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1

기타싱에서 쓰던 청소기,다리미, 밥솥,세탁기 한국서 쓸 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milk(selee4) 2007-01-06
추천수 : 31 조회수 : 1,291

3월 초에 한국으로 들어갑니다 침대랑 책상은 조만간 벼룩시장에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전자제품들은 판단이 안서서요...... 이사업체선정,deposit관계,통장정리,학교정리..... 처음 해보는거라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도와주세요     

  • A

    > 3월 초에 한국으로 들어갑니다 >침대랑 책상은 조만간 벼룩시장에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전자제품들은 판단이 안서서요...... > > 이사업체선정,deposit관계,통장정리,학교정리..... >처음 해보는거라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도와주세요 사용할수 없답니다. 침대랑 기타제품 연락주세요.90854005입니다.     

  • A

    여기서 8년 살다가 귀국해서 1년지내다 남편이 다시 이곳으로 발령이 나는 바람에 지금은 여기서 살고 있습니다. 제 경험을 올리자면 한국에서 쓰는것은 아무상관 없었습니다. 다리미, TV, 밥솥,전자렌지, 냉장고까지도 잘 쓰다가 다시 가져와서 쓰고 있답니다. 한국제품을 여기서 쓸때는 무리가 있지만 이곳 제품을 한국에서 쓸 때는 괜찮다고 들었구요,경험으로 봐선 괜찮았습니다. 작동이 안되는 것 딱 한가지, 식기세척기 이더군요. 고쳐서 쓰려고 무진 돈 많이 들였었는데 결국은 안되더라구요. 다시 이 곳으로 가져왔는데 3년이 넘도록 현재 잘 쓰고 있답니다. 저는 한국에서 대우 세탁기도 가져왔는데 현재까지 잘 돌아가더라구요. 많은 분들이 세탁기도 안된다고 하던데... > >> 3월 초에 한국으로 들어갑니다 >>침대랑 책상은 조만간 벼룩시장에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전자제품들은 판단이 안서서요...... >> >> 이사업체선정,deposit관계,통장정리,학교정리..... >>처음 해보는거라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도와주세요 >사용할수 없답니다. >침대랑 기타제품 연락주세요.90854005입니다.     

Q

NO.30

기타LG김치냉장고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juddy(juddy24) 2006-12-25
추천수 : 9 조회수 : 2,245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

  • A

    작년에 나온 RD-303SJ를 한국에서 2달정도 쓰다가 여기와서 못쓰고 있습니다.  제가 본 바로는 LG에서 나온 3단 서랍형은 여기서 쓸 수 있는 것 같구요.  삼성에서 나온 김치냉장고도 쓰고 있는 분들을 봤습니다.  LG나 삼성 서비스센터에 연락해서 싱가폴에서 쓸 수 있는 제품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시고 사시는 게 나을 것같습니다.  오히려 구모델이 여기서 더 잘 쓸수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 A

    저도 김치 냉장고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한 경헙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LG 의 김치 냉장고 중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싱가폴과 같이 50 Hz 전류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쓸수 없습니다. 저희는 신제품을 사왔다가 못 쓰고 다시 돌려보냈습니다. 다른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모터에 무리는 가지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한가지 첨부드리자면 변압기는 실제로는 거의 활용이 안됩니다. 60 Hz 제품을 50 Hz 상황에서 사용하면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220 V 전압을 200 V 로 낮춰서 안정성을 약간 높여주는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변압기만 있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전혀 아니더군요. 한국과 같은 전류 상황을 만들자면 전압이 아닌 50 Hz 전류를 60 Hz 전류로 바꿔주는 변류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게 작은 냉장고 만하고 몇백만원이 넘습니다. 가정용으로는 사용할수 없는  제품이죠.   참조하세요.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해외사용불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 >LG것중의 일부는 안된다는 소리를 어디선가 들은 듯하여... >50HZ변압기 연결 사용가능 한건지.. 올해 구매해서 현재 싱가폴에서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 있으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변업기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1.LG만 해외사용불가능인지 타사도 그런지.(만약 딤채가 된다면 딤채를 사려구요.) >2.요즘 나오는 서랍식의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있으세요?  제가 지금 사려고하는 모델과 동일하게 해외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있거든요. > >전자제품이 가장 고민스럽네요.. 한달전에 가보니..냉장고가 너무 작아서..보관용이하게 김치냉장고를 사가려하는데..인터넷 변압기판매사이트에 LG제품은 반드시 제품주의사항 참조하라는 문구가 나오있어서..무척이나 고민스럽습니다.. >제가 사려는 모델은 디오스 뚜경식 R-K195입니다. > 이모델 사용중이시거나 서랍식R-D 305 사용하고 계신분들 있으신가요? 조언부탁드립니다.. > >     

