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6

생활입국 심사 시 에어비앤비 관련 질문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클로빵(ansaa55) 2017-07-28
추천수 : 0 조회수 : 5,307

안녕하세요! 다음달 중순에 입싱하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아직 취업이 확정되지 않아, 관광비자로 받아서 현지에서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1. 싱가포르 40일 정도 왕복 티켓 구매 위의 경우, 입국 심사시 관광 비자를 받는데 의심받을가요?   2. 싱가포…

  • A

    그 뭐냐.. 답은 간단해요.   일단 왕복비행기 티켓이 있으니 의심받을일은 없구요. 다만 에어비앤비가 불법이니 데충 아무 호텔 적으세요. 물론 에어비앤비를 통해 방을 예약했어도 주소가 있으니, 뭐 상관은 없지만 호텔 적는게 안전빵입니다. 뭐 리츠칼튼 마리나베이 데충 적어요. 영어 못하는척하고 어디서 묵을거냐하면 어.. 어 ... 마리나베이샌즈!..   에어비앤비 그리고 잘 안걸려요. 아는분들 출장으로 싱가폴 오는데도 에어비앤비로 오시는불 종종 봤는걸요.      

  • A

    5월 말에 URA에서 부동산 임대관련 기간을 조율해서 현행 3개월 최소기간으로 정식 부동산 계약이 가능합니다. 다만 부동산 계약 특성상 어느정도 직접 눈으로 보고 계약을 하시는게 좋으니 단기 계약보다는 숙박전용 업소를 이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여전히 에어비앤비같은 일반 주거용 건물의 단기간 공유 서비스는 허락되지않습니다. . 한국 여권소지자는 일반 사회적 목적(구직활동포함)으로 싱가폴에 입국하는 경우 최대 90일의 체류가 가능한 패스가 나오니 크게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잊을만 하면 올라오는 구직활동 관련 질문들에 공통적으로 불법이다 아니다는 이슈가있어서 ICA에 직접 문의를 해본결과 ICA로 부터의 답변을 중요한 부분만 요약하면 . 싱가폴은 잡씨커를 환영합니다. 싱가폴 출입국관리소에서는 진실된(vona-fide) 방문자를 환영합니다. 입국시 요구되는 기본 조건은 6개월 이상 남은 여권, 예정된 출국 날짜의 확정된 교통편, 체류기간에 대한 충분한 비용의 보증금, 명확한 목적지와 체류지, (요건이 된다면) 목적에 맞는 비자의 신청 승인 서류가 있어야합니다. 위 조건을 만족한다면 입국심사대에서 입국에 아무지장이 없도록 명백하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 해줄겁니다 그동안 체류기간이 길게 지내는 외국인이 체류 생활비를 감당하기위해 정식적인 방법이 아닌 경제활동에 쉽게 유혹되어 불법을 저지른 사례가 많고 이는 명백하게 싱가폴 국민과 정당한 비자를 소유한 외국인의 이익을 저해하는 행위입니다. 또한 국제적인 테러위협등 각종 위험 요소로부터 시민권자, 영주권자, 정식 비자를 소유한 외국인 노동자, 투자자를 보호하기위해 정해진 평가방법으로 최소한의 의심스러운 사람은 걸러내야합니다. 따라서 싱가폴을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은 필요하다면 사전에 목적에 맞는 정식 방문비자를 신청하여 입국해야 하여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것은 불법이 아니니 염려하지않으셔도됩니다. . 길거리에서 악기를 다루며 노래를 부르거나 손공예품 같은 걸 팔아 여행 경비를 마련하는 사람도 심사를 하여 비자를 받아야하는 나라입니다. 몇달안되는 짧은 기간이지만 현장에 투입되면서 현지법인에서 비용처리를 해야하는 경우 출장을 오는 사람도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경제활동이 가능한 비자없이 어떤 형태의 경제활동도 자제하시고 싱가폴 구직시장에서 어떤 본인만의 특별한 무기들고 오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먼길을 큰 결심을 하고 오는 만큼 자신의 비전에 맞는 회사와 매칭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자신의 예산안에서 한정된 기간에 원하는 목적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 ICA에 출입국과 관련된 어떤 내용이라도 이메일로도 문의가 가능하니 문의해보시면 비슷한 내용으로 답변을 받으실겁니다 본인이 떳떳하다면 심사관이 어떤 태클을 걸더라도 문제 없이 넘어가실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재 싱가폴에서 허가되지않은 에어비엔비 같은 건 아예 이용하지 않는게 떳떳해지는 첫걸음이 아닐까 싶네요.^^ 긴 인생을 살진 않았지만 그동안 살면서 느낀건 눈앞에 당장 얼마안되는 경제적 이익이나 손해를 줄이기 위해 올바르지않은 첫단추를 시작하면 그게 결코 본인 인생에 큰도움 되지 않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 A

