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NO.239
싱가포르에서 대출을 받을 일이 생겼습니다. 고정금리(3.67%)와 유동금리(3.5%에서 출발)가 있는데 어느게 좋을까요? 유동금리로 하면 당연히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될텐데 싱가포르의 이자율 상황이 궁금합니다. 혹시 이쪽에 해박하신 분이 있으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
NO.238
제가 곧 싱가포르로 가게 됩니다 학생이고 싱가포르에서 대학교를 다닐 예정인데, 저 혼자서 가는 것이라, 말도 통하지 않고 싱가포르에 대한 정보도 미약한 탓에 계속 알아보고 있는 중인데요. 컴퓨터를 가져가서 인터넷을 쓸때 궁금증입니다. 1. 현재 쓰고있는 데스크탑을 가져…
1. 현재 쓰고있는 데스크탑을 가져가도 무난합니까? 전압등의 차이등? - 전압의 차이는 상관없습니다. 컴퓨터의 파워서플라이는 일본제품 등을 제외하면 거의 다 110/220, 50/60 겸용이라 세계 어느곳에서도 호환이 가능합니다. 다만 무게때문에 굳이 데스크탑을 가져올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만 ... 2. 데스크탑이 안좋다면 노트북을 사서 가져갈 생각인데요.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둘 중 아무거나 가져간다고 했을때 인터넷은 어떻게 설치 합니까? 노트북이면 무선인터넷도 가능합니까? 속도는 어느정도 나올까요?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설치를 하게 됩니까? 그리고 가격도 궁금하네요 - 인터넷 설치는 싱텔, 스타허브 등의 인터넷 업체에 가셔서 직접 신청하셔야 하며 비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학생비자가 나올 것 같으니 별다른 문제가 되지는 않겠네요. 그리고 무선인터넷은 라우터라는 기계가 있으면 사용가능한데 인터넷을 신규로 신청하시면 요즘은 다 공짜로 주는 추세이니 별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가격은 30-40불대에서 100불 이상까지 다양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상품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설치는 인터넷회사에서 와서 해주니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NO.237
한국에서는 약혼이 법적 효력을 지니지 않는데, 싱가포르에서는 약혼신고만 하는게 법적 효력이 있나요? 약혼과 혼인의 관계가 궁금하네요..
NO.236
벅스를 통해 MP3를 ipod으로 다운 받아듣고 있는데 저번주 부터 많은 곡들이 DRM 적용으로 바꿨더군요. 한국 사람이 한국 가요 주로 듣는데 apple은 인식 못하더라구요. 한국에선 삼성 MP3 면 DRM 다운 받아 듣는데 여기 싱가포르에서 삼성 MP3 사면 …
NO.235
안녕하세요. 많은 유학생들 중 적응을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예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학생이 많은 국제학교에서는 사고도 많이 일어나고, 공립학교에서는 심지어 왕따가 되어서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학생도 있습니다. 홈스테이 및 기숙사에서 문제가 발생…
NO.234
반도체 관련 논문집이나 혹은 책자는 어디에서 구입을 해야 하나요? 전문잡지를 구입하고 싶은데요. 어디가 마땅한지 모르겠습니다. 싱가포르에서 가장 권위있는 반도체 관련 잡지사나 혹은 관련 업체를 찾고 있습니다. 알고 계신분 있으면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NO.233
안녕하세요. 프로모션글귀에서 인용.... 많은 유학생들 중 적응을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예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학생이 많은 국제학교에서는 사고도 많이 일어나고, 공립학교에서는 심지어 왕따가 되어서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학생도 있습니다. 홈스테…