  • A

    신제품이라면 스탠드형(리니어방식)이었나요? 아님..뚜껑식 일반디오스 최신형이었나요? > 저도 김치 냉장고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한 경헙이 있습니다. >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LG 의 김치 냉장고 중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 싱가폴과 같이 50 Hz 전류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쓸수 없습니다. > 저희는 신제품을 사왔다가 못 쓰고 다시 돌려보냈습니다. > 다른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모터에 무리는 가지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 알고 있습니다. > > 또 한가지 첨부드리자면 변압기는 실제로는 거의 활용이 안됩니다. > 60 Hz 제품을 50 Hz 상황에서 사용하면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220 V 전압을 > 200 V 로 낮춰서 안정성을 약간 높여주는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 저도 처음엔 변압기만 있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전혀 아니더군요. > 한국과 같은 전류 상황을 만들자면 전압이 아닌 50 Hz 전류를 60 Hz 전류로 바꿔주는 > 변류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게 작은 냉장고 만하고 몇백만원이 넘습니다. > 가정용으로는 사용할수 없는  제품이죠.   > > 참조하세요. >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해외사용불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 >>LG것중의 일부는 안된다는 소리를 어디선가 들은 듯하여... >>50HZ변압기 연결 사용가능 한건지.. 올해 구매해서 현재 싱가폴에서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 있으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변업기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1.LG만 해외사용불가능인지 타사도 그런지.(만약 딤채가 된다면 딤채를 사려구요.) >>2.요즘 나오는 서랍식의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있으세요?  제가 지금 사려고하는 모델과 동일하게 해외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있거든요. >> >>전자제품이 가장 고민스럽네요.. 한달전에 가보니..냉장고가 너무 작아서..보관용이하게 김치냉장고를 사가려하는데..인터넷 변압기판매사이트에 LG제품은 반드시 제품주의사항 참조하라는 문구가 나오있어서..무척이나 고민스럽습니다.. >>제가 사려는 모델은 디오스 뚜경식 R-K195입니다. >> 이모델 사용중이시거나 서랍식R-D 305 사용하고 계신분들 있으신가요? 조언부탁드립니다.. >> >> >     

Q

NO.29

기타쿠쿠밥솥등 전기에 관련된 질문과 답.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브라이언(hyi2) 2006-10-03
추천수 : 9 조회수 : 18,741

여기 한국촌에서 보니 전기에 관련된 질문이 참으로 많이 올라옵니다. 질문유형:1 한국에서 싱가폴로 가는데 제 노트북 써도 될까요. 질문유형:2 밥심으로 사는 한국인들 답게 쿠쿠밥솥. 질문유형:3 냉장고와 에어컨등등.. 결론부터 말하자면..한국에서 쓰던거 다 들고 와도…

