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Q

NO.20

기타대답없는 집 주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짱!!(emprettykslee) 2006-05-31
추천수 : 6 조회수 : 1,688

deposit 때문에 에이전이 몇번이나 만나려고 주인측하고 시도 했지만 계속 연결이 안되고 집이 어딘지알아봐서 찾아 가려고 하는데 정말 힘드네요. 지혜로운 방법 있으면 가르쳐 주세요. 아마 이들이 노리는게 시간 지나면 지쳐서 포기게 만드는것 같습니다. ********…

  • A

    > >>deposit 때문에 에이전이 몇번이나 만나려고 >>주인측하고 시도 했지만 계속 연결이 안되고 >>집이 어딘지알아봐서 찾아 가려고 하는데 >>정말 힘드네요. >>지혜로운 방법 있으면 가르쳐 주세요. >>아마 이들이 노리는게 시간 지나면 >>지쳐서 포기게 만드는것 같습니다. >>***************************************** >>집 1년 계약하고 4월에 계약만기 인데 >>사정이 있어서 집에 가구 몇개만 남겨둔채 >>3월에 이사를 했습니다. >> >>그 집 주인이 집을 판다고 내놔서 >>사람들이 자주 집을 보러 왔고 >>많이 불편했지만 최대한 편의를 봐줬습니다. >>어쩌다 보니 3월에 이사하고 바빠서 월세가 며칠 밀렸었고 >>집주인의 독촉 전화로 3~4월치 두달 월세를 >>한꺼번에 보내줬습니다. >>매매관계로 자주 키가 필요하다며 >>주인측 에이전이 키를 빌려 가더니 >>아예 며칠동안 그곳에서 보관하고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 >>나는 내 에이전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했고, >>이쪽 에이전이 전화해서 어차피 집주인도 >>집을 팔아야하니 빨리 계약을 끝내고 >>deposit을 돌려 달라고했습니다 >>남아있던 가구를 다 빼고 집주인과 주인측 에이전 >>세입자와 세입자 에이전 이렇게 4명이 >>체크를 했습니다. >>별다른 이상이 없었지만 전등 몇개가 나가고 벽에 >>도마뱀 배설물이 두군데 정도 있었고 집이 좀 지저분 >>했어ㅆ습니다. >>집주인은 집 컨디션이 좋았었는데 나ㅃㅏ졌다고 >>약간은 툴툴거렸지만 나는 "집 세주셔서 1년동안 편안해 >>잘 살았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서툰 영어로 인사를 했습니다. >>집 주인은 그럼 청소 좀 해줘라 라고 하며 >>냉장고와 가구들 치운 곳을 가리켰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날 다시 만나기로했습니다. >>키는 이미 그들이 갖고있었습니다. >> >>다음날 제가 그곳에 도착했을때 이미 도착한 집주인은 >>주인측 에이전과 함께 다시 집을 체크하고 있었습니다. >> >>나는 너무 꼼꼼한 이들의 행동을 보며 한국에서와는 >>다른 피곤함을 느끼며 한시간 정도를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에어컨도 작동이 안된다며 에어컨 리모콘을 >>가지고 켜봤습니다. >>정말 에어컨이 작동이 아됬습니다 >>그 둘은 아마 개스가 나갔거나 쎈서가 나갔을지 >>모르니 수리를 한 후에 영수증 가져와서 >>이야기하자고 했습니다. >>그날 세입자 에리전은 피치못할 사정으로 >>올 수 없었고, 곧 해결되겠지하는 생각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한달이 지나도  주인측은 연락이 없어서 >>내가 주인측 에이전에게 전화를 했습지다. >>그랬더니 주인측에이전이 집주인 전화번호를 >>주면서 직접하라고해서 전화했더니 >>집주인 왈 에이전 통해서 예기하라고하고 >>전화를 끊어버렸습니다. >>그 이후로 내 전화를 기억했는지 둘다 >>전화를 안받기에 우리측 에이전에게 전화 좀 해보라고 >>연락했더니 아무리 전화를 해도 안받아서 >>몇번을 메세지를 남겼노라고 말했습니다. >> >>지금 한달이지나고 두달 가까이 지나가는데 >>이 일을 해결하기위해 거의 매일 전화를 했지만 >>통화가 안되더니 며칠전 집주인 측에서 >>제 에이전에게 FAX를 보냈는데 다른사람에게 >>세를 놓으면서 문 바꿔달고 전구 바꾸고 에어컨 고치고 >>그외에도 여러군데 집 수리한 목록을 보내왔더랍니다. >>제 에이전이 하도 기가 막혀서 그쪽 에이전에게 >>전화해서 "30년 가까이 쓴 집을 1년 산 세입자에게 >>수리비를 물리는게 말이되냐고 예기했답니다. >> >>나도 그동안 많이 참아왔지만 >>이제는 너무 화가나서 >>집주인에게 매 시간 전화를 했는데 >>오늘 운전중에 얼떨결에 받았는지 운전중이라 >>나중에 전화하겠노라고 하며 끊어버렸습니다. >> >>그리고 몇시간을 기다린 후에 이런 문자 메세지만 >>받았습니다. >> >>from:+6593825929 I cant talk to u now. >>in meeting now. Ive handed the matter to chia (주인측 에이전)now. >>his no is 90686500. do give him a call in future if u need any clarification. >> >>이런 인간들에게 한때 deposit를 포기하려고 했던 마음을 지금 몹시 후회하면서 >>이제는 피해보상 까지도 받을 수 있다면 악착같이 받아야겠다는 오기가 생겼습니다. >>주인측 에이전에게 저녁에 전화해서 영어 제대로 못하고 >>싱가폴 실정 잘 모르는 외국인이라는 점을 악용해서 내 deposit 떼먹으려고 >>하냐고 했더니 내 영어가 서툴러서 잘 이해가 안간다며 전화를 끊었습니다. >>이렇게 매일 전화로 해결될것 같지않아서 도움 요청합니다. >>혹시 신고할 방법이나,신고할 수 있는 행정처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오기 >>가 나고 무시당하는것 같아서 손해 보더라도 변호사라도 사서 >>해결하겠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려도 반드시 한국 사람 깔보면 떻게 >>되는지 보여줄겁니다. >> > 제주변에 어느분도 비슷한경우인데요.그분 가디언이 변호사를 200불에 사서 주인과 주인에이젼과 다같이 만나서 간신히 해결봤어요. >또 이뮤그레이션에서도 50불에 신고할수 있다고 들었어요.잘 알아보시고 반드시 승리하세요.작정하고 하는 것 같으니 절대 이쪽에서 소리지르고 협박비슷하게 하면 나중에 더 손해라고 하더군요. 어떤분은 경찰대동해서 오너 만나는 경우도 있었는데 경찰보자마자 울고 불고 연기를 하더라고....주변에 영어 잘하는분 꼭 같이 대동하고 만나셔야해요.화잇팅!!! 답변 감사합니다. 그쪽에서도 변호사에게 레터 보내라고 한답니다 지금 한인회 국장님께서도 도와주고 계십니다 저는 이 일로 더운데 이곳 저곳 쫒아다니느리고 더위 먹고 스트레스 너무 받아서 인지 며칠째 열이 납니다. 님의 응원 글 덕분에 다시 힘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하며 삽시다     

