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24

기타싱가포르에서 운전면허를 따려면..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남산(mizgoguma) 2003-12-27
추천수 : 21 조회수 : 1,524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로 이주하게된 주부입니다. 운전 면허 때문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제가 운전면허가 없는데요(친구들이 인간문화재라고 합니다..-.-). 싱가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에 비해서 쉬운지, 어려운지 알고 싶어서요. 제…

  • A

    꼭 한국에서 받아가지고 오십시오. 제가 지금 운전 학원을 다니고 했는데 후회가 막급입니다. 여긴 이론시험도 1차 2차로 두 번 봅니다. 1차는 한국처럼 도로 교통법이나 뭐 표지판 같은거.. 비교적 간단하지만 2차 시험은 장난이 아닙니다. 1,2차 모두 50문제 중에 45개 이상을 맞아야 합격입니다. 그건 그렇고 그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완전히 숙련이 되지않고 뭔가 좀 부족하다 싶으면 절대 합격이 되지 않습니다. 전 100분씩 40번 이상을 랫슴을 받고도 아직 합격을 못했습니다. 이만 하면 잘 한다고 생각이 들고 가르치는 선생도 잘 한다고 했는데 50대 교통순경이 떡하니 옆에 앉아서 틀린 것만 지적을 하면서 마이너스 점수를 매깁니다. 어려워도 이렇게 어려울까..현재 제가 쓴 돈이 한국돈으로 200만원이 넘습니다. 내가 특별히 운동신경이 둔한 것도 아니고..(자전거를 손놓고 탈 수 있음ㅎㅎ) 그런데 기가 막히고 화가나서 미치겠습니다. 연수를 다 끝내고 실기시험 등록을 하면 아무리 빨라도 2두달을 기다려야 합니다. 또 연수를 받아야 합니다. 떨어지고 다시 재등록을 하면 또 두 달이 걸립니다. 몸이 굳어지면 안되니 또 연수를 받아지요... 이래저래 돈입니다. 꼭 한국에서 받아 오세요. 그러나 여기에서 다시 필기 1차 시험을 영어로 치뤄야 합니다. 국제운전 면허를 바꿔와 할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어딥니까? 2차는 면제가 되니까..ㅎㅎ 보통 5~6번 떨어졌다는 사람 너무나 흔하게 봅니다. 남편 친구도 면허증 따는데 420만원도 더 들였답니다. 아직 여긴 오토를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한국에서 오토로 면허 받아 오셔서 여기서 연수만 좀 받으세요. 개인으로 가르치는 사람에게서요... 난 멋모르고 시작했다가 죽를 맛입니다. 지난 16일 날 시험을 처음으로 봤는데 떨어졌어요. 다시 10만원 돈 들여서 재시험 날짜를 신청했는데 2월 20일 이랍니다. 100분씩 40번 이상을 했는데 두 달 간 또 사서 연습하라는  얘깁니다. 너무나 화가나서 그냥 와 버렸어요. 2월 20일 날 시험은 보러 가는데 글쎄 이렇게 손 놓고 있다 합격을 하겠습니까? 내가 생각해도 한심하고 울며 겨자를 먹어야 할 상황입니다. 제가 아는사람은 한국가서 한달 만에 연수도 끝내고 시험도 끝내고 면허증 가지고 왔더라구요. 부러워 죽을 지경입니다. 그러니까 꼭 한국에서 받아오세요. 물론 돈 엄청들고 시간이 엄청 걸려도 상관없으시다면 물론 여기서 배우라고 권하고 싶어요. 진짜 철저히 가르치거든요. 너무나 상세하고 세심하게....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로 이주하게된 주부입니다. 운전 면허 때문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제가 운전면허가 없는데요(친구들이 인간문화재라고 합니다..-.-). 싱가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에 비해서 쉬운지, 어려운지 알고 싶어서요. 제가 워낙 운동신경이 둔해서 운전하고 다닐 자신도 없고 귀찮기도 해서 서울에서는 튼튼한 두다리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살았는데, 생각해보니까 거기서는 운전을 해야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남편 회사에서 차를 지원해준다고 하고, 또 여기서처럼 저 혼자 누비고 다닌다면 상관없겠지만 친척들이 방문해도 그렇고, 아이가 생기면 운전을 해야할 것 같은데요, 싱가포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는게 가능할까요? 아님, 지금이라도 서울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가는게 더 나을지 궁금해요. 아마 저같은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한국촌 홈피를 아무리 뒤져봐도 한국면허를 싱가포르 면허로 바꾸는 거에 대해서만 나와있네요...도움말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여기서 취득하고 가는게 좋을 것 같은데 시간이 될런지 모르겠어요. 운동신경도 둔한데다 한달 안에 따야하니...미리미리 할껄..ㅜ.ㅜ..일단 내일 운전학원부터 알아봐야하겠어요. 도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꼭 한국에서 받아가지고 오십시오. >제가 지금 운전 학원을 다니고 했는데 후회가 막급입니다. >여긴 이론시험도 1차 2차로 두 번 봅니다. >1차는 한국처럼 도로 교통법이나 뭐 표지판 같은거.. 비교적 간단하지만 >2차 시험은 장난이 아닙니다. >1,2차 모두 50문제 중에 45개 이상을 맞아야 합격입니다. >그건 그렇고 그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완전히 숙련이 되지않고 뭔가 좀 부족하다 싶으면 절대 합격이 되지 않습니다. >전 100분씩 40번 이상을 랫슴을 받고도 아직 합격을 못했습니다. >이만 하면 잘 한다고 생각이 들고 가르치는 선생도 잘 한다고 했는데 >50대 교통순경이 떡하니 옆에 앉아서 틀린 것만 지적을 하면서 마이너스 점수를 매깁니다. >어려워도 이렇게 어려울까..현재 제가 쓴 돈이 한국돈으로 200만원이 넘습니다. >내가 특별히 운동신경이 둔한 것도 아니고..(자전거를 손놓고 탈 수 있음ㅎㅎ) >그런데 기가 막히고 화가나서 미치겠습니다. >연수를 다 끝내고 실기시험 등록을 하면 아무리 빨라도 2두달을 기다려야 합니다. >또 연수를 받아야 합니다. >떨어지고 다시 재등록을 하면 또 두 달이 걸립니다. >몸이 굳어지면 안되니 또 연수를 받아지요... >이래저래 돈입니다. >꼭 한국에서 받아 오세요. >그러나 여기에서 다시 필기 1차 시험을 영어로 치뤄야 합니다. >국제운전 면허를 바꿔와 할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어딥니까? 2차는 면제가 되니까..ㅎㅎ >보통 5~6번 떨어졌다는 사람 너무나 흔하게 봅니다. >남편 친구도 면허증 따는데 420만원도 더 들였답니다. >아직 여긴 오토를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한국에서 오토로 면허 받아 오셔서 여기서 연수만 좀 받으세요. >개인으로 가르치는 사람에게서요... >난 멋모르고 시작했다가 죽를 맛입니다. >지난 16일 날 시험을 처음으로 봤는데 떨어졌어요. >다시 10만원 돈 들여서 재시험 날짜를 신청했는데 2월 20일 이랍니다. >100분씩 40번 이상을 했는데 두 달 간 또 사서 연습하라는  얘깁니다. >너무나 화가나서 그냥 와 버렸어요. >2월 20일 날 시험은 보러 가는데 글쎄 이렇게 손 놓고 있다 합격을 하겠습니까? >내가 생각해도 한심하고 울며 겨자를 먹어야 할 상황입니다. >제가 아는사람은 한국가서 한달 만에 연수도 끝내고 시험도 끝내고 면허증 가지고 왔더라구요. 부러워 죽을 지경입니다. >그러니까 꼭 한국에서 받아오세요. >물론 돈 엄청들고 시간이 엄청 걸려도 상관없으시다면 물론 여기서 배우라고 권하고 싶어요. 진짜 철저히 가르치거든요. >너무나 상세하고 세심하게.... > > > >   > > > >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로 이주하게된 주부입니다. 운전 면허 때문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제가 운전면허가 없는데요(친구들이 인간문화재라고 합니다..-.-). 싱가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에 비해서 쉬운지, 어려운지 알고 싶어서요. 제가 워낙 운동신경이 둔해서 운전하고 다닐 자신도 없고 귀찮기도 해서 서울에서는 튼튼한 두다리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살았는데, 생각해보니까 거기서는 운전을 해야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남편 회사에서 차를 지원해준다고 하고, 또 여기서처럼 저 혼자 누비고 다닌다면 상관없겠지만 친척들이 방문해도 그렇고, 아이가 생기면 운전을 해야할 것 같은데요, 싱가포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는게 가능할까요? 아님, 지금이라도 서울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가는게 더 나을지 궁금해요. 아마 저같은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한국촌 홈피를 아무리 뒤져봐도 한국면허를 싱가포르 면허로 바꾸는 거에 대해서만 나와있네요...도움말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A