    한달이상 싱에 머물 예정이신데 무턱대고 마리나베이샌즈 같은 고급 호텔에 숙박한다고 하면 바로 바우처 보여달라고 합니다. 바우처 없다고하면 옆에 작은 방으로 데리고 가서 집중 질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난처해질수 있습니다. 처음 몇일은 저렴한 백팩이나 게스트하우스 예약하시고 바우처 프린트해서 오심이 안전할듯 합니다.      

Q

NO.24

기타싱가폴에서 실종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모로모로(moromoro) 2017-06-12
추천수 : 0 조회수 : 4,628

친구가 싱가폴남자과 결혼해서 싱가폴에 살고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락이 된건 5월 21일이구요, 그 친구가 그날 한국에 오고싶다고 저한테 카톡했었어요 그 카톡을 마지막으로.. 아직까지 연락이 안되는데 그 친구 부모님께서도 걱정을 많이 하고 계세요... 제 친구는 싱…

  • A

    싱가폴남자와 결혼해서 싱가폴에 사는데 룸렌트를해서 살고있다는데 싱가폴남자가 맞나요? 싱가폴남자가 고아에 돈이 땡전한푼없어도 집은 있을껀데요 하다못해 길거리에서 휴지팔고 박스줍는 로컬들도 집은 있으니깐요 그리고 결혼하기위해서는 증빙서류등등 많이것들이 존재해야하기때문에 직계가족분들이 원한다면 외교부과 싱가폴대사관쪽에 도움요청하시면 싱가폴정부와 연계해서 일주일안에 찾을껍니다!!        

    1
  • A

    일단 싱가폴 대사관쪽으로 빨리 연락을 하셔서 방법을 찾아보심이...        

  • A

    싱가폴 경찰이나 정부에 문의하는 건 시간 낭비에요. 싱가포리안 실종되도 나몰라라 합니다.  일단 대사관에 요청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 같네요.   여기서 싱가포리안도 결혼 후에 렌트해서 사는 사람 많아요. 일단 집주소랑 실종인 인적사항이랑 해서 대사관에 요청하세요!!      

Q

NO.21

생활한국음식 어떻게 가지고 가나요 ?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dia(dia930429) 2017-04-13
추천수 : 0 조회수 : 2,189

제가 공부때문에 몇달동안 룸렌트해서 머무를 예정인데요 여기서 갈때 한국음식 어떻게 가지고 가나요 ? 보통 라면, 김치 반찬류 이런거 포장에서 캐리어에 넣어서 가져가나요 ? 아니면 싱가포르에 한국음식 파는데 있나요 ? 학생신분이라 매일 사먹는건 부담이 되어서 .. 집에서…

  • A

    한인마트도 다 있으니까 식품류는 너무 많이 가져올 필요가 없읍니다. 지리 익혀서 장보기가 될 때까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적당량만 가져오시면 됩니다. 그보다는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약품, 로션 등을 챙기셔요.      

