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253

생활싱가폴운전면허 전환 준비서류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다가다가(dhwl2014) 2019-06-03
추천수 : 0 조회수 : 3,759

안녕하세요 이번에 BTT 패스해서 로컬 면허 전환하려고하는데 준비서류관련 문의 드려요. 면허증과 국제운전면허증은 한국에서 발급받아왔는데, 국제운전 면허증이 마지막 official translation을 대체  가능한가요? 아니면 다시 offical translati…

  • A

    현재 운전면허 번호 앞 두 자리가 발급 연도인데요. 이 발급 연도가 입국일 1년 전보자 이전이면 국제운전면허증으로 대체가능합니다. 다만 앞 두 자리가 입국일 기준 1년 전 보다 이후이면 대사관가서 공증 받으시거나 아니면 한국 경찰에서 운전면허 경력증명서를 영문으로 발급하여 제출하시면 됩니다.      

  • A

    저는 이번에 합격했는데 제가 낸 서류는 여권과 싱 거주증, 제 한국 운전면허증, 대사관에서 공증받은 면허즈레터입니다. 신분증들은 전부 카피해서 들고가셔야 하고요 여권사진용으로 1장 가져가셔야해요.      

  • A

    3년전에는 저도 국제면허증 만료되서 대사관가서 공증받은거 가지고 가니깐 그런거 보지도 않고 그냥 여권이랑 합격증? BTT시험 합격한거랑 증명사진 만 받고나서 몇일 후에 면허증 보내줬습니다 이게 근데 시험장마다 다 틀린듯해요 저는 부킷바톡에서 봤습니다 아 참고로 이제는 아마 외국인은 면허 Conversion 하면 Class3가 아닌 class3c로 줄꺼에요 차이점은 class3는 대형빼고 다 몰수 있지만 Class3c는 화물차랑 화물밴 안되구 그냥 승용차랑 7인승차까지만 될꺼에요      

Q

NO.3245

생활졸업예정자 비자 변경?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모티프(triangle) 2019-05-23
추천수 : 0 조회수 : 2,199

싱가폴 사립 대학 졸업예정자구요 스튜던트 패스는 7월까지입니다. 싱에서 구직활동을 위해 더 머무르기 위해서는 비자 변경이 필요한데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학생 비자에서 바로 숏/롱텀비자나 SVP로 변경 가능한가요?    2. 싱 대학 졸업자는 롱텀비…

  • A

    사립의 경우 스튜던패스 캔슬 이후 30일정도 SVP를 발급해줍니다. 롱텀비자 신청은 아마 안될겁니다. 국립대학은 1년까지 롱텀패스 준다고 들은 것 같네요. 한가지 방법은 SVP 받으신 후 조호바루 갔다 오시면됩니다.      