Q

NO.19

기타depoist을 못받았어요/도와주세요-_-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짱!!(emprettykslee) 2006-05-24
추천수 : 17 조회수 : 2,052

집 1년 계약하고 4월에 계약만기 인데 사정이 있어서 집에 가구 몇개만 남겨둔채 3월에 이사를 했습니다. 그 집 주인이 집을 판다고 내놔서 사람들이 자주 집을 보러 왔고 많이 불편했지만 최대한 편의를 봐줬습니다. 어쩌다 보니 3월에 이사하고 바빠서 월세가 며칠 밀렸었…

  • A

    저도 조금 있음 6월에 계약만긴데...집주인상태가 목사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안좋거든염.. 하이튼 짱꼴라xx들은 다똑같애~!! 이야기 들으니깐 꼭 울 집 주인애기 듣는것 같아서 나도 열이 받네염 ㅡㅡ++ 암튼 건투(?)를 빕니다~!!아자~!!!     

  • A

    거시기가 말하는 짱꼴라랑 사는 사람인데요... 말 좀 이쁘게 하십니다. 여기 국제결혼하신 분들 많거든요... >저도 조금 있음 6월에 계약만긴데...집주인상태가 목사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안좋거든염.. > >하이튼 짱꼴라xx들은 다똑같애~!! > >이야기 들으니깐 꼭 울 집 주인애기 듣는것 같아서 나도 열이 받네염 ㅡㅡ++ > >암튼 건투(?)를 빕니다~!!아자~!!!     

  • A

    안녕하세요.  저도 현재 2년넘게 살고 있는 집이 어제 계약만료된 사람입니다.  집 주인과는 이번주 일요일에 만나서 열쇠 건네주기로 했는데 남의 일 같지가 않군요.. 그런데.. 이런 말씀 드리기가 참 조심스럽습니다만... 마음을 조금 진정 시키시고 차분히 상황을 다시 정리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집주인과 함께 확인했을때 에어컨이 작동이 안됐다면 에어컨 수리비는 디파짓에서 공제하는건 당연한거거든요.. 다른 사람이 30년 살던집을 1년살고 나서 새집처럼 고쳐주는게 아니라, 최소한 본인이 입주할 당시의 집안 상태와 같은 상태로 집을 다시 넘겨주는거지요.. 저도 그래서 지난주에 마지막으로 에어컨 청소하고 (아, 여기 한국촌에 광고되어 있는 청정에어컨 서비스 참 좋으시더군요.. ^^!), 인슐레이션에 문제가 있다하여 교체하고, 어제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집안 청소하고, 목욕탕, 주방등도 세제를 써서 모두 물청소한뒤 마른 걸레질까지 하고 마지막으로 환기까지 다 시키고 나왔습니다.  혹시 그동안 다른 사람이 집을 보러 올지도 모르니 PUB는 다음주 월요일에 정지되도록 신청해 놓았구요.  마지막으로 에어컨 청소한 영수증과 함께 리모콘, TV 리모콘등은 한눈에 보이도록 식탁위에 나란히 올려놓았습니다. 다만, 액자를 걸었던 자리에 곰팡이가 피었길래, 진공청소기로 털어내고 마른걸레로 닦긴 했는데 흔적이 남아있어서, 디파짓에서 어느정도 공제를 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는중입니다. 님께서 한국사람이고, 영어를 잘 못해서 상대방이 무시하고, 일부러 속이려고 한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사시는동안 빈번하게 집을 보러 오는등 불편했던점,  월세를 밀리고 있다가 독촉을 받고서야 지불한점등으로 인하여 양쪽 모두 쌓인 앙금이 있으신것 같아 좀 어렵긴 하겠습니다만... 추가 수리비가 얼마나 나왔는지 영수증등으로 확인하신뒤 수리비를 제외한 디파짓을 돌려받는쪽으로 하시면 어떨까요?     

Q

NO.18

기타콘도 계약 연장시 에이전트 비용은 누가 부담하는지요?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허둥지둥(whoang) 2006-05-17
추천수 : 14 조회수 : 1,078

이번에 콘도 계약을 1년더 연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집주인쪽만 있고 저희쪽(저희쪽 에이전트는 연락이 않된지 오래 돼었습니다.)은 없이 재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계약 연장시 에이전트 비용(half month)을 주인이 내던지 세입자가 내…

  • A

    안녕하세요.. 저희의 경우, 처음 1년 계약은 양쪽 에이전트가 개입한 상태에서 했구요..  법적으로 반드시 에이전트를 둬야 한다는 조항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만, 문제가 생겼을 때 중재해 주고 불편한 서류작업등을 대신 해주니 대부분 에이전트를 선호합니다. 물론 저도 집주인도 처음 계약할 당시에는 에이전트 비용을 냈습니다. (기억하기로 0.5달치 였던 것 같네요.)  그 후 계약 연장할 때부터는 그냥 집주인과 서로 계약서에 싸인하는 선에서 끝냈습니다.  지금까지 5년간 매년 계약을 하고 있지만 전혀 불편할 게 없구요, 무엇보다도 에이전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참고로 매년 1년 계약을 하지만 제가 외국인인 관계로 1달 노티스만 주면 되는 걸로 했습니다. 집주인과 사이가 워낙 좋아 지난 4년간 집주인이 집에 들러본 적도 없을 정도로 서로 신뢰하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가능했던 것 같네요.  계약할 땐 저희가 sars 방지용(?) 직접 담근 김치같은 걸 선물로 드리기도 하구요, 집주인은 매번 포도주를 선물해 줍니다..  ^^  서로 친해지니 말썽 생길 일이 없네요..   혹여 상호간에 믿음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직접 계약을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계약기간과 더불어 노티스 기간을 반드시 명시하시는게 혹여 급한 이유로 한국으로 돌아가실 경우를 대비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계약 기간 못채워서 위약금 엄청 물고 가시는 분들을 종종 봐서요..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이번에 콘도 계약을 1년더 연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집주인쪽만 있고 저희쪽(저희쪽 에이전트는 연락이 않된지 오래 돼었습니다.)은 없이 재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계약 연장시 에이전트 비용(half month)을 주인이 내던지 세입자가 내야 한다고 하네요. >보통 그렇게 하는지요? 혹시 콘도 계약 연장 해 보신분 계시면 귀한 의견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 >집주인이 내거나 세입자가 내야 한다는것이 약간 말이 않되는것 같아서요 >왜냐하면 만약에 우리쪽도 에이전트를 내세운다면 세입자입장에서는 주인과 세입자 에이전트에게 모두 지불해야 되는 경우가 되는것이 아닌지요? > >혹시 계약을 1년 6개월로 할 수도 있는지요? >6개월단위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너무 두서없이 썻네요. > >정리하면 >1. 계약 연장시 주인쪽 에이전트 비용은 누가 지불? (세입자 에이전트는 없을경우) >2. 6개월 단위로도 계약이 가능한지? > >입니다. >감사합니다.     