    뭘 별 말씀을...ㅎㅎ 저는 여기서 14년을 살았어요. 뭐든지 궁금하시면 연락주세요. 모르는 거 빼고는 다 아니까... 아이도 넷이나 있는 왕아줌마예요. 난편이 하우스 에이전트인데 회사에서 소개한 에이전트가 있다니 솔직히 눈물나게  아쉽네요.ㅎㅎ 다음에 계약 끝나고 또 다른 집 얻게되면 꼭 연락주세요. 그 때는 대부분 본인들이 알아서 집을 구하거든요.. 근데 집 말고도 뭐든지 물어보세요. 집안에 파묻혀 사는 아줌마라 너무 세련되고 고급스런것은 모르지만 생활에 꼭 필요하 건 다 알아요..ㅎㅎ 처음에 와선 저같은 사람이 필요한 일이 많을지도 모르니까... 전화 6362-2564,96805718 조명례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여기서 취득하고 가는게 좋을 것 같은데 시간이 될런지 모르겠어요. 운동신경도 둔한데다 한달 안에 따야하니...미리미리 할껄..ㅜ.ㅜ..일단 내일 운전학원부터 알아봐야하겠어요. 도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꼭 한국에서 받아가지고 오십시오. >>제가 지금 운전 학원을 다니고 했는데 후회가 막급입니다. >>여긴 이론시험도 1차 2차로 두 번 봅니다. >>1차는 한국처럼 도로 교통법이나 뭐 표지판 같은거.. 비교적 간단하지만 >>2차 시험은 장난이 아닙니다. >>1,2차 모두 50문제 중에 45개 이상을 맞아야 합격입니다. >>그건 그렇고 그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완전히 숙련이 되지않고 뭔가 좀 부족하다 싶으면 절대 합격이 되지 않습니다. >>전 100분씩 40번 이상을 랫슴을 받고도 아직 합격을 못했습니다. >>이만 하면 잘 한다고 생각이 들고 가르치는 선생도 잘 한다고 했는데 >>50대 교통순경이 떡하니 옆에 앉아서 틀린 것만 지적을 하면서 마이너스 점수를 매깁니다. >>어려워도 이렇게 어려울까..현재 제가 쓴 돈이 한국돈으로 200만원이 넘습니다. >>내가 특별히 운동신경이 둔한 것도 아니고..(자전거를 손놓고 탈 수 있음ㅎㅎ) >>그런데 기가 막히고 화가나서 미치겠습니다. >>연수를 다 끝내고 실기시험 등록을 하면 아무리 빨라도 2두달을 기다려야 합니다. >>또 연수를 받아야 합니다. >>떨어지고 다시 재등록을 하면 또 두 달이 걸립니다. >>몸이 굳어지면 안되니 또 연수를 받아지요... >>이래저래 돈입니다. >>꼭 한국에서 받아 오세요. >>그러나 여기에서 다시 필기 1차 시험을 영어로 치뤄야 합니다. >>국제운전 면허를 바꿔와 할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어딥니까? 2차는 면제가 되니까..ㅎㅎ >>보통 5~6번 떨어졌다는 사람 너무나 흔하게 봅니다. >>남편 친구도 면허증 따는데 420만원도 더 들였답니다. >>아직 여긴 오토를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한국에서 오토로 면허 받아 오셔서 여기서 연수만 좀 받으세요. >>개인으로 가르치는 사람에게서요... >>난 멋모르고 시작했다가 죽를 맛입니다. >>지난 16일 날 시험을 처음으로 봤는데 떨어졌어요. >>다시 10만원 돈 들여서 재시험 날짜를 신청했는데 2월 20일 이랍니다. >>100분씩 40번 이상을 했는데 두 달 간 또 사서 연습하라는  얘깁니다. >>너무나 화가나서 그냥 와 버렸어요. >>2월 20일 날 시험은 보러 가는데 글쎄 이렇게 손 놓고 있다 합격을 하겠습니까? >>내가 생각해도 한심하고 울며 겨자를 먹어야 할 상황입니다. >>제가 아는사람은 한국가서 한달 만에 연수도 끝내고 시험도 끝내고 면허증 가지고 왔더라구요. 부러워 죽을 지경입니다. >>그러니까 꼭 한국에서 받아오세요. >>물론 돈 엄청들고 시간이 엄청 걸려도 상관없으시다면 물론 여기서 배우라고 권하고 싶어요. 진짜 철저히 가르치거든요. >>너무나 상세하고 세심하게.... >> >> >> >>   >> >> >> >>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로 이주하게된 주부입니다. 운전 면허 때문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제가 운전면허가 없는데요(친구들이 인간문화재라고 합니다..-.-). 싱가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에 비해서 쉬운지, 어려운지 알고 싶어서요. 제가 워낙 운동신경이 둔해서 운전하고 다닐 자신도 없고 귀찮기도 해서 서울에서는 튼튼한 두다리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살았는데, 생각해보니까 거기서는 운전을 해야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남편 회사에서 차를 지원해준다고 하고, 또 여기서처럼 저 혼자 누비고 다닌다면 상관없겠지만 친척들이 방문해도 그렇고, 아이가 생기면 운전을 해야할 것 같은데요, 싱가포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는게 가능할까요? 아님, 지금이라도 서울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가는게 더 나을지 궁금해요. 아마 저같은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한국촌 홈피를 아무리 뒤져봐도 한국면허를 싱가포르 면허로 바꾸는 거에 대해서만 나와있네요...도움말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Q

NO.123

기타인터넷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데카당트(jeibin) 2003-12-23
추천수 : 12 조회수 : 1,446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 이사온지 한달여 되었습니다. 다행히 모든 것이 순조로워 적응을 잘하고 있는데 한가지, 인터넷 연결이 잘 안되는군요. 한국에서 컴퓨터를 가져 왔기에 여기에 맞는 연결을 구축하려고 Funan IT mall에서 네트웍 카드 사와서 Max-online…

