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1

부동산한국 부동산 구매시 대출 받는 경우 - 소득 증명을 어…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lakeshorer(gobchang) 2016-09-02
추천수 : 0 조회수 : 1,941

안녕하세요?   최근에 한국에 부동산을 구매를 해서 은행 대출을 받으려고 하는데요.   소득 증명을 해야 하는데, 은행에서는 싱가폴 대사관의 공증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데, 대사관 사이트를 가보니 해당 양식이 없더라구요.   혹시 한국에서 은행 대출을 받아 보…

  • A

    아래처럼 나와 있는데 저도 궁금하네요. https://www.mfa.gov.sg/content/mfa/overseasmission/seoul/consular_services/notarial_services.html For documents executed in Singapore and for use in proceedings in Korea, please see below procedure. Legalisation of Singapore Government Documents (eg. Registry of Marriage Certificates, Birth Certificates and Educational Certificates from local government schools)   Bring the documents issued by the Singapore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ir original text t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FA) for legalisation. However, computer generated documents eg. Registrar of Marriage Search, Certificate of Making Decree Nisi Absolute, Adoption Petition, Business Profile from ACRA etc, must be certified by the issuing department first before presenting to MFA for legalisation. For legalisation of true copies, please present the photocopy together with the original document for verification; After the legalisation by MFA, the documents should then be brought to the Korean Embassy in Singapore for authentication.      

Q

NO.10

부동산싱가폴 하우스 개념에 대해서.. 궁금해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완료
홍콩에서왔슴다(beyondgood) 2016-05-26
추천수 : 0 조회수 : 5,187

방을 알아보다 보니.. 룸렌트라는 개념이 있던데 이런건 쉐어하우스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되나요? 방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가요? 이를테면 주방과 거실 욕실 등을 공유하는 개념으로 봐야하는건지..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에서 원룸으로 보여지는거 같은데…

  • A

    말씀하신대로... 우선 스튜디오 개념은 한국의 원룸과 비슷합니다만 가격은... 비교가 안되지요...;; 장점이라면, 요리를 하던, 친구를 불러오던 편한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될것이구요. 룸렌트라는 개념은 이해하고계신 개념이 우선은 맞습니다. 이곳 한국촌을 통해서 룸을 렌트하시게 되는 경우... 대부분이 한국분이 로컬분의 집을 홀렌트 한 후에, 그 집의 방을 다시 서브렌트 하는 개념이지요. 이런경우, 사용하시게 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욕실을 혼자 사용할 수 있다라던가, 다른 방의 다른 분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던가.... 주방은 사용할 수 없다라던가, 깨끗이 정리만 하면 괜찮다라던가... 가족처럼 친하게 지내는 분위기라면 거실 사용이 가능하다라던가... 하는 설명이 있을겁니다. 설명이 없다면 물어보시고 확인하시는게 좋구요. 혹 로컬분 집에 방을 구하시게 되면 간혹 조금 더 제제가 심한 경우(요리불가, 세탁기 사용 횟수 제한 등등)가 있습니다.      

