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078

기타선배님들 비자관련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singsinggaga(lock424) 2017-01-04
추천수 : 0 조회수 : 1,287

안녕하세요 올해 4월에 입싱 예정인 27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싱가폴에서 엔지니어쪽 경력을 쌓고 싶은데 어떤 비자를 받아야하며 어디서 받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년제 대학 졸업에 현재 직장 1년차 입니다.   1. 어떤 종류의 비…

  • A

    안녕하세요 올해 4월에 입싱 예정인 27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싱가폴에서 엔지니어쪽 경력을 쌓고 싶은데 어떤 비자를 받아야하며 어디서 받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을 드리면 27살 대졸하고 오셔서 엔지니어쪽으로 취업을 하신다면 100에서 70프로정도는 SP를 받게됩니다. 급여가 높으시면 EP도 노려볼만 하지만, SP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어떤 종류의 비자를 받아서 생활 하는것이 좋은가요 체류기간은 1~2년정도 예상중입니다. 위에서 답한거와 같습니다.   2. 비자를 발급받는다면 어디서 받아야하는건가요 싱가폴에서받는건가요 한국에서받는건가요? (정말 초보라서 어이없을수 있지만 부탁드립니다) MOM(Ministry of Manpower 싱가폴)에서 받게 됩니다. 입사를 하게되면 회사에서 발급을 지원해줄거에요.   들어오실 때 꼭 계약서 잘 확인해서 취업하시구요, 집도 잘 구하시길 바랍니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채택답변
Q

NO.1076

기타씨티은행 ATM, 은행 디파짓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킹돌(tswk06) 2016-12-27
추천수 : 0 조회수 : 1,508

아직 SP 홀더는 아니고 이번에 싱가폴 들어가서 받는데요. 지금 가진 카드는 한국에서 만든 씨티은행 체크카드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이걸 쓸 건데요. ATM 기계에서 한 번 출금할 때 얼마까지 출금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금액이 ATM 기계…

  • A

    오시기전 한국측 씨티은행 방문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지고 있는 체크카드가 해외사용가능한 것인지. 아니라면, 바꾸셔야 합니다. 해외사용가능한 체크카드는 본인이 있어야만 발급이 됩니다. 출금한도 또한 설정하시면 됩니다. 싱가폴은행들은 예전에 카드사고가 있은 후, 보통 현금 1000-2000/일 이하로 제한하고 있읍니다. 취업비자관련 security bond는 회사에서 정부에 제출하는 것으로, 개인과는 상관이 없읍니다. 입국후, 신분증발급 및 주소확인증빙 등이 준비가 되면 은행방문하셔서 계좌개설은 가능합니다. 계좌개설시 설명하는 minimum deposit는 (예전 한국서도 운영하였던 계좌유지최저예금액?으로) 월평균잔액이 그 이하가 되면 계좌유지비용을 받겠다는 것일 뿐 입니다. 계좌개설과는 상관이 없읍니다. 취업비자인 SP라고 하시니, 어차피 급여를 받기 위해 싱가폴 은행계좌 필요한 것이니 은행마다의 minimum deposit 및 혜택내용을 비교하여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점, ATM이 많아 편리한 은행들은 DBS/POSB, OCBC, UOB, Citi 등 입니다)      

    채택답변
Q

NO.1074

사업/직장오퍼 사인 EP 발급 후 번복 후 다른 오퍼 수락

  • 답글 : 1
  • 댓글 : 6
답변완료
jamesxx(jmsdoug) 2016-12-21
추천수 : 0 조회수 : 2,587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면접봐서 싱가폴 MNC에서 오퍼받고 바로 EP 진행해서 수속해서 승인 났는데요, 공교롭게 훨씬 좋은 조건에 가고 싶은 회사에서 오퍼를 준다고 합니다. 현 회사에서 오퍼 다시 번복하고 현재 새로 오퍼 받은 회사 사인하고 이쪽 회사로 EP 진행해…