>안녕하세요. > >프로모션글귀에서 인용.... > >많은 유학생들 중 적응을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예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 >한국학생이 많은 국제학교에서는 사고도 많이 일어나고, >공립학교에서는 심지어 왕따가 되어서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학생도 있습니다. > >홈스테이 및 기숙사에서 문제가 발생되어 도중하차하기도 하지요.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조기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마땅히 믿고 맡길 만한 >곳을 찾지 못해 망설이시는 분들께 1년 장기 교환학생을 제안합니다. > >학생이 1년 동안 적응을 잘한다면 계속해서 유학생활을 해나가고, >그렇지 못하면 1년 후 자기 학년을 찾아가 한국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어 부모님들에게 >좋은 반응을 받으리라 생각됩니다. > >한국학생이 24%에서 7%로 줄어든 성프란시스 감리교 중고등학교 (St. Francis >Methodist School, 이하 SFMS)에서 중, 상급학생가운데 1년간 교환학생으로 공부할 >학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 >한국학생이 적은관계로 1반에 한국학생이 2명이 안된다고 합니다. > >한국학생이 많지 않아 자연스럽게 국제적 감각을 익히며 공부에 전념할 수 있고 >한국학생을 비롯한 외국학생들의 유학을 적극적으로 장려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즐겁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애쓰는 학교 중 하나입니다. > >본 학교는 1960년에 중학교로 출발하여 Mrs. H.T.Doraisamy에 의해 St. Francis 여자학 >교로 설립 되었으며, 1995년 싱가포르의 감리교 재단에 귀속되면서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여 지금의 St. Francis Methodist School 이 되었습니다. > > > > > >--------제가 보기엔 결국 사립학교 선전 같군요...ㅡㅡ;;
NO.232
알고 싶네요...혹시 있는지요...발도르프 학교라고도 한국에선 그러지요..저희 아이들은 11살과 9살 입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S로 식작하는 학교는 ... SEMBAWANG PRIMARY SCHOOL SENG KANG PRIMARY SCHOOL SHUQUN PRIMARY SCHOOL SI LING PRIMARY SCHOOL SINGAPORE CHINESE GIRLS PRIMARY SCHOOL SOUTH VIEW PRIMARY SCHOOL ST. ANDREWS JUNIOR SCHOOL ST. ANTHONYS CANOSSIAN PRIMARY SCHOOL ST. ANTHONYS PRIMARY SCHOOL ST. GABRIELS PRIMARY SCHOOL ST. HILDAS PRIMARY SCHOOL ST. JOSEPHS INSTITUTION JUNIOR ST. MARGARETS PRIMARY SCHOOL ST. STEPHENS SCHOOL STAMFORD PRIMARY SCHOOL 아마도 싱가폴에는 없는것 같네요. 학교가 아니라 학원 일수도 있습니다...체크 잘하시고 보네삼
있긴 있었습니다. 저는 아이 유치원 알아보다가 발도르프교육을 하는 곳 정보를 읽어 봤어요. 학교라기보다는 센타..정도 였던거 같아요. 저도 전화로 문의를 한게 아니고 인터넷에서 조사하다가 글을 읽은거고..또 몇달전이라 지금은 기억이 잘안나는데요. 싱가폴 동쪽지역에 있었구요.. 특별히 돈을 내는게 아니라 엄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필요로 하는 곳이었어요. 저희 아이는 3살된아이라서 그 아이의 초점에 맞춰 봤었는데.. 큰아이들의 경우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다른 나라처럼 체계적인 학교는 아니었던것 같았습니다. 시범적으로 운영하는것 같았어요. 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말이죠. 예를 들면 그곳엔 메이드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오는걸 반대했구요. 엄마들이 꼭 와야한다고 했어요. 그리고 왠만한 수업준비물은 엄마들이 준비하는것 같았구요. 아무래도 싱가폴은 아직 이런교육은 엄마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듯해 보였어요. 야후 싱가폴에서 "발도르프"로 검색해서 알아봤던것 같아요. 한번 관심있으시면 알아보세요.^^ >알고 싶네요...혹시 있는지요...발도르프 학교라고도 한국에선 그러지요..저희 아이들은 11살과 9살 입니다...감사합니다.
