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9

사업/직장EP 만료 후 거주 + STVP 문의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그루비캣(groovycat) 2018-02-19
추천수 : 0 조회수 : 4,188

늦었지만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제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직장을 그만두게 되어, notice peirod인 2달 이후 EP가 취소될 예정입니다.    그 이후에도 당분간 싱가폴에 머물면서 구직활동을 진행하고 싶은데, 절차상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

  • A

    2개월이면 님께선 최대 3개월 가량의 구직활동 기간이 있으시니 그 기간안에 찾으시는게 베스트일거 같습니다. EP가 취소된후 한국서 싱가폴 오시는거라 왕복 비행기표가 있으시면 입국에 문제는 없습니다.  STVP 연장관련해서는 https://extend.ica.gov.sg/extend/xhtml/StaticPages/Faq.xhtml STVP도 Return 하셔야되는거로 아래와 같이 나와있습니다. If you and your dependants are in Singapore at the time of the cancellation, you will be issued a 30-day Short Term Visit Pass (STVP). The STVP allows you to temporarily stay in Singapore and prepare for your departure. You will be asked to return the STVP to the Immigration Checkpoint Officer at the point of departure, when you leave Singapore. 집 렌트 경우에는 2년 렌트 중 1년만 채울경우 님께서 집주인이 낸 housing agent fee 의 50%를 돌려줘야합니다. 정확하게는 (housing agent fee /24 months)/30days 뭐이런식으로 계산됩니다.  2년중 일주일 먼저 나갔는데 그걸 계산하더라구요...         

    1
  • A

    보통 계약서에 diplomatic clause의 12개월 미니멈+2개월 노티스해서 미니멈 14개월후 계약해지하는걸로 이야기하더라요.에이젠트랑 확인해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1
Q

NO.19

사업/직장싱가폴 취업 관련 문의 드립니다. (건축, 건설분야)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polpaul(withsky35) 2017-07-12
추천수 : 0 조회수 : 2,730

안녕하세요.  싱가폴 취업 준비 중, 최근 현지 한인회사와 연결이 되어 채용 관련 협의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저는 30대 초중반, 현재 퇴사 후 구직 중입니다. 한국에서 건설회사(대기업, 1군 건설사)에서 경력 5년차로 근무하였고, 본사 및 현장 경력을 모두 가지고…

  • A

    해외에 있는 한국계 회사에 취직하신다면 ​한국에서 취업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영어를 잘하신다면 일단 한국 오너가 있는 회사에서 취업하시고 이직을 준비하시는게 좋을거에요. 만약에 일단 싱가폴에 와서 한국계 회사에 일하시고 영어공부하겠다고 하신다면..... 아마 쉽지 않을겁니다. 영어가 1~2년 안에 실력이 느는것도 아니기 때문이죠. 일하시면서 영어 몇마디 제대로 하지 않고 일할수도 있습니다. ​서울 있는 분이    대구나 부산 가셔서 일하는 것과     싱가폴이나 필리핀으로 가서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될수도 있습니다. ​월드잡이라는 사이트에    구인 등록을 하는  기업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데 그냥 누구든지 올리게 하는게..ㅠㅠ ​이것저것 다 감수하겠다고 결정하더라도    반드시  워킹비자문제는  확실하게 하고 오세요..   몇몇 회사들은 비자도 정식으로 진행하지 않고 워킹비자 쿼터도 없으면서,   항공권도 제공하지도 않고 일단 싱가폴에 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 A

    안녕하세요. 비슷한 업종의 외국계로컬회사에서 일하고있습니다. 해체분야는 아니어서 정확한 의견일지는 모르겠지만 . 우선 위에분 말씀처럼 한국계회사라면 그냥 한국회사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주변에 파견나와있는 친구들 보면 현지인 친구도 많이 못사귀고 한국에서처럼 아니 한국에서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현지식 영어를 배운다기보다는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이직을 고려하는 친구들도 결국 또다른 한국회사로 이직을 하는것 같구요. 사실 싱가폴에 어떤 직종으로든 관련 분야로 오셔서 일을 하시다보면 한국에서 보다는 더 많은 기회에 노출은 되겠지만 그동안 지인들의 전례에서보면 그냥 대부분 현재에 만족하며 이직을 타이트하게 진행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사실 로컬회사에 근무를 하면서도 현지인이나 다른 외국인들과 일 외에 관계로 발전하기란 쉽지않구요. 본인이 탁월한 부분이 있다면 짧은 시간안에 유연한 노동시장에서 러브콜을 받을수 있을겁니다. 이미 인지하고 계신데로 건설관련 분야에서 한국회사가 아닌이상 한국인을 뽑을 이유가 없습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공석이 날때마다 함께일할 한국인 채용을 적극 건의하고 있지만 Expected Salary가 높아서 인지 최근에 필리핀, 미얀마, 인도 친구들이 우후죽순 들어왔지만 한국인은 면접조차 안보네요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싱가폴에 오셔서 열심히 기회를 찾으신다면 이직기회는 많으실겁니다. 다만 그사이 본업에서 흥미를 잃어버리신다면 현재의 일마저 위태로워지겠죠. 저역시 한국에서와는 완전히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고, 그동안 받았던 러브콜에서 굳이 억지로 연관있는 공통 키워드를 찾자면 CAD정도 되겠네요. 건설사업 개발은 URA나 HDB같은데 들어가셔야 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회사내에서 새로운 고객시장 개발이나 시스템 개발같은건 가능하지만 전반적인 국가의 마스터 플랜에서의 건설을 말씀드리는겁니다^^ 대형개발투자회사에서 콘도나 쇼핑몰을 짓기는 하지만 거의가 정부주도라^^; 그외 건축이나 사업관리는 노력하시면 별로 어렵지않게 진입이 가능한 시장이지않을까 싶네요.^^ . 대략적으로 몇자 적어봤습니다만 무슨말을 적은건지 모르겠네요^^ 구체적으로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쪽지주시면 아는 범위안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채택답변
  • A