  • A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우리쪽 집주인은 아마 에이전트를 통할것 같구요 뭐 저는 그냥 에이전트 없이 하려구 합니다. 저희 집주인도 괜찬은 사람 인것 같아서 계약을 더 하려고 하는건데 에이전트 비용을 어떻게 지불해야 하는지가 문제인것 같네요. 제가 정확히 알고 있어야 될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 >저희의 경우, 처음 1년 계약은 양쪽 에이전트가 개입한 상태에서 했구요..  법적으로 반드시 에이전트를 둬야 한다는 조항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만, 문제가 생겼을 때 중재해 주고 불편한 서류작업등을 대신 해주니 대부분 에이전트를 선호합니다. > >물론 저도 집주인도 처음 계약할 당시에는 에이전트 비용을 냈습니다. (기억하기로 0.5달치 였던 것 같네요.)  그 후 계약 연장할 때부터는 그냥 집주인과 서로 계약서에 싸인하는 선에서 끝냈습니다.  지금까지 5년간 매년 계약을 하고 있지만 전혀 불편할 게 없구요, 무엇보다도 에이전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참고로 매년 1년 계약을 하지만 제가 외국인인 관계로 1달 노티스만 주면 되는 걸로 했습니다. > >집주인과 사이가 워낙 좋아 지난 4년간 집주인이 집에 들러본 적도 없을 정도로 서로 신뢰하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가능했던 것 같네요.  계약할 땐 저희가 sars 방지용(?) 직접 담근 김치같은 걸 선물로 드리기도 하구요, 집주인은 매번 포도주를 선물해 줍니다..  ^^  서로 친해지니 말썽 생길 일이 없네요..   > >혹여 상호간에 믿음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직접 계약을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계약기간과 더불어 노티스 기간을 반드시 명시하시는게 혹여 급한 이유로 한국으로 돌아가실 경우를 대비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계약 기간 못채워서 위약금 엄청 물고 가시는 분들을 종종 봐서요.. >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 >>이번에 콘도 계약을 1년더 연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집주인쪽만 있고 저희쪽(저희쪽 에이전트는 연락이 않된지 오래 돼었습니다.)은 없이 재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계약 연장시 에이전트 비용(half month)을 주인이 내던지 세입자가 내야 한다고 하네요. >>보통 그렇게 하는지요? 혹시 콘도 계약 연장 해 보신분 계시면 귀한 의견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 >>집주인이 내거나 세입자가 내야 한다는것이 약간 말이 않되는것 같아서요 >>왜냐하면 만약에 우리쪽도 에이전트를 내세운다면 세입자입장에서는 주인과 세입자 에이전트에게 모두 지불해야 되는 경우가 되는것이 아닌지요? >> >>혹시 계약을 1년 6개월로 할 수도 있는지요? >>6개월단위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너무 두서없이 썻네요. >> >>정리하면 >>1. 계약 연장시 주인쪽 에이전트 비용은 누가 지불? (세입자 에이전트는 없을경우) >>2. 6개월 단위로도 계약이 가능한지? >> >>입니다. >>감사합니다. >     

  • A

    전문가 입니다. 이경우엔 에이젼 비용 내실필요 없습니다. stamp duty 를 하셔야 하구요.. 만약 옛날 에이젼이 나타나서 에이젼 비용을 달라고 하면 지불하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셧길.. >답변 감사합니다. > >그런데 우리쪽 집주인은 아마 에이전트를 통할것 같구요 > >뭐 저는 그냥 에이전트 없이 하려구 합니다. > >저희 집주인도 괜찬은 사람 인것 같아서 > >계약을 더 하려고 하는건데 > >에이전트 비용을 어떻게 지불해야 하는지가 문제인것 같네요. > >제가 정확히 알고 있어야 될것 같아서요 > >감사합니다. > > > > > >>안녕하세요.. >> >>저희의 경우, 처음 1년 계약은 양쪽 에이전트가 개입한 상태에서 했구요..  문제가 생겼을 때 중재해 주고 불편한 서류작업등을 대신 해주니 대부분 에이전트를 선호합니다. >> >>물론 저도 집주인도 처음 계약할 당시에는 에이전트 비용을 냈습니다. (기억하기로 0.5달치 였던 것 같네요.)  그 후 계약 연장할 때부터는 그냥 집주인과 서로 계약서에 싸인하는 선에서 끝냈습니다.  지금까지 5년간 매년 계약을 하고 있지만 전혀 불편할 게 없구요, 무엇보다도 에이전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참고로 매년 1년 계약을 하지만 제가 외국인인 관계로 1달 노티스만 주면 되는 걸로 했습니다. >> >>집주인과 사이가 워낙 좋아 지난 4년간 집주인이 집에 들러본 적도 없을 정도로 서로 신뢰하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가능했던 것 같네요.  계약할 땐 저희가 sars 방지용(?) 직접 담근 김치같은 걸 선물로 드리기도 하구요, 집주인은 매번 포도주를 선물해 줍니다..  ^^  서로 친해지니 말썽 생길 일이 없네요..   >> >>혹여 상호간에 믿음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직접 계약을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계약기간과 더불어 노티스 기간을 반드시 명시하시는게 혹여 급한 이유로 한국으로 돌아가실 경우를 대비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계약 기간 못채워서 위약금 엄청 물고 가시는 분들을 종종 봐서요.. >>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 >>>이번에 콘도 계약을 1년더 연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집주인쪽만 있고 저희쪽(저희쪽 에이전트는 연락이 않된지 오래 돼었습니다.)은 없이 재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계약 연장시 에이전트 비용(half month)을 주인이 내던지 세입자가 내야 한다고 하네요. >>>보통 그렇게 하는지요? 혹시 콘도 계약 연장 해 보신분 계시면 귀한 의견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 >>>집주인이 내거나 세입자가 내야 한다는것이 약간 말이 않되는것 같아서요 >>>왜냐하면 만약에 우리쪽도 에이전트를 내세운다면 세입자입장에서는 주인과 세입자 에이전트에게 모두 지불해야 되는 경우가 되는것이 아닌지요? >>> >>>혹시 계약을 1년 6개월로 할 수도 있는지요? >>>6개월단위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너무 두서없이 썻네요. >>> >>>정리하면 >>>1. 계약 연장시 주인쪽 에이전트 비용은 누가 지불? (세입자 에이전트는 없을경우) >>>2. 6개월 단위로도 계약이 가능한지? >>> >>>입니다. >>>감사합니다. >> >     

