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92

부동산싱가폴 하우스 개념에 대해서.. 궁금해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완료
홍콩에서왔슴다(beyondgood) 2016-05-26
추천수 : 0 조회수 : 5,168

방을 알아보다 보니.. 룸렌트라는 개념이 있던데 이런건 쉐어하우스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되나요? 방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가요? 이를테면 주방과 거실 욕실 등을 공유하는 개념으로 봐야하는건지..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에서 원룸으로 보여지는거 같은데…

  • A

    말씀하신대로... 우선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의 원룸과 비슷합니다만 가격은... 비교가 안되지요...;; 장점이라면, 요리를 하던, 친구를 불러오던 편한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될것이구요. 룸렌트라는 개념은 이해하고계신 개념이 우선은 맞습니다. 이곳 한국촌을 통해서 룸을 렌트하시게 되는 경우... 대부분이 한국분이 로컬분의 집을 홀렌트 한 후에, 그 집의 방을 다시 서브렌트 하는 개념이지요. 이런경우, 사용하시게 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욕실을 혼자 사용할 수 있다라던가, 다른 방의 다른 분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던가.... 주방은 사용할 수 없다라던가, 깨끗이 정리만 하면 괜찮다라던가... 가족처럼 친하게 지내는 분위기라면 거실 사용이 가능하다라던가... 하는 설명이 있을겁니다. 설명이 없다면 물어보시고 확인하시는게 좋구요. 혹 로컬분 집에 방을 구하시게 되면 간혹 조금 더 제제가 심한 경우(요리불가, 세탁기 사용 횟수 제한 등등)가 있습니다.      

    1
  • A

    예전에 방구하면서 느낀건데 스튜디오는 한국 오피스텔이랑 비슷한 개념인것 같구요. 원룸이랑은 조금 다른 개념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출입문을 나눠서 각방마다 화장실을 넣어서 독립된 1BED룸 유닛으로 렌트를 하는 경우도 봤구요.(이게 좀 더 원룸스럽습니다.) 홀유닛을 거실과 부엌을 공유해서 룸렌트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장실이 딸려있는 마스터룸은 일반 룸보다 조금 비싸구요. 입지는 MRT랑 바로 연결된 INTEGRATED RESIDENCE가 아니면 교통은 차가있지 않는한 콘도나 HDB나 도찐개찐인것 같습니다. (도심지는 제외구요.)  콘도는 셔틀을 운행하니 조금 낫겠네요.   HDB중에 DBSS라고 발코니가 있고 약간 창문이 큰 현대식으로 지어진게 있는데 한국 정서에 조금 더 맞구요. EXECUTIVE CONDO라고 일정기간후에 외국인에게도 팔수있는 조금 모자란 콘도가 있는데 조금더 한국 정서에 맞는 것 같습니다.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콘도를 선호하시는 분이 대부분일텐데요.   HDB 유닛도 근처에 공원도 많고 수영장도 많아서 생활비 돈아끼시려면 HDB가 정답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고려하신다면 주변 환경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층에 코피티암을 끼고있는 유닛 근처에 하면 10시까지 시끄럽고 1층 상가 단지를 끼고 있는 지역에 렌트를 하시게 되면 주말에 정말 시끄러워서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혹시 타국적자와 쉐어를 하시게 된다면 컬쳐 쇼크도 주의하시구요.^^ 마음에 드는 방을 찾다가 보시면 가격이 자꾸 안드로메다로 가게 되는데 마음에 드는 방을 찾기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방의 구조나 편의시설 보다는 쉐어를 하게 되신다면 같이 지낼 사람들의 직업이나 분위기를 잘 파악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네요^^      

    2 채택답변
Q

NO.91

부동산룸렌트 보증금 돌려받는 법 문의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emma33(emma33) 2016-05-18
추천수 : 0 조회수 : 2,817

안녕하세요 어제 밤에 글 썼다가 다시 작성합니다.   룸렌트를 하려고 지난 16일에 보증금을 냈는데 사정이 생겨서 보증금을 돌려 받으려고 합니다.  계약서는 이번주 금요일에 쓰기로 했구요. 입주 예정일은 6월 8일 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계약 파기에 해…

