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NO.91
콘도와 달리 HDB는 에이전트비용을 무조건 줘야 한다던데 맞나요? 콘도는 평상 월세 2500불기준으로 에이전비용을 주인이 주냐....세입자가 주느냐를 결정하는 것 같은데. HDB는 기준이 다르나요....그냥 무조건 세입자가 줘야한다던데 이게 맞는지 넘 궁금합니다.…
아파트를 렌트할 경우 에이전트 비용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에이전트 비용은 HDB나 콘도나 차이가 없습니다. 1년 계약일 경우에는 월 렌트비의 50%, 2년 계약일 경우에는 월 렌트비의 100%를 지불해야 합니다. 집 주인도 위와 똑같이 에이전트 비용을 내야 합니다. 즉, 월 2000달러의 아파트가 2년간 렌트계약 되었을 때,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2000달러를 에이전트 비용으로 지불해야 합니다. 통상, 집 주인쪽 에이전트와 세입자 에이전트가 각자의 고객에게 수수료를 받습니다. 에이전트가 한 명일 경우에는 물론 그 에이전트가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에게서 에이전트 비용을 받습니다. 월 렌트비가 2500달러를 초과하는 경우.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 하시는 것 같습니다. 에이전트 비용은 법으로 그 요율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불과 수 년전만 하더라도 월 렌트비 2500불이면 고급 주택의 임차 가격이었습니다. 당시에는 이경우 집주인만 에이전트 비용을 내고, 그 수익을 집주인과 세입자 측 에이전트가 반분하였습니다. 이 또한 관행이었지, 법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요즘은 렌트비 2500불이면 콘도 렌트의 하한선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집주인 측 에이전트의 경우 세입자 측 에이전트와 수익을 반분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세입자 측 에이전트는 세입자에게 에이전트 비용을 청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렌트비가 2500불을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세입자가 에이전트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지불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이 부분을 에이전트에게 확인한 후에 집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콘도와 달리 HDB는 에이전트비용을 무조건 줘야 한다던데 맞나요? > >콘도는 평상 월세 2500불기준으로 에이전비용을 주인이 주냐....세입자가 주느냐를 결정하는 것 같은데. > >HDB는 기준이 다르나요....그냥 무조건 세입자가 줘야한다던데 이게 맞는지 넘 궁금합니다. 맘이야 콘도로 가고 싶지만서리...요즘 월세가 넘 올라서 HDB로 사람들이 몰린다 합니다. 사실인지...그리고 에이젼 비용이 제가 알고 있는 부분이 맞는 것 인지 알고 싶네요. > >HDB 계약시 주의 사항이 뭔지 먼저 경험하신 많은 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NO.90
콘도 계약 만기 관련 질문 드립니다. 콘도 만기가 3개월도 남지 않았는데 만기전에 어떤 일들을 해야 하는지요? 계약을 마무리(디파짓 포함)하는 과정들과 필요한 일들을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콘도 계약시의 에이전트가 연락이 되지 않아서 도움을 받을 수가 …
NO.89
요즘 영주권 승인률이 어떤가요? 작년말 정도만 해도 한국인 신청자가 많아서인지 승인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거 같은데 걱정입니다. 전 싱가폴에서 1년정도 일했구요. 세금 낸적 없습니다. 지금 직장은 처음 다니던 곳이 아니라 새로 옮긴지 얼마 안됐어요. 그런데 사장님…
영주권 및 비자 신청에 관한한 충분한 경험과 실적을 갖고 있습니다. 전화주시면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8189-7832 (Bruce) >요즘 영주권 승인률이 어떤가요? >작년말 정도만 해도 한국인 신청자가 많아서인지 >승인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거 같은데 걱정입니다. >전 싱가폴에서 1년정도 일했구요. 세금 낸적 없습니다. >지금 직장은 처음 다니던 곳이 아니라 새로 옮긴지 얼마 안됐어요. >그런데 사장님이 영주권 따라고 적극 밀어주고 계셔서 하루 빨리 신청하려구요. >스폰서는 회사에서 해줄겁니다. >전문직이지만 나이도 아직 어린편이고 완전 고소득직은 아니구요..... >싱가폴은 대리신청 에이전트 없나요? >돈이 좀 들더라도 그들 노하우가 도움이 된다면 맡길 의향이 있는데요...... >특별히 주의해야 하는 사항이나 무엇이든 >먼저 따신 분들 조언 한마디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NO.88
안녕하세요.. 겐팅을 한번 가 볼까 하는데, 야간버스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어디서 타야 하는지 한국처럼 매표소 같은 게 있나요? 아니면 에이전트를 통해서 구매해야 하는건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겐팅 카지노는 개장 폐장 시간이 있나요? 도착하면 바로 입장해서 게임을 …
NO.87
집을 매매시 에이전트 비용은 언제 지불하는 건가요? 중간에 지불하나요? 한국처럼 일이 다`마무리 됀뒤에 지불하나요? 또 집을 파시는 쪽에서만 에이전트비용을 지불한다고 하는데,사시는 분쪽은 그 비용을 전혀 내지 않는건가요? 여기저기 자료를 보면 파시는 분쪽에서만 매매총금…
NO.86
렌트할 집을 구하고 있는데요... 신문보고 직접 집을 알아보고 있는데, 대부분 집주인 에이전트들이 광고를 냈더군요. 제가 저희쪽 에이전트 없이 집주인쪽 에이전트와 계약서 작정시에도 제가 집주인쪽 에이젼트에게 커미션을 줘야 하나요? 아님 저는 그쪽 에이젼트에게 …
NO.85
처음 메이드 고용해서 함께 지낸지 4개월 째인데, 아주 머리가 다 아픕니다. 이미 한 달 전부터 에이전트한테 메이드를 교체하겠다고 얘기했는데, 기다리라고 말만하고, 묵묵부답. 안 되겠어서 찾아갔더니, 새로운 메이드를 데려와야 하고, 다시 upfront 5개월치를 내라고…
NO.84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HDB말고는 특별히 구입에 있어 자격요건은 없는걸로 아는데.. 맞나요? 처음 구입하실때 최소한 총금액의 얼마를 지불해야하고 얼마까지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한지.. 또 세금은 몇%인지 에이전트 수수료는 얼마인지 경험담을 나눠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
NO.83
콘도 계약시 에이전트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잘 가르쳐주세요. 부탁드립니다.