    1
  • A

    예전에 방구하면서 느낀건데 스튜디오는 한국 오피스텔이랑 비슷한 개념인것 같구요. 원룸이랑은 조금 다른 개념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출입문을 나눠서 각방마다 화장실을 넣어서 독립된 1BED룸 유닛으로 렌트를 하는 경우도 봤구요.(이게 좀 더 원룸스럽습니다.) 홀유닛을 거실과 부엌을 공유해서 룸렌트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장실이 딸려있는 마스터룸은 일반 룸보다 조금 비싸구요. 입지는 MRT랑 바로 연결된 INTEGRATED RESIDENCE가 아니면 교통은 차가있지 않는한 콘도나 HDB나 도찐개찐인것 같습니다. (도심지는 제외구요.)  콘도는 셔틀을 운행하니 조금 낫겠네요.   HDB중에 DBSS라고 발코니가 있고 약간 창문이 큰 현대식으로 지어진게 있는데 한국 정서에 조금 더 맞구요. EXECUTIVE CONDO라고 일정기간후에 외국인에게도 팔수있는 조금 모자란 콘도가 있는데 조금더 한국 정서에 맞는 것 같습니다.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콘도를 선호하시는 분이 대부분일텐데요.   HDB 유닛도 근처에 공원도 많고 수영장도 많아서 생활비 돈아끼시려면 HDB가 정답인것 같습니다.^^ HDB 유닛을 고려하신다면 주변 환경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층에 코피티암을 끼고있는 유닛 근처에 하면 10시까지 시끄럽고 1층 상가 단지를 끼고 있는 지역에 렌트를 하시게 되면 주말에 정말 시끄러워서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혹시 타국적자와 쉐어를 하시게 된다면 컬쳐 쇼크도 주의하시구요.^^ 마음에 드는 방을 찾다가 보시면 가격이 자꾸 안드로메다로 가게 되는데 마음에 드는 방을 찾기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방의 구조나 편의시설 보다는 쉐어를 하게 되신다면 같이 지낼 사람들의 직업이나 분위기를 잘 파악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네요^^      

    2 채택답변
Q

NO.9

부동산룸렌트 보증금 돌려받는 법 문의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emma33(emma33) 2016-05-18
추천수 : 0 조회수 : 2,842

안녕하세요 어제 밤에 글 썼다가 다시 작성합니다.   룸렌트를 하려고 지난 16일에 보증금을 냈는데 사정이 생겨서 보증금을 돌려 받으려고 합니다.  계약서는 이번주 금요일에 쓰기로 했구요. 입주 예정일은 6월 8일 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계약 파기에 해…

  • A

    구두 계약상으로 보증금이 이미 건내진 상태라면 계약서을 쓰는 것만 남았더라도 이미 계약이 이루어 진것으로  간주됩니다. 보통 부동산에 가서 월세집 구할때 중개사님들이 '이거 금방 나가니까 맘에 들면 계약금 10%라도 송금해라. 일단 잡아라' 일단 넘어간 돈도 계약이 이미 시작 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돈을 주기 전에 신중하시고 가장 안전한 방법은 돈을 미리 내는 것보다 계약서 쓸 때 필요한 돈을 건내시는 것입니다. 싱가포리언 집주인이라면 가능성이 더 희박하고, 한국인 집주인이라면 잘 말씀해보세요. (돌려받는 법) 아직 48시간이 채 안지났으니 납득할 만한 이유로 감정적으로 서로 상하지 않게요. 또 계약서상에 보증금 반환에 대해서 어떻게 명기되어 있는지 꼼꼼히 읽어보세요. 저도 룸렌트를 하고 있지만 제 경우라면 보증금을 안돌려주기는 어려울거 같네요 ^^ (불편불편~%%%) 만일 일부 반환 (최대한 많이 돌려 받으시고 )이거나 안돌려 준다고 하면 (그 집에 안들어간걸 다행으로..나중에 여러 명목으로 보증금을 못받을 확률과 사는동안 맘고생도 예상됨) 학생분이시거나 사회경험이 많이 없으신 분들이 이 글을 보신다면 계약-돈을 건내는 것 에 대해서 신중함을 구하시고 집을 알아보실때 충동적으로 결정후에 결정을 번복하시는 일을 안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소액재판으로 받으신 분들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주심 좋겠네요~      

    1 채택답변
  • A

    계약서를 가지고 인근 경찰서에 가셔서 물어보세요. 친절하게 어느정도는 가르쳐 줄겁니다. 더 자세한건 로컬 변호사를 만나보는것도 방법이지만 컨설팅 하는것도 돈이 들어서요.ㅠㅠ 윗분 말처럼 많이 생각하시고 무슨일이든 특히 싸인을 요구하는 일에는 신중히 행동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중국문화는 돈 일불에 목숨거는 문화 같아요.     