  • A

    max-online에서 혹씨 나와서 직접 조사해 보았나요? 저도 처음에 이집으로 들어와서 무척 애먹었어요 전화로는 그냥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만 자꾸 말하더라구요 마지막에는 하도 화가 나서 소리를 질르며 메너저 바꾸라 해서 매너저와 이야기 했어요 나는 돈내는 커스터머 이니까 당신이 직접 나와서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하고 그랬더니 하루만에 사람을 보내주었어요 그리고는 이틀만에 제데로 되더군요 한번 나와서 채크업 해달라고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 >싱가포르에 이사온지 한달여 되었습니다. >다행히 모든 것이 순조로워 적응을 잘하고 있는데 한가지, 인터넷 연결이 잘 안되는군요. >한국에서 컴퓨터를 가져 왔기에 여기에 맞는 연결을 구축하려고 Funan IT mall에서 네트웍 카드 사와서 Max-online에 연결하였는데 글쎄 자꾸 에러만 납니다. >Max-online에도 문의해보고 카드 제조사도 연락해봐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만 하고 결국 고쳐주지는 못하더군요. > >혹시 이 방면에 전문가가 계시면 혹은 이와 관련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계시면 도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A

    무조건 최고 관리자를 찾으세요.  제가 느끼기에는 여기나 한국이나 하여간에 관리자가 나서면 다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새 아파트라 그냥 꽂기만 하면 되었지만 ... 아무튼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사람이 많이 받습니다. 뭐든지요 ~ ~     

Q

NO.122

기타콘도 rent 관련 질문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초보(sky092) 2003-12-22
추천수 : 4 조회수 : 1,841

안녕하세요. 내년 1월말 입싱 예정 입니다. 지금은 이주 준비를 하고 있는데 막상 준비를 하려니 무엇부터 해야 할지...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그 중에도 콘도 rent가 가장 궁금합니다. 월 S$2100 내외에서 rent하려는데요, condo rent비용은 남편 회사…

  • A

    >안녕하세요. >내년 1월말 입싱 예정 입니다. >지금은 이주 준비를 하고 있는데 막상 준비를 하려니 무엇부터 해야 할지...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그 중에도 콘도 rent가 가장 궁금합니다. >월 S$2100 내외에서 rent하려는데요, condo rent비용은 남편 회사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남편 회사와 특히 아이 학교통학이 쉬운 곳을 골랐으면 합니다. 남편의 교통비도 최소화 하고 아이  스쿨버스비도 줄이기 위해서 지요. 아이는 12월이면 만 5살이 되는데 (하나 더 있지만 둘째는 이제 3개월 입니다.) 처음 유치원은 OFS를 보내고 영어를 어느정도 하고 싱가폴 생활에 적응하게 되면 local로 옮길지 아니면 계속 international 다니게 할지 결정할 예정 입니다. Bishan / Yiochukang 지역이 괜찮을 듯 하네요. Ang Mo Kio 지역이 워낙 넓어서 어디라고 정확히 얘기하긴 힘들지만, 회사가 AMK Industrial Park 지역인지, 그것도 I, II, III 따로따로 있어서, 주소를 알려주시면 좀더 확실한 정보를 드릴께요. > >그래서 인데요, MRT역에서 가깝고 OFS까지 스쿨버스를 타지 않고 걸어갈 수 있는 지역에서 깨끗하고 시설좋은 1000sqft 정도의 콘도를 빌릴 수 있을까요? 부동산 agent는 남편의 회사에서 지정했기 때문에 한국분에게 부탁할 수 없어서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마땅한 곳이 없다면 깨끗하고 시설좋고 지어진지 얼마되지 않았으면서 Ang Mo Kio 까지 교통이 용의하고 OFS까지 15분 내로 school bus 이동이 가능한 지역 중에 추천 부탁 드릴께요. 어느 지역이 살기 좋고 한국분이 많나요? 그리고 깨끗하구요... OFS가 어디인지 알 수가 없어서, 혹시 주소가 있나요?  AMK Ave1과 Bishan 근처에 있는 그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싱가폴은 남부 해안을 위주로 발달한 도시라서, 중부, 혹은 북부로 올라가면 일부 HDB군락들을 제외하고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그 가운데, 중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집값이 비싸고, 부촌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옛날 공항이 있었던 칼랑지역과 현재 공항이 위치한 창이 공항 지역 사이의 남동부 해안 지역의 집값이 비싼 편이고(근데 칼랑 지역은 낮 시간에 전투기의 왕래가 심해서...시끄럽겠지요?), 최근 10여년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남서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주택 임대 금액이 싼 편이지요... 한국분이 많이 살고 깨끗하고 저렴한 지역은 남서부 지역이고 한국분이 많이 살고 비싸고, 바다가 가까운 지역은 남동부 지역이네요. 싱가폴의 센트럴 지역인 앙모키오 근처는 한국인들이 그리 많지 않아서, 뭐라고 말하기 힘드네요. 비샨 지역의 비샨 파크 콘도/요추캉의 캐슬그린에 한국인들이 조금 있기는 한데, 그리 많이 보진 못해서... 참고로 싱가폴 사람들은 비샨 지역을 행운을 주는 지역이라고 해서 이곳에 사는 것을 매우 좋게 생각한답니다. > >싱가폴은 갓난아기 키우기에 한국보다 생활비가 더 들지는 않을까요? 생각에 대부분이 수입품이기 때문에 기저기, 분유 등이 비쌀거 같은데요..., 그리고 아기 이유식은 만들어 주기에 재료등이 구하기 쉽나요? 이유식은 가능하면 사먹이기 보다는 직접 해 먹이고 싶어서요... 싱가폴의 생필품 가격, 특히 먹거리는 매우 쌉니다. 단, 한국인이 좋아하는 일부 음식들은 없긴 하지만, 대부분의 과일, 채소, 육류 제품들이 오스트리아, 뉴질랜드, 말레이지아,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등지에서 사시사철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먹거리 가격으로 인한 고통은 거의 없이 모든 종류의 과일을 쉽게 구할 수 있답니다. > >걱정이 많네요. 많은 도움 부탁 드려요.     