NO.82
4월쯤 입싱계획입니다. 5학년 아들을 공립학교에 진학시키고 싶어서요 어느 지역에 집을 얻어야 할지 학교도 결정이 안나서 망막합니다. 우선 홈스테이를 하다가 에이전트분이랑 집구하러 다녀야 하는지 아님 입학시험에 붙을때까지 그냥 홈스테이 하는게 좋은지 잘 모르겠네요 가기…
NO.81
메이드 관련으로 한국 에이전트와 상담을 하고 싶습니다. 8286 5864 Ester
NO.80
전에 계약할때 도움을 준 에이전트한테 따로 에이전트비를 줘야하나요. 집주인과 세입자의 사소한 문제들을 도와주고있으면서 계속 관계를 유지해온 에이전트입니다. 이런 경우 어찌하나요? 거듭 도움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NO.79
안녕하세요. 2월중에 들어가서 콘도를 좀 둘러보려고 하는데 좋은 에이전트 분 알고 계시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rent 가 많이 오르긴 했어도 성의있게 찾아보면 꼭 터무니없는 가격대만 있는건 아닌거 같아서요.. 경험하신 분들 중에 소개시켜 주실만한 분이 계시면 말씀…
NO.78
안녕하세요? 우리 메이드와 재계약을 해야 할 땐데, agent에서 300불을 요구하길래, mom 에 직접 contract renewal 신청을 할 생각입니다. 근데 만약 중간에 메이드를 해고할 경우 에이전트 소속이 아니면 문제가 복잡해 지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혹시 경…
NO.77
세랑군 지역 다른 콘도나 특히 Sunglade 에 사시는 한국 분들 프롭넥스 에서 일하면서 젊은 싱가포리언 여자 에이전트인 캐서린 코 조심하세요. 제 친구인 에이전트한테 들었는데 이 사람 문제가 많다고 하며 주인편에 붙어서 한국분들한테 많은 불이익을 준다고 합니다. …
NO.76
HDB에 산지 2달 정도됐어요. 주인이 해외에 살지 않고 아버지집으로 들어가고 집을 저희에게 세를 주었습니다. 에이전트한테 조사하러 사람이 나올수도 있다고 듣긴했습니다. 혹시,우리나라처럼 가스 안전 점검 같은거 하러 나오는 사람은 없나요? 제가 괜히 겁먹고 대답도 않…
NO.75
안녕하세요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다름이 아니라, 비자를 대행해주실 곳을 찾고 있는데, 물정에 어두워서 찾는것도 쉽지 않네요. 아시는 분 있으면 쪽지나 리플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당~
NO.74
집계약서에 보면 일년에 두번이상 에어콘 점검받아야한다구 나와있자나요 부동산 에이전트가 일년에 400불하는 에어콘 컨트랙터가 싸다구 하라구 권유하는데 다른 분들은 좀 어떻게 하시는지 알려주세요...
NO.73
저는 2달 된 필리핀 메이드를 두고 있습니다. 처음에 데리러 가자마자 우리 애들에게 아줌마라고 부르라고 너무 강조를 하더라고요. 저는 신경이 쓰였습니다. 한국분들은 아줌마라고 부르게 하는 것 같은데... 글쎄 저는 호칭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자 않습니다. …
내가 그집 메이드라면.. 쪼그만 아이들이 내 이름을 부르면 엄마아빠 없을때 싸따귀를 한대 때려줄지도 모른다. 눈에 쌍심지에 불을뿜게 하는 일이 생기면 더 심한짓을 할지도 .... 내 친구들은 4식구 돌보고 시간있을땐 울랄라...놀기도 하는데 나는 똑같은 월급을 받으면서 그 두배의 일을 한다...아마 더할지도... 월급 받고 정당히 일하고 월급받는데.. 무시하는 말투 ...현대판 노예취급... 하나부터 열까지 치우는 인간들 없고.. 하나 치우면 셋이 어질러 놓고.. 해도 해도 끝도 없는 잡일들이 날이면 날마다 해야한다... 싱가폴 신문에 가끔 메이드가 저지른 끔찍한 기사들이 나는데 그 메이드가 한짓을 그대로 할것같다... 메이드도 인간이다... 당신도 인간이다... 당신이 딱 3일만 그메이드가 하는일을 그월급 받고 그대로 해봐라!!!! 당신같은 상전두고... 개거품이 저절로 입에서 쏟아져 나올것이다.... 메이드도 당신이나 당신 딸처럼 어떤집의 귀한 딸이다... 잘 먹이고, 잘 재우고, 돈도 충분히 지불하고, 도와줘 봐라... 그래도 변함이없으면 메이드를 갈아치워라..
NO.72
싱에 오래 거주 해야 할 듯 한데, 렌트비가 게속 오르를 것 같아 아예 한국의 집을 정리하고 싱에 콘도를 구입 하고 싶은데, 거래 해보신 에이젼트 중 믿을 만한 분 있으면 쪽지 부탁 드립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