    1
  • A

    계약서를 안썼다면 100프로 돌려 받을 수 있어요! 사인을 하고 보증금을 줬다면, 못돌려받을 수도 있지만, 계약을 아직 안했고, 사인하지 않았다면 100프로 받을 수 있어요. 집주인이 안준다고 했는데, 저도 같은 이유로 다 알아봤더니 100000000프로 받을 수 있다고 해서, 회사 오너까지 찾아가서 100프로 받아냈어요!       

    1
Q

NO.8

부동산집주인 우편함 공유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sunny~(sunokpa) 2016-04-13
추천수 : 0 조회수 : 2,950

안녕하세요 지난달 말쯤에 입싱을 시작해서 ~ 지난주에 겨우 집 계약을 맞춰서 무사히 안착했네요~   부동산은 어찌어찌 새콘도 저렴하게 한거 같긴 한데... 에이전시가 집주인쪽이라서 좀 우여곡절이 있긴했지만, 커미션도 안내도 되공 금액적인 부분은 절약이 된거 같…

  • A

    그런데 집 주인 사는 곳이랑 연락처를 저희가 알 필요가 있나요? 저도 처음에 집 주인 어디 사는지 물어보긴 했었는데, 살고 보면서 딱히 집 주인이 어디 사는지는가 제가 렌트한 집에 사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더군요. 그리고 주인이랑 직접 계약하신 것도 아니고 집주인 에이전트와 협의 후에 계약한시건데 집 주인이 왜 필요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집에 문제 생겨서 집 주인에게 문의가 필요한 경우 에이전트에게 연락을 하면 됩니다. 그럼 에이전트가 중간에 집 주인에게 물어보고 답변해 주는 식으로 중간 창구 역할을 해줍니다. 집 주인들의 경우 직접 관리하기 힘드니 에이전트 두는 것이구요. 혹시라도 님께서 집 주인 에이전트랑 대화가 잘 안되시면 tenant 쪽에도 에이전트 지정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집 주인 agent랑 본인 agent랑 협의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저희가 외국인 들이다 보니 이 국가 시스템을 다 아는 것도 아닌지라 agent끼리 상의하는게 편한 부분도 있습니다. 단, agent 비용을 내야한다는 최고 단점이 있긴합니다. 마지막으로 저희도 우편함 공유하긴 합니다. 다만, 집 주인이 매일와서 가져가는 것은 아니고, 보통 1년에 한 번 정도 가져가고 그나마도 안 가져 가서 우편함이 좀 찼다면 agent한테 연락하세요. 그러면 agent가 가져가서 집주인에게 전달해 줍니다.      

    1
  • A

    계약서에는 보통 집주인과 계약자의 풀 네임과 신분증 번호를 모두 쓰게 되어 있습니다. 에이전트가 대리해서 집주인을 직접 못 보는 경우에도 사인은 받아 옵니다. (에이전트를 통해 연락하므로 주소나 연락처는 보통 주지 않습니다) 우편함의 공유는 일반적인 경우가 아닙니다. 실거주자가 아닌데 주소지만 그곳으로 되어 있다는 뜻이니까요. 세입자의 양해가 필요한 부분이지 일방적으로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또 전기,수도세 등이 아닌 일반 관리비는 집주인이 내게 되어 있습니다. 관리비를 세입자가 내는 경우는 없습니다.      

    1
  • A

    보통 싱가폴에서는 집주인과 직접 연락하지 않고 에이젼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세입자가 집주인의 연락처를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계약서상에 집주인의 집주소만 나와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우편함 공유는 제 생각에는 실질적 공유라기 보다는 이쪽 집으로 집주인의 우편물이 들어올 수 있으니 (예를 들어 집대출 관련이라던가 입주민 회의 내용 등)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 확인하겠다는 의미일것 같습니다. 집을 렌트하실때 집주인 에이젼만 끼고 하셨다고 하시는데 아무래도 그런 경우에 에이젼은 집주인의 입장을 더 고려합니다. 돈을 아끼신 만큼 좀 고충이 있는 부분입니다.      

