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51

생활싱가포르에서 한국 신용카드 쓰는 거 어떤가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완료
오세용(hopelyh) 2017-05-28
추천수 : 0 조회수 : 5,786

한국에서 송금 받는 문제 때문에 고민을 하는 중입니다. 먼저 시티은행 국제 카드 만들려고 했는데, 한 번 사용할 때마다 천 원의 수수료가 있네요. (친구는 비바 카드 추천해주던데..) 그런데 보니까, 신용카드는 그런 수수료가 그리 많지 않은 거 같아요.   그…

  • A

    송금이든 신용카드든 모두 수수료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단 송금은 1회당 1000~30000원의 해외송금수수료+환전수수료, 환율에따른 환차 카드는 결제시마다 결제금액의 0.5~2%정도의 해외사용수수료, 결제시 통화 기준 설정에따른 환전수수료 부과될수 있구요, 환율에 따른 환차(상품금액 결재 시점과 카드대금 결재 시점의 차이)가 발생하니 참고하세요. 은행 및 카드사마다 또 예금상품이나 카드에 따라 수수료율이 다르고 적용되는 우대 조건도 다르니 금융상품 설명을 잘 참고하세요. 그리고 한국의 외환 관리 규정이 까다로워 주기적으로 많은 금액을 해외로 송금하시는경우 자금의 출처나 용도 등을 묻는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 A

    신한은행 글로벌 멀티카드 추천합니다. 그냥 한국에서 부모님이든 누구든 충전해주면 현지에서 현지 통화로 수수료 없이 사용가능하고 출금시에만 4불인가 수수료 있구요. 딴거랑 이것저것 비교해봤는데 이게 제일 낫더라구요. 씨티도 가만보면 수수료가 적다고는 하는데 환율이 꽝이구요..여튼 참고하세요      

    채택답변
  • A

    싱가포르에 소득이 있는 경우면 당연히 로컬 카드(debit 이든 credit 이든)를 사용하시는 게 낫겠지만, 그럴 여건이 안되는 경우 신한 더 클래식 Y카드 추천 드립니다. 해외결제시 추가 적립 포인트가 있어서 사용 금액의 5% 정도의 마일리지가 생기구요. 5% 라고 해 봐야 해외결제 브랜드 수수료(1~1.5%), 해외신판 수수료(신한카드가 아마 0.2%), 환차손(1~2%) 고려하면 손해는 안 볼 정도겠죠. - 단, 월 사용액에 따라 적립율이 다르고, 적립 최대 금액은 월5만원입니다.(즉, 100만원을 초과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의미가 없음) 대부분의 해외결제시 추가 적립이 되는 카드는 상기와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월 적립은 얼마까지라던지, 아니면 적립은 무제한 되지만 적립율을 해외결제 브랜드 수수료, 해외신판 수수료 등이랑 고려하면 실익이 별로 없달지(월 몇 백만원씩 긁으면 이런게 더 낫습니다), 한 달 얼마 이상 사용시 혜택이 발생한달지. 심지어는 해외브랜드수수료 면제인 카드도 있지만, 적립율이 낮아서 이것저것 계산해 보면 손해인 경우도 있으니, 여러 사람이 추천하는 카드마다 계산해 보고 소비 패턴에 따라 고려하시면 될 것 같네요. 아마 여러 카드를 조합해서 써야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항공사 제휴카드는 2016년 말 기준, 여행객이면 모를까 어떤 카드를 써도 적립 마일당 금액으로 계산하면 해외결제시 2x or 1.5x 을 주더라도 손해입니다. 복잡하면 그냥 환율 쌀 때 송금 많이 받아서 현금 쓰는게 편합니다.      

Q

NO.348

생활한국에서산 휴대폰수리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완료
큰곰탱이(woghd1000) 2017-05-20
추천수 : 0 조회수 : 1,578

제핸드폰이 삼성 겔럭시 s7인데요 고장이나서 수리하려고 삼성서비스센터에갔더니 부품이없어 수리를못한다하더군요 혹시 수리할 곳이나 방법아시는분 답변부탁드립니다 ㅠ     

  • A

    한국 내수시장 전용모델인가봅니다. 부품이 좀 달라서 그런것이니 싱가폴 삼성서비스 센터를 통해 한국에서 부품주문을 요청하시거나 한국에서 같은 통신사의 같은 중고기계를 구입하셔서 심을 갈아끼우시거나 파일 백업이 필요하시다면 직접 부품 모듈을 갈아끼우셔시면 됩니다. 커넥터 핀형태로 되어있어서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본체를 분리후 쉽게 갈아끼우실수 있습니다     

    2
  • A

    사설업체 가세요 리틀인디아 simlim 스퀘어는 절대 가지마시구요 한국의 용산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사기꾼천지고 처음 말했던수리비에서 찾을때는 전혀 딴소리해요 부기스에 리페어폰이라고 카플란 건너편건물 cometax인가? 그옆건물이 맞는지 정확하진 않은데 거기서 두번정도 수리받은적있어요 확실히 싱가폴중거기만한데는 없는거 같아요 수리도 직접 자기네 기사 쓰고 외주주고 그러지 않아요 수리할때 앞에 앉아서 구경해도 되구요 가격도 다른데보다 저렴한지는 모르겠지만 수리한다하면 처음 25불인가 무조건내야해요 그후에 수리비 얼마정도 나온다 어디가 이상있다 라고 문자보내준 후 컨펌하면 그때수리해줘요            

