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862

생활혹시 최근에 PR 받으신분 계신가요?

  • 답글 : 4
  • 댓글 : 8
답변완료
단팥빵(opensejin) 2018-03-28
추천수 : 0 조회수 : 4,457

영주권 신청 3번이나 했는데 낙방(?)해서 답답해서 올려봅니다. 싱가폴거주 8년 EP holder 싱글 여 월급은 5000~6000 사이   처음 싱가폴왔을때는 영주권 받기 쉬웠는데 오래 있을지 모르고 신청안했는데 이제는 규제가 너무 심하네요 ㅠ   …

  • A

    월급 문제는 아닌거같아요...   제 지인분이 남자분인데 작년 초 싱가폴와서 8월달에 신청했는데 한번에 PR나왔어요 월급도 2500 정도 인걸로 알아요 롱텀비자는 ROM이후 6개월지나고 PR신청이 가능했다고해요 비자는 LTVP+  거주비자로 있었고... 한가지 장점이라면 싱가포리안과 결혼하셨어요..      

    3
  • A

    먼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많이 답답하시죠?  그래도 조금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이미 3번 거절 당하셨다면 싱 정부에서 영주권을 줄 마음이 없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하신 거니, 영주권에 연연해 하지 마시고 직장생활 하실 수 있을때까지 열심히 싱 생활을 즐기세요. 정확히 거절 사유도 알려주지 않은 싱가포르 영주권 제도하에서는 답 없습니다. 그게 현실이지요.      

    2
  • A

    저도 월급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제 지인의 경우도 싱글로 7년차 거주에 PR 을 3번 신청해서 리젝됬었어요. 급여는 월 2만불 정도였구요..      

    1
Q

NO.860

생활싱가폴 입국시 가전제품, 술 반입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진행중
be yourself(posh) 2018-03-26
추천수 : 0 조회수 : 5,858

친구들이 싱가폴로 여행온다해서 술이랑 가전제품 몇 개 좀 부탁하려하는데, 가전제품의 경우 캐리어에 들어가는 사이즈면 특별한 제한은 없나요? (후라이팬이랑 에어프라이어 밥솥 등 부탁하려구요)   술의 경우 1인당 1개씩 면세점에서 사오는건 제한없죠? 캐리어에 어느…

  • A

      밥솥을 짐으로 보내면 파손 위험이 있어서 캐리온으로 들고왔고 크게 문제 없었습니다.에어프라이어 여기도 할인해서 엄청 저렴한데요...굳이 한국에서 사신다면 들고 올 수는 있습니다.술을 캐리어에 넣어서 밀반입?은 정말 비추합니다. 안걸릴 수도있지만 친구분들이 여행비자로 오면서 이것 저것 들고 오다가 정말 운없어서 엑스레이 검색대로 가라고 걸리거나..혹은 아주 드물지만...착륙하는 비행기를 통으로 보안수속으로 보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걸리면 술의 밀반입은 뒷감당이 어려울 듯 합니다. 면세 한도내에서만 사오시기를.. 정말 드물지만 저는 싱가폴 도착편에 자정 다되어 도착한 비행편이었는데 도착편 보안수속에 걸린 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저는 크게 문제될 만한 것이 없는 캐리온 여행 상태였지만...도착할 때 내리는 승객 모두가 입국시와 마친가지로 엑스레이 스캔하고 보안스크리닝을 하는데..여러가지 빼앗기고 문제되는 승객들도 있더군요. 그러니 술 같은 것은 캐리어에 넣어서 오는 것은 비추입니다.            

    3
Q

NO.855

생활지마켓 같은 한국 쇼핑몰에서 노트북 주문해보신 분?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모티프(triangle) 2018-03-21
추천수 : 0 조회수 : 1,490

노트북을 알아보고 있는데 lg 그램이나 삼성 올웨이즈 같은 가벼운 제품들 싱가폴에서는 찾기도 힘들고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나 레노보, 아수스 등 타 회사 제품도 어째서인지 한국 가격이 훨씬 저렴하더라구요.   지마켓 글로벌 사이트 가니 해외 배송도 되는 것 같던데 배…

