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308

사업/직장싱가폴 사람들 영어구사능력이 어느정도 인가요? 북유럽이…

  • 답글 : 10
  • 댓글 : 0
답변진행중
스웨덴에서싱가폴으로(clamp81) 2019-01-27
추천수 : 0 조회수 : 7,440

현재 북유럽에서 외노자로 있고 싱가폴 회사 중 하나에 서류통과 한 상태인대요 싱가폴 회사나 사람들의 영어구사능력 수준은 어느정도 인가요? 미국이나 영국 호주같은 완전 영어권 국가와 동일 한가요? 북유럽에서 거주중이고 제 회사도 메인언어가 영어인대 북유럽이나 네덜란드 애…

  • A

    로컬학교 교육이 영어로 이루어지니 네이티브 스피커 수준입니다. 다만 발음만 싱글리쉬일 뿐이지요. 그것도 좀 심한 사람들이 있고 아닌 사람들이 있고... 영어권 사람들과의 의사소통도 자유자재입니다. 북유럽과 비교하자면 훨씬 나을듯요.      

  • A

    싱가폴에서 태어나 교육받은 싱가포리언들은 영어가 가~~장 편한 모국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기에 중국어를 같이 배우기에 엑센트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네덜란드도 엑센트가 강한 사람들이 있듯이요... 싱가포리언들은 완벽한 중국어는 케바케이지만 완벽한 영어를 구사합니다. 여기엔 아무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잘하고 못하고보다는 북유럽에 영어를 잘 못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면 여긴 영어를 못하는 싱가포리언은 없다는 차이가 더 맞을 것 같아요. 영어만하면 싱가폴에서 살고 일하고 이직하는데 1도 문제 없습니다.       

  • A

    전반적으로는 발음을 제외하면 네덜란드랑 비슷하거나 더 잘하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미국/영국 등 네이티브하곤 아무래도 차이는 있습니다. 그리고 영어 실력이 사람마다 편차가 있기 때문에 잘 못하는 사람도 있기도 하지만 젊은 사람들 (10대 ~ 40대)은 대체로 잘 합니다. 근데 싱글리쉬 발음을 처음 들어보면 우리가 알던 영어 발음하고는 완전히 다를 거에요. 금방 익숙해지겠지만..  그리고 중국계 로컬이 많은 회사는 영어보다 중국어를 많이 사용하기에 소외감을 느낄 수 있을 거에요.       

Q

NO.3305

생활싱가포르 최소 생활비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낙지만원(goddang) 2019-01-21
추천수 : 0 조회수 : 5,591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국에서 싱가포르 해외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입니다. 다름아니라, 최근에 싱가포르 회사(물류/영업) 2군데에서 job offer를 받았고 어떤 쪽으로 선택해서 가야 할지 고민중입니다.   첫번째 회사는 한인 기업으로써 조건은 2000싱달…

  • A

    1. 최저생활비는 20대 30대 초반 싱글인 경우는 최대한 아낄 수 있는 상황이면 월 1300~1500 정도 되는 것 같긴 합니다. 주거비 600 + 교통비 100 + 통신비 100 + 식비 하루 20불 x 30 = 600 말 그대로 최저생활비 입니다. 인간이 밥만 먹고 사는건 아니잖아요. 음주와 흡연하고 택시타면 기하급수적으로 늡니다. 또 6개월에 한국 다녀오려면 추가적으로 100만원씩 듭니다. 아시겠지만.   2. 케이스바이 케이습니다. 이건 선배들 조언 잘 들으세요. 3. 싱가포르 대졸 초임은 평균 3500~4000 정도 합니다. 그런데 싱가포르 사람과 외국인 노동자 직접 비교 힘듭니다. 싱가포르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싸게 들여와서 쓰는 시스템이 잘 갖춰진 나랍니다. 외국인 청춘들의 젊은을 싸게 사는거죠. 이건 이 게시판 예전 글들 잘 찾아보세요. 여러 취업 분쟁과 갈등, 고민들 찾아볼 수 있을 겁니다. 4. 어려운 문제입니다. 계약 조건이 가장 중요하다는 글들을 이 게시판에서 잘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 A