NO.231
제가 입싱 하기 전에~ 노트북 하나 준비해서 갈려구 합니다 . 싱가포르에서 a/s 가 가장 활성화된 컴퓨터 회사좀 알려 주세요~~~~ 전 apple노트북이 끌리거든요 근데 싱가폴에서도 apple a/s 가 활성화 됬는지두 궁굼하구요 ㅎ 괜한 낭폐 보기 싫어서…
NO.230
NO.229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얼마…
Hi, Maybe you can ask this question here... http://cafe.naver.com/singframe.cafe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 >얼마전에 전문잡지를 보니 D70s가 590불 가량 하더라구요. > >아무래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조금 싼 듯하여 > >용돈을 모아서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 >그래서 고수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 >여기서 D70s나 D80, D50, D40 등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 >만약 구입한다면 어떤 종류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풍경과 사람, 간혹 접사도...좋아합니다) > >본체외에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후레쉬, 렌즈 등등) > >어디서 사는 것이 좋을까요? >(현재로서는 차이나타운 파고다 스트리트 입구쪽이나 럭키프라자, 오차드 프라자가 >눈에 띄더군요) > >기타 조언해주실 게 있으면 어떤 내용이든 대환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구입에 관한 것만 답변 드리겠습니다. 전자제품은 심림 스퀘어에서 보다 저렴하게 구입 가능합니다. 물론, 미리 가격을 확인하고 흥정을 조금 해야합니다. 정가는 베스트덴키 등에서, 실거래가는 다나와 등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적당히 참고 하시면 됩니다. (대략 다나와 최저가 < 실구매 가능가 < 정가, 이렇습니다.) 혹 심림에 갈 여건이 되지 않으신다면 럭키 플라자를 포함한 오차드 로드 주변 상점만큼은 피할것을 권해 드립니다. (바가지 안쓰면 다행입니다.)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 >얼마전에 전문잡지를 보니 D70s가 590불 가량 하더라구요. > >아무래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조금 싼 듯하여 > >용돈을 모아서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 >그래서 고수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 >여기서 D70s나 D80, D50, D40 등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 >만약 구입한다면 어떤 종류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풍경과 사람, 간혹 접사도...좋아합니다) > >본체외에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후레쉬, 렌즈 등등) > >어디서 사는 것이 좋을까요? >(현재로서는 차이나타운 파고다 스트리트 입구쪽이나 럭키프라자, 오차드 프라자가 >눈에 榮超봇? > >기타 조언해주실 게 있으면 어떤 내용이든 대환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인도네시아 바탐(D70, Nikkor 70-200mm F2.8) - 아는 사람 얼굴 안나온게 이거밖에-_-;; 여기에 얼마나 머무를것인지 모르겠네요. 서비스 생각하면 한국 들어가서 사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으나 그래도 추억은 돈으로 바꿀 수 없죠 ^^ 어떤걸 사야할지는 http://www.slrclub.com 를 추천드립니다(한국 사이트) 렌즈의 구입을 생각하면 왠만하면 Nikon이나 Cannon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렌즈나 플래쉬는 기본적인 것만 구입하시구. 