  • A

    일단.. 현재 재직중이신가요? 만약 재직중이시면 고용계약서의 조건의 노티스 기간에 따라 한달 (혹은 그 이상) 패널티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만, 현 회사랑 협의를 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Q: "현 회사에서 오퍼 다시 번복하고 현재 새로 오퍼 받은 회사 사인하고 이쪽 회사로 EP 진행해 달라고 해도 가능한지요?" --> 말씀하신 질문사항이 조금 헷갈리네요. 일단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일단 좋은 조건을 제시한 회사에 비자 진행을 하라 하시고, 그 비자가 승인이나고 퇴사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비자 프로세싱하는데 대략 짧게는 2일 많게는 1~2주정도 걸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회사의 비자는 유지하시고,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한 회사가 EP를 진행하게 놔두셔야 됩니다. (현 회사가 더 좋은 조건의 회사를 위해 절대 EP신청 불가능 합니다) 즉, 동시에 EP를 두회사에서 신청한다고 보시면 되구요 저도 그렇게 이직 하였습니다. 절대 현회사 EP를 취소하지 마시고, 비자가 확정되기 전에는 사임하지 마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만약에 재직중이지 않으시고 입사날짜를 기달리고 있으신 상황이라면 패널티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좋은 소식 축하드립니다. 일단 그만두실 경우 현회사랑 좋게 마무리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입국시에는 IPA레터 혹은 비자승인 레터를 가지고 꼭 입국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혹시 방필요하시면 제가 지금 방렌트를 하나 하고 있으니.. 연락주세요 ^^        

    6 채택답변
Q

NO.1072

생활한국면허2종보통(수동)의 conversion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금용맘(gdragon1) 2016-12-12
추천수 : 0 조회수 : 2,184

한국면허 2종보통(수동)면허소지자입니다. 두달전 BTT이론시험에 응시하여 통과해서 싱가포르 운전면허로 CONVERT하는 과정에서 제가 받은 싱가포르면허의 종류가 CLASS 3A입니다.주석란에 보니 오토차량에 한정된 3000KG급,7인승 오토차량을 몰수 있다라고 하…

  • A

    질문 보고 그런가 봤더니 저는 클래스 3 으로 잘 되어 있어요. 한국 (국제)운전면허증에 수동이 가능하다는 뜻이 안 보여서 그런건 지도 모르죠. 2종 보통이 뜻하는게 뭔지 증빙되는 자료가 있으면 어필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일하는 사람 중에는 자기가 실수하고 나면, 다 그렇다고 말해버리는 사람들이 종종있어요. 싱가폴생활 십수년째인데, 뭐든 증거를 갖고 어필하면 정정해 주기도 해요. 다만 지난번 일 따지지 말고, 정상의 목소리톤으로... 뭔가 착오가 있는 것 같은데 다시 봐달라고 자세히 말하면 증빙서류 없이도 그렇게 해 주기도 하고요. 싱가폴엔 수동차가 거의 없으니 그냥 두셔도 되지만...귀찮은 일을 한번더 힘내서 해 보세요.        

    3
  • A

    저두 1종면허이구 class3 받았는데 한국1종은 11톤 차까지 몰수있고 25인승 이하 버스까지 운전가능한데 요기는 7인승이하 3톤미만 트럭뿐이 못 몰게 되어있더라구요 한국으로 따지만 2종소형 밖에 안되는건데..          

    2
Q

NO.1070

사업/직장연봉이 어느정도면 적당할까요??

  • 답글 : 10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오스칼(sij2010) 2016-12-11
추천수 : 0 조회수 : 18,919

한국에서 생활은 일단 세전 1억1천정도입니다. 엔지니어입니다. 아이한명 있습니다. 다른게 아니라 싱가폴법인에서 메니저자리 요청을 받고 이직 준비중이고 생활비 알아보고 있는데 상당히 비싸네요.   싱가폴달러로 10,000정도/월   협상할까 하는데.. 괜찮을까…

  • A

    한국에서 세전 1억 1천이 연봉이시면 싱가폴 달러로 13만불이 넘으시는건데, 그에 비해 월 1만불은 너무 적은것 같습니다. 저라면 만약 님께서 꼭 오시고 싶으시다면 월 1만 3천 혹은 4천정도로 이야기해보시고, 발령이 안나도 상관이 없다 라는 마인드이시라면 1만 5천불까지도 질러볼거 같습니다. 연봉 협상에서는 이유가 중요하니 말씀하신 자녀분 학비나 월세등을 이유로 네고를 해보셔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이곳 물가가 한국에 비해 많이 비싸긴 하지만 어차피 한국에서도 연봉이 1억이 넘으실 경우에는 소득세 많이 내시자나요. 이곳은 낮은 소득세때문에 비싼 물가가 어느정도는 커버 됩니다. 그래도 비싸지만요 ㅎㅎ 그리고 이곳에 오시는게 꼭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에 비해 international exposure가 훨씬 크니까요. 물론 한국에 비하면 job security라는것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는 하지만 본인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이곳 job시장이 오히려 더 클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 A

    현재 한국에서 지내고 계신 비슷한 생활 수준 (콘도+차1대+국제유치원) 으로 살길 원하신 다면 연봉 최소 200,000 SGD, 그게 아니라, 커리어에 도움이 될 걸 생각하고 생활 면에서는 살짝 어려워져도 괜찮다 생각이 되시면 150,000 SGD입니다. 한국에서 싱가폴로 올 때, 본인의 연봉을 낮춰서 오시는 건 진짜 비추입니다. 물가를 감안하면 최소 현재 한국에서 받으시는 연봉 대비 50% 이상은 올려서 오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집 값이나 아이 학비가 따로 나오는 게 아닌 상황이시라서요.        