  • A

    답변 정말 감사드려요. 남편 직장은 AMK industrial park에 있구요 I, II, III중 어디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유럽계 반도체 회사의 아시아 plant인 것 밖에는요... 그리고 OFS는 Paterson road와 Orchard boulervard가 민나는 곳 근처에 있는것 같네요. 저랑 남편은 그동안 Newton, Rivervalley, Bukit Timah, Tampines, Pasir Ris, Jurong쪽만 인터넷으로 살펴 봤는데 Bishan이나 Yio Chu Kang은 별로 살펴 보질 못했네요. 그럼 한국분들이 많이 사시고 깨끗한 곳이 Tampines, Jurong쪽인가 보네요. Newton이나 Rivervalley는 어떤가요? > >>안녕하세요. >>내년 1월말 입싱 예정 입니다. >>지금은 이주 준비를 하고 있는데 막상 준비를 하려니 무엇부터 해야 할지...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그 중에도 콘도 rent가 가장 궁금합니다. >>월 S$2100 내외에서 rent하려는데요, condo rent비용은 남편 회사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남편 회사와 특히 아이 학교통학이 쉬운 곳을 골랐으면 합니다. 남편의 교통비도 최소화 하고 아이  스쿨버스비도 줄이기 위해서 지요. 아이는 12월이면 만 5살이 되는데 (하나 더 있지만 둘째는 이제 3개월 입니다.) 처음 유치원은 OFS를 보내고 영어를 어느정도 하고 싱가폴 생활에 적응하게 되면 local로 옮길지 아니면 계속 international 다니게 할지 결정할 예정 입니다. > >Bishan / Yiochukang 지역이 괜찮을 듯 하네요. >Ang Mo Kio 지역이 워낙 넓어서 어디라고 정확히 얘기하긴 힘들지만, >회사가 AMK Industrial Park 지역인지, 그것도 I, II, III 따로따로 있어서, 주소를 알려주시면 좀더 확실한 정보를 드릴께요. >> >>그래서 인데요, MRT역에서 가깝고 OFS까지 스쿨버스를 타지 않고 걸어갈 수 있는 지역에서 깨끗하고 시설좋은 1000sqft 정도의 콘도를 빌릴 수 있을까요? 부동산 agent는 남편의 회사에서 지정했기 때문에 한국분에게 부탁할 수 없어서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마땅한 곳이 없다면 깨끗하고 시설좋고 지어진지 얼마되지 않았으면서 Ang Mo Kio 까지 교통이 용의하고 OFS까지 15분 내로 school bus 이동이 가능한 지역 중에 추천 부탁 드릴께요. 어느 지역이 살기 좋고 한국분이 많나요? 그리고 깨끗하구요... > >OFS가 어디인지 알 수가 없어서, 혹시 주소가 있나요?  AMK Ave1과 Bishan 근처에 있는 그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 >싱가폴은 남부 해안을 위주로 발달한 도시라서, 중부, 혹은 북부로 올라가면 일부 HDB군락들을 제외하고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그 가운데, 중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집값이 비싸고, 부촌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옛날 공항이 있었던 칼랑지역과 현재 공항이 위치한 창이 공항 지역 사이의 남동부 해안 지역의 집값이 비싼 편이고(근데 칼랑 지역은 낮 시간에 전투기의 왕래가 심해서...시끄럽겠지요?), 최근 10여년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남서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주택 임대 금액이 싼 편이지요... > >한국분이 많이 살고 깨끗하고 저렴한 지역은 남서부 지역이고 >한국분이 많이 살고 비싸고, 바다가 가까운 지역은 남동부 지역이네요. >싱가폴의 센트럴 지역인 앙모키오 근처는 한국인들이 그리 많지 않아서, 뭐라고 말하기 힘드네요. >비샨 지역의 비샨 파크 콘도/요추캉의 캐슬그린에 한국인들이 조금 있기는 한데, 그리 많이 보진 못해서... >참고로 싱가폴 사람들은 비샨 지역을 행운을 주는 지역이라고 해서 이곳에 사는 것을 매우 좋게 생각한답니다. > >> >>싱가폴은 갓난아기 키우기에 한국보다 생활비가 더 들지는 않을까요? 생각에 대부분이 수입품이기 때문에 기저기, 분유 등이 비쌀거 같은데요..., 그리고 아기 이유식은 만들어 주기에 재료등이 구하기 쉽나요? 이유식은 가능하면 사먹이기 보다는 직접 해 먹이고 싶어서요... > >싱가폴의 생필품 가격, 특히 먹거리는 매우 쌉니다. >단, 한국인이 좋아하는 일부 음식들은 없긴 하지만, 대부분의 과일, 채소, 육류 제품들이 오스트리아, 뉴질랜드, 말레이지아,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등지에서 사시사철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먹거리 가격으로 인한 고통은 거의 없이 모든 종류의 과일을 쉽게 구할 수 있답니다. > >> >>걱정이 많네요. 많은 도움 부탁 드려요. >     

  • A

    Newton, River Valley, Bukit Timah 다 좋은곳입니다. Yio Chu Kang 이나 Jurong쪽으로 가시면 아이들 학교 다니는데 약간 멀다는 생각이 드네요 Toa Payoh도 좋은곳 많고요,한국분들도 꾀나게시구요 먼저 알아보시던 Newton, R V, B T 는 시내와 좀더 가까와서 좋은거 같아요 교통이 더 편하고 ...AMK에서도 멀지도 않고.... 싱가포르 지역 지도을 알아보실려면 www.streetdirectory.com.sg 보세요 아~ Leonie Hills 쪽으로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거기도 괜찬던데,,,       

Q

NO.121

기타아랫글에서요...답이 필요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무우(che28) 2003-12-18
추천수 : 12 조회수 : 1,233

정말로 세탁법에 세탁비의 10배 밖에는 보상이 되지 않는건가요? 한국처럼.. 여기서도 소비자고발센터라는곳이 있나요?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세탁소마다 나름대로의 변상규정을 마련하고 있지만 보통 소비자들에게 불리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에 변상규정에 대한 예(원문)를 남기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변상문제에 대해서는 우선 세탁소에 세탁물 손상를 확인시키신후(세탁물 받으셨을 때 바로 보이셨으면 더욱 쉽게 확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변상를 요구하시면 규정에 따른 변상을 해줄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변상금액이 터무니 없이 작거나, 변상를 해주지 않을 경우에는 The Small Claims Tribunals and the Court Mediation Centre에 소송을 하겠다고 경고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송비는 5,000불이하의 경우 S$10, 10,000불 이하는 S$20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소송방법, 소송장소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www.subcourts.gov.sg/에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세탁소에서 제공하는 세탁물 변상에 대한 규정(예)입니다. 1. Although great care is practised, we cannot be held responsibility for any damages, shimkage, decolourize or be distorted as a result of washing or dry-cleaning of your article/s(inclusive of curtains and cushion covers). 2. All omaments and buttons e.g. plastic, glass or metal type must be removed by customer before sending for cleaning. We shall under no circumstances be liable for any damages to the above & any loss of items left in any part of the garment. 3. Removal of stains well be attempted but cannot be guaranteed. 4. Our liability for loss and damage shall be limited to the payment of a sum not exceeding 5 times the Dry cleaning/Washing/Pressing charges charged by the company. Such claim shall be deemed not exceeding S$50 for any article. 6. By giving your article/s, you hereby agree and accept the above terms & conditions.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정말로 세탁법에 세탁비의 10배 밖에는 보상이 되지 않는건가요? >한국처럼.. 여기서도 소비자고발센터라는곳이 있나요? >     

Q

NO.120

기타싱가폴 현재이자율은?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상윤맘(hellena12) 2003-12-16
추천수 : 5 조회수 : 1,312

싱가폴가면 저축에 대해 궁금하군요.하던대로 한국으로 돈을 부쳐 한국에다 저축을 계속하는게 나은지 싱가폴에서 은행계좌개설해서 하는게 나은지 잘 모르겠네요.그쪽에서 직장 생활하시는 분은 어떻게 하고 계신지요? 현재 은행이자율이 어찌되는지도 궁금하구요? 글구 집을 가구 없는…

  • A

    월급을 싱달러로 받으실지 아님 한국돈으로 받으실지 모르니 ... 이곳 은행의 이자율은 0%라고 들었습니다. 같이 사시는 분이 그러시더군요. 한국으로 돈을 부쳐서 저축하는 것이 더 낫기는 하겠지만 환율문제가 걸리겠네요. 원화로 싱달러 살때와 팔때의 가격차이가 좀 되던데 ~ ~   집을 가구없는 집으로 얻더라도 쓰던 침대를 가져오실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와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다지 비싸다고 보지는 않네요. 어차피 가져올때 짐이고 나갈때 짐입니다.  몇년을 계신다면 모르겠지만서두요. (그런다 치더라도 좀 ...) 위의 답변은 어디까지나 저의 개인적인 견해이니까 다른 분들의 의견도 많이 참조하세요.          