차차 필요에 따라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괜히 처음부터 사실 필요는 없구 필요에 따라 구입하시면 됩니다) 보통 body, 50mm F1.8단렌즈 & 표준 줌 렌즈 1개 정도 구입해서 열심히 가지고 노시다 보면 렌즈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돈 많으시면 각 회사에서 유명한 몇개의 렌즈 군들이 있습니다. 위의 사이트 글 읽어보시면 대충 보입니다. 그리고 각사의 최고사양의 플래쉬 후회는 없죠 ^^) 카메라 구입 : 저는 여기와서 Simlim square에 가서 탐론 17-50 렌즈를 하나 샀습니다. 1층에 렌즈만 파는 곳에 가서 650달라는거 550에 샀습니다 ^^; (한국에서 내수 렌즈 사는 수준이죠) 그런데 여기에 사진 관련 일하는 지인의 추천을 들으니 Simlim squre는 가지 말고 Funan center앞 건물에 렌즈와 카메라를 전문적으로 판다고 그곳을 추천하더군요. 가격은 한국 비교사이트에서 최저가를 미리 알아두고 가서 사세요. 그리고 tax관련해서도 미리 확인하시구요. 정리 : 어떤거? : www.slrclub.com에서 사진을 보면서 nikon과 cannon중 마음에 드는 적당한 body를 고른다. 렌즈는 저렴한 50mm F1.8(10만원대 초중반)과 탐론 17-50 F2.8(30만원 중반)을 추천. 어디서? : Funan center앞쪽 전문몰(건물) 추천~ (한국가서 서비스 받으려면 꼭~ 영수증을 보관하세요 ^^)
NO.228
싱가포르에서 토익 시험 보신 분 혹시 계신가요? 한번 보고 싶은데 싱가포르는 토익이 그닥 인기가 없나봐요. 서점에 가도 토익책은 찾기가 정말 하늘의 별따기인거 같드라구요. 싱가포르 토익 웹싸이트는 알고 있는데요, 궁금한 점은 응시료는 어디서 내는지, 시험은 어디서 보…
http://www.toeic.com.sg/contactUs.html 여기서 온라인으로 등록하시고 신용카드나 net으로 결제하시면 장소가 결정되어 최소 시험 일주일 전에 메일이 옵니다 한국과 다르게 한달에 두세번 볼 수 있고 성적은 이주만에 나온답니다 보통 시내 전철역 근처에서 시험본답니다 결제가 잘 안되면 메일이나 전화로 문의하세요 저는 그날 웹사이트 공사중이던가,, 결제가 잘 안되어 탄종파가에 직접 가서 결제했어요 테스트 비용은 $80 이에요 한국보다 비싸죵. 싱가폴에서는 IELTS를 요구하고 토익점수는 봐주지 않는 편이지만 말레이나 일본 한국 등에서 필요한 이유로 학생들이 이곳에서 시험을 보고 성적표를 본국에 가져가기 때문에 토익센터를 운영하는거라고 하더군요 저도 등록하고 시험날 기다려요. 달달달... >싱가포르에서 토익 시험 보신 분 혹시 계신가요? > >한번 보고 싶은데 싱가포르는 토익이 그닥 인기가 없나봐요. >서점에 가도 토익책은 찾기가 정말 하늘의 별따기인거 같드라구요. >싱가포르 토익 웹싸이트는 알고 있는데요, >궁금한 점은 응시료는 어디서 내는지, >시험은 어디서 보는지, >여기서 받은 성적도 나중에 써먹을 수 있는지 궁금해서요. > >경험있으신 선배님 계시면 친절한 답변 기다릴께요. >
NO.227
제목에 나열된 회사들은 life science분야에서 그 이름을 떨치고 있는 회사들입니다. 기기를 구입하려고, 위 회사들과 컨택을 하고 있습니다만, 모두 비슷한 스펙의 제품들을 보유하고 있어, 현지에서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자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어떤회사는 어…
NO.226
미국 T-Mobil Phone (Motorola PEBL) 싱가포르에서 그대로 사용가능 한가요? 저희가 9월 부터 싱가포르에 살게 되어서요.. 지금 쓰고 있는 폰을 처분하고 가야할지 어쩔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저도 미국에서 T-Mobil Phone을 썼었어요. 소니에릭슨이랑 모토롤라...폰은 가져오셔서 Top-up카드(18불) 심을 넣으면...다 쓸수있습니다. 근데 Lock을 풀어야하더라구요. 제경우는 소니 폰은 심림센터(싱가폴)에 가서 2-30싱달러정도 내고 풀었고, 모토롤라는 미국에서 그런 일을 하는...아는 사람이 Free로 풀어줬어요.(이것도 싱가폴에서 2-30싱달러로 가능할것 같은데요) 이곳에선 새폰이나 중고폰 값이 좀 비싼것 같던데... 하지만 1-2년이상 특정 라인(싱텔, 스타허브)을 계약하면 프리폰을 받던가 좀 덜 비싸게 폰을 살수있구요.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 >미국 T-Mobil Phone (Motorola PEBL) 싱가포르에서 그대로 사용가능 한가요? > >저희가 9월 부터 싱가포르에 살게 되어서요.. >지금 쓰고 있는 폰을 처분하고 가야할지 어쩔지.. > >답변 부탁 드립니다..