    대졸 초임에 대해서 추가로 답변 드려요.    https://stats.mom.gov.sg/Pages/Graduate-Starting-Salary-Tables2017.aspx   여기서 H3. 참고 해보시면 알겠지만, 싱가포르 3개 대학의 2017년 초임 나타낸 표입니다.  NUS, SMU, NTU 문이과 졸업자 rough하게 평균내서 알려드리면, 3300 정도 입니다. 그리고, 이 3개 대학은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세계 랭킹에서도 꽤나 잘 쳐주는 대학들입니다.    물류직은 전세계에서도 유독 임금이 짠 편이기도 해서, 2500+a정도면 비경력직으로 처음 시작하는 경우에서는 어느정도 평균적인 offer일듯 합니다.    답변이 좀 두서 없어 졌는데 다시 말씀드리자면,    1. 싱가포르 대졸초임 자체는 높지 않다.  2. 그리고 상기 대학들은 싱가포르에서 초 일류 대학들임 3. 상대적으로 그보단 조금 낮을(이렇게 서열화 하는건 좀 말도안되긴 하지만, Ranking으로 매겨지는 in-out put을 참고했을때) 한국 대학졸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임금 수령예상(대졸 초임의 경우) 4. 경력직의 경우 필요 position이나 이전 경력, 현재 급여등을 바탕으로 협의, 상승폭 매우 큼 5. 그리고 초임이 낮게 시작하지만 4번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개개인이 본인 능력 여하에 따라, 이직 또는 내부에서 임금 상승을 시키는 편 입니다.    윗분 말씀처럼, 최저 생활비가 꽤나 비싼 나라인지라, 상대적인 임금은 외국인 입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누군가의 조언 보다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정보들 잘 모아놓고 본인이 판단하는게 제일 좋을듯 해요.  어떤 결정을 하든 건승하시길 바래요!      

Q

NO.3302

생활금요일밤 버스타고 말레이시아 국경 통과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papercity(jeon8408) 2019-01-16
추천수 : 0 조회수 : 1,585

안녕하세요.   설날 연휴를 맞아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 비행기 출발이 2월 2일 토요일 새벽 6시 40분에  쿠알라룸푸르 공항(KLIA) 출발이라 (싱가폴에서 가는 직항이 없는 곳으로 가서) 2월 1일 밤 10시에 싱가폴에서 KLIA 로 바로 가…

  • A

    제 경험상   가장 빠른 통과는   일반 버스가 아니라   시외 버스 (즉 싱가포르에서 KL 등으로 가는 버스) 였습니다. 우리 나라의 좌석 버스 ,시외 버스죠.   즉 1) 질문의 답변은 훨씬 더 빠르게 통과 입니다.   하지만 2) 질문에 언급하셨듯이 연휴라는 변수 때문에 평소보다는 더 걸릴 가능성이 있어 보이네요.   7시간은 조금 빠듯해 보이는데   왜냐면 비행기 1시간 전에는 체크인을 하셔야 하니까요.   혹시 버스 시간 변경이 가능하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1 채택답변
  • A

    상당히 위험합니다. 주로 저는 오후에 출발해서 하룻밤 자고 KL 센트럴에서 KLIA expres 첫차 5시 타고 5:30에 공항 도착해서 수속했어요. 어떤 버스인지 모르겠으나 쿠알라행 버스는 중간 경유지 많을수도 있고 특히 커스텀 통과시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 될거 같아요. 조호바루 벗어나면 5시간 정도면 공항 도착힐거 같긴 하네요.      

    1 채택답변
  • A

    위험해 보입니다.. 최근 말레이시아 친구가 저희 office에 입사해서 주말마다 SG-KL 왕복하고 있는데요. 이것저것 시도해 본다고 금요일밤 SG에서 저녁 7시반 버스 탔다가 다음날 새벽 4시반에 도착했다고 하더라구요.      

    1
Q

NO.3300

생활6개월 아기 Infant Cara 에 관해서..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사양이(sayanglee) 2019-01-15
추천수 : 0 조회수 : 1,006

안녕하세요 한국촌 회원님들~ 임신해서 이것저것 궁금한게 많아서 질문 많이했었는데, 벌써 출산하고 아기가 다음주면 6개월이에요.. 진짜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네요.. 4개월간의 출산휴가를 끝내고 현재 복직하여 일하고 있는데, 앞으로 아기를 어떻게 해야하나..또다른…

  • A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댓글 기능이 안되네요... 아이를 키우는 방식은 부모 철학이 가장 중요하고 그게 사람마다 너무 달라서 이런 글에 대해서 답변달기가 조심스럽지만... 아마 인펀트케어 한번 둘러보셨는지 여쭙고 싶네요.. 아마 둘러보셨다면 답은 이미 나왔을것 같아서요...관리 잘 되지 않아요...그냥 아이들 작은 침대에 가둬두는 정도예요... 세상에 백프로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인펀트케어가 그렇다고 말은 할 수 없겠죠..그렇지만 대부분이 그래요. 전 가장 후회하는게 그 어린나이에 호기심 많고 많이 안아줘야 하는 시기에 인펀트 케어 보낸점이예요. 저도 사정이 있었지만...암튼 그래요. 엄마가 못보는 상황이라면 하루종일 핸드폰만 보는 헬퍼라도. 헬퍼가 보는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1 채택답변
Q