  • A

    >여기 한국촌에서 보니 전기에 관련된 질문이 참으로 많이 올라옵니다. >질문유형:1 한국에서 싱가폴로 가는데 제 노트북 써도 될까요. >질문유형:2 밥심으로 사는 한국인들 답게 쿠쿠밥솥. >질문유형:3 냉장고와 에어컨등등.. > >결론부터 말하자면..한국에서 쓰던거 다 들고 와도 됩니다.(토달지 마시고 맨 아랫글까지 보세요) >이러면 x소리라고 말하시는 분들 있을줄 알지만._ >그건 본인들이 한국에서 써도 문제가 있는 것들을 자꾸 싱가폴의 50Hz라고 집착하기 때문이다._ > >이미 여러분들도 세탁기가 빨리 돌아간다니 모터 제품은 수명이 짧아진다니 하는 사실들을 아셔서 뭐라 하실 겁니다. >하지만 이론상으로는 문제 없습니다. > >단 하나 안되는건..책 제본할때 오토커팅 머신이나 프린팅 제품들_일반 프린터는 모르겠다. >위에 언급한 공업용 공작 기계들은 타이밍에 따라 절삭하거나 프린트를 해야하는데 이런 것들이 빨리 돌아버리거나 늦게 돌아버리면 타이밍을 맞출수가 없는 것이다. > >간단하게 전기적으로 설명하자면..저항,임피던스니 렉티파이니 다이오드니 하는거 빼고요 >임피던스 회로: 형광등 초크다마. >저항 회로:백열등. > >여기서 저항만 있는 회로 백열등의 경우 hz와는 전혀 상관없는 제품이다..여러분들이 자주 질문하시는 쿠쿠 밥솥이 터졌다. 이게 무슨 소린지 잘 모르겠지만._증상을 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_.뭐 퓨즈가 나갔다거나.하는 문제가 아닐까 사료되지만_.. > >밥통은 쉽게 말해 백열등처럼 저항으로만 구성된다._물론 마이크로 컴의 기능도 가지고는 있어서 콘트롤 부분은 빼구요. > >누구는 싼 모델이 잘 된다는것도...밥솥의 저항회로외에 콘트롤 회로가 단순해서 고장날 확률이 적다는 것입니다. >아마 고장이 난다면 콘트롤 회로일것입니다. 아니면 단순히 퓨즈가 나가거나. > >모터가 빨리돈다는 부분.. >세탁기 10년 쓸거 hz 적게 들어온다고 빨리 돌아간다고 수명이 단축된다? >세탁기가 조금 빨리 돌아갈 뿐입니다.(그래도 빨리 돌면 문제라구요 맨 아랫글까지 보세요) > >컴퓨터 전자사전 등등 모든 전자제품 그냥 써도 됩니다. > >어떤분은 컨버터 이야기하시는데.. >공업용 컨버터 얼마나 비싼데...제발 그런 변환 컨버터 있으면 본인에게도 좀 알려주기 바랍니다.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도 모르니까요 > >그리고 제발 다운도란스 언급하시지 마세요..전압과 hz는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다운도란스는 오로지 전압만을 드롭시킬뿐이에요. > >맨 아랫글 > >컨버터는요..여러분들이 쓰시는 교류 전압을 밧데리로 모아서 (AC를 DC로)다시 >들어온 HZ를 모아서 원하시는 60HZ로 바꾼다.(컨버팅) 할때 들어가는 밧데리가 어렵게 설명안하고 쉽게 말해서 밧데리는 비싸거든요.. > >그래서 컨버터가 비싼겁니다. > >여러분 지펠 냉장고하고 트롬세탁기 같이 가져온다.합쳐서 얼마합니까? > >공업용 컨버터는 400만원이 넘어갑니다. >그러니 쓰다가 이론적으로 제가 설명했듯이 문제가 없지만..그래도 문제가 생겼다. >A/S도 불가능하다고 가정했을때..여러분들은 400만원이 넘어가는 컨버터를 쓰시겠어요. >아님 한 2-3년 무리없이 쓰다가 정말로 앞서 말한바와 같은 문제로 폐기해야 될경우 >어떤 방식을 취하실거냐는 거죠? > >PDF테레비보다 비싼 컨버터를 사시진 않으실거죠? >그래서 세탁기도 혹시나 문제가 있다.완전히 맛이갔다.버려야한다. 이러더라도 여기서 쓸데 까지 쓰시고 새거 사시라는 결론이 나오는거죠 > >대기업 전자제품 회사는 규격에 맞는거 써야한다고 우리는 해외에서 쓰다가 고장난거 모르겠다고 해외 서비스 안된다고 쌩을 까는데......그 사람들에게 질문해도 아무 문제 없다고 절대 대답안할 겁니다. 그 서비스 비용때문이죠. > >초보적인 전기쟁이도 아는 사실을 그 사람들이 몰라서 그럴까요..한 마디로 골치아프니까 >안된다고 하는거죠.. > >우리 부자 아니쟎아요.. >그러니 한국에서 쓰던 제품중..전 프린터는 잘 확신이 안서는데..혹시 한국에서 가져온 프린터도 잘 되던가요? > >그럼 모든 _공업용,상업용을 제외한 모든 가정용 전기제품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가져와서 다 쓰셔야 됩니다. > >단 >1어린이용 완구에 220V 전원에 모터 달린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그런건 쓰시면 안되겠죠 >2.일본에서 오신 분들은 전압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다운도란스 쓰셔야 되요(230V를 110으로) >3.분명 모터가 빨리도는건 문제가 있습니다만..경제적인 논리로 괜챦다고 한 겁니다. >PS:잠시잠깐 출장.오시는 분들은 그냥 써도 되니까 묻지 않으셔도 됩니다. >  그 분들이 냉장고 밥통 세탁기 이런건 안들고 오겠죠.. >  제발 돼지코 앞에 꽂는 3구 플러그 한 개만 있으면 된다는 것도요.. > 전 이곳에서 쿠쿠 밥솥 두대를 날렸습니다. 첫번째 밥솥은 한국에서 사용하던 구모델로써 2주정도 사용하니 메뉴에 있는 표시숫자가 깜빡 거리다가 완전 나가 버리는 겁니다. 타는 냄새도 조금 나고요. 그 다음 한국에 나가서 전에 사용하던 밥솥은 오래 되서 그러려니 생각하고 신모델로 구입했는데 이번엔 3개월 가까이 별 문제 없더니 구 모델과 마찬가지로 메뉴에 표시등이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더니 그후론 사용할 수 없게 되더군요. 전자제품 수리하는 사람을 불러서 수리하려고 했지만 도통 알아 들을 수 없는 말만 하고 고치지도 못했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가까이 있는 분들에게도 이러한 일들이 더러 있는 것을 보았는데요. 글쎄 분명 문제는 있긴 있는 모양입니다.     

  • A

    잘 되는 것:  컴퓨터 , 선풍기,  전자 렌지, 토스터등 작은 전열기 전동기류.- 선풍기는 세게 돌아가고 전열기는 빨리 타는 경향 있음, 트랜스 필요 없음 전혀 안되는 것: 오디오 , 테레비,  VCR, 프린터( 되는 집도 봤음) 되다가 고장 쉽게 난 것( 트랜스 사용했음) : 드럼 세탁기 ( 여기 써비스가 부실해 부품 못 구했음-폐기) , 삼성 IH 전기 압력 밥솥, ......압력 밥솥은 대체로 문제가 많다고들 함. 냉장고 한국서는 10년 지나도 되는데 여기선 오래 못 버티는 경향.     

  • A

    오디오 및 TV, VCR, 프린터 모두 잘 됩니다. 다만 TV의 경우 수신방식이 NTSC 와 PAL 의 차이로 인해 TV 방송 수신은 안됩니다.  위의 제품들은 어차피 한국이나 이곳에서나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잘됩니다만 여기 와서 구입해도 그다지 비싸지는 않기 때문에 꼭 가져올 필요는 없는 제품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의하셔야 할 점은  트랜스 써도 고장날 제품은 고장납니다. 무조건적인 트랜스 맹신은 금물이지요 ~     

Q

NO.28

기타한국에서 싱으로 전자제품 우편으로 보내도 되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땅콩(icicle) 2006-09-01
추천수 : 42 조회수 : 828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엠피쓰리 플레이어 우편으로 보내도 되나요? 세관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요.     