    1
  • A

    사립대학에 7월 졸업예정이면 5월에 졸업시험을 보는 S대학에 재학중이시겠네요.   저도 같은 상황이었던 졸업생이라서 경험 몇가지 나누고자 합니다.   1. 학생 비자에서 바로 숏/롱텀비자나 SVP로 변경 가능한가요?  학교에서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외국인 학생들에게 SVP로 변경해주기 때문에 제가 나온 학교의 동문이시라면 학교 Student Services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에는 SVP로 변경해서 7월 말까지 나왔고, 그 이후에 외국으로 출국 했다가 싱가폴에 입국했습니다.(한번정도는 운에 따라 가능하시겠지만, 그전에 학교 다닌걸 고려 안해주고 "끝난 건 끝난 거"라고 답하는 황당한 태도의 이민국 담당자도 있으니 장담 못드립니다. 물론 엄격하게 해야할건 맞는데 다소 서운했습니다) 10년 넘게 살고 공립학교를 다녔어도 SVP받고 나갔다가 들어오시면 똑같은 관광객입니다. 싱가폴에 입국할때 혹시 모르니 출국티켓을 오픈으로 열고 싱에 입국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2. 싱 대학 졸업자는 롱텀비자도 신청이 가능한걸로 알고 있는데 이건 졸업 직후에만 가능한건가요 아니면 나중에 다시 신청할 수도 있나요? 졸업 직후에는 일단 한국에 귀국해서 지낼 생각도 있어서 궁금합니다. 롱텀비자의 경우 롱텀으로 거주할 수 있는 근거가 있어야하는데, 제가 시도를 안한것도 있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는 다른 경험자분들이 답해주시는게 옳을듯 합니다.       3. 이 모든 사항에 관련해 싱 국립/사립 대학 졸업자의 차이가 있나요? 아쉽게도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lazada님의 답변대로 졸업후 받는 SVP의 기간차이가 다르니 아쉽습니다. 국립대학의 1년까지는 몰라도 SVP 30일이면 지난 몇년동안 자리잡았던 나라에서 그냥 방빼라는 의미로 느껴질 정도로 기간이 짧은 면도 있었습니다. 국립대학생의 메리트 및 대우차이도 있어야하니 사립대학생에게는 그래도 3~6개월의 SVP기간이라도 주면 좋을텐데 말이죠. (특히 제가 했던 학교는 8월에 시험결과 나오고 9월에 졸업예정자라는 서류는 주고 12월에 학위가 나온다지만 정작 싱가폴에서는 떠난 상태여야한다는게 아이러니 합니다) 관광산업 못지 않게 외국인들이 싱가폴을 방문하고 고등교육을 수료한 외국인들이 싱가폴에 정착할 수 있도록 사립교육 시장 및 기업들을 알게모르게 키우려는 싱가폴 정부의 기조와는 다소 안 맞거나 행정시스템의 틈새가 있습니다. "우리 나라 기업의 사립학원에서 3년간 1~2만불씩 내고 학교는 다니는데 끝나면 한달 뒤에 떠나라"는 건데, 물론 소수의 우수한 학생들은 우수한 성적을 받고 취업을 할 수 있다지만 국가정책은 보통의 일반적인 대중을 위해 수립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면 다소 아쉽고 씁쓸합니다. 진로에는 답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싱가폴에서 계속 머무를지 한국으로 귀국해서 구직을 할지 제3국에서 구직을 할지는 글쓴이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바라시는 대로 좋은 결과 거두시고 만족스러운 직장에서 계속해서 꿈을 키워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쪽지도 확인하세요~      

    1 채택답변
Q

NO.3241

생활전자제품 한국서 구매할까요 싱가폴에서 구매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perrier(mryu1204) 2019-05-18
추천수 : 0 조회수 : 2,597

한국서 사용 중인 전자 제품들도 바꿀 시기가 되어서 입싱 전에 구매를 할까 현지에 가서 구매를 할까 고민 중입니다. 냉장고, 세탁기는 furnishment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 같고 그 외에 좀 짜잘한 제습기, 공청기, 드리이기 등은 가져가는게 나을까요 가서 살까요?…

  • A

    지나가다가 글 남깁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드라이어는 한국서 맘에 드는거 사오시면 될거 같고요. 제습기, 공기청정기는 오셔서 사시다가, 필요하다싶으시면 사도 될거 같습니다. 날씨가 덥다보니, 에어콘 켜 놓는 시간이 많은데, 에어콘을 켜 두면 제습효과가 있은, 실내에서는 별로 습하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거든요. 공기도 깨끗한 편입니다. 근데, 전기밥솥은 한국에서 사오시는게 좋을거 같네여     

    1
  • A

    만약 2년이상 싱에서 거주하신다면 무조건 싱에서 구매하세요. 세탁기,전자렌지,냉장고,밥솥,선풍기,헤어드라이기등 Hz때문에 문제 생기는 제품 말고도 싱에서 구매하시는게 좋아요. 신품이라도 불량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도 하고 전자제품은 언제 고장나도 이상할게 없기 때문입니다. 워런티가 2~3년 길게는 5년도 있는데 한국에서 구매해 들고오시면 삼성,LG라도 싱에서 수리 못 받으세요. 워런티 뿐만 아니라 일반 고장수리도 안받아 줍니다. 그러니 위에 말씀 드린 것 처럼 2년이상 거주 하신다면 꼭 싱에서 구매하시길 추천 드리고 하나 더 말씀 드리자면 싱에서는 워런티 기준을 영수증으로 잡습니다.(원본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그러므로 꼭 영수증 보관 하시구요. 휘발성이 있는 영수증은 사진도 같이 찍어두시는게 좋습니다.     