Q

NO.17

기타임대 계약 기간 파기에 대한 보상 문제- 꼭 도와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Masil(hisally) 2006-03-30
추천수 : 5 조회수 : 1,594

안녕하세요? 저는 얼마전에 싱가폴에 있는 콘도를 계약했습니다. 그런데 일주일도 되지 않아 주인이 집을 내 놓았다며 사람들이 집을 보고 가더니 오늘은 난데없이 회사로 집을 팔았다는 팩스가 한장 왔습니다. 내용에는 집을 어제 날자로 팔았다면서 3개월 안에 집을 비워달라는 …

  • A

    임대 계약서를 잘 보세요. 보통 임대 계약서엔 사고 팔당시 어찌어찌 해야 한다고 적혀 있습니다. 에이젼에게 일단 전화 하시고 임대 계약서가 어려워 잘 이해가 안되시면 만약 에이젼이 한국사람이였다면 그분과 해결하시고 현지인이였다면 ... 94592482 전화 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얼마전에 싱가폴에 있는 콘도를 계약했습니다. >그런데 일주일도 되지 않아 주인이 집을 내 놓았다며 사람들이 집을 보고 가더니 오늘은 난데없이 회사로 집을 팔았다는 팩스가 한장 왔습니다. >내용에는 집을 어제 날자로 팔았다면서 3개월 안에 집을 비워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 >이사 온지 한달도 안되었는데 정말 황당하더라구요. >황당한 것은 둘째치고 당장 이사를 가야하는데, 이번에 이사오느라고 agency 수수료, stamping비용 이사비용 등 돈이 만만치 않게 들어갔는데, 이부분에 대해서 현재 집주인에게 보상 받을 수 있는 지 어떻게 보상 받아야 하는지 좀 알려주세요. >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이런 일 까지 당하지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 있으면 꼭 도와주세요. >     

Q

NO.13

기타집 계약시 에어컨 유지 보수비에 대해서..(급한 질문입…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초보맘(pretty69) 2005-11-11
추천수 : 5 조회수 : 1,296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

  • A

    저는 3800이 나으지 않을까싶습니다...왠만한 에어콘 고장잘안나죠....3개월에 한번식 서비스 받으라고는 하나 그러는 사람없을겁니다.  한달에 100불씩 아끼면 1년에 1200불 남는데...그걸로 고장나면 고치는게.....물론 에어콘 상태확인하세요....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도 되나요?? 저희가 들어갈려로 하는 집은 작년에 지은 콘도이구요...1년정도 됐다고 하네요... 에이전트 말로는 3개월에 한번씩 점검해서 점검시마다 300불 정도라고 하던데요...그러면 일년에 1200불정도... 추상화님은 1년에 4번점검에 1년 비용이 320불이란 건가요? (5대 모두 점검하는데두요?) 그러면 가격차가 많이 나서요^^ 추상화님처럼 1년에 그정도만 든다면 굳이 매달 100불을 추가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드네요^^ 혹시 점검받는데를 소개해주실수도 있으신가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Q

NO.12

기타콘도 계약연장시에 에이전트 비용이 없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5-07-27
추천수 : 4 조회수 : 1,238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

  • A

    정말 그런가요?? 연장시 돈 안내나요?? 아닐텐데....저희 회사분들은 모두 계약 연장시 에이젼트피(브로커피)를 내거든요...만약 1년 계약일경우 브로커한테 한달치 집세의 반을 내고 계약을 하고 1년뒤 연장시 또 똑같이 돈을 냈거든요..만약 2년 계약의 경우는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내고 똑같이 2년뒤 또다시 연장을 원할시 1년을 할경우 반을, 2년일경우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이렇게 했었는데 아닌가요?? 흠....저도 그랬거든요.....암튼 어떤게 맞는건지...헷갈리네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 A

    맞는 말씀인데요. 이전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하여 계약연장을 하면 에이전트비용을 내야합니다. 그냥 집주인이랑 얘기해서 연장하는 경우는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stamp등을 그냥 무상으로 해주지요. 그래도 집주인은 집주인 에이전트에게 복비를 줘야합니다. 물론 계약조건이 전혀 바뀌지 않으면, 처음 계약시 1+1, 2+1등 계약조건에 따라 연장되는 1년에 대해서는 자신이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해도 복비가 없겠지요. 조건이 변경되면 복비 줘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 에이전트에 분명히 더이상의 서비스가 필요없다. 나는 집주인이랑 그냥 직접얘기하겠다. 자네도움 필요없다. 등등과 같이 분명히 서비스종료사실을 통보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송을 당하기도 한다고 하더군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Q

NO.10

기타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합니까?..너무 억울해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아지랭이() 2004-10-07
추천수 : 20 조회수 : 1,452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