  • A

    상관 없습니다 오늘 제가 pmp 받았는데 전혀 문제 없더라구요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엠피쓰리 플레이어 우편으로 보내도 되나요? >세관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요.     

  • A

    제가 알기론 금액이 US200 이상 되는 제품의 경우 GST를 5% 내야 합니다. 우체국에서 세관 대행해서 받아 갑니다. 금액이 넘어가는 경우 편법이지만 보통 인보이스(보내는 송장)에 샘플로 명기해서 가격 낮춰 보내면 큰 문제 없습니다. 저도 여러번 물건 받아 보았는데 아마 싱가폴 세관에서 random check 하는 거 같습니다. 어떤 경우는 GST 내라는 얘기도 없고, 어떤 때는 내라고 하고.. 어쨌든 도움이 되셨길....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엠피쓰리 플레이어 우편으로 보내도 되나요? >세관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요.     

  • A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엠피쓰리 플레이어 우편으로 보내도 되나요? >세관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요. 윗분 말씀하셨듯 랜덤 추출입니다.. 하지만 혹여 경우에 따라 전량 (사실 이건 힘들겠지요^^ 아마도 특정국가에서 들어오는 것 정도인 듯 합니다만...예를들어 테러위험국으로부터 반입되는 소포의 전량...이런식으로)확인하기도 합니다. 국가마다 그리고 품목마다 면세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서 그 이상의 물건에 대해서는 역시 품목마다 정해져있는 세금을 우체국에서 배달시에 받아갑니다. 물건이 세관원의 상식이나 눈으로 봐서 적당한 듯 싶으면 증명서류없이 넘어가구요, 때에 따라서 깐깐한 분이라면 영수증 사본 으로 면세가라는 사실을 증명할 것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새 물건이 아니라 사용하던것이라면(한국에서 쓰시던것..) 참작의 여지가 있겠습니다만 눈으로 보아 그럴리가 없을때는 세금을 내실 각오를 하셔야겠지요.  - 새것이라면 영수증을 (이러면 안되지만...액수 낮추어 한 장 써달라고 하세요. 그래서 보낼때 같이 동봉..터무니 없으면 안됩니다!) , 아니면 박스 빼놓고,비닐도 떼고... 쓰던것처럼해서 보내달라고 하세요.! 싱에서는 아니고 한국에서의 경험에 의하면 세관..집요합니다.(ㅠ.ㅠ 나중에 집배원 아저씨한테 하소연했더니 웃으시면서...다들 그렇게 말하더라구요..하시더군요) 가격 증명하라는데 할 방법이 없어서 인터넷 사이트 뒤져서 같은 물건 검색해, 면세요청 양식에 웹주소 붙여서 보냈었구요(내가 저렴하게 샀는데 그 사실을 증명 못한다면 세관원이 가지고 있는 자료에 의해 세금이 부여됩니다. 음...외국에서 우리나라에서 100만원정도에 거래되는 물건을 30만원에 사서 부쳤는데 세관에 걸려서 가격제시(주로 영수증이지요)못하면 세관원이 우리나라 일반적인 가격 100만원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긴다는것이지요)         

Q

NO.26

기타싱가폴의 전자제품의 가격은 어느 정도인가요? 한국에 비…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jenny(kjh3321185) 2006-08-15
추천수 : 68 조회수 : 1,089

이번에 싱가폴에 가는데, 가구와 전자제품 등을 어떻게 해야할 지. 전자제품이 한국것하고는 맞지 않는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거기 가서 사는것이 더 나은지, 아니면 한국것을 가지고 가는 것이 더 나은지요. 물론 가구도 그렇습니다. 침대, 소파, 등등 답을 부탁드립…

  • A

    싱가폴 전압은 한국과 비슷한데 헤르쯔(한국 60, 싱 50hz)가 안 맞아서 전자제품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터가 들어가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등은 사용은 가능하나 쉽게 고장 날 수 있습니다. 가구의 경우 어떤 집을 구하시느냐에 따라 달라질거 같네요. 보통 Fully-Furnished의 경우 웬만한 가구가 다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가져오실 필요가 별로 없겠지만, No-Furnished의 경우는 월세는 조금 싸지만 가구/가전은 거의 없지요. 결론적으로 싱가폴에 얼마나 오래 계실지, 어떤 집을 구하실지, 특히 이사비를 누가 부담해 주느냐 등등 고려하셔서 결정하시는 게 좋겠네요. 회사에서 운송비용 다 주는 것이라면야 필요하신 거 많이 가져 오시는게 좋겠습니다. ^^; 가격은 사실 어디에서, 어떤 제품을 구입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할 거 같네요. >이번에 싱가폴에 가는데, 가구와 전자제품 등을 어떻게 해야할 지. 전자제품이 한국것하고는 맞지 않는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거기 가서 사는것이 더 나은지, 아니면 한국것을 가지고 가는 것이 더 나은지요. 물론 가구도 그렇습니다. 침대, 소파, 등등 >답을 부탁드립니다.     