Q

NO.6

부동산입주3일만에 집에서 나가라고 하는데....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진행중
북쪽마녀(northwitch) 2016-03-14
추천수 : 0 조회수 : 3,462

싱가폴 들어온지 3일됩니다. 한국에서 한국촌 통해서 집을 알아보고 계약금 내고 들어와서 3일 되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아는 동생이랑 함께 살고싶다며 집을 나가라고 합니다. 계약서를 쓴것도 아니어서 이대로 그냥 쫒겨 나는 수 밖에 없는건가요? 보상 받을 길은 없나요?…

  • A

    계약금을 내셨고 정황상 계약은 유효하지만,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common law 를 적용해서 보상받으실 수 있는 길은 있으나, 영어로 케이스를 해당 기관에 접수하셔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냥 데포짓 받으시고 나오시고, 주인에게 집 구할때까지, 최대 일주일 정도는 무료로 내고 있게 해달라고, 잘 얘기를 해보심 좀 억울함이 좀 덜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1
  • A

    이건 무슨 경우없는.. 한국촌을 통했으면 한국집일텐데 참... 계약서가 없으니 할말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다른집 찾을 시간은 주는게 보통일텐데요.. 계약금은 다시 준다고합니까 ? 집값은 다시 준답니까 ?        

    1
  • A

    이래서 한국촌 통해서 구하지 말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 같아요. 한국 사람들이 더했음 더했지 덜하진 않다고 하더라고요. 글구 담부터 계약서는 반드시 쓰세요 항상 모든 계약은 기록을 남겨놔야 한답니다.          

    1
Q

NO.5

부동산4~5월 중 입싱예정인데 도움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히딩ㅋ(tkddnr1715) 2016-03-06
추천수 : 0 조회수 : 5,499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취업으로 2개월 안에 입싱할 예정인데 아직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아 조언구하고자 합니다. 입싱하면 와이프와 17개월된 아기와 함께해야할 것 같은데 어떤 말씀이라도 좋으니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Housing 회사가 Admiralty …

  • A

    입싱 축하합니다.나름 규모있게 잘 짜신것같은데요.ㅎㅎ...하지만 생활비가 1200불에 조금 적을듯한데요.저희집 기준에서....생각보다 식비가 많이들거든요.가끔 외식도 할테고 한식으로 잘 챙겨드셔야할텐데(적응기간동안이라도)생활비를 조금 더 잡으시고 초기정착비용도 심심찮게 들어갈것 감안하셔서 조금 여유있게 잡아보시길 추천합니다.아기 어린이집은 일단 오후반 한텀 보내보시고 종일반으로 고려를 추천요.아기가 젤 힘들것같네요.ㅜㅜ낯선환경에서 그 나이에는 쉽게 아프고할텐데 종일반은 차츰 바꿔보세요. 잘 지내세요!      

    1
  • A

    1. 제가 요새 유용하게 사용중인 콘도검색사이트 추천드립니다. keylocation.sg , 실거래가 기준으로 검색되고 지도에 쫘악 정렬되기때문에 원하는 조건의 콘도를 쉽게 찾으실 수 있어욤! (실제 매물이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2. 급여는 그냥 연봉/12 로 나오는데, 13나누신다면 1년에 한번 1개월치 보너스가 있으신가보네요, 아무튼 1년에 한번내는 소득세 외에 따로 공제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3. 생활비가 빡빡해보이지만 요부분은 그야말로 케바케라서...         