  • A

    가시는 회사가 제가 생각하는 곳이 맞다면 1톤에 10 cbm까지 회사 지원 이잖아요. 제가 견적을 받아 봤는데 1톤이란 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10cbm을 기준으로 한다더군요.(이것도 완전한 10은 아니고 9.???? 뭐 이런식) 컨테이너에 싣는 물건들은 무게말고 cbm을 기준으로 삼는대요. 그럼 10 cbm 이 어느정도냐.. 하면.. 가로 2미터, 세로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공간이에요. 저도 처음엔 가구 없는 집으로 해서 침대, 식탁, 화장대, 소파 등 1톤 무게 내에서 가져가려고 했는데 부피로 따져보니 가져갈수 있는것이 매트리스, 프레임, 작은 화장대, 책상, 식탁 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옷, 식료품, 소형가전 몇가지.. 이렇게요. 이렇게 하면 10이 딱 되거나 살짝 넘친다는.. 천상.. 집은 반 갖춰진 집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구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전자렌지, 소파 등등이 있어야 할테니까요. 견적 받아 보신후 공간여유 있으시면 침대 가져가시는 것 생각해 보세요.     

  • A

    안녕하세요.아직 견적은 안 받아봤는데.견적받아보시고 가져가기로 하신 물품 알려주시면 안될까요..참고해서 제가 짐을 정리해야 할것같아서요 될수있으면 자세히 좀 알려주세요.집은 구하셨나요.. 참으로 심난하네요.. 제메일로 목록 좀 보내주실래요.여긴 지방이라 서울에서 견적하러 오실런지..메일은 hellena34@hanmail.net입니다.먼저가시면.자리 잘 잡고 계세요.곧 뒤따라 가겠습니다. >가시는 회사가 제가 생각하는 곳이 맞다면 1톤에 10 cbm까지 회사 지원 이잖아요. >제가 견적을 받아 봤는데 1톤이란 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10cbm을 기준으로 한다더군요.(이것도 완전한 10은 아니고 9.???? 뭐 이런식) >컨테이너에 싣는 물건들은 무게말고 cbm을 기준으로 삼는대요. >그럼 10 cbm 이 어느정도냐.. 하면.. >가로 2미터, 세로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공간이에요. >저도 처음엔 가구 없는 집으로 해서 침대, 식탁, 화장대, 소파 등 1톤 무게 내에서 가져가려고 했는데 부피로 따져보니 가져갈수 있는것이 매트리스, 프레임, 작은 화장대, 책상, 식탁 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옷, 식료품, 소형가전 몇가지.. 이렇게요. >이렇게 하면 10이 딱 되거나 살짝 넘친다는.. >천상.. 집은 반 갖춰진 집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구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전자렌지, 소파 등등이 있어야 할테니까요. >견적 받아 보신후 공간여유 있으시면 침대 가져가시는 것 생각해 보세요.     

Q

NO.119

기타처음가며 유아의 학교가 궁금해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호야(hoya4love) 2003-12-14
추천수 : 8 조회수 : 1,630

반갑습니다. 만3살 반된아이와 입싱합니다.1월부터요. 유치원 입학조건등이 궁금하고 저의 경우체류비자를 어떻게 할수있는지.. 유치원아이의 엄마도 체류비자가 나올수 있는지요? 아니면 저가 주2~3회, 일 2시간 정도의 어학원에 등록을하고 그곳에서 학생비자를 받아야 할런지요…

  • A

    살게될곳의 주소를 알았답니다. yan kit road 라는 군요 빌딩이름은 "Arris"래요. 12월23일부터 싱가폴에 들어가 알아보고 싶은데 꼭좀알려주세요. 잘 부탁드립니다. 꾸벅...올림. >반갑습니다. >만3살 반된아이와 입싱합니다.1월부터요. >유치원 입학조건등이 궁금하고 저의 경우체류비자를 어떻게 할수있는지.. >유치원아이의 엄마도 체류비자가 나올수 있는지요? >아니면 저가 주2~3회, 일 2시간 정도의 어학원에 등록을하고 그곳에서 학생비자를 받아야 할런지요? >무비자 체류가능일은 최장몇일인가요? >살게 될곳은 주소를 잘 몰라그러는데 아주 새로생긴 최첨단 건물이며 시내에 있다고 했습니다.(물론 몇개월은 지난건물입니다만.) >그리고 한국요리도 그곳에서 가르쳐주는 분이 있을까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많이 많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꼭이요....     

Q

NO.118

기타싱가폴 생활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초보(nsbae) 2003-12-12
추천수 : 11 조회수 : 2,191

안녕하세요, 남편 파견으로 2월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사람인데요. 몇년전에 한번 놀러간적밖에 없는 싱가폴 생활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 다음달 초에 싱가폴로 직접 집을 구하러 가기로 했는데 회사에서 주택보조비를 전혀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최대 싱달러로 월…

  • A

    안녕하세요. 저도 내년 2월에 싱가폴에 직업을 얻어서 들어가는데 ... 저는 회사에서 1600 싱달러 집을 지원해줍니다. 저도 구해야 하는데.. 지금 "초보"님께서는 3000 싱달러 짜리 집을 예상하신다면 아마 상당히 좋은 집을 구하리라 봅니다. 걱정 안하셔도 될 듯합니다. 그럼. >안녕하세요, 남편 파견으로 2월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사람인데요. 몇년전에 한번 놀러간적밖에 없는 싱가폴 생활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 다음달 초에 싱가폴로 직접 집을 구하러 가기로 했는데 회사에서 주택보조비를 전혀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최대 싱달러로 월세 3천불 정도 예상하고 있는데 이 정도면 어느 정도의 집을 구할 수 있을까요? 한국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 시내 근방에 있는 방 3개 정도의 콘도를 구할 수 있는 건지 어떤지 잘 모르겠어요. 집 시세를 찾아보려고 해도 지역을 전혀 모르니 찾아볼 수도 없고. 3천불보다 더 싸게 더 좋은 집을 얻을 수 있다면 정말 좋겠는데 너무 억지부리는 것 같아서... 회사에서 소개해준 에이전시를 통해서 집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한국인이 아니라서 전부 믿을 수는 없을 것 같네요. 집 얻을 때 꼭 주의해야 할 점이나 일반적으로 실수 많이 하는 내용 같은거 좀 부탁드릴께요. 그리고, 싱가폴에서 직장 생활 10년 정도 한 사람의 평균 임금은 얼마나 될까요? 평균 생활 수준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지.. 아웅.. 정말 걱정이 태산입니다. 남편 연봉으로 어떤 생활을 할 수 있을런지.. 정말 너무 막막해서요.   > >많은 조언 부탁드릴께요.     