  • A

    구두 계약상으로 보증금이 이미 건내진 상태라면 계약서을 쓰는 것만 남았더라도 이미 계약이 이루어 진것으로  간주됩니다. 보통 부동산에 가서 월세집 구할때 중개사님들이 '이거 금방 나가니까 맘에 들면 계약금 10%라도 송금해라. 일단 잡아라' 일단 넘어간 돈도 계약이 이미 시작 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돈을 주기 전에 신중하시고 가장 안전한 방법은 돈을 미리 내는 것보다 계약서 쓸 때 필요한 돈을 건내시는 것입니다. 싱가포리언 집주인이라면 가능성이 더 희박하고, 한국인 집주인이라면 잘 말씀해보세요. (돌려받는 법) 아직 48시간이 채 안지났으니 납득할 만한 이유로 감정적으로 서로 상하지 않게요. 또 계약서상에 보증금 반환에 대해서 어떻게 명기되어 있는지 꼼꼼히 읽어보세요. 저도 룸렌트를 하고 있지만 제 경우라면 보증금을 안돌려주기는 어려울거 같네요 ^^ (불편불편~%%%) 만일 일부 반환 (최대한 많이 돌려 받으시고 )이거나 안돌려 준다고 하면 (그 집에 안들어간걸 다행으로..나중에 여러 명목으로 보증금을 못받을 확률과 사는동안 맘고생도 예상됨) 학생분이시거나 사회경험이 많이 없으신 분들이 이 글을 보신다면 계약-돈을 건내는 것 에 대해서 신중함을 구하시고 집을 알아보실때 충동적으로 결정후에 결정을 번복하시는 일을 안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소액재판으로 받으신 분들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주심 좋겠네요~      

    1 채택답변
  • A

    계약서를 가지고 인근 경찰서에 가셔서 물어보세요. 친절하게 어느정도는 가르쳐 줄겁니다. 더 자세한건 로컬 변호사를 만나보는것도 방법이지만 컨설팅 하는것도 돈이 들어서요.ㅠㅠ 윗분 말처럼 많이 생각하시고 무슨일이든 특히 싸인을 요구하는 일에는 신중히 행동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중국문화는 돈 일불에 목숨거는 문화 같아요.     

    1
  • A

    계약서를 안썼다면 100프로 돌려 받을 수 있어요! 사인을 하고 보증금을 줬다면, 못돌려받을 수도 있지만, 계약을 아직 안했고, 사인하지 않았다면 100프로 받을 수 있어요. 집주인이 안준다고 했는데, 저도 같은 이유로 다 알아봤더니 100000000프로 받을 수 있다고 해서, 회사 오너까지 찾아가서 100프로 받아냈어요!       

    1
Q

NO.87

부동산디파짓 받을수 있겠죠?..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true life(blumen1002) 2015-09-02
추천수 : 0 조회수 : 2,808

안녕하세요..제가 싱가폴에 거주한지 이제 3개월... 룸렌트로 콘도에 살고 있는데...1년 계약이고요,,,예정에 없게 주인이 강아지를 데리고 왔습니다.. 처음엔 화장실 단독 사용인것 처럼 말하더니 매주말 주인 아줌마 언니(나이 70쯤)가 주말마다 와서 화장실을 사용…

  • A

    쓰레기 천국     

  • A

    무조건 신고하세요 , 스몰코트에 소송걸면 된다고 다들 말하던데 한번 알아보세요 참 인성이 더러운 사람이네요 꼭 사과받아내시고 돈도 다 받아내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      

  • A

    저도 입싱 초보라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님의 마음이 너무 이해가 되어서 몇 자 남겨 봅니다.   일단 절대 감정을 소모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목소리를 높일 필요도 없고요. 지금부터 님이 믿을 것은 계약서 밖에 없습니다. 계약서에 no pet 조항은 없어도 어떤 조항이 있는지 보세요. 그리고 계약서에 의거해서 decent living condition이 보장되지 않아 환불을 요청한다고 하세요. 앞으로 모든 것은 writing으로. 다만 writing이 님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으니 절대 감정을 빼고 fact만 쓰세요.   제 경험에 의하면 계약서에 없는 것은 안되고 계약서에 있는 것은 됩니다. 계약서에 있는 것을 small court에 간다고 하면 돌려주겠지만 안그러면 별 효용이 없을 겁니다.   마음을 다스리시고...최악의 경우 반이라도 받자고 생각하시고 침착하게 대처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망가진거 있는지 defect list 를 집주인이 내밀면 내가 지난 3개월간 살면서 망가뜨렸다고 입증할 수 있냐고 조용히 따지세요. 님은 동의할 수 없고 원래부터 낡았거나 wear and fading으로 인한 것이니 이 부분은 small court에서 따지자고 하시구요.   별 도움은 안되지만 감정을 드러내는 쪽이 불리합니다. inner peace.      