  • A

    싱가폴 노동부(MOM)와 직접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에서의 세금은 한국처럼 회사가 미리 월급에서 대납하는 게 아니라서, 회사에서 세금을 근거로 월급을 붙들고 있을 수 없습니다. 싱가폴 세무서에 방문하셔서 직접 세금을 완납하시고 가셨으면 좋았을 것을... 아마도 그렇게 장기간 일하지 않았으면, 세금을 안낼 수도 있었을텐데... 지금이라도 싱가폴 방문하셔서, 다 정리할 것 정리하시고... 집에 관해서도 2년 계약이었다면, 그것도 필자님을 위한 계약이었다면,  2달치 디포짓은 맞겠지만, 필자님이 싱가폴을 떠나는 것으로, 일단 계약 해지의 사유가 발생했고, Diplomatic Clause(싱가폴을 떠날 경우 계약 해제 문구)가 계약서에 들어 있는지 확인도 해야 할 것 같고...  들어 있다면 바로 해약이 될 수 있고, 안들어 있더라도, 계약 기간의 반이 지나면 통보후 해지가 가능하거든요.. 제가 보기엔 우선 노동부에 가서 월급을 안주고 있다고 Report하고..  그러면 바로 해결이 될 것 같습니다.  월급을 한달이상 미루면, 바로 처벌받도록 되어 있는데.... 아니, 여기 법은 회사 그만 둘때 그날로 모든 월급을 정리해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mom 사이트에 들어가서 노동 관련 법을 들여다 보시고,,,,, 아뭏든 그냥 대화로 하기엔 너무 상대적인 약자이네요... 도저히 안되면 저에게 의논을 하세요. 9181-2898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 A

    IRAS에 의하면 회사측에서는 법적으로 처리하고 있는겁니다 회사가 직원을 들이고 EP를 발급해준이상 회사는 그 직원의 세금에대한 책임을 져야지 됩니다 회사는 직원이 싱가포르를 떠난다면 직원의 세금이 해결될떼까지 세금을 커버할 만큼의 월급을 담보로 잡고있어야합니다 이것은 싱가폴의 법입니다 www.iras.gov.sg 에 Tax Clearance for Foreign Employees  를 참고하십시요 IRAS에 의하면 직원이 싱가포르를 떠나기 전에 세금을 보고하고 처리한경우에는 회사쪽으로 직원에게 돈을 내주어도 된다는 통지서가 갑니다 하지만 님이 싱가포르를 뜨실떼 세금을 다 내고 가시지 않으셨다면 회사가 세금보고를 하고 IRAS에서 30일 내에 클리어 해주도록 되어있읍니다 회사와 님과 사이에 게약에 따라 다르겠지만 회사측에서 집을 얻어주었다 하더라고 집을 쓴사람이 집에 책임을 져야지 됩니다 아직 집이 집주인 손에 넘어가지 않았기 떼문에 회사에서는 디파짓을 잡고있는것입니다 님이 싱가포르를 떠나실떼 집을 비워놓았더라도 집을 채크를 하고 넘겨주셨다면 이런일은 없었을겁니다 집을 깨끗하게 쓰셨고 아무런 하자가 없다면 디파짓을 돌려받으실겁니다 하지만 보통 집주인이 트집을 잡는다하면 님은 어쩔수 없이 물어내셔야 하겠네요 회사측에서는 정당하게 하고있는것입니다 저도 똑같은일을 당했어서 말씀드리는겁니다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 A

    답변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세금 계산 떄문에 월급을 미룬 것은 이해한 상황이어서 문제가 않되는데요.. 제가 답답한건 우리와 회사에 이루어진 집 계약서에는 주인이 허용하거나 파기해 주지 않고 우리의 사정에 의해 집 계약기간을 못채우게 되면,, 나머지 기간에 대한 금액(집세)을 우리가 물어야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살건 열쇠를 회사에 맡기고 가든 상관없이 없다고 했습니다. 계약 완료일까지요.. 그래서 물어 준 거고요..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가 순순히 따르니까 ,분위기 좋게 그 문제가 끝났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문제는 그 계약서에 디파짓을 우리가 저희들(회사)에게  맡겨야 된다는 것은 명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회사와 집에 대한 금전적 계산을 다 완료하고 왔는데.. 그때 까지 아무말  없다가 사람을 보내 놓고 이제와서 저의 월급(개인 재산아닙니까..)을 줄때 되니까 갑자기 디파짓 얘기를 꺼내면서 월급에서 빼겠다는 게 납득이 안간다는 겁니다. 본래 디파짓은 무슨 문서상 이루어지는 (사인도 들어가고..법적 증거가 될만한..)과정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나중에 딴 소리하면 그냥 메일 한장 온걸 가지고 주장해야 하나요? 악덕 주인한테 걸려서 디파짓 못 받으면 회사가 우리한테 줄리도 없고 이미 회사 그만 둔 외국인을 위해 회사가 나서서 싸워 줄리도 없을 것 같고요.. 회사가 장난 칠수도 있고요.. 저는 사실 싱가폴에서 너무 당한 일이 많아서 그들을 잘 믿지 못하겠습니다. 개인들이나 단체나 너무 이기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가끔 싱가폴에 있는  어학원에서 학생비자 디파짓을 못 받아내서 고생한다는 얘기도 많이 들었고요.. 하여튼 그곳은 나에게 타국이고 그곳에 없다는 자체가 너무 불리하군요.. 회사에 어떻게 부당함을 주장해야 할지 모르겠군요.. 괴롭습니다.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Q

NO.9

기타캠코드(핸드캠)를 구입할려고 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harlie kim(kimhyoil4132) 2004-09-30
추천수 : 58 조회수 : 1,177

싱초보입니다. 캠코드를 구입할려고 합니다. 혹시 경험이 있으신분들이 있으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1.용도 : 일반적인 가정용으로 사용하고자 함. 2.메이커 : 메이커별로 1~2가지 무난한 모델을 소개해 주세요. 3.가격 : 혹 정보가 있으시면 대략적으로 알려주세요…