  • A

    월 3000불이면 얼마나 좋은 집을 얻으시려는지 ...  ㅋㅋㅋ 2천불내에서도 가능할겁니다. 제 친구 사는 콘도 보니까 괜찮은 시설에 수영장, 헬스장까 지 다 있는데도 (방3개) 1500불이면 충분히 구한다고 하더군요. 그마나 요즘 시세가 떨어 져서 변두리쪽이라면 1300에도 들어간다고 합니다. 저는 시내쪽이라서 HDB 방 2개짜리 쓰는데 1300불입니다. (주인은 없고 다른 한분과 아파트 통채로 씁니다만...) 걱정말고 오세요.     

Q

NO.117

기타싱가폴 전자제품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날래요(zzzut) 2003-12-11
추천수 : 8 조회수 : 1,346

싱가폴에서 노트북을 사서 쓰다가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한국이랑 싱가폴이랑 코드가 다르잖아요. 변환 어댑터 같은거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한국제품을 싱가폴에서 쓸때 필요한 어댑터는 싱가폴에선 쉽게 구할 수 있었는데 한국은 구하기가 어렵네요.. 미리 사올걸…

  • A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플러그 변환잭만 사시는 거구요,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노트북이 어뎁터와 전원과 연결하는 선이 분리되잖아요. 그 일반 전선만 구입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혹시 서울에 사시는 분이시라면 용산 선인상가에 가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20동인지 21동인지 헷갈리네요. >싱가폴에서 노트북을 사서 쓰다가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 >그런데 한국이랑 싱가폴이랑 코드가 다르잖아요. > >변환 어댑터 같은거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 >한국제품을 싱가폴에서 쓸때 필요한 어댑터는 >싱가폴에선 쉽게 구할 수 있었는데 >한국은 구하기가 어렵네요.. > >미리 사올걸 무지 후회하고 있습니다. ㅠ_ㅠ > >혹시 아시는 분 제발 가르켜 주세요~!!! > >     

  • A

    아니면 끝을 짤라버리고, 새로 달면 되지요 가까운 전업사에 가면 천원이면 새로 달 수 있어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플러그 변환잭만 사시는 거구요,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노트북이 어뎁터와 전원과 연결하는 선이 분리되잖아요. 그 일반 전선만 구입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 >혹시 서울에 사시는 분이시라면 용산 선인상가에 가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20동인지 21동인지 헷갈리네요. > >>싱가폴에서 노트북을 사서 쓰다가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 >>그런데 한국이랑 싱가폴이랑 코드가 다르잖아요. >> >>변환 어댑터 같은거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 >>한국제품을 싱가폴에서 쓸때 필요한 어댑터는 >>싱가폴에선 쉽게 구할 수 있었는데 >>한국은 구하기가 어렵네요.. >> >>미리 사올걸 무지 후회하고 있습니다. ㅠ_ㅠ >> >>혹시 아시는 분 제발 가르켜 주세요~!!! >> >> >     

Q

NO.111

기타싱에서 성당 다니시는 분 답 부탁드려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我是娜娜() 2003-12-02
추천수 : 97 조회수 : 1,819

안녕하세요 며칠 후 싱가폴 들어가는데요 이번 크리스마스 기간에 싱가폴에 있을 예정이라서요. 싱에서 성당 다니시는 분들, 한국인 성당 위치와 크리스마스 미사(24일, 25일) 예정시간 알고계시면 안내 좀 부탁드립니다 미사는 꼭 드려야하는데 아는 한국분이 없네요. 홈피에…

  • A

    The Cathedral of Good Shepherd Founded: 1832 현재 한국어미사가 봉헌되는 곳입니다. <span lang="ko"> A Queen Street, Singapore 188533 Tel : 6334-0105, Fax : 6337-9879 </span>Services Sat/Sun Mass 6:30pm (English) Sunday Mass 8:00am (English) Sunday Mass 10:00am (English) Sunday Mass 6:00pm (English) Sunday Mass 11:30am (Korean) 1st, 2nd and 3rd Sunday Sunday Mass 11:30am (Filipino) 4th Sunday Weekday Mass 7:00am (English) Monday to Saturday Weekday Mass 10:00am (Korean) Every Wednesday in Korean Weekday Mass 1:15pm (English) Monday to Friday (except Public Holidays) Weekday Mass 3:00pm (Korean) Every Saturday in Korean for children (except 1st Sat) 주임사제 : Rev.Fr. Adrian Anthony, 용영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님 Confessions(고해성사): 30 minutes before Mass *** 도움이 되시길...(성당위치를 다시 말씀드리면, 지하철 City Hall에서 내리시면 되고, 택시 타실 때는 성당이름을 대고 Bras Basah Road혹은 차임스(Chijmes)에서 내리시면 되요) *** 그리고, 성탄전야미사는 24일 자정에 있으며 장소는 틀립니다. 다시 알려드릴께요.     

Q

NO.110

기타회사설립관련 서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벤처인(sungoh07) 2003-12-01
추천수 : 46 조회수 : 1,658

안녕하세요? 어제 일요일에 회원가입을 한 후 질문을 올렸는데 지금 보니까 않올라 왔네요. 저는 한국에서 벤처회사에 다니는 사람인데 싱가포르에 현지법인 또는 지사를 설립하려고 하는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군요. Q1. 싱가포르에 저희 회사의 지사를 설립하려는데 자격요…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에 회사를 설립하신다니 참 반갑습니다. 답변은 아래의 질문 밑에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Q1. 싱가포르에 저희 회사의 지사를 설립하려는데 자격요건이 있는지요? 금년 1월에 회사를 설립하여서 아직까지 매출액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이유로 문제가 되는지요? 답변: 지사 설립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신설하신 회사이니 문제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Q2. 제가 알아보니 법인설립시 싱가폴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가 개입되어야 한다고 들었는데 한국분 중에서 설립 업무를 대행하며 이런 자격을 가진 분이 있는지요? 그리고 설립에 필요한 서류는 무엇이며 수속기간 및 비용은 얼마를 예상해야 하나요? 답변: 한국분중에 설립업무를  대행하시는 분이 계신지는 잘 모르겠으나, 보통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서 회사를 설립하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법인의 경우 준비하실 서류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기간, 비용등을 변호사와 상의 하셔야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Q3. 한국과 비슷하게 개인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경우 자격조건과 회사 설립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요? 이 경우도 싱가폴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가 필요한지요? 답변: 개인사업자로도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 경우에도 싱가폴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가 파트너가 되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에는 법인설립에 비해 간단한 서류들이 필요한데요, 아래의 RCB(Registry of Companies and businesses)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자세한 회사설립과 서류등에 대해 보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CB 홈페이지: http://www.rcb.gov.sg/ Q4. 지사 설립과 동시에 제가 싱가폴에 체류할 예정인데 이 경우 self employment로 EP 비자를 받을 수 있나요? 가족에 대한 비자도 동시에 발급되나요? 답변: 회사가 설립되면 회사이름으로 EP를 신청하실 수 있구요, 가족비자 또한 신청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촌 홈페이지 질문&답변(구1),(구2)에 들어가셔서 "회사설립"이라고 넣고 찾기를 하시면 유용한 정보들을 보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회사설립 잘 하시고 성공하는 기업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안녕하세요? > >어제 일요일에 회원가입을 한 후 질문을 올렸는데 지금 보니까 않올라 왔네요. >저는 한국에서 벤처회사에 다니는 사람인데 싱가포르에 현지법인 또는 지사를 >설립하려고 하는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군요. > >Q1. 싱가포르에 저희 회사의 지사를 설립하려는데 자격요건이 있는지요? 금년 1월에 >회사를 설립하여서 아직까지 매출액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이유로 문제가 되는지요? >Q2. 제가 알아보니 법인설립시 싱가폴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가 개입되어야 한다고 >들었는데 한국분 중에서 설립 업무를 대행하며 이런 자격을 가진 분이 있는지요? >그리고 설립에 필요한 서류는 무엇이며 수속기간 및 비용은 얼마를 예상해야 하나요? >Q3. 한국과 비슷하게 개인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경우 자격조건과 >회사 설립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요? 이 경우도 싱가폴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가 >필요한지요? >Q4. 지사 설립과 동시에 제가 싱가폴에 체류할 예정인데 이 경우 self employment로 >EP 비자를 받을 수 있나요? 가족에 대한 비자도 동시에 발급되나요? > >나라에 따라 회사 설립절차가 까다롭고 생소해서 전문적으로 자문을 해 주실 분이 >있으면 더욱 좋겠습니다. 수고하세요.     

