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107

생활싱에서 주식투자, 미국주식 투자하는분 계시나요? 세금질…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sys20044(sys7744) 2019-02-28
추천수 : 0 조회수 : 4,941

싱가포르에서 미국 주식 투자하면.. 수익에 대한 과세율이 30%인가요..?? 이러면 한국보다 높은거 같은데 한국계좌로 하는게 나은거죠?   관련 지식이 있으신분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A

    음...저 세금낸적없는데요.... RSU 가 vest 될때는 vested 될 당시의 share price 로 세금이 발생하는데 개인 일반 미국 주식투자는 세금이 없어요  6년 넘게 IRAS 에서 뭐 온게 없습니다.       

    2
  • A

    조금 오래된 글이지만 혹시 다른분이 나중에 보시고 참고하실 경우가 있을것 같아 답글을 달아봅니다. 일단 싱가폴은 capital gains 및 dividends에 대하서 세금이 없습니다.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What-is-Taxable-What-is-Not/Gains-from-Sale-of-Property--Shares-and-Financial-Instruments/ https://www.iras.gov.sg/IRASHome/Individuals/Locals/Working-Out-Your-Taxes/What-is-Taxable-What-is-Not/Dividends/   하지만  미국에서 withholding tax가 발생할것입니다. (글쓰신 분이 한국국적이라고 가정하에) https://www.investopedia.com/ask/answers/06/nonusresidenttax.asp  한국의 tax system에 대하여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만약에 한국에서 foreign-sourced capital gains 및 dividends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미국처럼 worldwide income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면 싱가폴에서 미국 주식을 거래하여 발생하는 수익에 대하여 한국에 보고를 할 의무가 생길겁니다. 한국쪽 사정을 잘 몰라서 나중에 확인해 보고 답을 달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기타수입은 tax payer가 각국의 tax authority에서 세금을 내라고 연락이 오는게 아니라 (나중에 audit을 받아서 그럴경우도 있겠지만) , 다르게 말하면 연락이 안와서 세금을 안내도 되는게 아니라, 과세의무가 있을경우 본인이 알아서 tax form에 income item으로 더해야 하는것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1098-INT, 1098-DIV라고 해서 은행 등등에서 얼마를 세금 보고서에 기재하라고 form을 보내줍니다. 또한 이 정보가 미국 tax authority (IRS)와 공유가 되고요. 연락이 안왔다고 누락시키면 몇년뒤에 interest와 penalty를 산정하여 연락이 오겠지요.      

Q

NO.1105

생활대사관 출생신고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tprince(tprince) 2019-02-26
추천수 : 0 조회수 : 1,438

대사관 출생신고 관련해서 알아보다 막히는게 있어 혹시 경험 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들을까합니다. 부모 모두 한국국적입니다. 출생시 병원에서 출생등록을 하고 'certificate of registration of birth' 원본과 함께 사본을 여러장 받았습니다. …

  • A

    먼저 출산 축하드립니다, 저도 작년 이맘때 신청했었어요, 1. 대사관 문의 결과 ICA에서 발급한 'Certificate of Extract from Register of Birth' 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병원서 발급해준 'certificate of registration of birth' 사본으로 갈음할수 있을까요? :: 원본으로는 안되구요, ica에 extract 신청해서 발급 받아야 하고, 온라인 신청후 발급이 1주일 정도 걸렸던거 같아요, extract 서류는 출생신고시 한국으로 보내지고 돌려 받을수없습니다. 2. 아이 여권 사진을 찍어야 하는데, 사진관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집에서 밝은 배경에 사진 찍고 파일로 여권사진으로 출력할수 있는곳이 있나요? :: 저는 흰천 위에 아이 눕혀 놓고 폰으로 찍어서 , 근처 몰에 출력하는 곳에서 여권용으로 뽑아 달라 하였어요 신생아는 까다롭게 안보는데 최대한 정면으로 찍어보세요 3. 동시에 여권도 바로 신청해서 최대한 빨리 받아보고 싶은데 DHL긴급 여권 배송 신청은 이제 막 출생한 아이는 신청할수 없나요? 친절한 조언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대사관에서 동시에 신청 가능합니다, 알아서 출생신고 후 여권신청으로 바로 해줍니다,  DHL로 받는거도 현장에서 알려줍니다,  필요하신부분은 대사관에 한번 전화해서 물어보세요,, 다들 친절합니다,         

    1
Q

NO.1104

생활산부인과 추천 부탁드려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ibbo(sjaibbo) 2019-02-20
추천수 : 0 조회수 : 1,991