NO.225
안녕하세요 이곳을 샅샅이? 읽어보았으나 궁금한 점이 많아서 질문드림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가 외국계 대기업입니다. 이번에 퇴직을 한다고 하니 싱가폴 아시아본부에서 일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제가 관심을 보이니 너무 일이 빨리 진행되는군요.. --; 저는…
저도 신랑이 싱가폴 외국계 대기업에 입사해서 가게 될꺼 같아서 좀 알아봤네요.. 알아본거 기준으로 아는것만 썼습니다.걍 참고만 하시길.. ^^;; USD로 4만이면 6만SGD 조금 넘네요.. 집은 하우징 서포트라고 하면 되지 않나요? 찾아보면 대부분 집을 지원해준다곤 하던데.. 제 신랑 회사는 집값 따로 지원없구요. 기본급을 좀 많이 주더군요. 그게 그거죠 머.. ^^:; 텍스는 8.5%인거 같은데 확실치는 않아요. 8만이하면 무조건 8.5%인건지.. 한국의 소득세와 비교하자면 비슷한거 아닌가요.. 게다가 한국은 국민연금이나 의료보험 고용보험 주민세등..합치면..더 쌔지죠. 근데 외국계 대기업이면 의료보험 100% 해주실테고..외국인이라 국민연금은 없을꺼고 여기는 딱 정해진 8.5%(가정)만 내면 되는거라 더 낮다고 봐야겠죠.. 2년차 캘리포니아 기준으로 하면 업종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아주 고연봉을 받는 직업을 빼고는 4.5-5만USD정도 줄겁니다. 집을 포함해서 생각하면 미국에서 사람 뽑는거보다 인컴이 더 올라가니.. 기본연봉이 좀 낮아지더군요. 한국만큼 저축 못해도 해볼만 하다 생각됩니다. 같은회사라 커리어에는 큰 차이가 없더라도..머 외국 생활도 잠시 해봐도 좋을꺼구요~ 집을 지원해준다면..결혼해서 2인가족 기준 생활비는 충분히 되겠는데요. 계산해보니..제가 책정해놓은 생활비보다는 좀 더 나오시네요.. ^^;;; >안녕하세요 > >이곳을 샅샅이? 읽어보았으나 궁금한 점이 많아서 질문드림니다. > >제가 다니는 회사가 외국계 대기업입니다. 이번에 퇴직을 한다고 하니 싱가폴 아시아본부에서 일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제가 관심을 보이니 너무 일이 빨리 진행되는군요.. --; > >저는 단지 싱가폴이 우리나라보다 살기 좋고 생활비도 비슷하지 않을까 단순히 생각하고 말한건데 생각보다 빡시군요. 특히 집값이 말이죠. > >이제 Hiring manager한테서 전화가 올텐데 연봉협상과 기타 복지? 사항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하는데 도움 부탁 드림니다. > >1. 저는 지금 경력 2년차로, 싱가폴쪽에서는 base salary로 4만 USD를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받는 것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집값이 한달에 근 100이 나가는 거 같은데, 제가 과연 얼마나 저축을 할 수 있을지.. > >2. 회사지원금. 이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외국인을 고용할때 집값보조금 같은 것을 매달 내어 주는것이 일반적일까요? 이곳에 비슷한 질문을 남기신 분들은 경력이 좋으셔서 회사에서 특별히 대우하는 것인지.. 그리고 "집렌트보조금" 을 싱가포르에선 무어라고 말해야 잘 알아들을지 알고싶습니다(지역마다 표현방법이 다른거 같아서요) > >3. 비자종류. 물론 회사에서 알아서 해 주겠지만 일단 종류를 알아야 좀 유리한 조건의 비자를 달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좀더 검색을 하면 나오겠지만 당장 오늘내일 전화가 올 예정이라. > >4.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 싱텔 홈피에가니 무선인터넷 서비스도 있는거 같던데 plan이 잘 이해가 안되더군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의 회사와 종류가 무엇이 있을까요. 가격에 비해 품질은 별로라고 듣긴 했는데. > >5. 세금. 우리나라보다 세금이 쎄다고 들었습니다. 세금과 기타등등을 보통 몇 %나 떼어가는지... > >거의 날로 먹는듯한 질문만 했네요. 나중에 정리해서 저같은 초보를 위한 가이드로 남기겠습니다. :) >갑작스러운 제안에 별생각없이 승낙했다가 알아보면서 점점 고민이 되네요. ㅜㅜ. (원래는 싱가폴가면서 결혼도 하려 했건만..)