Q

NO.107

기타숙박 관련 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교환 학생(dorainmong) 2003-11-30
추천수 : 10 조회수 : 1,132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해서 처음으로 글을 올리네요... 저는 지금 NUS에 교환학생으로 와있는 학생인데요. 다른게 아니라 제가 12월1일부터 기숙사가 퇴사라서 밖에서 지내야한답니다. 혼자서는 어떻게든 친구들 방에 빌붙어서(ㅡㅜ) 지낼 수 있을거 같은데... 제친구가 …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저렴한 숙소(배낭여행자용)로 New 7th story Hotel을 추천드립니다. 가격은 16불~73불까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사오니, 아래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원하시는 방을 선택하시고 미리 예약을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www.nsshotel.com/index.php3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해서 처음으로 글을 올리네요... >저는 지금 NUS에 교환학생으로 와있는 학생인데요. >다른게 아니라 제가 12월1일부터 기숙사가 퇴사라서 밖에서 지내야한답니다. > >혼자서는 어떻게든 친구들 방에 빌붙어서(ㅡㅜ) 지낼 수 있을거 같은데... >제친구가 12월 20일부터 22일날까지 싱가폴에 오거든요... >그래서 아무래도 숙박을 구해야하는데, >학생들이 싸게 묵을 수 있는 곳이 없을까요? > >한국분들이 하는 민박집이나 홈스테이 같은 것도 있나요? >있다면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려요~ >     

Q

NO.106

기타조언 부탁드립니다. (아이들 학교문제)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예정맘(fresh70) 2003-11-30
추천수 : 36 조회수 : 2,259

안녕하세요. 드디어 저희들도 12월중순에 입싱합니다. 첨엔 여유부렸는데 막상 가까워오니 무엇부터 해야할지 떨려오는군요. 사는거야 부족한대로 살겠는데 아이들 학교문제가 제일 걸립니다. 많이 힘드시겠지만 답변부탁드립니다. 한국나이 6살 8살이면 어떤 학년으로 학교에 들어가…

  • A

    저역시 같은 입장이라 반갑네요. 만만찮은 학비라 그래도 보낼만한 가치가 있는지 먼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때 어떨지. 더불어 중국어도 배울수 있는지. 많이 걱정되어서 혹시 정보있으면 제게도 나누어주세요. >안녕하세요. 드디어 저희들도 12월중순에 입싱합니다. >첨엔 여유부렸는데 막상 가까워오니 무엇부터 해야할지 떨려오는군요. >사는거야 부족한대로 살겠는데 아이들 학교문제가 제일 걸립니다. >많이 힘드시겠지만 답변부탁드립니다. >한국나이 6살 8살이면 어떤 학년으로 학교에 들어가야 하나요. >SAS는 학비가 너무 버거운데 그래도 보내면 진짜 좋은가요. >다른 국제학교는 어떤가요. >CIS,OFS,...... >혹 지금 보내고 계시는 부모님들이 계시면 정말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메일로 보내주시면 더욱 감사드리고요. >70fresh@hanmail.net 입니다. >이곳 한국은 비자금이다 특검이다 서민과는 상관없는 것 같은 >문제들만 가득하답니다. 외국인 노동자추방에 대한 여론도 >만만챦고요. 외국인 노동자가 이제 저의 입장이 될텐데.. >감사합니다. >     

  • A

    이곳의 외국학교학비는 사실상 그리 큰차이 없습니다. 싸고 비싸고 간에 반년에 천불내외의 차이이니까 로칼이 아닌 이상 학비를 기준한 선택은 큰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그보다는 내아이의 교육을 어느나라에서 끝낼것이냐 하는 긴 안목을 보고 선택을 하셔야 겠지요.  예를 들어 호주학교의 경우 학교는 시설도 좋고 여러모로 훌륭하지만 학제등이 우리가 선호하는 국가와 좀 차이가 난다던가 하는..또 아무리 작은 도시국가라고 하지만 어린아이가 너무 오래 스쿨버스를 타지 않도록 지역을 고려하셔야 하겠고요.  SAS는 대부분의 직장이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져있다는 게 좀 흠이지만 그 곳 가까운 곳에 사신담 문제없겠죠. 어린아이니까 따로 영어 테스트등이 없이 제학년을 찾아갈 수 있다면 SAS를 보내세요. 다들 좋다고 하는데 이유가 있겠죠. 나중에 망설이지 않으시도록. (오해 없으시도록..제 아인 다른학교입니다) 중국어에 대한 이야기 인데요.  사실 전 우리나라의 중국어 열풍을 납득하지 못합니다..이곳에와서 더욱 그런 생각입니다.  이곳 싱가폴의 중국인들도 잘 쓰지 않는(생활 중국어 정도..한문을 저 보다도 모름..그냥 학교과목의 하나니까 배운것 뿐이라고 함) 거의 고어화 되가고 있는 언어를 한국인들만 중국까지 가서 열심히 하는것 같더군요.  중국이 세계화 되가고 있다해도 그들이 중국어를 버리고 영어를 선택하게 되지 않을까요. 중국인들이 얼마나 영어를 잘하는데요..     외국인 노동자 신분이 되는것은 맞지만 고학력 전문직이건 저임금 노동자이건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는 이 세상에 없을테니 안심하시고요.. 평화로운 나라에 오시는 걸 환영합니다. >저역시 같은 입장이라 반갑네요. 만만찮은 학비라 그래도 보낼만한 가치가 있는지 >먼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때 어떨지. 더불어 중국어도 배울수 있는지. >많이 걱정되어서 혹시 정보있으면 제게도 나누어주세요. >>안녕하세요. 드디어 저희들도 12월중순에 입싱합니다. >>첨엔 여유부렸는데 막상 가까워오니 무엇부터 해야할지 떨려오는군요. >>사는거야 부족한대로 살겠는데 아이들 학교문제가 제일 걸립니다. >>많이 힘드시겠지만 답변부탁드립니다. >>한국나이 6살 8살이면 어떤 학년으로 학교에 들어가야 하나요. >>SAS는 학비가 너무 버거운데 그래도 보내면 진짜 좋은가요. >>다른 국제학교는 어떤가요. >>CIS,OFS,...... >>혹 지금 보내고 계시는 부모님들이 계시면 정말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메일로 보내주시면 더욱 감사드리고요. >>70fresh@hanmail.net 입니다. >>이곳 한국은 비자금이다 특검이다 서민과는 상관없는 것 같은 >>문제들만 가득하답니다. 외국인 노동자추방에 대한 여론도 >>만만챦고요. 외국인 노동자가 이제 저의 입장이 될텐데.. >>감사합니다. >> >     