    1
  • A

    지나가다 좀 현실적인 글을 남기고 싶어 답글을 적습니다. 우선 요즘 시세는 2200 정도면 북쪽에 방두개짜리 콘도는 쉽게 얻으실수 있을거라 생각 됩니다. 싱가포르에 소득세가 한국에 비해서 낮은 수준은 맞지만 아주 저렴한건 아닙니다. 총 수입에 4만불 까지는 일괄적으로 550불이 세금으로 차지가 되고 그 이후부터는 7%로 세금이 붙습니다. 그래서 연봉이 10만 불이라면 4만불에 대한 세금 550불에 나머지 6만불에 세금 4700불 해서 총 5250불이 그 다음해에 청구가 되겠네요. 싱가포르가 경기가 좋거나 하면 가끔 세금 할인 도 하곤 하는데 그건 그때 그때 마다 다르니 염두해 두실 필요는 없을것 같네요. 어쨌든 님의 연봉이 상여금 포함 안한 금액에 13번째 월급 포함한 금액이 10만불 이라면 월 7693불 정도가 통장에 그대로 찍힐겁니다. 그리고 님에 회사 기준에 마지막달 에 한달치 월급이 저 액수만큼 더 나올 것이고요. 한국에서의 소득 수준과 생화 수준이 어떠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님께서 한국에서 지내셨던 동일한 퀄리티로 물가를 비교했을시 싱가포르가 훨씬 비쌉니다. 생활비를 좀 올리셔야 할것 같네요.. 그리고 님은 직장 생활 하시는데 용돈이 필요 없으신가 봐요.. 오시면 생각보다 돈때문에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나가는 액수는 작은거 같은데 한국돈 총액을 계산해 보면 돈을 미친듯 쓴거 같은 느낌이 들게 되거든요...                    

    2 채택답변
Q

NO.4

부동산집주인과의 분쟁..스몰코트 진행 문의..도와주세요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진행중
bobos!(ama7088) 2015-06-25
추천수 : 0 조회수 : 4,766

안녕하세요 현재 콘도 렌탈로 살고 있는데요. 집주인이 올해 초에 집을 팔려고 한다고 집을 보여주라는 메일이 왔습니다. 그 이후로 에이젼시를 통해서 집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아이 둘이 있고 둘째는 6개월 아기인 저희 집의 사정을  고려하지않고 당일날 전화해서 몇시에 …

  • A

    속상하시겠습니다. 사전에 약속하고 오는게 정상이고, 된통 걸리셧네요. 근데 지금 참고 있는다고 해서, 나중에 디파짓 돌려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단 스몰코트도 당사자가 가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변호사가 아니어서 확실치는 않습니다) 여기 안계시면서 소송 진행할려면  변호사 선임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으실 겁니다. 저는 주인이 그렇게까지 막무가내는 아닌데도, 집이 원체 낡은 것을 저한테 자꾸 떠 넘기는 경향이 농후해서, (한 10년도 더 된 수도꼭지가 낡아서 고장이 났는데, 교체비용 220불중 계약에 따라 150불을  저보고 부담하라고...헐, 저는 1년 5개월 살았는데. ㅠㅠ, 주인은 달랑 70불 내고 브랜드 뉴 수도꼭지 얻었어요.... 완전  "헌집줄께 새집 다오" 놀부 심뽀입니다. ) 계약이후에도  한 3개월 싱가포르에 더 있어야 되서 연장을 할수도 있으나, 디파짓 못 받을 경우 대비해서, 그냥 집뺄려고 합니다. 정말 돈도 돈이지만 너무 분해서요. 다들 왜 그러는지, 좀 배려하고 사면 될테인데 말이죠....      

    2
  • A

    먼저 변호사를 구하시고 지금 애기를 다하시다음 조언을 받으시고시고 모든사항에 다기록하고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내용을 적어 변호사레터를 보내세요. 나중에 법적효력이 있습니다..아마도 변호사 돈이 들어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모르지만 확실한 효과가 있어요 ..     

    1
  • A

    제경험은 아주 쉬웠읍니다. 변호사를 선임하면 많은 돈이 드는데 직접 가시면 영어를 몰라 써 달라고 하면 써주기도 하구요. 싱가폴사람들은 법쪽에서 호출하면 아주 겁이 많아서 금방 돈을 줄것 입니다.   오래걸리지 않으니 미리 신청하셔도 될것 같읍니다. 신청해 놓고 신청한 사실로 엄포(ㅎㅎ)를 한번 해 보시지요.   돈이 아주 안드니까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