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1423

생활신생아 DPT접종관련해서 약품 인파릭스를 사용하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노갈경태(jamesno0818) 2020-01-04
추천수 : 0 조회수 : 3,240

안녕하세요. 신생아 DPT 접종관련해서, 싱가포르에서는 인파릭스라는 약품을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3in1 5in1 6in1이 있던데, 뭐가 다르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분이 계시다면, 답변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image)     …

  • A

    질문주신 사항을 보면 3 in one, 5 in one, 6  in one 은 콤비네이션 백신이냐 아니냐 입니다. 즉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 +  Hib + polio  를 한대로 맞을수 있는게 5 in one 콤보백신, 5 개질환 예방접종을 주사 한대로 맞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백신에   B형간염백신이 추가된 콤보백신이 6  in one 입니다.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까지 들어있으면 3 in one . 이 경우에는 폴리오랑 Hib을 각각 또 맞아야 하니까 아이는 총 3대의 주사를 맞게 되죠.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소아마비 Hib  은 한국 싱가폴 양국 모두 필수예방접종사항입니다. 다만 접종 월령은 살짝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은 아래 네이버에 검색하시면 잘 나옵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op_hty&fbm=1&ie=utf8&query=%ED%95%84%EC%88%98%EC%98%88%EB%B0%A9%EC%A0%91%EC%A2%85 싱가폴은 아래 링크 참조 https://www.nir.hpb.gov.sg/nirp/eservices/immunisationSchedule   신생아라고 하셨지만 현재 정확히 몇개월인지 한국에서 기존에 예방접종을 어디까지 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시면 기존 접종을 언제 어디까지 어떤 백신으로 했는지에 땨라서 알아서 계산해서 추천해 줄겁니다. 인판릭스는 영국및 벨기에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백신회사에서 제조하는 제품입니다. 참고로 저는 여기 직원 아닙니다. 그러니 홍보사항은 아닙니다.      

Q

NO.11418

사업/직장IT 직군 회사 연봉 질문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toothless(wringer) 2020-01-02
추천수 : 0 조회수 : 3,490

안녕하세요   현재 IT 직군에서 경력이 10년 정도 되는데, 싱가포르 회사로 이직을 할려고 합니다. 아직 연봉 협상을 하지 않은 상태인데요. 혹시 IT 개발/인프라 운영 10년 경력이면 어느 정도 연봉을 불러야 적정선일까요? 너무 높게 부르다가 까일까봐, 혹은 …

  • A

    아래 링크 참조해보세요. 어느 정도 맞답니다. https://www.michaelpage.com.sg/sites/michaelpage.com.sg/files/Singapore_MP_Salary_Benchmark_2019_ALL_web_0.pdf      

  • A

    안녕하세요, 지원하시는 곳이 multi national IT company이고, 이미 job posting이 외부에 된 상태라면, 내부적으로는 budget이 승인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 쪽에서 연봉에 대한 대략의 range가 있을 겁니다. Replacement position인 경우, 전임자의 job grade에 따른 연봉 범위를 쓰는게 일반적입니다. 거기에, 나라 별로 물가에 따른 weight가 있고, 해당 국가의 job grade에 따른 평균, 최소, 최대 수치가 참고 자료로 대부분 있기 때문에 대략의 range는 여기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재 받으시는 연봉에서 몇 % 인상로 협상하시는게 일반적입니다. 10년 경력을 가지고 계시다면 시니어들보다는 상승폭이 조금 더 있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대부분 현재 연봉의 근거자료를 요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어링 매니져 입장에서는 range를 넘어가는 요구를 할 경우, 그에 따른 추가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꺼려질 수 있고, - 하지만 지원자를 꼭 뽑고 싶다면 그런 건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본인 장점을 잘 어필하시는게 제일 중요하긴 합니다. Stock option이라든가, 조인 후에 퍼포먼스가 좋을 때는 연봉 인상 시에 적극 반영해 달라는 게 더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IT분야에서는 주변을 보면 한국에서 오신 분들이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경우가 전반적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운영이나 개발의 경우, 여기에는 없는 차별화된 경험이 있으시다면 플러스가 될 수 있습니다. 협상이 잘 되시길 바랍니다.      

