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400

기타8331 3502 /91365109 환전 사기꾼 중간 …

  • 답글 : 1
  • 댓글 : 7
답변진행중
싱싱싱(cliff5) 2010-03-07
추천수 : 11 조회수 : 3,069

몇일전 환전 사기 당했다고 인터넷에 글 올린 사람입니다 3월2일 저녁 7시경 경찰에 사건 신고를 한후 다은날 3일 저녁 9시경 차이나타운에서 경찰과 함께 한사람을 검거하였습니다 하여 이틀정도 경찰 유치장에 구속되어 있다 5일 오후3-4시경 출감하였습니다 현재 경찰에서 …

  • A

    >몇일전 환전 사기 당했다고 인터넷에 글 올린 사람입니다 >3월2일 저녁 7시경 경찰에 사건 신고를 한후 다은날 3일 저녁 9시경 차이나타운에서 >경찰과 함께 한사람을 검거하였습니다 >하여 이틀정도 경찰 유치장에 구속되어 있다 5일 오후3-4시경 출감하였습니다 >현재 경찰에서 이 남자의 여권을 압류하고 있기때문에 싱가폴에서 출국을 할수 없는 >상황입니다 >하여 이사기꾼에서 피해를 보신분이나 피해를 보실뿐 했던 분들은 빨리 빨리 싱가폴 >어느 지역 경찰서 상관없습니다. >속히 경찰서 가셔서 돈 사기당했다고 신고하시고 이런 건으로 피해본사람이 벌써 경찰에 신고해서 경찰해서 구현수라는 사람 신상 확보된 상태라면서 말씀하시고 현재 담당 형사분 이름을 알려드릴테니 경찰서 가셔서 내용 말씀하시고 담담형사 이름 말씀하시도 담당형사분과 연결되실겁니다 >피해를 보셨던 분들이 꽤 많으신거 같은데 어떤분의 이야기로는 일당이 말레이시아에 >있는거 같다고 하는데 경찰에 빨리신고하여 말레이시아에 있는 일당까지 모두 잡아서 >싱가폴  교도소로 보내야 할거 아닙니까? >환전 사기 당하신분들 왜 여태껏 경찰에 신고하지 않으셨습니까? >빨리 신고하셨으면 제2의 피해자가 더 발생하지 않았을거 아닙니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피해자분들 빨리 경찰에 신고하세요 >이대로  그냥 한국으로 추방시킬수 없습니다 >담당부서 : investigation officer >담당자 경찰 이름 : MR. LEON HOON BOON KENG >한국인 사기꾼 이름 : 구현수 > //////////////////////////////////////////////////// 저는 6-7년동안 싱가폴에 살면서 개개인간에 환전을 하였지만 이제껏 한번도 문제가 되었던 적은 없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아무런 의심없이 환전을 하다가 이렇게 환전 사기를 당하고 보니 위험성을 알겠더라구요 현지 경찰도 하는 말이 모르는 사람과 환전을 하면서 본인 구좌로 돈이 들어가고 나가는 것이 나쁜사람들이 돈세탁 과정으로 사용하다 적발되는 경우는 어떻해 하냐면서 절대로 개개인간의 환전은 하지 말라고 하면서 현지 경찰은 사기사건으로 취급하는거 같습니다. 그러니 여런분들도 조금 낮은 환율로 환전하려고 하지마지고 절대로 안전한 은행을 이용한 환전거래및 송금하시는것이 좋을겁니다 혹시나 나한테 그런 일이 생길까 방심하다가 사고는 반드시 나게되어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촌 운영자에게도 문의를 드렸습니다 한국촌 회원가입시 왜 실명확인을 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느냐고 문의를 드렸더니 인터넷으로 실명확인이 안되다고 하더군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그럼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 회원가입시 실명확인 하는 절차는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실명확인 절차라도 있어야 무슨 사고가 나더라도 이름과 주민번호 확인으로 찾을수 있지 않겠습니까? 라면서 제가 확인을 해보겠다고 하였더니 한국촌 운영자는 별 상관없다는 식으로 마음대로 하라는 대답이었습니다 한국촌이 영리목적으로 운영되면서 어떻해 이런 대답을 할수가 있는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현재 싱가폴에서 운영되는 한국촌과 비슷한 한인 사이트들이 몇몇 있는것으로 알고 있으면 공공연히 이런 환전이 이루고지고 있으면 이런 사이트들도 공공연히 묵인하고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개인간의 환전의 위험성을 알고 안내만 할게 아니라 회원가입시 실명확인이라든가 어떤 제도적인 조치도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개인간의 환전을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뒤늦께야 깨달았습니다. 한국촌 운영자께서 광고비로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실명확인하는 절차같은 제도적인 방법을 찾아보시는게 어떨까하는 바람에 글을 올려 봅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