  • A

    싱가폴 노트북 가격이 한국보다 저렴하다는 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고급모델들의 경우에는 때에 따라서 한국보다 몇십만원 더 싸게 출시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아마 가성비가 좋은 모델들에 한해서는 그 이야기가 맞을 것 같습니다.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저렴하게 나오기 때문에 논외로 치구요.)   그런데 한국에서 주문할 경우 일반 EMS 는 100% 반송된다고 보시면 되구요 (작년 말부터 굉장히 엄격하게 봅니 다.) 프리미엄 혹은 Fedex 같은 비싼 서비스에 한해서만 노트북 배송이 가능한데 대략 12-15만원 정도 비용이 나 옵니다.거기에 혹시 물게될지도 모를 관세와 (대략 7%) 파손위험, 불확실한 워런티까지 감안한다면 최소 200불 정도 싱가폴에서 더 비싸다고 하더라도 여기서 사는 것이 낫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한국 가격이 30만원 이상 저렴하고 포장 및 배송까지 제대로 해주는 업체가 있다면 시도해볼만할 것 같습니다.      

    4
  • A

    제 동료가 한국 쇼핑몰에서 노트북을 구입했었습니다. 제 동료 말로는 관세가 많이 부과 됐다고 하더군요. 정확히 관세가 얼마였는지는 기억이 않나지만 적지는 않았던걸로 기억하네요. 그래서 제 동료는 다음에 노트북 구입할 때는 한국 갈 때 한국에서 구입해서 가지고 왔다고 하더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
Q

NO.854

생활싱가폴에서 랩텁 구매에 대한 조언 부탁드려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yo-yo-(yoriko) 2018-03-17
추천수 : 0 조회수 : 1,193

안녕하세요. 일본에서 가지고 온 랩텁 고장나가지고 이제 싱가폴에서 구매하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인터넷이랑 office 정도 사용합니다. 보통 한국사람들 랩텁 어디서 구매하시고 어떤 브랜드 선텍하시나요? 그리고 혹시 1000불이하로 좋은 랩텁 있을까요…

  • A

    1. 보통 HP, DELL, Asus, Lenovo, Apple, Microsoft 정도가 노트북 구매시 고려 대상 브랜드가 됩니다.    2. 1000불 이하 가격대에서는 가성비가 좋은 모델은 있어도 그냥 좋은 노트북은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좋다     라는 개념의 정의가 확실치 않아 제 기준으로 봤을 때에는 좋은 노트북이라 함은 HP 의 Probook 이나 Elitebook,     DELL 의 Latitude, Lenovo 의 ThinkPad 시리즈 정도입니다. 위의 모델들은 내구성이 좋고 안정적인 동작을 보     증하나 스펙에 비해 가격이 많이 비싼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여자분이라면 DELL 이나 Lenovo 보다는 HP의     Elitebook 시리즈를 추천합니다. (Probook 은 좀 싼티나는 디자인이 ...)       1000불 이하 제품군들은 모두 가정용 노트북이니 HP 나 DELL, Asus 정도가 무난합니다. Lenovo 와 Acer 는     가성비가 좋으나 제 경험으로 봤을 때 내구성은 문제가 좀 있어서 비추하는 편입니다. (물론 기업용 제품군은      훌륭합니다. Aspire 나 IdeaPad 같은 제품들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3. 심림스퀘어나 각 제조사 홈페이지, Lazada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매가능합니다. 단, 온라인으로 살    경우에는 가격이 약간 비싸거나 (HP 온라인 숍) 품질보증이 안되는 경우가 (Lazada 셀러 중 일부) 있을 수    있습니다.  가격이 정가보다 많이 저렴하다 싶으면 좀 의심해보는 것이 ...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당연히    이유가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전화나 카톡으로 연락주세요. 8180-0542   카톡아이디 k77is 입니다.      

    1 채택답변
  • A

        오늘까지 선텍 컨벤션 센터에서 IT쇼 해서 지금 노트북 조금 저렴하게 팔아요!!! 저도 어제 가서 샀어요.. 보통 100-200 불 정도 싼거 같더라구요 저가 모델이 매장대비요..ㅎㅎ 오늘은 행사 마지막날이니 어제보다 쌀 확률이 높아요. 얼른 가보세요!          

    1
Q

NO.848

생활fixed deposit 이율 괜찮은곳 있나요?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부킷인다(gmkim72) 2018-03-06
추천수 : 0 조회수 : 3,271

dbs이용중인데 예금이율이 생각보다 낮네요. 제가 조호바루 살고있어서 은행방문이 쉽지않는데 혹시 프로모션 하는곳 있나요? 참고로 조호바루에는 프로모션하는곳도 많고 이율이 4프로 넘는곳도 있어요. 그래서인지 싱가폴은 이율이 많이 낮아보이네요.      