  • A

    한국에 비해서 두배 받고 있는 상황인데 체감되는 삶의 질은 한국보다 못합니다. 그래도 버티(?)는것은 위에 분들이 말씀드린 커리어 때문이지요.   따라서, 금전적인 면보다는, 향후 몇년을 생각해보시고, 본인이 가고싶어하는 커리어(또는 삶) 방향에 싱가폴이 도움이 될거 같다라고 판단되시면 결정하시는 게 나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낮춰서 오는거 저도 강력하게 비추입니다.      

Q

NO.1069

부동산콘도 렌트 TA 계약조항 관련 (에어컨/부동산비)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완료
지상낙원(nitro77) 2016-12-06
추천수 : 0 조회수 : 3,213

  내년 초 입싱 예정으로 집을 계약예정인데...TA상에 하기 두가지 조항이 좀 낯서네요 (한국에서는 접하지 못한 내용들) 일반적으로 렌트 계약서에 들어가 있는 내용인가요?   1) Aircom Maintenance -3개월에 한번씩 세입자 부담으로 에어컨 …

  • A

    일반적인 내용인데 일반적인 내용이 아닌 것을  일반적인 내용으로 포장했다고 생각됩니다. 설명드리자면 1. 3개월에 한번 에어콘 청소해서 집주인에게 보여줘야 하는 건 다 들어가는 내용 입니다. 그런데!!! 로컬사람들한테 쓰는 계약서와는 조금 다르네요. 로컬 사람들의 경우 topping-up of gas and chemical cleaning (if required) 는 집주인이 하는 겁니다. 즉 그러니 이 문장은 excluding the topping-up of gas and chemical cleaning (if required)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저희 집 계약서는 아예 이 문장을 쏙 빼 놓았더군요. 다른 건으로 (아래 내용 관련) 저희 비서에게 제 계약서를 보여줬더니 gas 충전과 chemical cleaning 은 집주인이 한다고 알려주더군요. 계약서에 이런내용 있어야 한다고 말입니다. 2. 계약기간을 다 못채우면 못채운 기간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일할 계산해서 부동산 업자에게 집주인이 낸 복비를 돌려주라는 것도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그런데!!! 일단 먼저  적혀있는 복비에 해당하는 금액이  2년 계약일 경우 통상 님이 내시는 한달 렌트비 또는 그 이하여야 합니다. 저는 집주인이 여기에 지 복비를 살짝 올려서 계약서 작성해 놓은 걸 얼마전에야 안 사람입니다. (지금 2달 빨리 나가고 싶어서 찾아 봤거든요) 그리고!!! 이 조항앞에는 반드시 diplomatic clause라는게 있어야 합니다. 즉!!! 1년이상 거주한 이후 만약 불가피한 사정으로 (퇴사 해외이사 등등) 싱가폴을 떠나는 경우 1달 혹은 2달의 노티스를 주고 집을 뺼수 있다. 이 조항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diplomatic clause의 경우 세입자가 집주인이 부담한 복비를 일할 계산하여 돌려받는다 이런 조항이 단서조항으로 붙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 계약서의 diplomatic clause에는 또 약간 미묘하게 로컬들과 다르게 되어 있다고...그러니 이부분은 한국촌 검색하시거나 구글 검색하셔서 최대한 님에게 유리한 문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 집주인들 정말 악명 높고 이상한 xx 들 많습니다. 일단 계약서에 서명하시면 끝이니!!! 서명하시기 전에 필요한 것 다 요청하시고, 집은 반드시 꼼꼼이 살펴 보시고 계약서도 꼼꼼이 보시기 바랍니다. 빈집 많습니다.        

