만 그런 회사에서는 영어가 부족하면 우선 제외 됩니다.   둘째로, 본인이 구직할때 중요한 업종인데,,, IT쪽에서 마케팅/영업 매니저로 장기간 잡을 유지 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네요.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로 IT가 워낙 기술이 빨리 변하는 업종이니.... 다른 주변국과 달리 싱가포르는 생활비용이 엄청나다고 할 수 있어요. 주택비/식비/교통비 등이 주변국과는 비교가 안 될 만큼 비쌉니다. 그러므로 실직상태에서 외국인 싱에 거주한다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러울 겁니다. 고로 장기적인 관점으로 싱가포르를 접근하시려면 장기적인 직종을 우선 고려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교 문제인데요. 주재원 아닌 상태에서 아이를 국제학교 보내려면 일반적인 회사에서 디렉터급 이상 보수를 받아야 겨우 가능합니다. (자녀 1인 경우). 로컬 학교의 교육여건 경우는 자녀분이 얼마나 학업 성적이 우위에 있느냐에 따라 천지차이라서 말씀드리기 쉽지 않지만 일반 공립학교도 중위권 밴드 이상에 속한 학교에 가면, 나쁘지 않아 보였습니다. 짧은 글에 복잡한 싱가포르 현실을 옮기는 것은 그 자체가 모순이라 조심스럽게 쓴 글이니 그냥 작은 참고만 하세요.       

  • A

    저의 경우 아이가 4살일때 한국에서 싱가폴지사의 미국회사로 현지 채용으로 이직한 후 영주권도 받고 지금 6년째 아주 잘 살고 있습니다. 대학을 외국에서 나오지고 한국에서 SKY 를 나오지도 않았지만 경력과 능력만으로도 이직이 가능한 나라가  싱가폴인것 같습니다. 싱가폴 내에서도 EP 상태로 여러번의 이직 경험도 있고 제가 채용할때도 어느 회사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경력을 많이 봅니다.  전 님의 경력이 절대 평범하지 않아보이며 매력있는 경력을 가지셨기에 job 을 구하실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영어를 다 기본으로 하는 곳이기에 한국인으로서 중국어를 한다는 것은 충분히 경쟁력있습니다. 싱가포리언 중에도 중국어로 이메일을 쓰거나 중국 본토 사람하고 대화하는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싱가폴 내에서의 Account 경험이 없으시기에 Sales role 로서 job 을 구하시면 어려울 수도 있으나 다른 role 이라면 job 을 구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IT 에도 여러가지 role 이 있기에 어떤 role에 따라 싱가폴에서도 충분히 살 수 있는 연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이들 학교는 3가지 선택이 있습니다.  1. 외국인이시기에 1학년 전에 공립학교에 응시하여 추첨이 되면 굉장히 운이 좋은 케이스 2. AEIS 시험을 보고 아이가 합격하면 공립학교에 진학이 가능합니다. 외국인은 공립학교를 골라서 갈 수가 없다고 봐야합니다. 이미 시민권/영주권자 중의 우선 순위로 Top school 은 이미 자리가없습니다. 하지만, 싱가폴 공립학교는 어디든 참 좋은거같아요 제 아이도 아주 즐기면서 다니고 부모로서도 아이가 배우는 수준에 매우 만족스러워요. 안전하다는 것이 이 나라의 또 다른 장점입니다. 공립학교 학비는 PR 은 월 SGD 150 정도 내고  외국인은 SGD 660 정도 내는것 같습니다 3. 국제학교며 비용은 SGD 3만불 이상 예상하셔야합니다.    싱가폴은 아이 키우기도 좋고 교육환경도 좋고 안전하고 job 의 기회도 open 되어있는 곳입니다.  외국인으로서는 전보다 문이 좁아지긴했어도 불가능하지 않으니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Q

NO.213

사업/직장싱가폴 2년차, 슬럼프가 왔습니다.

  • 답글 : 5
  • 댓글 : 8
답변완료
초콜릿맛있어(singsingi) 2018-05-22
추천수 : 0 조회수 : 4,863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1년 6개월 정도 일을 하였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혼자 생활이 지속되다보니 삶이 재미가 없고 우울해지는데 이게 1년 쯤되면 누구나 온다는 슬럼프인지 잘 모르겠어서 글을 적어봅니다. 싱가폴에서 3년, 5년 일하시는 분들은 어땠는지, 아니면 슬럼…

  • A

    처음에 싱가폴 올 때는 많은 기회도 있는 것 같고 업무영역도 넓어진것 같고 무엇보다 한국의 수직적인 문화를 어느정도 벗어난 것 같아서 좋고 나름 외국생활이 주는 새로움도 있고 ...처음은 누구나 그렇듯 honey moon period 인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1년이 좀 넘어가면 여기 저기 미흡한 점들이 드디어 느껴지죠. 원글님만 그런게 아니고 많은 분들이 겪는 슬럼프이니 나름 현명하게 잘 극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취미생활 동호회 교회등등...정말 그냥 인터넷이 떠도는 몇가지 팁들이라도 하나씩 실천하다 보면 좀 나아지실 거에요. 힘내세요!!!        