Q

NO.22

기타한국서 가지고 오는....전자제품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Rickky(yeyan07) 2006-01-28
추천수 : 17 조회수 : 1,168

한국서 짐을 보내려 하는데요... 냉장고, 세탁기, 김치 냉장고,TV, DVD등....전자제품들 다 쓸수 있나요? 어떤 분들은 쓸수 있다 그러고 어떤분들은 못쓴다 그러고.... 확실히 아시는분요~써보신 분들 답변 부탁 드려요...     

  • A

    한국과 싱가폴은 전압과 주파수 모두 틀립니다. 예를들면 한국의 전압은 220V인데 반해 싱가폴은 240V이지요. 그렇지만 모든 전자제품을 제조할때는 허용오차가 있어서 240V도 동작을 한답니다. 하지만 경험에 의하면 모터가 들어있는 제품, 예를들면 세탁기, 믹서기, 선풍기등은 그렇지 않은 TV, 컴퓨터등에 비하면 수명이 좀 짧아지는것 같더군요. 저는 세탁기를 제외하고는 김치냉장고를 비롯한 거의 모든 전자제품을 가져와서 7년째 사용하고 있는데 문제없었습니다. 어떤 제품이 걸리느냐에 따른 운이겠지요. 주파수도 한국은 60Hz 싱가폴은 55Hz 랍니다. 결론적으로 가져 오셔도 큰 문제 없습니다. >한국서 짐을 보내려 하는데요... >냉장고, 세탁기, 김치 냉장고,TV, DVD등....전자제품들 다 쓸수 있나요? >어떤 분들은 쓸수 있다 그러고 어떤분들은 못쓴다 그러고.... >확실히 아시는분요~써보신 분들 답변 부탁 드려요...     

Q

NO.21

기타전자제품, 트랜스 참고하세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루크(minhwankim) 2005-12-04
추천수 : 24 조회수 : 1,853

트랜스는 전압만 변화시킬 수 있는 것과 전압과 Hz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는 것 등등. 우리가 말하는 대부분의 트랜스는 전압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전압과 Hz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은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자 제품은…

  • A

    새벽에 천둥 번개 치는 바람에 저처럼 잠 설치신 분 안계신지요 ^ ^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처음 싱가폴 답사왔을땐 이사올 때 거의 모든 제품을 싱가폴에서 구입할 것으로 계획(AGENCY 권유)하고 한국에 가서 이삿짐센터에 문의하니 모든 제품을 다 가지고 가셔도 트랜스만 있으면 무방하다고 하길래 거액(?) 주고 가구빼고 거의 모든 짐을 해외 이사하면서 트랜스 구입을 빼고 하는 바람에 지금 큰 곤란을 겪고 있습니다. 이삿짐이 지난 토요일 도착예정이어서 그 전 며칠동안 많은 곳을 다니며 트랜스를 구했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토요일 이삿짐 업체에 문의해도 싱가폴에서는 구할 수 없다는군요.한국에서 보내오는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가져온 드럼 세탁기를 설치해 줄 사람도 찾지 못해(DAVID란 분이 고맙게도 어떤 분의 전화번호를 가르켜주셨는데 전화를 해도, 문자를 보내도 며칠째 응답이 없네요. 저희 콘도-부킥바톡지역-의 관리실에 문의해도 그런 사람을 알고 있지 않다고 혹시 알아보고 있으면 연락준다는데...) 매일 손빨래 중노동하고 있습니다 ㅠㅠ 맘 고생도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혹 관련 정보 있으신 분 꼭 부탁 드릴께요 에 도착했는데 를 AGENCY에서   >트랜스는 전압만 변화시킬 수 있는 것과 전압과 Hz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는 것 등등. >우리가 말하는 대부분의 트랜스는 전압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전압과 Hz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은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전자 제품은 크게 AC to DC 방식으로 전류를 쓰는 것과(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 220V에서 보통 5 ~ 20V 정도로 낮춰서 사용함), 교류 전류 Moter를 구동해서 쓰는 것 두 가지가 있습니다. > >AC to DC 방식의 경우 50/60Hz 겸용으로 SPEC에 나와있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습니다.(보통 200 ~ 230V 50/60Hz로 나와있는데,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구입한지 오래된 제품의 경우는 더욱 신뢰하기 어려움) >이유는 모든 제품에는 어느 정도의 마진이 있는데, 재수없게 마진이 없는 쪽에 걸리면 금방 고장 납니다.(저도 한국에서 TV가져왔는데, Power단이 나가서 고치는 데만 거의 15만원 이상 든다고 합니다.) >대표 제품 TV, 컴퓨터, 충전해서 사용하는 것 등등. > >AC Moter 구동 방식(전열 방식 포함)의 대표적인 것이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믹서기, 전자 레인지(?) 등이 있습니다. >이 제품 역시 어느 정도의 마진을 고려해서 설계되기는 하지만 60Hz SPEC에 맞는 것을 50Hz에서 사용하면 고장 날 확률이 많이 높습니다. > >충전기를 제외하고 오래 사용하고 싶으시면 무조건 Trans를 사오시는 게 현명할 것으로 판단됩니다.(괜히 Moter 타버리면 거의 버려야 할 수준입니다.) 트랜스를 약 200V정도에 맞춰서 사용하시면 좀 더 안전하게 오래 사용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 >결론 : 전기 많이 사용하는 제품에는 꼭 트랜스 사용하시는 게 경제적으로도 더 유익하실 것입니다. 트랜스 우리나라 돈으로 3만원에서 5만원 정도 합니다. > >PS : 사실 냉장고 세탁기 등등 한국에서 가져와서 잘 쓰고 계시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아마 거기에는 두 종류가 있을 것입니다. >1. 제품의 내부 부품이 상대적으로 튼튼한 부품으로 설계되어 있는 경우 : 이런 경우는 드문 경우로 집안의 모든 제품이 동시에 튼튼한 부품일 가능성은 매우 드문 경우 입니다. >2. 집안의 전압이 220V 보다 낮은 경우 : 아무리 전기 송출방식이 좋아 졌다고 해도 집까지 항상 동일하게 220V를 보낼 수는 없습니다. 일정한 정도의 출렁임(Fluxion 혹은 변압)이 존재 합니다. 즉 집안의 모든 가전제품을 Trans 없이 사용한다는 집의 전압은 아마 220V보다 낮게 들어오는 경우일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역시 결론은 1과 2의 경우 모두 요행으로 안전하게 사용하시고자 한다면 가전제품(보통 TV이상의 전류를 먹는 것)의 수만큼 Trans를 준비하시는 게 안전하고 현명한 방법임. >     