Q

NO.11413

부동산PR 부동산 구매 문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욜롤리(m97stone) 2019-12-28
추천수 : 0 조회수 : 4,924

안녕하세요.    혹시 PR 신분으로 ADSD 5% 납부하고 resale 콘도 구매하신분 계신가요? 싱에 오래있을것 같은데 월세는 아깝고.. HDB resale구매는 3년을 기다려야 하니 어찌 해야할지 고민중입니다. 세금내고 대출이자 내면서 10년 들고있으면..…

  • A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비슷한 사례들은 많지만, 개인의 상황 (소득, 연령)에 따라 융자 조건이 다르고, 집에 따라 월세가 다르며, 사는 시점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일반화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감가상각에 대해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 회계 분야에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공장 건물이나 기계와 달리, 집은 10년이 지나도 집값이 상승합니다. 우스개 소리로, ‘사용하고도 값이 올라가는 것은 집 뿐이다’,라고 합니다. 지난 10년간(2009-2019) 싱가포르 전체 콘도의 연평균 상승률은 5.3%에 달합니다. 이 이전에는 (2004~2014) 연평균 7.9%에 이르기도 하였습니다.    비슷한 사례를 현재 시점에서 예를 들어 말씀 드리겠습니다. [예1] $1.2m의 콘도를 사신다면, 영주권자의 경우 각종 세금을 포함하여 총 약$1.3m의 금액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이 집에서 사신다면 월세를 받지 않지만, 현재 사는 월세를 내지 않기 때문에 계산상으로 월세를 받는 것으로 계산해 봅니다.) 월세를 평균 정도인 $3,500이라고 보면, 10년동안 각종 세금 및 경비를 제하고 월세 소득 (또는 세이브)는 약$348k가 됩니다. 즉, 집값이 하나도 오르지 않았다 하더라도 약$348k을 벌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집값이 10년동안 연3%로 상승했다면,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285k가 됩니다. 최근 Morgan Stanley의 분석에 의하면, 싱가포르 집값은 2030년에 현재의 2배가 된다고 분석하였습니다. M-S의 분석에 따르면,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1,072k가 됩니다. 이 경우 현재 $1.3m을 투자하여 10년 동안 $1.4m이상의 수익을 올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예2] 위와 똑같은 콘도를 50%의 금액인 $600k를 30년상환으로 연 2%의 금리로 융자를 받았을 경우를 보겠습니다. 현금 $700k가 필요하며, 향후 원리금상환으로 매월 $2,220이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월세($3,500)와 월 비용($2,220+$600)의 차액에 의한 10년간 소득 또는 세이브는 $82k가 됩니다.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10년동안 연3%로 상승했다면 $447k 가 되고, M-S의 분석에 따르면 $1.23m이 됩니다. [예3] HDB의 경우에는 집의 연한, 위치, 정부 정책에 따라 일반화가 어려우니, 저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싸이트를 방문하시면 여러가지로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https://www.corealconsulting.com/latest-news      

  • A

    PR 이고 현재 부동산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서 부동산 등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같습니다. 지난 3년간의 콘도 오름세를 보자면 위치에 따라서 그리고 어떤 콘도 이냐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 에 첫 집이라면 잘 알아보시면 은행 이율은 굉장히 좋은 조건 찾으실 수 있을 것이며 어차피 매달 나가는 대출금은 CPF 로 대체하시면 됩니다.    위의 분이 1.2M 짜리라면 총 1.3 정도가 필요할 것이라고 하셨으나 경험에 의하면 그 이상 필요하실 것입니다. 세금, 대출이자 내는 것보다 매달 나가는 월세를 생각하신다면 사실 답은 나와 있지 않나 싶네요.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