    1
  • A

    저는 곧 4년차가 되는데 처음 왔을때 부터 아는 사람 한명도 없었고 외로움 달래려고 사람 찾아다니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지금도 인맥은 넓지 않아요. 물론.. 혼자 있는걸 좋아하는 저도 너무 공허할때 있습니다. 내 집 내 가족 떠나서 이게 뭐하는 짓인가 싶고 ㅋ.. 부모님은 하루가 다르게 나이드시는데 .. 등등  주말에 쇼핑하거나 밖에 나가서 목적없이 쏘다니는 것도 직딩 2년차에 싹 졸업했습니다. 고소득자가 아닌 이상 싱가폴이 뭔가를 배우거나 취미 생활하기 좋은 나라도 아니어서 (비싸서..) 일찍 퇴근해도 할 수 있는건 많지 않죠..; 님은 혼자가 아니에요!!  제가 딱히 슬럼프 극복기를 쓸 입장은 아니지만 위로가 될 것 같아서 몇자 적어봤습니다. 정말 사람이 고프시면 교회 추천드려요.  종교와 신앙의 깊이를 떠나서, 네트워킹 때문에 예배 참석하고 모임 갖는 분들도 정말 많죠.. 저는 개인적으로 나쁘게 생각 안합니다. 입싱한지 얼마 안된 새내기, 직딩, 비즈니스하시는 분들, 영주권 가지고 오래 살고계신 한국분들 많으니 조언 주고 받을 수 있는 좋은 창 인것 같아요.   직장 다니면서 이직하는게 어려우신 상황인 것 같은데 차라리 깔끔하게 끝내고 가까운 나라로 여행 가셨다가 (or 한국잠시귀국)  다시 싱가폴에 오셔서 한달간 자유롭게 구직하시는게 훨씬 심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나을 수도 있어요.. 힘내세요~      

    4 채택답변
  • A

    글을 읽는데.. 맘이 아프네요. 타국에서 생활하는 것도 쉽지 읺은 일인데.... 여러가지로 힘드시겠어요 . 종교를 가지시는게 어떠실지여.. 교회에 나가보셔요 가셔서 한국분들 비슷한 나이 환경에 있는 분들이랑 만나서 삶도 나누시고 위로도 얻고 힘도 받거니와 주시기도 하시면서 지내시면 좋을 것 같네요. 힘내셔요~     

    1
Q

NO.210

사업/직장대기업도 Spass 쿼타가 없을수 있나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하린(aesk0101) 2018-05-18
추천수 : 0 조회수 : 3,222

1. S PASS에서 WP로 변경해서 일하는거 비추하시는지? 정말 WP는 불이익이 많은지? 제가 아는 단점은 비자 캔슬됐을때 싱가폴 생활을 1주일 안에 정리해야한다는점.. WP신청할 때는 싱가폴에 있으면 안되고, 집을 구할때도 반드시 집주인이 주소 등록을 해줘야 한…

  • A

    먼저 가장 간단한 Clarification은 WP 는 PR 신청 자격이 아예 안됩니다. PR 신청 할 계획이 있으시면 WP 로는 불가능합니다.   PR 의 승인 여부는 ICA 승인해주는 사람말고는 아무도 모르니 인터넷상의 제각각  의견에 너무 흔들리지마세요.  영주권과는 별개로 WP로 커리어를 이어나가시는 것 보단 SP 혹은 EP 로 이어나가시는게 앞으로의 님의 다음 커리어나 연봉협상에 도움이 되는건 사실입니다. 일생 생활의 불편함보다 본인의 커리어 설계 측면에서 제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시작을 잘 잡아야 다음 도약도 순조로울거라 생각합니다.    2. 한국인으로서 EP 의 최소 급여 이상이되면 거의 나온다고 봐야죠. (인도의 경우는 프로세스도 더 오래 걸리고 제가 MOM 에 justification 도 해야했습니다.) EP 최소 월급이 안되면 EP는 안나오는겁니다. 최소 조건이며 이게 되더라도 안나오는 외국인도 있어요.    3. 보통 큰 회사같은 경우 외국인도 많지만 로컬직원도 많기에 정말 쿼터가 없어서 비자를 내리자는 건 Apple 이 SP 비자에 조금 인색한거 같네요 저도 500명 이상의 MNC 를 다니지만 PR 신청시 로컬직원대비 외국인 직원수가 생각보다 적어 PR 이 생각보다 많구나 생각했었으니까요. SP 로 협상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1 채택답변
Q

NO.209

사업/직장중계무역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faldeus(ksc4042) 2018-05-04
추천수 : 0 조회수 : 1,249

안녕하세요. 싱가폴을 기반으로 중계무역을 하려 합니다. 물건은 홍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흐름이 됩니다. 홍콩 -> 싱가폴 -> 한국 (또는 제 3국) 이 때, 저희 사무실이 싱가폴에 없습니다. 따라서 물건을 받아 한국으로 보내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 A

    안녕하세요  Fedex건 DHL이건 받고 나서 다시 신청후 한국으로 보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금액은 무게에 따라 다르므로 각사의 온라인 요금 규정을 확인하셔야합니다.  기업계좌를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제가 알기론 물량이 엄청 많을 경우 계약에 의해 진행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포워딩회사에서 이러한 운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포워더를 컨텍하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GST는 납부해야만 물건을 찾을수 있습니다. 또한, GST등록회사의 경우에만 재수출시 환급을 받을수 있습니다만 보통 따로 등록을 할경우 별도의 회계비용이 추가됩니다. 헛갈리는 부분은 싱가포르에 회사는 있지만 사무실이 없는것인 회사가 없는것인지 보충해줘셔야 할꺼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물품의 종류에 따라 라이센스를 취득해야 수입이 가능하오니 참고바랍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