  • A

    음. 저도 캠코터를 구하려고 오늘도 Sim Lim Square에 가서 시장조사를 하고 왔습니다. 대체적인 가격은 한국의 전자상가보다 저렴합니다. 대신 싱가폴은 PAL 방식의 제품만 파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TV에 연결해서 볼경우 싱가폴에서 사용되는 PAL 방식의 TV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한국(NTSC 방식 사용)에 가셔서는 TV에 연결해서 보실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TV는 보통 NTSC만 지원하지만 비디오(VTR)의 경우 보통 NTSC와 PAL 방식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캠코서(PAL 방식) -> 비디오 -> TV 이렇게 연결하면 한국에서도 볼 수 있죠.. 음.. 좀 불편하지만 PAL 방식을 사도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걸 설명하는라 말이 길었습니다. 음 그럼 제가 아는데로 추천해드리겠습니다. 1.용도 : 일반적인 가정용으로 사용하고자 함. 2.메이커 : 메이커별로 1~2가지 무난한 모델을 소개해 주세요. 제가 원하는 제품을 찾는 방법을 가르쳐드리겠습니다. 1) www.enuri.com 에 들어가시면 위쪽에 여러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2) [영상 음향] 카테고리 선택 -> [캠코더] 선택    여기까지 하시면 상당히 많은 제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3) 여기에서 정렬(sorting) 하는 부분이 있는데 [최저가순] 으로 정렬해서    생각한 가격의 범위에 있는 제품들중에서 선택해서 원하는 기능에 맞는 제품으로   알아보신 다음 제품을 직접 선택해서 제품 사양(Spec)을 보시고 결정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가정용]에 해당하는 제품의 경쟁은 정말 치열하고 적당한 제품도 너무 많습니다.제가 사용해보지 않아서 추천해드릴 수가 없네요.. 상위 기종 중에서는 SONY와 PANASOIC 제품이 월등하지만 가정용의 경우는 SAMSUNG과 JVC 제품도 좋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3.가격 : 혹 정보가 있으시면 대략적으로 알려주세요. 답변 :저는 약간 상위 제품의 가격만 조사해 와서 다른 제품의 가격은 모르겠지만 제가 알아본 제품중 최저가가 S$1,200(파나소닉 NV-GS200) 인걸 감안하면 가정용으로 무난한 제품은 S$1,000 이하에 구입하실 수 있을겁니다. 4.많은 전자상가중에서 어디가 저렴한지도 알려주세요. 답변 :Sim Lim Square(Bugis 역에서 4~500m만 걸어가면 됩니다.) 가 가장 저렴합니다. 그 곳에서도 여러군데 가서 가격을 물어보시면 더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구입하실 수 있고 한국에서 처럼 깍아 달라고 잘하시면 깍아줍니다.     

Q

NO.8

기타콘도 관련 급질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길위에선자(yesgoforit) 2004-08-13
추천수 : 6 조회수 : 1,500

저는 이제 콘도 계약단계에 있습니다. 전에 여기서 본걸로는 보증금이 한달 렌트라고 되어 있던데 집주인이 두달치의 디파짓을 요구하는군요. 그리고 비자나 이런것에 문제가 있을시에 두달 노티스에 상관없이 바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넣으라고 화니님께서 말씀하셨는데 다른…

  • A

    보통 두달 노티스 두구 계약하는데.. 회사에서 문제가 약간 있어도 두달정도의 시간은 있지 않나요? 급하게 서울로 되돌아가야한다면 회사에서 보존해주는게 상식같은데요. 여기가 1년계약하면 1년을 꽉채우고 나가야 하는데 중간에 나가면 디파짓포기등등의 불이익이 있는걸로 알구있습니다. 비자 문제 생기면 두달 노티스주구 아무때나 나갈수 있다는것정도 삽입하면 괜찮을텐데요... 두달 노티스는 여기서는 상식선으로 보는거 같습니다. 디파짓두 1년계약은 한달치, 2년계약은 두달치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이제 콘도 계약단계에 있습니다. >전에 여기서 본걸로는 보증금이 한달 렌트라고 되어 있던데 집주인이 두달치의 디파짓을 요구하는군요. >그리고 비자나 이런것에 문제가 있을시에 두달 노티스에 상관없이 바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넣으라고 화니님께서 말씀하셨는데 다른 분도 정말 조은 조언이라고 말씀하신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제 에이전트는 그런 조항을 넣으면 불법(?)이고 당연히 집주인이 사인을 안해줄거다라고 합니다. 정말 그런건가요? >사실 제 에이전트를 100%믿고 있기는 한데... >급한질문입니다. 빨리 조언을 들었으면 합니다. > >     

  • A

    계약이 일년이면 한달치  dposit을 내면 되고 2년일 경우 2달입니다. 불법 아닙니다. diplomatic cluse 라고 하는 조항을 넣어달라고 하십시요. 예를 들어 회사나 고용이 파괴 됬을 경우 또는 외국으로 발령이 났을ㄱ경우 이런때를 대비해서 넣는조항입니다. 만약 계속 문제가 있으시면 저에게 전화주십시요.24시간 전화 열려있습니다. 94592482 >>저는 이제 콘도 계약단계에 있습니다. >>전에 여기서 본걸로는 보증금이 한달 렌트라고 되어 있던데 집주인이 두달치의 디파짓을 요구하는군요. >>그리고 비자나 이런것에 문제가 있을시에 두달 노티스에 상관없이 바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넣으라고 화니님께서 말씀하셨는데 다른 분도 정말 조은 조언이라고 말씀하신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제 에이전트는 그런 조항을 넣으면 불법(?)이고 당연히 집주인이 사인을 안해줄거다라고 합니다. 정말 그런건가요? >>사실 제 에이전트를 100%믿고 있기는 한데... >>급한질문입니다. 빨리 조언을 들었으면 합니다. >> >> >     

Q

NO.5

기타세달만에 이사가고 싶어진다면...

  • 답글 : 7
  • 댓글 : 0
답변진행중
초보(nsbae) 2004-05-04
추천수 : 22 조회수 : 1,995

싱가폴에 온지 세달쯤 되어가는데요 새로 알게된 주변 분들을 통해 부동산 에이전트한테 바가지를 엄청 썼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너무 서둘러서 집을 구하려했던 것도 실수기는 하지만 아주 싸게 잘 구하는 거라고 계속 종용하던 싱가폴 에이전트 얼굴이 떠올라서 더 화가 나네…