  • A

    반찬가게나 마트가셔서 항공포장해달라하면 해주니   무게 감안해서 가지구오셔도 되세요   싱가폴두 한국반찬가게가 있긴한데   아무래도 한국보다 1.5배이상 비싸고 맛도 그닥...          

  • A

    얼마전에 입싱하면서 어마무시하게 라면 등등을 사가지고 왔는데 여기 다 파네요..가격이 한국에 비교해서 살짝 비싸긴하지만 가장 큰문제가 라면 등등은 유효기간이 그렇게 길지는 않더라구요..집에서 어머니가 해주시는 반찬을 싸오시는게 아니라면 현지구매가 나을듯 싶네요 아 물론 한두달은 지리 익히느라 힘들테니 그정도 먹을것 만 챙겨오심 될듯 싶습니다.. 가장 추천하는건 요즘 비비고 간편 국들은 참 유용하더라구요      

Q

NO.15

부동산싱가폴 하우스 개념에 대해서.. 궁금해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완료
홍콩에서왔슴다(beyondgood) 2016-05-26
추천수 : 0 조회수 : 5,191

방을 알아보다 보니.. 룸렌트라는 개념이 있던데 이런건 쉐어하우스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되나요? 방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가요? 이를테면 주방과 거실 욕실 등을 공유하는 개념으로 봐야하는건지..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에서 원룸으로 보여지는거 같은데…

  • A

    말씀하신대로... 우선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의 원룸과 비슷합니다만 가격은... 비교가 안되지요...;; 장점이라면, 요리를 하던, 친구를 불러오던 편한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될것이구요. 룸렌트라는 개념은 이해하고계신 개념이 우선은 맞습니다. 이곳 한국촌을 통해서 룸을 렌트하시게 되는 경우... 대부분이 한국분이 로컬분의 집을 홀렌트 한 후에, 그 집의 방을 다시 서브렌트 하는 개념이지요. 이런경우, 사용하시게 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욕실을 혼자 사용할 수 있다라던가, 다른 방의 다른 분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던가.... 주방은 사용할 수 없다라던가, 깨끗이 정리만 하면 괜찮다라던가... 가족처럼 친하게 지내는 분위기라면 거실 사용이 가능하다라던가... 하는 설명이 있을겁니다. 설명이 없다면 물어보시고 확인하시는게 좋구요. 혹 로컬분 집에 방을 구하시게 되면 간혹 조금 더 제제가 심한 경우(요리불가, 세탁기 사용 횟수 제한 등등)가 있습니다.      

    1
  • A

    예전에 방구하면서 느낀건데 스튜디오는 한국 오피스텔이랑 비슷한 개념인것 같구요. 원룸이랑은 조금 다른 개념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출입문을 나눠서 각방마다 화장실을 넣어서 독립된 1BED룸 유닛으로 렌트를 하는 경우도 봤구요.(이게 좀 더 원룸스럽습니다.) 홀유닛을 거실과 부엌을 공유해서 룸렌트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장실이 딸려있는 마스터룸은 일반 룸보다 조금 비싸구요. 입지는 MRT랑 바로 연결된 INTEGRATED RESIDENCE가 아니면 교통은 차가있지 않는한 콘도나 HDB나 도찐개찐인것 같습니다. (도심지는 제외구요.)  콘도는 셔틀을 운행하니 조금 낫겠네요.   HDB중에 DBSS라고 발코니가 있고 약간 창문이 큰 현대식으로 지어진게 있는데 한국 정서에 조금 더 맞구요. EXECUTIVE CONDO라고 일정기간후에 외국인에게도 팔수있는 조금 모자란 콘도가 있는데 조금더 한국 정서에 맞는 것 같습니다.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콘도를 선호하시는 분이 대부분일텐데요.   HDB 유닛도 근처에 공원도 많고 수영장도 많아서 생활비 돈아끼시려면 HDB가 정답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고려하신다면 주변 환경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층에 코피티암을 끼고있는 유닛 근처에 하면 10시까지 시끄럽고 1층 상가 단지를 끼고 있는 지역에 렌트를 하시게 되면 주말에 정말 시끄러워서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혹시 타국적자와 쉐어를 하시게 된다면 컬쳐 쇼크도 주의하시구요.^^ 마음에 드는 방을 찾다가 보시면 가격이 자꾸 안드로메다로 가게 되는데 마음에 드는 방을 찾기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방의 구조나 편의시설 보다는 쉐어를 하게 되신다면 같이 지낼 사람들의 직업이나 분위기를 잘 파악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네요^^      