  • A

    에공.. 별도움이 안되었군요.. 죄송합니다.. 빨래는 아래보시면 빨래방 문의 하신 분께 제가 답변 달아 드렸거든요.. 당장급한건 거기서 해결하시면 좀 덜 수고스럽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구 제가 알려드렸던 번호 회사를 알려드려 볼께요 인터넷으로 한번 찾아 보시겠어요? 여기도 도움이 될려는지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지만 한번 알아보세요.. HOW HUAT SYSTEMS MAINTENANCE CONTRACTOR howhuat@singnet.com.sg     

Q

NO.19

기타컴퓨터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love(today) 2005-07-26
추천수 : 3 조회수 : 986

안녕하세요. 곧 입싱할 예정입니다. 궁금한게 있어 질문좀 하려고 하는데요. 컴퓨터를 한국에서 사가지고 가는게 나을까요? 아님 싱가폴에서 사는게 나을까요? 컴퓨터에도  헤르쯔라는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답변란에 보니 전자제품들 일부가 헤르쯔 때문에 그곳에 가서 구입…

  • A

    노트북이나 데스크탑모두 여기 싱가폴이 가격이 더 쌉니다. 노트북의 경우는 동급대비로 20만언정도는 싼것같은데 XP가 한글을 지원은 하지만 제한적이라는걸 알아두셔야 하겠습니다. 원래 영문컴퓨터를 사용해보신 경험이 없으시다면, 한국에서 컴퓨터를 사오시라고 권하고 싶네요. 특히 소프트웨어는 여기서는 구할수가 없습니다. 한글자판도 문제가 되고요. 휴대가 편한 한글 노트북을 구입해 오시면 가장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려됩니다. 노트북의 경우는 아답터가 50/60hz, 100 ~ 235V 까지 수용하게 되어 있어서 전세계 어디서도 문제는 없습니다. 데스크 탑을 생각하시는거라면 키보드와 소프트 웨어만 가져오셔서 여기 컴퓨터에 설치해 쓰시는 방법이 있지만, 잘 아시는경우가 아니라면 별로 비추천입니다. 고생만 하다가 포기하게 될 수도 있거든요. 노트북의 경우는 1년, 3년 짜리 worldwide warranty가 되는것을 확인하시고 구입하시면 좋겠지만, 3년warranty의 경우는 추가 비용을 더 내셔야 하는것이 문제겠죠. >안녕하세요. >곧 입싱할 예정입니다. >궁금한게 있어 질문좀 하려고 하는데요. > >컴퓨터를 한국에서 사가지고 가는게 나을까요? 아님 싱가폴에서 사는게 나을까요? >컴퓨터에도  헤르쯔라는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 >질문답변란에 보니 전자제품들 일부가 헤르쯔 때문에 그곳에 가서 구입하는게 낫다고들 하는데 컴퓨터도 관련이 있는지요? > >만약 싱가폴에서 사게 된다면 한글 프로그램은 어디서 구해서 셋업해야하는지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미리 답변에 감사합니다.     