  • A

    시가보다 많은 세를 내게 되서 제가 다 배가 아프네요. 다음엔 싱가폴 신문 STRAIRS TIMES,CLASSIFIED SECTION을 꼭 참조 하세요. 그리고 매달 실세보다 얼마나 더 내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예를 들어 시가에 비해 한달에 $200정도 추가로 내신다면 2년 계약인 경우 총 $4.800불을 불필요하게 내시는거니까 차라리 보증금(보통 1달 월세죠?)을 뜯기는 한이있어도 나가시는게 어떠세여?한마디로 주인 겁주는거죠.실세보다 비싼데 모르고 계약한건 분명 본인 실수지만 낮춰달라고 해 보세요.안그러면 나가겠다고요. 그쪽도 다시 입주인 으려면 에이전트비에 이것저것 돈이 들게 뻔한데 협상을 할지도 모르는거 아니겠어요?†œ놓고 생돈을 내느니 별미친짓이라도 하는데까지 해봐야지 않을까요?집값 안내려주면 계약기간후 나갈때 집을 생쥐굴로 만들어 버리겠다고 하세요.얼마전 신문을 보니 "끔찍한 세입자"라고 하는 기사가 났던데,여기 사람들도 집을 망치는건 죽어도 싫어하니까(다음에 세놓기 무척 힘드니까) 겁주세요.좀 치사한감은 있지만 비양심적인 에이전트 생각하면 말로 겁주는건 아무것도 아니죠,뭐. 화이팅 >싱가폴에 온지 세달쯤 되어가는데요 새로 알게된 주변 분들을 통해 부동산 에이전트한테 바가지를 엄청 썼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너무 서둘러서 집을 구하려했던 것도 실수기는 하지만 아주 싸게 잘 구하는 거라고 계속 종용하던 싱가폴 에이전트 얼굴이 떠올라서 더 화가 나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1년 계약을 원했었는데 에이전트가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집 구하러 오시는 분들은 반드시 한 에이전트를 통해서 모든것을 결정지으려는 저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그래서 혹시라도 2년 계약을 했는데 그 전에 손해보지 않고(또는 손해를 조금만 보고라도 T.T)이사갈 수 있는 방법이 있나 알고 싶습니다. 주변에 한국분들 보니까 저희가 지금 내는 월세로 지금 살고있는 집보다 훨씬 큰 집에 살 수 있던데 정말 억울하네요. 에이전트가 싸게 얻는 거라고 하는 통에 집주인이 저희가 요구한 거 하나도 안들어주는데도 너무 싸게 얻어서 그런가보다 하고 얼결에 계약했습니다. 좋은 방법 알고 계시면 꼭 좀 알려주세요. 매달 월세낼 때마다 너무 속이 상하네요. 회사에서 지원이 안되서 저희 월급에서 꼬박꼬박 내고 있거든요. > >고맙습니다.     

  • A

    저도 집을 구하러 다니다 보니까 MRT 역을 하나 더 올라가고 내려오고에 따라서도 집값이 천차만별이었어요. 그리고 새집이냐 헌집이냐도 중요하구요. 먼저 같은 콘도에 세들어 계신분들이랑 비교하시고 나서 대책을 세우는 게 좋겠어요. 그러고도 너무 비싸다고 생각되면 윗분 대답처럼 deposit을 떼이고 이사비용을 또 들여서 이사갈 경우랑 계속 사는 경우를 비교해 보시구요, 또 제가 들은 이야긴데요, 1년 후엔 계약만료전이어도 deposit을 떼이지 않는 외교조항을 활용해서 뻥을 치고 나온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 A

    저희랑 상황이 어쩜 그렇게 같으신지.. 저희는 시세보다 400을 더 내고 있어요. 몇일전 같은 평으로 이사오신 분 말씀을 들어보니 저희보다 400이 낮더라구요. 전망도 좋구요. ㅜ.ㅜ (저희는 도로가) 아직 나가는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주인에게 말을 해볼까.. 생각중 입니다. 좋은 결과 얻으시면 어떻게 처리하신건지.. 정보 좀 주세요. ^^     

Q

NO.4

기타전세 계약시 에어컨 서비스 문제에 관하여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순이(singo70) 2004-02-10
추천수 : 14 조회수 : 1,547

얼마전 전세 계약시 집 주인이 에어컨 서비스 비용 $308, TV 라이센스 비용 $110을 저희에게 청구 하였습니다 에어컨은 1년에 4회 걸쳐서 에어컨 청소며 점검을 하는 것으로 만약 에에컨에 문제가 생기면 집 주인이 비용을 지불 한다고 합니다 에어컨 서비스를 하지 …

  • A

    어떤 주인을 만나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에어컨 문제는 보통 3개월에 한 번씩 서비스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여기서 308불이라는 돈은 4번을 했을 때 더 비싸므로 한꺼번에 맴버쉽 형식으로 돈을 내고 3개월 마다 서비스맨을 보내겠다는 의미있것 같습니다. 보통 월세를 전문으로 내는 집 주인은 에어컨 문제를 가장 확실히 해 주길 원하더군요, 왜냐하면 고장이 났을 때 집안에 물이 새는 경우도 있고 여러가지 와이어가 집안에 둘러 있어 고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 지니까요. 그래서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원합니다. 보통 주인이 아무 말을 하지 않았다 해도 계약서에 이미 첨부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세입자에게  맡겼을 경우 나중에 계약이 만료되었을 때 1년 동안 서비스 했던 영수증을 보여 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그 영수증도 잘 보관했다가 나중에 보증금을 돌려 받는데 무리가 없게 해야 합니다. 시청료는 그야말로 관리비처럼 살든 안 살든 집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당연히 내야 하는 의무사항이 아니고 티비를 가지고 시청을 했을 때만 내는  돈 입니다. 그래서 원칙적으로는 시청을 하는 세입자가 내야 합니다. 하지만 주인에 따라 그런 걸 따지지 않고 주인이 내는 경우도 더러 보았습니다. 그러니까 계약시 그런 것들을 확실히 해서 깎아 달라고 하든지 반만 내든지 뭔가 주인과 쌍방간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그걸 원하신다면 그런 조건을 받아 들이는 집을 구하셔야 하구요.. 법적으로 이렇다 저렇다 할 수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런데 보통은 주인이 살다가 사정 상 세를 내는 집은 주인도 그런 세부적이 걸 잘모르니까 대충 넘어가고 그런가 보다 하는데 전문으로 세만 내는 집 주인들은 그런 것들이 아주 명확하더군요. 어떨 때 살벌할 지경이예요.ㅎㅎ 모쪼록 좋은 주인을 만나기를 바랍니다. >얼마전 전세 계약시 집 주인이 에어컨 서비스 비용 $308, TV 라이센스 비용 $110을 >저희에게 청구 하였습니다 >에어컨은 1년에 4회 걸쳐서 에어컨 청소며 점검을 하는 것으로 만약 에에컨에 문제가 >생기면 집 주인이 비용을 지불 한다고 합니다 >에어컨 서비스를 하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저희가 알아서 고치고 비용을 지불하겠다고 >하니 이건 싱가폴 법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꼭 해야한다고 하더군요 >근데 주위에서 집 계약시 아무도 이런 조항을 의무적으로 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TV 라이센스 비용도 저희가 지불 했는데 이것도 집주인이 내야 된다는 말도 >있고 해서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 >* 한국촌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4-02-10 12:27)     