    2 채택답변
Q

NO.1065

생활한국으로 송금하는 방법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노토(some457) 2016-11-28
추천수 : 0 조회수 : 3,029

안녕하세요   현재 POSB계좌를 통해서 한국 국민은행으로 싱달러500불 송금 해 놓은 상태입니다. $500 송금하는데 일단 수수료 포함  $525 가져가더군요. 한국에서 또 수수료 얼마 뗀다고 하는데 정확히 아시는분 계시나요? 그리고 POSB통해서 한국계좌로…

  • A

    보네는시간이 3~5일 정도 걸리는데 토요일에 보넸으니 한국은행에선 일을 안하니까 토요일 일요일은 버려두고 최소 수요일 부터 최대 그다음주 월요일? 될것같아요. 한국에서 받아본적있어서 그정도 걸리는듯.. 그런데 수수료는 얼마 때는지 모르겠어요 딱히 계산을 해서 받은게 아니라..      

  • A

    안녕하세요~ 우선 저는 POSB로 매달 한국으로 송금 하고 있구요~  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다른점이 있다지만 최근 한국에 1000불 이상을 송금하면서 알고있는 정보 공유해 드릴게요. 저도 처음에 보내는 수수료가 $25 들었습니다만 나중에 송금이 완료가 되니 $18이 한번더 나갔네요. 총 $43불 수수료 나갔답니다. 날짜는 보내는 날이 토요일 이시면 대략 늦어도 수요일 까지는 송금 확인되실거에요~ 보통 만 2일이면 한국에서 확인 가능하더라구요~ :)                  

Q

NO.1062

생활임플란트 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항상감사하자(sunjun2750) 2016-11-22
추천수 : 0 조회수 : 1,435

임플란트를 해야 할것 같은데요. 혹시 싱가폴에서 임플란트 해보신분 치과 추천해 주세요.(싱가폴에서 해야할지 아님 한국에서 해야할지 고민중에 있습니다.)     

  • A

    광고 글 아닙니다. 경험자로써 말씀 드림.   저는 어금니 임플란트 했어요. 4000불 정도 들었습니다. 한국에서 큰 병원에서 하면 100만원 정도? 합니다. 될수 있음 싱가폴에서 하세요. 그이유는 일단, 치아 뼈 상태에 따라, 발치후 시간이 소요됩니다. 뼈이식도 있으나, 자연적으로 뼈가 아물때까지 기다렸습니다. 3개월 정도..그리고 뼈에다 나사구멍을 심고, 또 일주이 기다렸다 최종 임플란이를 심었어요. 한국이 싸긴 하지만, 치과를 기간을 두고 4번 방문 해야합니다. 이런 저런 비용 따지면, 특히 직장다니시면 쉽지 않더라고요. 경험상 싱가폴 의사들 오진도 많고, 미덥지 않아 합니다. 임플란트는 경험이 많은 의사에게 맡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담로드 보타닉 가든 역에 있는 가든치과 백xx 닥터분께 받았습니다. 일단, 차근 차근 설명 하면서, 치아 상태를 정확하게 설명 해주셨어요. 금액적인 부분도, 따로 얘기 해보심, 한국분은 조금 깍아 주셨어요. ^^ 암튼, 싸다고 아무대나 가는게 아닌 치료인건 확실해요.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Q

NO.1060

교육유학과 취직에대해 질문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finn1729(finn1729) 2016-11-18
추천수 : 0 조회수 : 2,867

현재 저는 한국에서 고등학교 2학년인 학생인데요 자퇴를하고 psb에 들어가려고합니다.(유학원에서 상담받았어요) 내신성적이 필요하다고해서 지금 내신준비중인데 앞으로에대해 생각을해보았습니다. 1. Psb에 다닐때 공부가 얼마나 힘든지 궁금하고 대학생활에대해 궁금합니다. 2…

  • A

    위에분 말대로 유학원에서 뭐라고 상담을 받으셨는지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아카데미는 정식 학사 학위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검정고시를 하든 A-Level이나 IB로 교육과정 잘 마무리하시고 한국이든 해외든 제대로 된 대학교에 입학하시기를 바랍니다. 해당 학교의 전문지식 양성 커리큘럼이 어떻게 짜여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공학사로 인정받기는 더욱 어려울것 같네요.(추후에 공학 관련 자격 시험이나 면허를 따는데 학위가 자격요건이라면 인정이 안될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당 학위로 회사에 취업하셔도 IT전문 포지션으로 신입입사하시기 힘들것 같습니다. 직접적인 이해관계로 대학 입학혹은 유학을 통해 이윤을 추구하는 목적을 가진 사람 말고 해당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제대로 된 경험이 있는 분과 상담을 하셔서 진로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한국이나 싱가폴의 IT전문 기업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는 사람이나 IT 벤처기업가 같은 분들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