안녕하세요. 임신초기 인데요 장기로 다닐 산부인과 알아보고 있습니다. 한국분들은 톰슨이나 래플스 많이 다니시는거 같구 한국촌 광고에는 글렌이글스에 조이 산부인과라고 있네요. 후기를 보니 톰슨이 제일 괜찮타는 평이많은데 혹시 잘 아시는분 있으심 의사선생님 추천 부탁…

  • A

    임신 축하드려요~! 임신 초기에 어느 병원을 갈지 많이 고민해던 지라 혹시나 도움이 될까 글 남겨요. 저는 Novena mrt 앞에 있는 Mount Elizabeth Novena Hospital에 다녔는데 새 병원이라 시설도 깔끔하고 좋았어요~  오챠드에도 같은 병원이 있긴 한데 오챠드는 가는 길도 역도 혼잡해서 전 노비나쪽이 더 좋았어요. 선생님(gynae)마다 금액이 다 다른데요, 초기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는 굳이 비싸고 인기많아 예약잡기 어려운 gynae를 찾아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참고로 제가 아는 의사는 Wendy Teo랑 Elisa Koh 인데  Wendy는 상당히 인기가 많아 예약잡기가 어렵고 대기시간도 길고 진료비가 저렴하진 않아요. 선생님은 굉장히 상냥하시고 꼼꼼하게 잘 봐주셔서 전 좋았어요~  Elisa Koh는 Wendy에 비해 저렴하구요, 출산이외에 부인과 질환 수술도 잘 하시는 걸로 알고 있어요. Elisa 선생님은 시원시원하게 대답해주는 분이라 마음이 편했구요~ 잘 비교해보시구 선택하세요~     

    1
Q

NO.1098

생활3월 입싱인데요 궁금한게 너무 많습니다~!! 도와주세용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토리언니(eunstyle81) 2019-02-05
추천수 : 0 조회수 : 3,762

안녕하세요! 3월에 싱가포르 지사로 이직, 입싱하는 30대 싱글여자 입니다! 눈팅만 하다 궁금한게 몇가지 있어서 문의하오니 많은 도움 부탁드려요~!!! 1. 입싱 준비물중 정말정말 필요한 제품이 있나요? 한국 음식이나 식재료, 생리대, 의약품 제외하구요~ 2. …

  • A

    아는것만 몇가지 답변 드립니다. 1. 여기서도 왠만한건 구할수 있어서..한국식자재도 한국 마트에서 팔고요. 물론 한국보단 싸진 않지만 힘들게 가져오는것 생각하면 그렇게 비싼 느낌은 아닙니다. 여기에 링크 걸린 한국 마트 한번 훑어보세요. 저같은 경우엔 의약품인데요. 약국에서 파는 파나돌 진통제 말고 한국가면 항생제를 좀 가져옵니다. 제가 사랑니를 안뽑아서 가끔 염증이 생기는데 유용하더라구요. 치과 치료는 꼭 받고오시고요. 2. 소형이사.. 저는 리로케이션이라 회사에서 해줬는데..상당히 비쌉니다. 가구 없이 옷이랑 책좀 옮겼더니 2천불 가볍게 넘더라구요. 한두박스 정도면 차라리 EMS로 보내시고 많으시면 그냥 가져오지 않으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여기와서도 이사하셔야 하는데 많이 가져오면 옮길때마다 골치아픕니다. 꼭 가져오고 싶은데 당장 필요하지 않은거면 저는 한국갈때마다 조금씩 가져다 옮기고 있습니다. 3. 전 노트북 있지만 사용안하네요.  테블릿도.. 지금도 한국에서 집에서 노트북 얼마나 사용하지는지 생각해보시고 자주 사용한다 싶으시면 가져오시고 아님 안가져오시는걸로.. 지금 노트북이 없다 싶으시면 그냥 여기서 필요하다 싶으실때 사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4. 룸렌트면 모를까 홀렌트든 공과금 포함 계약 어려우실겁니다. 정확히 이사하시면 전기 수도 이런거 질문자님 이름으로 개설해서 쓰셔야 합니다. 어렵게 포함되어있는거 찾으셔도 실제 공과금보다 많이 받으실터이니 굳이.. 제가 스튜디오 혼자살때 한달에 80불정도 나왔거든요. 수도세,전기세해서..그냥 내시는게 속편하실겁니다. 5. 요즘 핸드폰은 컨트리락 해제되어있지 않나요? 전 한국에서 쓰던 아이폰 가져와서 유심만 사서 썼는데 문제 없었습니다. 이건 인터넷으로 가지고 계신 핸드폰 모델로 검색해보심이 더 빠르실듯요. 예전에는 통신사에 전화해도 확인해줬는데 요즘은 될지 모르겠네요. 6. 송금을 안해서.. 그냥 한국갈때 들고가서 환전해서 넣어놓고 있습니다. 7. 1년 계약이면 보통 한달집세에 반을 냅니다.      