  • A

    그렇다면 예금을 조호로 옮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1
  • A

    싱가포르 fixed deposit은 대부분 1.2~1.5%정도인데 말레이시아가 4%라면 링깃으로 바꿔서 조호에 돈을 유치하는 것이 좋을까요? 환전수수료, 향후 싱달러대비 링깃의 변화를 따져보고 (환율예측은 금융쪽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단기환율은 며느리도 못맞춤) 두 나라간 예금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동안 달러대비 링깃이 많이 낮아서(말레이 돈이 싸서) 향후는 그 돈이 올라갈 확률이 더 크지만 글쓴분 께서 얼마나 오랫동안 예금을 유치할지, 또 중간에 말레이 링깃이 올랐을때 예금이자 포기하고 그 돈을 찾는다면 싱에서 1.4만 받고 환전수수료 없이 예금만기한 경우보다 이득일지도 따져봐야 합니다. 현재로 고금리 fixed deposit은 BOC 가 좀 낫고요(프로모 기간에 해당할때) 저는 얼마전에 싱달러 대신 위안화 예금을 4.1%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향후 위안화 방향에 대해서 본인이 관을 가지고 이러한 예금을 들어야 하며 그 예측이 틀렸다 하더라도 버티거나 그 금액이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의 일부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월급여 2000이상인 분들은 OCBC 360 급여통장이 답이며 (1.2%, DBS나 UOB  또는 SC도 있으나 카드를 써서 이율을 더 받는것을 너무 장려하기 때문에 simply 월급으로만 주는거 이게 더 좋더군요) 더 여유자금 있거나 장기로 두실 분은 싱가포르 저축본드( SSB -대신 SGX에 계좌 열어야 함) 또는 BOC같은 중국계은행의 특판예금(싱달러 경우 5만달러까지 MAS 예금지급보증)을 선택하세요. 감사합니다. 금융구루*백만장자의 가계부 코치 미라클 드림      

    1
  • A

    쪽지 보냈습니다.     

Q

NO.846

생활아기 예방접종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khr0154(khr0154) 2018-02-25
추천수 : 0 조회수 : 2,140

5개월 아기와 입싱예정입니다. 한국에서 맞은 B형간염(헤파뮨), DTaP-IPV/Hib(펜탁심), 페렴구균(프리베나13주), 수막구균(멘비오) 3차 예방접종을 싱에서 맞을예정인데.. B형간염은 교차접종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이왕이면 한국에서 맞은 같은 백신주사…

  • A

    한국에서 접종한 내용 Detail 하게 영어로 다 준비해서 오셔야 할 꺼예요. 그리고 한국 예방접종 리스트와 여기 리스트 일부 다를 것으로 상각되구요. 여기서는 5-1도 많이 맞추고 있어서, 헷깔릴 수 있을꺼예요. 리스트만 정확하게 있으면 일반 General Practice에서도 접종은 할 수 있고, 소아과를 갈 경우에는 컨설팅비용(대략 80-100불 정도) 추가로 발생되며, 아이가 아픈게 아니라 예방접종하기 전에 간단히 볼 때도 비용이 청구되는 곳들이 있습니다.       

  • A

    3개월 아이 엄마입니다. 한국에서 2개월 조금 지나 아이를 데려왔습니다. 간염접종은 교차접종 가능하며, 여기도 프리베나 13. 로타릭스.등등은 있었습니다. 다만 펜탁심은 없어서 교차접종 하느니 그냥 이나라에서 쓰는 백신으로 맞추자 하여, 2개월차 예방접종때 펜탁심만 빼고 맞추어서 입싱후 이나라에서 맞추는 주사로 접종하였네요. 제가 산의했을때 펜탁심 맞춰와도 된다고는 했었어요. 2차부터 여기서 쓰는 백신으로 교차 접종하여도 문제는 없다 했고요. 그래도 그냥 펜탁심 빼고 맞춰 왔었어요. 어쨌든 저는 소아과전문의에게 갔고 위치는 노베나 mrt 근처 mount Elizabeth hospital 안에 있는 mark loh peadiatics 였어요. 유닛번호는 #05-33입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