    2 채택답변
Q

NO.14

부동산룸렌트 보증금 돌려받는 법 문의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emma33(emma33) 2016-05-18
추천수 : 0 조회수 : 2,842

안녕하세요 어제 밤에 글 썼다가 다시 작성합니다.   룸렌트를 하려고 지난 16일에 보증금을 냈는데 사정이 생겨서 보증금을 돌려 받으려고 합니다.  계약서는 이번주 금요일에 쓰기로 했구요. 입주 예정일은 6월 8일 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계약 파기에 해…

  • A

    구두 계약상으로 보증금이 이미 건내진 상태라면 계약서을 쓰는 것만 남았더라도 이미 계약이 이루어 진것으로  간주됩니다. 보통 부동산에 가서 월세집 구할때 중개사님들이 '이거 금방 나가니까 맘에 들면 계약금 10%라도 송금해라. 일단 잡아라' 일단 넘어간 돈도 계약이 이미 시작 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돈을 주기 전에 신중하시고 가장 안전한 방법은 돈을 미리 내는 것보다 계약서 쓸 때 필요한 돈을 건내시는 것입니다. 싱가포리언 집주인이라면 가능성이 더 희박하고, 한국인 집주인이라면 잘 말씀해보세요. (돌려받는 법) 아직 48시간이 채 안지났으니 납득할 만한 이유로 감정적으로 서로 상하지 않게요. 또 계약서상에 보증금 반환에 대해서 어떻게 명기되어 있는지 꼼꼼히 읽어보세요. 저도 룸렌트를 하고 있지만 제 경우라면 보증금을 안돌려주기는 어려울거 같네요 ^^ (불편불편~%%%) 만일 일부 반환 (최대한 많이 돌려 받으시고 )이거나 안돌려 준다고 하면 (그 집에 안들어간걸 다행으로..나중에 여러 명목으로 보증금을 못받을 확률과 사는동안 맘고생도 예상됨) 학생분이시거나 사회경험이 많이 없으신 분들이 이 글을 보신다면 계약-돈을 건내는 것 에 대해서 신중함을 구하시고 집을 알아보실때 충동적으로 결정후에 결정을 번복하시는 일을 안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소액재판으로 받으신 분들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주심 좋겠네요~      

    1 채택답변
  • A

    계약서를 가지고 인근 경찰서에 가셔서 물어보세요. 친절하게 어느정도는 가르쳐 줄겁니다. 더 자세한건 로컬 변호사를 만나보는것도 방법이지만 컨설팅 하는것도 돈이 들어서요.ㅠㅠ 윗분 말처럼 많이 생각하시고 무슨일이든 특히 싸인을 요구하는 일에는 신중히 행동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중국문화는 돈 일불에 목숨거는 문화 같아요.     

    1
  • A

    계약서를 안썼다면 100프로 돌려 받을 수 있어요! 사인을 하고 보증금을 줬다면, 못돌려받을 수도 있지만, 계약을 아직 안했고, 사인하지 않았다면 100프로 받을 수 있어요. 집주인이 안준다고 했는데, 저도 같은 이유로 다 알아봤더니 100000000프로 받을 수 있다고 해서, 회사 오너까지 찾아가서 100프로 받아냈어요!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