    1
Q

NO.3239

생활Pre marriage LTVP와 LTVP신청관련 질문…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완료
먀먀(waziral) 2019-05-16
추천수 : 0 조회수 : 3,123

안녕하세요 ㅠㅠ 정말 조언이 절실해서요..  저희두 한 싱 커플인데 한국인이 저 여자구요.  Pre marriage LTVP 를 신청 했는데 거절 당했어요.  Has been bot successful 이라는 이메일받고 이유는 몰라요.......  지금 어떻게 해야할…

  • A

    쪽지드렸어요~     

  • A

    저두 한싱커플이에요. 저희는 한국에서 먼저 혼인신고를 하고 그리고 혼인증명서 영문버전 공증받아서 ltvp신청을 했는데 저희는 이민국 뒷쪽에 보면 에이전트 많거든요. 에이전트 통해서 신청했어요. 혼인증명서, 남편 샐러리슬립,cpf 미니멈 6개월 서류, 이렇게 해서 신청했던 기억이 나네요. 예전에는 ltvp가 취업이 안됬엇는데 지금은 법이 바뀌어서 loc라고 해서 1년동안 취업할수 있어요. 대신 1년마다 loc는 갱신해야된다고 알고 있구요. 혼인신고를 안하셔서 거절됬을 확률이 높을듯. 저희는 신청할때 보니깐 서류에 처음만났던날 날짜와 사귄기간두 작성했고 아무튼 처음하면 준비할게 많더라구요. 에이전트 알아보셔서 신청하시는게 더 좋을듯 돈두 별루 안비싸요 100불정도? 보통 한국사람은 승인 나기 쉬울텐데~ 에이전트에 가서 남편분이랑 상담 받아보시고 그다음에 제대로 서류 준비하셔서 다시 신청하시는게 나을것 같아여ㅠㅠ 제가 알기로는 싱가폴리안 남편분 샐러리가 오천불 이상이여야 승인이 나기 제일 쉽다고 들었는데. 남편분 월급이 적으면 이민국에서는 글쓴이가 취업할려고 위장결혼 한다 의심하는것두 있데요 아무쪼록 도움이 됬으면 해요. 저두 승인 날때까지 두세달 기다린건데 어찌나 남편이랑 마음을 졸였던지...     

    1 채택답변
Q

NO.3235

생활콘도 들어갈 때 가구 요청 범위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Bryan1307(csy4p) 2019-05-12
추천수 : 0 조회수 : 1,406

안녕하세요? 콘도 들어갈 때, Landlord에게 가구 요청의 상식 선이 어느정도 인가요? 물론 예산에 달렸겠습니다만, ... 결정하려는 집에 방마다 벽에 TV를 설치하도록 인테리어가 되어 있어서...... Furnished 협상에 따라, 한국에서 가져올 짐의 …

  • A

    식탁, 소파 한개정도 , 침대, 책상, 전자랜지, 정도요 2년 계약시 냉장고도 큰 싸이즈 요청 하시는분도 봤어요.     

    1
  • A

    계약이  fully furhished면 소파 침대 티비 식탁 등등등이 다 들어갑니다. 계약이 partially furnished면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등의 white goods가 들어갑니다. 계약서에 자세히 있고 계약전에 명확히 하심이 좋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partialy furnished  를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이케아에서 사도 되고 여름에 귀국하는 한국분들 가구를 매우 저렵하게 가져와도 되고..여기 가구가 안비쌉니다. 그런데 굳이 풀옵션 가구 딸린 집에 가서 주인 잘못 만나면 트집잡아서 나갈때 다 돈 물어내고 나가야 하는데, 굳이 구를 모시고 살다가 나중에 나갈때 다 물어내고 나가기 싫어서 이고, 또 열대지방이라 진드기도 많을텐데 남이 2년이나 쓰던 침대나 소파를 사용하기 싫어서 입니다.  여기는 풀옵션이라도 다 바꿔달라고 계약서에 서명하기 전에 꼭 말하세요. 계약서에 서명한 순간 더이상 아무런 요구도 안 먹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