    혹시 도움될까 싶어서 쪽지드렸습니다.     

Q

NO.16

사업/직장취업을 해야할지, 학교를 다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ㅠㅠㅠ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슈정(jkp1489) 2017-02-07
추천수 : 0 조회수 : 3,157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영문학과를 졸업한 26살 여자입니다.  경력이라고는 미국 공항에서 인포데스크에서 인턴한 것과, 약 1년정도 영어 강사일 한 것이 전부입니다. 영어실력은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대화는 하는데, 비즈니스 쪽은 아직 공부가 많이 필요한 정도라고…

  • A

      싱가폴은 외국이니까.. 외국학생들은 실제로 어떻게 잡 구하는지 알려드릴게요.   1. 자신이 관심있어하는 직종(마케팅, 인사 등)에서 인턴을 구합니다 2. 이 인턴 경험을 가지고 레쥬메를 잘 꾸며서 본격 잡 리서치레 들어갑니다.   인턴은 어떻게 구하느냐고 말씀하시면, 학교 때 배운 것들과 연관시켜서/ 혹은 신입다운 '배우고 싶은 의지'와 청령함으로 어필하시면 됩니다.   학교 다시 간다고 해서 취업이 보장되는 건 아닙니다. 학벌보다 실제 경력이 중요한 요즘인 것 같습니다.          

    2
  • A

    지나가다가 몇마디 남겨봅니다. 1. wp가 커리어에 있다면 PR이 무조건 거절된다는 말은 어디서 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 wp로 시작해서 sp도 되었다가 ep도 되었다가 또 wp도 되고 뭐 그렇게 수년을 살다가 PR을 승인 받은 친구들이 주변에 몇 있습니다. PR승인은 급여가 높건 체류기간이 길건 정말 케이스바이 케이스로 승인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2. 가장 확실하게 취업을 하실수있는 방법은 졸업후 인턴 프로그램이 있는 폴리테크닉 과정을 하신후 학교에서 graduation program으로 알선하는 업체에 취업을 하셔서 커리어를 쌓아 나가는 방법이 확률적으로는 가장 높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인턴 급여나 근무조건면에서 학교를 마치시고 그기간을 얼마나 버텨내실수 있을지 우려가 되는 부분이 없진 않네요. 아니면 현시점에 인턴이나 정직원으로 채용이 가능한 일자리를 직접 찾아보시거나 에이전트를 이용하셔서 우선 시작하신후 경력관리를 통해 이직을 하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근무조건이 좋지는 않지만 현재 경력조건에서 해볼만한 곳으로 창이공항 터미널4 오픈을 앞두고 면세점이나 관련 이용객 대응 업무로 다양한 잡오퍼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쉽게 찾아보실수 있습니다. 혹은 물류나 고객관리 쪽으로 다양한 분야의 잡오퍼가 있으니 흥미가 있으신 분야로 에이전트를 통하든 직접 컨택을 하시든 진행을 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3. 전공이나 향후 취업진로를 IT업계쪽으로 생각하고 계신데 현시점에서 얼마나 해당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선택하신것인지 염려가 되네요. 아이 낳고 늦게 시작해서 프리렌스로 일정이상의 소득을 올리시는 분들을 몇분 봤지만 어느정도 흥미가 있던 분들이었고 재능을 만들어 내신 분들이신것 같습니다 수학적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한 쉽지는 않은 분야이니 진로를 잘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미국 항공사 인턴은 어떻게 가게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실적으로 싱가폴 고용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현지의 주소나 연락처가 없는 지원자에게 인터뷰 기회를 주는것은 상당한 모험입니다. 가급적이면 현지에 오프라인 채널을 만드셔서 연락이라도 대신 받아주거나 로컬 연락망을 이력서에 업데이트 하시는게 조금은 확률이 높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예전처럼 해외에서 대학을 마쳤더라도 구직비자를 얻어 일정기간 체류하면서 지원을 하시는게 좋지만 요즘은 제도가 없어져 관광비자로 오셔서 구직활동을 하시거나 에이전트를 통해서 오시거나 재직상태에서 이직이나 전직을 하시는 케이스가 일반적인것 같습니다. 다른나라에서 직접지원해서 화상인터뷰를 보고 오시는 분들도 더러 있는것 같구요. 제가 싱가폴에 살면서 느낀 개인적인 생각이니 그냥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고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처음엔 에이전트를 이용해서 와서 짧은 기간에 바로 이직을 했습니다.      