NO.3298

사업/직장싱가폴에서의 직장생활 그리고 이직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냐옹냐옹(ldy5480) 2019-01-12
추천수 : 0 조회수 : 4,018

안녕하세요. 먼저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에게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저는 싱가폴에서 사립 대학교를 졸업 한 후 외국계 대기업에 취업하여 현재 3년째 근무중인 여성입니다. 전공은 business 였지만 워낙 general한 전공이기에 구…

  • A

    개략적으로 소개하자면 현실 속에서 승진/회사내 성장와 개인적 여유를 조화시킨다는 것에는 어려움이 많죠. 생각해보실 부분은 어느쪽에 우선순위를 먼저 두겠냐는 선택입니다. 20대에 대략 4000/월이라면 괜찮은 편인데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면, 회사내 교육지원제도도 알아보시고 (싱가폴소재회사의 직원 외부교육과 관련하여 싱가폴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들도 있읍니다), 아니면 야간학교에 다니시어 ; 본인이 생각하시는 경력/스펙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실 수가 있읍니다. 이 경우, "여유"는 약 10년후로 미루어 두시는 겁니다. 여유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면, 현재의 자리를 지키면서, 천천히 꾸준하게 싱가폴소재의 다른 다국적기업들에 지원하시면 됩니다. 여유를 가지고 접근하시면 언젠가는 기회가 옵니다. 대부분의 다국적기업 중간관리층은 2-3년 임기로 바뀌므로. 물론, "성장"은 기회가 올때까지 더디어 집니다. 그리고, 한국으로 돌아가셔서, 한국에서 외국계기업에 지원하는 방안 보다는 ; 싱가폴의 다국적기업에 취업하여 내부기회를 활용하여 한국지사로 발령받는 방안을 생각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러 환경 및 조건상 유/불리가 있읍니다.        

    1
  • A

    한국에서 외국계 회사에 다녔고, 다른 외국계 회사랑도 일하다 이직한 20대입니다.   국내기업만큼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국내의 외국계 회사들 대부분 업무 환경이 국내 기업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저는 일에 대한 욕심이 많아서 싱가폴에 왔으나 여유롭기만 하고 실제로 열정을 불태울(?) 곳은 아니라 생각이 들어서 회의감이 들기는 합니다.  물론 이 곳에 있다보니 여유로운 생활에 익숙해져서, 한국가서 다시 치열하게 살 수 있을 지 자신이 없어 아직 남아있긴 합니다. 커리어는 열심히 쌓고 싶은데 여유로운 삶도 포기하지 못한다는 것은 조금 모순이 있는 것 같아 치열하게 커리어를 쌓고 싶은 건지, 아니면 그냥 저냥 여유롭게 살고 싶으냐 중에 뭐가 더 중요한 지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이 곳에서도 치열하게 사는 사람들은, 열심히 (물론 워라밸을 어느정도 포기하고) 커리어를 쌓으며 살고 있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먼 미래에 한국에서 사는 것이 목표인지, 싱가포르에서 머무르는 것이 목표인지도 중요할 것 같네요 :)           

    1
Q

NO.3296

기타영주권 받을 수 있는 가능성

  • 답글 : 2
  • 댓글 : 7
답변완료
포영(kiwlove2u) 2019-01-10
추천수 : 0 조회수 : 4,597

답답해서 글 남겨요.. 남편이 PR 넣을 예정이고 과연 저희가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지.. 아님 가능성이 낮으니 빨리 포기하는게 맞는지 문의드려요. 남편은 작년 2월 중순쯤 싱가폴 지금 다니는 회사로 전근을 왔고 처음 비자는 WP였습니다. 이후 작년 10월~11월…

  • A

    영주권 결과를 어느 누가 알 수 있을까요....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님과 아이는 Citizen 혹 PR 의 배우자/아이가 아니기에 관광비자로는 PR 을 같이 신청 할 수 없습니다.  같이 신청하기 위해서는 님과 아이가 DP를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월급조건이 DP를 신청할 수가 없으니 안타깝네요... 남편분 홀로 PR 신청후 PR 승인시 PR 의 배우자로 PR 신청을 하실 수는 있습니다.  아이의 출산 여부를 떠나 남편분이 PR 신청을 먼저 진행하세요. 나올지 안나올지는 ICA 만 알아요.       