    1
  • A

    한국으로 송금하시는거면 은행에서 송금하시는것보다 요새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환전/송금해주는 회사 많이 나와요. 제가 사용하는 회사는 Transferwise라는 회사인데 (구글에 검색하면 나와요) 금액을 비교해보니 그나마 어짜피 환전을 하실거면 결국에는 원화를 훨씬 많이 받는거 같아요 (제일 싼 방법은 환치기겠지만). 한번 비교해보시고 사용해보세요!      

Q

NO.1094

생활싱가포르 최소 생활비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낙지만원(goddang) 2019-01-21
추천수 : 0 조회수 : 5,603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국에서 싱가포르 해외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입니다. 다름아니라, 최근에 싱가포르 회사(물류/영업) 2군데에서 job offer를 받았고 어떤 쪽으로 선택해서 가야 할지 고민중입니다.   첫번째 회사는 한인 기업으로써 조건은 2000싱달…

  • A

    1. 최저생활비는 20대 30대 초반 싱글인 경우는 최대한 아낄 수 있는 상황이면 월 1300~1500 정도 되는 것 같긴 합니다. 주거비 600 + 교통비 100 + 통신비 100 + 식비 하루 20불 x 30 = 600 말 그대로 최저생활비 입니다. 인간이 밥만 먹고 사는건 아니잖아요. 음주와 흡연하고 택시타면 기하급수적으로 늡니다. 또 6개월에 한국 다녀오려면 추가적으로 100만원씩 듭니다. 아시겠지만.   2. 케이스바이 케이습니다. 이건 선배들 조언 잘 들으세요. 3. 싱가포르 대졸 초임은 평균 3500~4000 정도 합니다. 그런데 싱가포르 사람과 외국인 노동자 직접 비교 힘듭니다. 싱가포르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싸게 들여와서 쓰는 시스템이 잘 갖춰진 나랍니다. 외국인 청춘들의 젊은을 싸게 사는거죠. 이건 이 게시판 예전 글들 잘 찾아보세요. 여러 취업 분쟁과 갈등, 고민들 찾아볼 수 있을 겁니다. 4. 어려운 문제입니다. 계약 조건이 가장 중요하다는 글들을 이 게시판에서 잘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 A

    대졸 초임에 대해서 추가로 답변 드려요.    https://stats.mom.gov.sg/Pages/Graduate-Starting-Salary-Tables2017.aspx   여기서 H3. 참고 해보시면 알겠지만, 싱가포르 3개 대학의 2017년 초임 나타낸 표입니다.  NUS, SMU, NTU 문이과 졸업자 rough하게 평균내서 알려드리면, 3300 정도 입니다. 그리고, 이 3개 대학은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세계 랭킹에서도 꽤나 잘 쳐주는 대학들입니다.    물류직은 전세계에서도 유독 임금이 짠 편이기도 해서, 2500+a정도면 비경력직으로 처음 시작하는 경우에서는 어느정도 평균적인 offer일듯 합니다.    답변이 좀 두서 없어 졌는데 다시 말씀드리자면,    1. 싱가포르 대졸초임 자체는 높지 않다.  2. 그리고 상기 대학들은 싱가포르에서 초 일류 대학들임 3. 상대적으로 그보단 조금 낮을(이렇게 서열화 하는건 좀 말도안되긴 하지만, Ranking으로 매겨지는 in-out put을 참고했을때) 한국 대학졸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임금 수령예상(대졸 초임의 경우) 4. 경력직의 경우 필요 position이나 이전 경력, 현재 급여등을 바탕으로 협의, 상승폭 매우 큼 5. 그리고 초임이 낮게 시작하지만 4번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개개인이 본인 능력 여하에 따라, 이직 또는 내부에서 임금 상승을 시키는 편 입니다.    윗분 말씀처럼, 최저 생활비가 꽤나 비싼 나라인지라, 상대적인 임금은 외국인 입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누군가의 조언 보다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정보들 잘 모아놓고 본인이 판단하는게 제일 좋을듯 해요.  어떤 결정을 하든 건승하시길 바래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