Q

NO.3

기타콘도 재계약에 관한 질문(agency fee)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greenfish(sypw02) 2003-12-24
추천수 : 18 조회수 : 1,559

작년에 agent를 통해 1년간 콘도를 rent했고 곧 만기가 되돌아 와서 재 계약시 궁금한것이 있어 조언을 청하고자 합니다. 만약 같은 콘도를 재 계약할때에도 처음 계약때처럼 agent fee를 지불해야 하나요 ? 아니면 집주인과 direct로 얘기해 agent fe…

  • A

    집주인과 직접 한번 말씀해 보세요 양쪽이 게약에 더 원하는것이 없고 그냥 전과 같이 게약하시겠다면 문제가 없는것으로 알고 있어요 저도 전에 집에 그렇게 했었거든요 한번 직접 말씀해 보세요 >작년에 agent를 통해 1년간 콘도를 rent했고 곧 만기가 되돌아 와서 재 계약시 >궁금한것이 있어 조언을 청하고자 합니다. >만약 같은 콘도를 재 계약할때에도 처음 계약때처럼 agent fee를 지불해야 하나요 ? >아니면 집주인과 direct로 얘기해 agent fee를 절약할 수 도 있나요 ? > >만약 재 계약시 또 agent fee를 내야한다면 이 기회에 집을 옮기는것도 >고려 중입니다. >경험 있으시거나 아시는 분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 >한인 여러분, 메리 크리스 마스 !! 날이 더우니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나질 않는군요. >시간(계절의 바뀜)이 지나가는 것도 모르겠구요. 항상 그 날씨가 그날씨니... > >GreenFish, >     

Q

NO.2

기타콘도비용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비니맘(hazynight) 2003-11-12
추천수 : 11 조회수 : 1,964

집계약이 끝나서 재계약을 하려구 하는데 집주인이 먼저 100불정도 내려서 말하는데 요즘 콘도시세가 궁금해서요.물론 사는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있는곳은 부킷티마쪽인데 일년전과 비교해서 어떤지...집주인은 100불 밑으로는 곤란한듯이 얘기하는데..100불 정도면 재…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부동산 하시는 분에게 문의해 보니 올해의 콘도, HDB 임대시장은 작년보다 3~5%정도 낮게 형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사스와 장기적인 경기불황등이 겹쳐서 많은 외국인들이 떠났기 때문에 물건이 많이 남아서 그렇다고 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계약은 하기 나름인데요, 부족한 부분을 집주인과 상의하신 후 조정하실 수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은 인정에 이끌리어 계약서 내용을 충실히 하지 않는 반면, 싱가폴은 계약서에 자세한 것 까지 기록하고 서로 지키도록 되어 있사오니 부담없이 집주인과 상의하시고 네고하신 후 계약을 하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집계약이 끝나서 재계약을 하려구 하는데 집주인이 먼저 100불정도 내려서 말하는데 요즘 콘도시세가 궁금해서요.물론 사는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있는곳은 부킷티마쪽인데 일년전과 비교해서 어떤지...집주인은 100불 밑으로는 곤란한듯이 얘기하는데..100불 정도면 재계약하는게 괜찮은지 선배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리구요.일년을 재계약할때 혹시 집주인에게 요구해도 되는게 있을까요?뭐 커텐청소라든지 에어콘 청소라든지...그리고 안목교에 사시는분들! 방 2개가 있는 콘도는 대략 어느정도면 구할수있을가요? >리플 많이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

NO.1

기타싱가에 사시는 분 알려주셔여...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멍멍아(dkfhd72) 2003-10-26
추천수 : 12 조회수 : 1,934

안녕하세여... 제가 담달에 싱가폴로 가거등여... 쫌 엉뚱한 질문인데여... 싱가폴은 우리나라처럼 집 현관에 신발 벗구 들어가나여?? 아님 외국처럼 신발 신구 들어가여?? 그리구 방하나 빌려서 쓸때 전기세나 수도세 같은거 집주인이 내나여?? 아님 본인이 직접 은행에 …

  • A

    엉뚱한 질문 아님다. 제가 아는데로 답변 드립니다. 현관에서 저희 나라처럼 신발 벗구 들어갑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방한칸을 빌릴경우 주인이랑 같이 사는경우에 수도세,전기세가 모두 포함이지만 개인마다 다를 수 가 있으니 잘 확인하실것. 이곳에서도 항상 수돗물을 끓여서 마신답니다. 그리고 싱에 있는 외환은행의 주소는 라플스에 있읍니다. 라플스 전철역에서 내리심 됩니다. 전화는 665361633 30 Cecil Street #24-03/08 Prudential Tower 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여... >제가 담달에 싱가폴로 가거등여... >쫌 엉뚱한 질문인데여... >싱가폴은 우리나라처럼 집 현관에 신발 벗구 들어가나여?? >아님 외국처럼 신발 신구 들어가여?? >그리구 방하나 빌려서 쓸때 전기세나 수도세 같은거 집주인이 내나여?? >아님 본인이 직접 은행에 가서 내나여?? >싱가폴은 수도물을 직접 마신다던데... 괜찮나여?? >그리구 싱가폴에 있는 외환은행 위치 좀 자세히 알려주세여.. >감사합니다..     

  • A

    >엉뚱한 질문 아님다. >제가 아는데로 답변 드립니다. >현관에서 저희 나라처럼 신발 벗구 들어갑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방한칸을 빌릴경우 주인이랑 같이 사는경우에 수도세,전기세가 모두 포함이지만 개인마다 다를 수 가 있으니 잘 확인하실것. >이곳에서도 항상 수돗물을 끓여서 마신답니다. >그리고 싱에 있는 외환은행의 주소는 라플스에 있읍니다. >라플스 전철역에서 내리심 됩니다. >전화는 665361633 >30 Cecil Street #24-03/08 Prudential Tower 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여... >>제가 담달에 싱가폴로 가거등여... >>쫌 엉뚱한 질문인데여... >>싱가폴은 우리나라처럼 집 현관에 신발 벗구 들어가나여?? >>아님 외국처럼 신발 신구 들어가여?? >>그리구 방하나 빌려서 쓸때 전기세나 수도세 같은거 집주인이 내나여?? >>아님 본인이 직접 은행에 가서 내나여?? >>싱가폴은 수도물을 직접 마신다던데... 괜찮나여?? >>그리구 싱가폴에 있는 외환은행 위치 좀 자세히 알려주세여.. >>감사합니다..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