    6
  • A

    신청 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에 답변 주신 분께 죄송하지만 배우자 및 21세 이하의 자녀 동시에 지원 가능합니다.   Any person, who is working in Singapore on an Employment Pass or S Pass, may submit an application for permanent residence (PR) to the Immigration & Checkpoints Authority (ICA) for consideration. He/She may include his/her spouse and unmarried children under 21 years of age in the application. 절대 따로 신청하지마세요. 남편분 PR  승인이 난 후에 본인과 아이를 추가로 신청하거나 본인도 동시에 신청후 아기를 따로 신청하면 승인이 잘 안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가족이 동시에 신청하지 않으면 그 부분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출산 예정인 태아가 아들이라면 PR 되면 나이가 되면 싱가포르 군대도 가야합니다. 태아가 아들이라면 신중히 결정하셔야 합니다. 한국과 싱가포르 두 곳에 국방 의무가 생기는 것이라..   그리고 추가로 If you are a current work pass holder (Employment Pass, Personalised Employment Pass, EntrePass or S Pass), and have worked in Singapore for at least six months, you’ll be eligible to apply for Singapore PR (permanent resident) status. 최소 6개월 근무이지만 일반적으로 2년 후에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말이 있습니다. 현재 1년도 지나지 않은 상황이라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저도 PR 지원후에 심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지원자중 1인입니다. 싱가포르 체류 만 2년 되고 난후에 저(EP), 배우자 (DP) 및 자녀 (관광비자_신생아로 지원) 이렇게 총 3명 지원하였습니다.  저는 수 많은 정보를 찾아보고 ICA에 문의도 여러차례하며 장기간 준비를 하였습니다. 서둘러 지원해서 승인 확률이 가장 높다는 첫 지원서를 허비하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1년 정도 싱가포르에서 추가로 남편분이 근무하면서 연봉도 올리시고, 내년에 지원하시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올해 현 상태에는 종합적으로 힘들어 보입니다. 위에 분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ICA가 결정하는 부분이라 케바케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린 것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1 채택답변
Q

NO.3293

사업/직장다른나라에서 싱가폴로 이직하신 분들 비자는 거주권 대사…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스웨덴에서싱가폴으로(clamp81) 2019-01-07
추천수 : 0 조회수 : 3,085

글 보다보니 원칙적으로 비자심사기간이나 그럴때 혹은 관광비자로 구직은 불법이라고 봤는데요 비자인터뷰같은건 어떤식으로 하셨나요? 제가 현재 거주하는 나라같은 경운 한국에 거주하고 있어서 해당국 한국에 있는 대사관에서 인터뷰하고 비자에 필요한 서류냈거든요 그리고 거기도 …

  • A

    취업 형태 및 급여에 따라서 WP work permit 또는 EP employment pass가 발급됩니다. 취업이 결정되면 고용주가 알아서 필요한 서류를 보내라고 하고 서류시사를 통해서 승인되면  IPA  라고 승인레터 받고 입국하면 됩니다. 입국후 30 일이내에 이민국 가서 사진찍고 지문 채취하고 그러면 EP 카드가 발급됩니다., 대사관 인터뷰 필요 없습니다.      

  • A

    싱가폴의 취업비자는 절차상 대사관 인터뷰가 없습니다. 피고용인이 외국에 있는 경우 고용주가 고용결정을 하면 신청서 작성에 필요한 서류를 이메일로 제출하면고용주나 에이전트가 MOM에 신청을 할수 있습니다. 신청서의 심사가 끝나면 다음 절차인 지문과 사진등록을 위해 입국을 하며 이때 무비자 협정국가의 여행객이 불분명한 입국사유로 입국시 입국거절이 되는 사례도 있기때문에 비자승인이 나온사람은 IPA 절차승인서를 소지하고 안전하게 입국할수 있습니다. IPA는 비자 종류에따라 최소 2주에서 최대 6개월의 유효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이 기간안에 그 전의 모든것을 정리하고 오시면 됩니다. 고용비자를 내주는 곳은 MOM이지만 출입국은 ICA에서 관리를 하는데 ICA에서 입국이 거절되면 최소 2년 정도는 재입국이 힘들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하며 ICA에 어필해서 풀수는 있지만, 절차적으로 시간이 걸려 MOM에서 비자 승인이 나오더라도 입국거절 기록을 일정기간안에 풀지못해서 취업을 못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구직을 목적으로 입국을 하는것은 불법이 아니지만 확정된 직장이나 연고가 없는 사람이 90일을 체류하면서 불법 체류 노동이나 기타 불법적인 요소에 노출이 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입국시 거절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2010년 쯤에는 EPEC라는 구직 비자 제도가 있어서 당시에는 관광비자에서 고용비자 신청이 아예 되지 않았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그런제도가 없고 특히 한국인은 내국에서 WP신청이 가능하도록 변경되 어느정도는 외국인노동 비자가 완화 된것 같습니다. 다만 급여 상승률 대비 일부 비자의 최소 기본급 조건이 가파르게 오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모든 조건이 명확하다면 문제없이 입국하실수 있으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