Q

NO.18

기타입싱준비....Ang Mo Kio??? 도와주셈^^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뚱(sjdh1111) 2005-07-11
추천수 : 13 조회수 : 1,624

안녕하세요... 많은... 글들이 있는데... 입싱준비가  더 어려워졌네요... 회사비용으로 이사하구요... 살림살이는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전자제품도 가져오라는분과... 의견들이 난해하네요.. 저희 남편회사가....Ang Mo Kio... 뭐시라하는것 같던데요.…

  • A

    Ang Mo Kio는 싱가폴의 북쪽에 위치한 곳이구요. 전철(MRT)역이 있어서 교통은 편하실겁니다. 또한 그곳은 주택가가 밀집돼있어서 그곳에서 바로 집을 구하시면 더 좋겠네요. 콘도는 1500S$정도면 좋은 집을 구하실수 있을겁니다. 최하로는 1200S$도 가능하죠. 물론 콘도수준이고 괜찮은 집입니다. 이사준비하실때 모터가 들어있는것들(프리볼트아닌)은 다 놓고 오세요. 콘도의 경우는 가구랑 세탁기등 가전제품이 거의 구비돼 있습니다. 밥솥의 경우에는 한국제품이 많이 들어와 있더군요. 불과 작년말까지만 해도 밥솥은 없었던거같은데. 식기나 작은 살림도구는 가져오셔도 좋지만, 운송비용이 여기서 사는것보다 더 들지도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많은... 글들이 있는데... 입싱준비가  더 어려워졌네요... >회사비용으로 이사하구요... 살림살이는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전자제품도 가져오라는분과... 의견들이 난해하네요.. >저희 남편회사가....Ang Mo Kio... 뭐시라하는것 같던데요... >이근처에 가까운... 곳으로..주택을 구하고 싶은데요... 좋은곳 있으면 알려주세요 >교통편하고.. 될수있우면.. 회사와 가까우면 좋겠지요.. 어떤곳인지도 알려주심 더 감사 하겠습니다... >S$1600~1800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사준비때 가져와야 할것과 주택좀 해결좀 해주셍..주택 시세가 어떤가요... >진따로... 말그대로 답답할 따름임다...     

  • A

    Ang Mo Kio가 회사이면 Yio Chu Kang쪽으로 집을 구하시는게 좋겠네요. 전철 한 정거장 떨어져 있고 비교적 Rental Fee가 비싸지 않은 곳입니다. 방 2개 기준으로 1500S$정도면 좋은 집을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Yio Chu Kang쪽에 Castle Green과 Seasons Park가 괜찮습니다. 오셔서 Agent 와 만나 집 한 번 보시고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Ang Mo Kio는 싱가폴의 북쪽에 위치한 곳이구요. 전철(MRT)역이 있어서 교통은 편하실겁니다. 또한 그곳은 주택가가 밀집돼있어서 그곳에서 바로 집을 구하시면 더 좋겠네요. >콘도는 1500S$정도면 좋은 집을 구하실수 있을겁니다. 최하로는 1200S$도 가능하죠. 물론 콘도수준이고 괜찮은 집입니다. >이사준비하실때 모터가 들어있는것들(프리볼트아닌)은 다 놓고 오세요. >콘도의 경우는 가구랑 세탁기등 가전제품이 거의 구비돼 있습니다. 밥솥의 경우에는 한국제품이 많이 들어와 있더군요. 불과 작년말까지만 해도 밥솥은 없었던거같은데. >식기나 작은 살림도구는 가져오셔도 좋지만, 운송비용이 여기서 사는것보다 더 들지도 모르겠네요. > >>안녕하세요... 많은... 글들이 있는데... 입싱준비가  더 어려워졌네요... >>회사비용으로 이사하구요... 살림살이는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전자제품도 가져오라는분과... 의견들이 난해하네요.. >>저희 남편회사가....Ang Mo Kio... 뭐시라하는것 같던데요... >>이근처에 가까운... 곳으로..주택을 구하고 싶은데요... 좋은곳 있으면 알려주세요 >>교통편하고.. 될수있우면.. 회사와 가까우면 좋겠지요.. 어떤곳인지도 알려주심 더 감사 하겠습니다... >>S$1600~1800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사준비때 가져와야 할것과 주택좀 해결좀 해주셍..주택 시세가 어떤가요... >>진따로... 말그대로 답답할 따름임다... >     

Q

NO.17

기타초보자의 궁금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제이제이(kys305) 2005-06-05
추천수 : 10 조회수 : 1,051

안녕하세요. 6월말경에 들어갈 초보자입니다.   제가 더위를 못참는 편이라 싱가폴의 날씨가 가장 걱정되고 다음은 아이들을 데리고 들어가는 상황이라 무엇을 준비해가야 할지가 막막합니다. 예를 들면 압력밥솥이라든지, 그 곳은 없는데 꼭 한국인들이 살림할 때 필요한 것들이요…