    2
Q

NO.83

생활불법 룸렌트 집주인 신고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lilylily(lilylily) 2015-03-24
추천수 : 0 조회수 : 3,955

원래 집주인 모르게 불법 룸렌트를 한 집주인을 신고하면 집주인은 추방인가여? 현재 아들 유학때문에 동반자 비자로 온 피의자는 아줌마입니다. 깎아준 다파짓을 캐리어와 여권을 가져가겠단 협박과 강요로 천불을 가져가곤 말을 바꿔연락 두절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여..? …

  • A

    원래 집주인은 '오너', 집전체를 렌트한 사람은 '메인테넌트', 룸렌트하신 분은 '테넌트'라고 합시다. HDB의 경우, 메인테넌트가 오너몰래 룸렌트를 내놨다면, 오너,메인테넌트 모두 정부에 의해 불법혐의로 처벌받습니다. 이 경우, 오너는 집을 몰수당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너는 몰랐다는게 입증되면 메인테넌트가 법적인 처벌을 받게되겠죠. 일반 민영주택(콘도 등 HDB가 아닌 것들)의 경우, 정부가 관여할 사항은 아니고, 오너와 메인테넌트간의 문제입니다. 오너의 허락없이 룸렌트를 내놨다면 메인테넌트는 집계약당시의 계약조항에 따라 보증금을 몰수 당하거나 계약해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관여하지 않죠.   HDB의 경우, 추방도 가능하겠지만, 오너가 집을 정부에게 몰수당했다면 집값을 메인테넌트한테 받아내겠죠. 추방하지 않으려고 할겁니다. 민간주택의 경우에는 추방은 불가능하고 오너와 메인테넌트가 합의를 할겁니다. 대개는 보증금에서 처리하죠.      

    3
  • A

    콘도는 정부가 관여하는 문제가 아니라고 하는 데 오해를 하게 만들 것 같아서 첨언합니다 콘도의 경우도 원래 sub-rent를 못하게 되어 있어요. 정부사이트인 URA 사이트참조 작년 초에 신문에 몇번 난 것처럼 시범케이스로  URA에서 단속을 나와서 퀸즈타운 레드힐 리버벨리 red-line mrt 주변 몇몇 콘도가 문제가 되었죠.  보통 콘도관련한 그런 URA에서 정한 부분들은 콘도매니지먼트에서 안내해주는 데, 그런 규약들을 보면 1년미만 단기임대, 룸렌트, 특히 재임대의 경우 상당한 벌금과 집주인도 알았던 몰랐던 같이 벌금을 내는 걸로 알고 있어요.  작년에 마리나베이의 모 콘도의 경우가 신문에 크게 났었는 데, 그때 집주인들도 20-30만불씩 콘도의 임대기간에 따라서 벌금을 문 케이스도 있죠.       

Q

NO.82

부동산룸렌트 계약및 집주인 행위에 대하여..(마리나 베이 호…

  • 답글 : 4
  • 댓글 : 2
답변진행중
lilylily(lilylily) 2015-03-01
추천수 : 0 조회수 : 4,987

보증금 2000에 1000으로 두달정도 머물기로 얘기를 하구 룸렌트로 계약했습니다 . 제가 사정이 있어 한달 밖에 머물다가 나가게 되서 디포짓 천을 포기하구 가겠다구 하니 집주인이 두달있는 줄 알고 보증금 2000인데 천으로 깎아주었다구 첨듣는 얘기를 하며 오늘 체크…

  • A

    요즘 젊은 처자들이 싱가폴에 많이 들어오다보니, 예전에 활동했던 사악한 무리들이 스물스물 다시 나오는것 같군요. 저도 주위에서 이런 안타까운 얘기를 심심치 않게 들어서요. 분명 한인사회 자체적으로 제대로 응징이 안되서 그런거 아닌가 쉽군요. 이번 기회에 뿌리를 뽑아야 할 거 같습니다. 님께서도 좀더 구체적 사항을 알리시는게 사태해결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예를들먼 사시던 콘도와 주인이름, 특징 이니셜만해도 괜찮습니다. 또다른 피해를 막기 위함이고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이 일로 주인으로부터 어떠한 일말의 협박성 액션을 받게된다면 그 인간이 가중처벌되며 인지증죄로 바로 구속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

    상황은 알겠지만 글을 좀더 간단히 띄어쓰기도 해서 내용을 잘 알수 있게해주심 어떨까요? 이런 피해는 재발하지 않게 꼭 막아야 하겠습니다. 어이가 없네요.     

    1
  • A

    저도 윗분글에 동의합니다. 이런 글은 좀더 이슈화 해서 다른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을 것 같네요. 해외나와서 고생하는 적어도 한국인들끼리 서로 등쳐먹는 행위는 않했으면 좋겠는데, 일부 파렴치한 사람들에게는 그것 조차 힘든가 보네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