  • A

    제가 이곳에서 현지인들과 얘기했던 것을 한번 말씀드리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하네요. 어찌보면 혼란만 더 가져올 수 있을지도... 우선 여기 현지인중 서민들과 얘기를 나눠보면(부유층이 아닙니다) Primary School(우리의 초등교과과정입니다)을 보낼때 궂이 인터네셔널스쿨에 보낼 필요가 전혀 없다고 강조를 하더군요. 간추려 얘기하면 인터네셔널스쿨의 학비는 엄청 비싸고, 로컬학교의 학비는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 이지만 이곳 싱가폴의 교과과정이나 교육방식 등을 교육선진국인 영국에서도 벤치마크할 정도로 아주 잘 되어 있다고 자랑스럽게 얘기를 합니다. 한사람은 자기 친척 중에 애들이 3명이 있는데 큰애는 인터네셔널스쿨에 멋모르고 보냈었고 나머지 두 애는 로컬에 보내는데 교육상 큰 차이를 못느꼈다고 했다 하더군요. (뭐 전해 들은 이야기이니만큼 100% 보장은 못하겠습니다만) 우리의 고등학교 교과과정이나 대학과정은 이곳 싱가폴에서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고등학교 교과과정부터 아에 호주나 영국으로 보내는 경우도 상당 수 있습니다. 그만큼 생활권이 이곳 싱가폴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얘기죠. 일례로 다른 나라 사람들은 자기 나라를 떠나면 향수병이 많이 생기지만 이곳 싱가폴 사람은 향수병에 잘 안걸린다는 우스게 소리가 있을만큼 나쁘게 말하면 애국심이 많이 떨어지는 그런 나라입니다. 그리고 중국어에 대해서 한말씀 더 드려야겠는데요. 제가 느낀바는 이렇습니다. 중국어라는게 방언이 엄청많고 그 방언들의 발음 자체가 틀리기 때문에 문자만 같은 다른나라 언어로 보는게 타당하다는 생각입니다. 여기 싱가폴의 주된 방언은 홍콩과 같은 Hokkien 쪽이 많은 편이구요. Kentonees도 상당 수 되는 형편이더군요.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 점은 중국 표준어라고 할 수 있는 Madarin(북경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아주 아주 많다는 점입니다. 비록 한자어를 쓰거나 읽지는 못할 망정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왜냐하면 싱가폴 정부에서 인정하는 4개의 국어중에 하나가 북경어(Mandarin)이기 때문에 방송에서도 그것을 사용하는 까닭입니다. 이런 상황하에서 중국에 가서 사업을 하기에는 커다란 장애 하나가 없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여기 싱가폴 사람들도(비즈니스맨, 샐러리-세일즈맨 들) 중국이 커나가고 시장이 커짐에 따라 시장개척 등에 대한 기대감과 실제로 일을 많이들 하고 있습니다. 중국으로 시장을 뚫기 위한 커다란 문제중의 하나가(실제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 문화의 차이점과, 언어의 문제입니다. 여기서 언어의 문제는 읽고 쓰는 문제가 아닌 단순히 의사전달만을 얘기해도 될 정도 입니다. 여기 싱가폴 사람들은 아직까지도 중국의 문화를 그대로 지니고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할 정도로 많이들 가지고 있고, 말(글이 아닌 말)을 통해 의사전달이 자연스럽다는 것을 생각하면 중국어를 우리나라에서 그리 신경쓰고 하는 것이 이곳에서는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중요한 거죠. 장래를 생각하면. 이래저래 주절 주절 말이 많았군요... 그럼.. >이곳의 외국학교학비는 사실상 그리 큰차이 없습니다. 싸고 비싸고 간에 반년에 천불내외의 차이이니까 로칼이 아닌 이상 학비를 기준한 선택은 큰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그보다는 내아이의 교육을 어느나라에서 끝낼것이냐 하는 긴 안목을 보고 선택을 하셔야 겠지요.  예를 들어 호주학교의 경우 학교는 시설도 좋고 여러모로 훌륭하지만 학제등이 우리가 선호하는 국가와 좀 차이가 난다던가 하는..또 아무리 작은 도시국가라고 하지만 어린아이가 너무 오래 스쿨버스를 타지 않도록 지역을 고려하셔야 하겠고요.  SAS는 대부분의 직장이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져있다는 게 좀 흠이지만 그 곳 가까운 곳에 사신담 문제없겠죠. 어린아이니까 따로 영어 테스트등이 없이 제학년을 찾아갈 수 있다면 SAS를 보내세요. 다들 좋다고 하는데 이유가 있겠죠. 나중에 망설이지 않으시도록. (오해 없으시도록..제 아인 다른학교입니다) >중국어에 대한 이야기 인데요.  사실 전 우리나라의 중국어 열풍을 납득하지 못합니다..이곳에와서 더욱 그런 생각입니다.  이곳 싱가폴의 중국인들도 잘 쓰지 않는(생활 중국어 정도..한문을 저 보다도 모름..그냥 학교과목의 하나니까 배운것 뿐이라고 함) 거의 고어화 되가고 있는 언어를 한국인들만 중국까지 가서 열심히 하는것 같더군요.  중국이 세계화 되가고 있다해도 그들이 중국어를 버리고 영어를 선택하게 되지 않을까요. 중국인들이 얼마나 영어를 잘하는데요..     >외국인 노동자 신분이 되는것은 맞지만 고학력 전문직이건 저임금 노동자이건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는 이 세상에 없을테니 안심하시고요.. >평화로운 나라에 오시는 걸 환영합니다. > >>저역시 같은 입장이라 반갑네요. 만만찮은 학비라 그래도 보낼만한 가치가 있는지 >>먼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때 어떨지. 더불어 중국어도 배울수 있는지. >>많이 걱정되어서 혹시 정보있으면 제게도 나누어주세요. >>>안녕하세요. 드디어 저희들도 12월중순에 입싱합니다. >>>첨엔 여유부렸는데 막상 가까워오니 무엇부터 해야할지 떨려오는군요. >>>사는거야 부족한대로 살겠는데 아이들 학교문제가 제일 걸립니다. >>>많이 힘드시겠지만 답변부탁드립니다. >>>한국나이 6살 8살이면 어떤 학년으로 학교에 들어가야 하나요. >>>SAS는 학비가 너무 버거운데 그래도 보내면 진짜 좋은가요. >>>다른 국제학교는 어떤가요. >>>CIS,OFS,...... >>>혹 지금 보내고 계시는 부모님들이 계시면 정말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메일로 보내주시면 더욱 감사드리고요. >>>70fresh@hanmail.net 입니다. >>>이곳 한국은 비자금이다 특검이다 서민과는 상관없는 것 같은 >>>문제들만 가득하답니다. 외국인 노동자추방에 대한 여론도 >>>만만챦고요. 외국인 노동자가 이제 저의 입장이 될텐데.. >>>감사합니다. >>> >>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