    1
Q

NO.12

사업/직장MNC Relocation Program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Textile2(carlchung2) 2016-11-16
추천수 : 0 조회수 : 2,189

안녕하세요. 곧 호주 회사 HR 과 계약서 작성을 위해서 지금 SALARY PACKAGE 로 협상 중인데. 금주내로 결론을 내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근무할 때 회사와 RELOCATION PACKAGE 와 좀 다른 항목이 있어서요..혹시나 싱가포르로 EP VIS…

  • A

    저도 이번에 Relocation case로 한국에서 이동하는데요.. CPF 연금 지원도 확인해보세요. 싱가포르 기업들은 시민권/PR에게 CPF 연금 보조를 해주게 되어있는데 (우리나라 국민연금 시스템과 동일) 저희 회사는 CPF 가입이 안되는 외국인에게는 연금 보조액을 아예 additional salary로 주더라구요. 대략 1년에 한달 월급정도가 더 들어오는 것 같습니다. 전 한국에서 들어가는 case라.. CPF 지원 @ 싱가포르 = 국민연금/퇴직금 지원 @ 한국..이렇게 생각하면 얼추 맞겠더라구요.      

  • A

    Relocation package는 회사하고 네고하기 나름인것 같습니다.   처음 이사비용 및 정착비용으로 한달치 급여를 대부분 주는것 같고요, 하우징, 교육비(아이가 있으시다면) 및 차량 지원은 대부분 네고하시는 것 같아요.   위에 나열하신것 외에 아이가 있으시다면 교육비 지원을 추가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때 가족은들 홍콩에 거주한다고 하셨던것 같은데, 교육비 지원해달라고 하시고 홍콩비용 청구하는것도 될지 안될지는 몰라도 요청해보시구요... 만약 홍콩에 있어서 지원이 안된다고 하면 그만큼 다른걸로 좀 보조해달라고 해보세요. 윗분이 말씀하신 CPF 보조 명목으로 additional salary를 받거나 하는 방법으로요...   만약 가족들 모두 싱가폴로 올 계획이 있으시다면 USD 2,000로는 집찾기가 많이 타이트하실거에요. 물론 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적어도 싱달러 $3,000-3,500는 생각하셔야 할겁니다.   싱가폴에서는 차값이 비싸서 차량지원은 대부분 안되는걸로 아는데 한번 요청해보시고, 안되면 말씀하신 travel allownace로 택시비 청구하시는것도 방법일것 같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경력이 18년 이상이셨던것 같은데 싱가폴은 매년 salary increase가 크지 않으니 이 부분도 감안하셔서 되도록이면 옮기실때 어느정도 올려서 요청하신 후 네고하시는것도 고려해보세요...            

Q

NO.11

사업/직장개인사업 / 인테리어 하시는분들께 여쭤 봅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단팥빵(opensejin) 2016-10-02
추천수 : 0 조회수 : 3,037

인테리어 하시는 분들께 여쭤보는게 더 맞을것 같은데요.  요즘 인테리어 업체에서 한국제품들 많이 쓰나요? 예를 들면 바닥재라던지 벽지, 페인트, 키친 선반 대리석 등등. 전 사실 싱가폴에서 가장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한게 창문이었거든요. 우리나라는 이중창에 모기장…

  • A

    이런 어려운 질문에 쉽게 답해 줄 수 있는 분이 있을 까요...? ㅋㅋ 인테리어보다는 건축담당자들에게 자문을 구해야 할 질문이네요...현재 콘도 및 빌딩 시공을 하고 있는 국내회사는 대우, 현대, 삼성 정도 입니다..... 아시다시피 국내 기업중엔 KCC 가 싱에 지사가 있지만, 창호 사업은 안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A

    잘은 모르지만, 개인 주택을 제외하고,,, 인테리어 원하는데로 바꾸지 못하는 경우 많아요. 특히 외관에 여향을 주는 창문 같은 경우는 실내쪽만 바꿀수 있다면 모를까 거의 불가능할꺼에요. 아얘 건물 지을때 전 세대에 납품을 하게 되면 모를까,,, 근데 금액때문에 안쓰는게 아닐까요?   벽지는 한국벽지 많이 봤고요. 나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 A

    좋은 사업인것 같네요. 저도 한국처럼 방충망문을 하고 싶은데.....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