    1 채택답변
Q

NO.339

생활중국비자 발급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moom(mijc) 2017-04-27
추천수 : 0 조회수 : 2,314

중국비자발급관련 문의 드립니다.   5년이상 계속 매년마다 중국비자(복수비자 / 1년 / 90일체류)를 한국에서 발급 받아서 출장및 여행을 다녔습니다. 5월에 만기가 되어서 다시 1년 복수비자를 싱가포르(회사)에서 발급 받으려고 합니다. 필요한 서류가 어떻게 되…

  • A

    한국은 각종 여행사에서 비자 대행을 많이 해 주는 반면 싱가폴에서는 본인이 직접 차이니즈 비자 발급 센터에 서류들을 들고 가서 신청을 직접 해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 구비 서류와 시간이 아주 친절하게 나와있습니다.  https://www.visaforchina.org/SGP_EN/      

  • A

    직접 신청을 하거나 차이나타운에 있는 많은 여행사에서 대행을 해줍니다. 저는 줄서고 서류 준비하고 그러는게 귀찮아서 여행사에서 대행을 신청하였습니다. 여행사에서 신청 시 단기비자의 경우 지난해부터 법이 바뀌어 호텔바우처를 소지해야한다고 합니다. 저는 저희 부모님하고 처가가 모두 중국에 있어 호텔이 없다고 하니 여행사에서 알아서 해주더군요. 근데 저 호텔바우처 없으면 안해준다는 여행사도 많았습니다. 복수 비자의 경우 요청서류에 추천서 (회사 또는 부모 등등)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것 또한 그냥 귀찮아서 단기비자로 신청을 했었습니다. 1년에 가봐야 한번이고 많아야 2번이니..... 한번 편하신대로 경험삼아 직접 알아보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1
Q

NO.332

생활부모님의 싱가폴 이민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bellami(umil1) 2017-04-09
추천수 : 0 조회수 : 3,746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 생활 4년차 직장인입니다. 몇주전에 부모님께서 일주일간 싱가폴에 오셨었는데 그 이후로 싱가폴이 너무 좋으셨는지 한국에서 하시는 일 정리하시고 싱가폴에서 살고싶다고 하세요. 저는 지금 워크퍼밋으로 거주하고있는 상태고, 만약 부모님이 이민을 생각하신…

  • A

    ICA에서 정한 영주권자 신청자격입니다.  부모님께서 신청하실려면 자녀가 시민권자이거나 아니면 투자이민밖엔 자격이 안되겠네요.  투자자격은 사이트에 소개가 안되어 있어 않아 직접 연락해보셔야 할듯.. 다른 동남아 나라처럼 따로 은퇴비자 같은건 없어요. Eligibility The following categories of foreigners are eligible to apply for permanent residence: (a) Spouse and unmarried children (below 21 years old) of a Singapore Citizen        (SC)/ SingaporePermanent Resident (SPR) (b) Aged Parents of a SC (c) Employment Pass/ S Pass holders  (d) Investors  롱텀패스는 직접 ICA site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제가 저희 엄마때문에 알아본적이 있는데 자격요건은 본인이 싱글인 ep 소지자이면 방법이 없어 보이네요.  ep 소지자라도 만약 싱가폴에서 학생비자가 있는 자녀가 있다면 할머니는 아이케어의 이유로 신청할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도 아버지나 할아버지는 자격이 없답니다.         

  • A

    윗분 설명대로 입니다. WP라고 하시니 부모님 "초청"은 안되고요. LTVP는 조기유학의 경우의 보호자(여성) 또는 입원치료 등이 주목적이라 어렵겠고요. 검토가능한 영역은 투자이민 - Jackie Chan 또는 Mark Zuckerberg 사례 참조 사업이민  (Entrepreneur Pass)  일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 A

    부모님의 롱톰비자 Long Term Vist Pass를 신청하려면  EP홀더이고 monthly fixed income이 10,000 싱달러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비자 여부를 다 떠나서 정말로 부모님이 싱가폴에서 사실 수 있을지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 부모님이 영어나 중국어를 잘하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일주일 관광왔을 때와 한국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여기에서 사는 것은 다른 이야기 입니다. 한국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여기에서 거주하시려면 일정정도 매월 소득이 있어야 하고 또한 롱텀비자의 경우 의료 혜택이 안되는데 보험을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여기에서 취업을 하실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매일 매일을 어떻게 보내실지 심사숙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싱가폴에서 사업체를 차려서 경제활동도 하고 비자도 확보하는 경우에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겠지만 그냥 롱텀비자로 왔을 때는 여러가지 고려할 점이 많은 듯 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