  • A

    더위보다는 추위(?)에 대비하셔야 할 듯...당연히 너무 덥기 때문에 대낮에 햇빛 아래 나갈일이 없는 반면 가는 곳마다 너무 심하게 트는 에어컨 때문에 너무나도 춥습니다 (특히 사무실, 대중교통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전 담요를 무릎에 두르고 일합니다...아이나 어른이나 가디건은 필수... 압력 밥솥은 꼭 사오시고요.  그 이외는 별로 크게 생각 나는게 없네요.  김치, 떡을 비롯한 대부분이 이곳에서 여러 경로로 조달 가능 하고요. 아이들은 대부분 급식을 합니다 (작은 학교는 미리 식단을 선택하고 큰 학교는 식당에서 사먹음) 또 도시락을 준비해도 되고, 일괄적이 아니라 선택이 자유롭습니다. 1-2년 정도라면 fully furnished 된 콘도를 구하시는게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6월말경에 들어갈 초보자입니다.   제가 더위를 못참는 편이라 >싱가폴의 날씨가 가장 걱정되고 다음은 아이들을 데리고 들어가는 상황이라 >무엇을 준비해가야 할지가 막막합니다. 예를 들면 압력밥솥이라든지, 그 곳은 >없는데 꼭 한국인들이 살림할 때 필요한 것들이요.. >선배님들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급식은 하나요, 아니면 >도시락을 준비해야 하나요. >1~2년 정도 머물것 같은데 가구나 전자제품은 Option이 나을까요. 아니면 >중고를 사는 게 나은가요. >도와주세요..     

Q

NO.16

기타헤르쯔변환기?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애가둘(rapport7) 2005-04-06
추천수 : 21 조회수 : 1,067

안녕하세요...해외이사 상담해주신 분이 헤르쯔변환기라는 것을 사용하면 전자레인지와 티비를 제외한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가능하다고 하셔서 준비하고 있는데 다른 분이 1년정도 후에 반드시 고장난다고 그러시네요... 미리 싱가폴에서 살고 계신 선배님들의 정확한 조언 부탁드립니…

  • A

    >안녕하세요...해외이사 상담해주신 분이 >헤르쯔변환기라는 것을 사용하면 전자레인지와 티비를 제외한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가능하다고 하셔서 준비하고 있는데 >다른 분이 1년정도 후에 반드시 고장난다고 그러시네요... >미리 싱가폴에서 살고 계신 선배님들의 >정확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에 들어온지 만 3년 되는되요... 저는 전에 계셨던분이 전자렌즈와 TV빼고 다 가지고 와도 된다고 해서 현재 모두 잘쓰고 있어요 물론 전자렌지는 가지고 오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은 쓰고도 있데요 여기 싱가폴이 각각의 콘도 마다 전기가 센곳이 있고 약한곳이 있는지 모르지만 저는 도버와 리버벨리 두곳에 살아 봤지만 모두 괜찮더라구요 그리고, TV는 아이들 방에 비디오,DVD연결해서 보고 있어요... 그러니까 한국 처분하기 힘드시면 모두 가지고 오세요...  그리고 집을 구할때 옵션이 많을수록 비싸기도 하니까 구지 버리지 마시고 가지고 오셔서 사용하세요 남편도 여자하기 나름이라고 하지만 전자제품 사용도 사용하기 나름이고 깨끗하게 닦아주고 사용하면 오래씁니다....  참고로 전 전자제품 냉장고 기타등등 모두 한국에서 5년 정도 쓰고 가지온 제품들입니다...   그리고 가지고 오셔서 들어갈 집에 옵션들이 있다면 없는 사람 빌려주다가 또 이사갈집에 없을 수도 있으니까 그때 다시 받으셔도 돼고요....     

Q

NO.13

기타relocation관련 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토치(keumhee88) 2004-07-10
추천수 : 8 조회수 : 1,413

싱가폴회사의 offer에 sign을 하고 7월말 입국하는 사람입니다. 날짜가 정해지고 나니 이삿짐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걱정이 많습니다. 이곳 사이트정보를 참고하여 대략은 큰짐은 가져 가지 않기로 했습니다. 회사에서 콘도전액을 지원하는 관계로 집은  full funit…

  • A

    콘도 주인과 협상하기 나름입니다. 일단 침대와 장농은 그렇고... 식탁정도 까지는 가지고 오시는 편이 싸게 먹힙니다. 전자제품은 10개중9개는 여기서도 잘 돌아가는데, 단지 플러그부분에 하나가 더 끼어들기 때문에 좀 거추장스러워 집니다. 그래도 전자제품은 가져오세요. 냉장고가 한 10년 가까이 된거라면, 물론 버리고, 여기서 사는편이 좋습니다. Full furniture를 한다면, 가격이 따라서 올라갈것이고, 여기 콘도 주인들은 아주싼 물건을 줍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은 생전 들어보지도 못한 가격이 낮은 메이커 제품을 줍니다. >싱가폴회사의 offer에 sign을 하고 7월말 입국하는 사람입니다. >날짜가 정해지고 나니 이삿짐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걱정이 많습니다. >이곳 사이트정보를 참고하여 대략은 큰짐은 가져 가지 않기로 했습니다. >회사에서 콘도전액을 지원하는 관계로 집은  full funiture로 하고자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냉장고랑 TV, 침대, 식탁등은 본가에 보내고, >나머지 옷가지와 식기류등을 챙겨갈려고 합니다. 물론 이사비용도 지원을 해주기때문에 >어떤 정보를 보니 가져갈 수 있는 한 가져 가라고 하지만, 전기주파수가 다르고 해서 전자제품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을 것 같아서 안가져 갈려 합니다. 다만, 서재에 있는 책장,책상등의 가구는 가져가야 할지 망설여 집니다. full funiture라지만 어느정도로 갖추어 진 콘도인지를 알수가 없어서요.. >싱가폴 이주 선배님들의 조언을 참고 할 수 있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