정말 친절하신 답변 감사드림니다. :) 오늘 대략 전화로 이야기 해보니 집세지원안해주고, 연봉도 7천정도 낮아졌습니다 :( 경험삼아서 갈려고 생각은 하고 있으나, 오래는 못있겠어요. 한 1-2년만 있어야 할것 같아요. 저도 계산을 해보니 생활비는 되는데 저축은 한국보다 못할거 같아요. 그쪽에서도 연봉도 작고 집세도 안준다니 안올까 걱정되던지? 집값이 비싸다는 이야기와 집종류와 가격대등을 먼저 말하더군요. 안물어봤는데.. 최종 샐러리 컨펌시에 집값도 좀 고려는 해주겠다는데 뭐 별 기대는 안하고 있습니다. 이거 싱가 가서 결혼하려 했더니 여친도 싱가폴에 취직을 시켜야 하겠어요 ㅜㅜ 몽님도 잘 되시길. 답변 정말 감사드려요. >저도 신랑이 싱가폴 외국계 대기업에 입사해서 가게 될꺼 같아서 좀 알아봤네요.. >알아본거 기준으로 아는것만 썼습니다.걍 참고만 하시길.. ^^;; >USD로 4만이면 6만SGD 조금 넘네요.. >집은 하우징 서포트라고 하면 되지 않나요? >찾아보면 대부분 집을 지원해준다곤 하던데.. >제 신랑 회사는 집값 따로 지원없구요. 기본급을 좀 많이 주더군요. >그게 그거죠 머.. ^^:; >텍스는 8.5%인거 같은데 확실치는 않아요. >8만이하면 무조건 8.5%인건지.. >한국의 소득세와 비교하자면 비슷한거 아닌가요.. >게다가 한국은 국민연금이나 의료보험 고용보험 주민세등..합치면..더 쌔지죠. >근데 외국계 대기업이면 의료보험 100% 해주실테고..외국인이라 국민연금은 없을꺼고 >여기는 딱 정해진 8.5%(가정)만 내면 되는거라 >더 낮다고 봐야겠죠.. > >2년차 캘리포니아 기준으로 하면 업종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아주 고연봉을 받는 직업을 빼고는 4.5-5만USD정도 줄겁니다. >집을 포함해서 생각하면 미국에서 사람 뽑는거보다 인컴이 더 올라가니.. >기본연봉이 좀 낮아지더군요. >한국만큼 저축 못해도 해볼만 하다 생각됩니다. 같은회사라 커리어에는 >큰 차이가 없더라도..머 외국 생활도 잠시 해봐도 좋을꺼구요~ >집을 지원해준다면..결혼해서 2인가족 기준 생활비는 충분히 되겠는데요. >계산해보니..제가 책정해놓은 생활비보다는 좀 더 나오시네요.. ^^;;; > > > > > >>안녕하세요 >> >>이곳을 샅샅이? 읽어보았으나 궁금한 점이 많아서 질문드림니다. >> >>제가 다니는 회사가 외국계 대기업입니다. 이번에 퇴직을 한다고 하니 싱가폴 아시아본부에서 일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제가 관심을 보이니 너무 일이 빨리 진행되는군요.. --; >> >>저는 단지 싱가폴이 우리나라보다 살기 좋고 생활비도 비슷하지 않을까 단순히 생각하고 말한건데 생각보다 빡시군요. 특히 집값이 말이죠. >> >>이제 Hiring manager한테서 전화가 올텐데 연봉협상과 기타 복지? 사항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하는데 도움 부탁 드림니다. >> >>1. 저는 지금 경력 2년차로, 싱가폴쪽에서는 base salary로 4만 USD를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받는 것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집값이 한달에 근 100이 나가는 거 같은데, 제가 과연 얼마나 저축을 할 수 있을지.. >> >>2. 회사지원금. 이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외국인을 고용할때 집값보조금 같은 것을 매달 내어 주는것이 일반적일까요? 이곳에 비슷한 질문을 남기신 분들은 경력이 좋으셔서 회사에서 특별히 대우하는 것인지.. 그리고 "집렌트보조금" 을 싱가포르에선 무어라고 말해야 잘 알아들을지 알고싶습니다(지역마다 표현방법이 다른거 같아서요) >> >>3. 비자종류. 물론 회사에서 알아서 해 주겠지만 일단 종류를 알아야 좀 유리한 조건의 비자를 달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좀더 검색을 하면 나오겠지만 당장 오늘내일 전화가 올 예정이라. >> >>4.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 싱텔 홈피에가니 무선인터넷 서비스도 있는거 같던데 plan이 잘 이해가 안되더군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의 회사와 종류가 무엇이 있을까요. 가격에 비해 품질은 별로라고 듣긴 했는데. >> >>5. 세금. 우리나라보다 세금이 쎄다고 들었습니다. 세금과 기타등등을 보통 몇 %나 떼어가는지... >> >>거의 날로 먹는듯한 질문만 했네요. 나중에 정리해서 저같은 초보를 위한 가이드로 남기겠습니다. :) >>갑작스러운 제안에 별생각없이 승낙했다가 알아보면서 점점 고민이 되네요. ㅜㅜ. (원래는 싱가폴가면서 결혼도 하려 했건만..) >
이런..연봉도 낮아지고 집도 지원안해주면...힘들겠네요.. 저희도 오퍼를 받고 이리저리 알아보고 계산해보니.. 한국보다 저축은 못 하겠더라구요.. 근데..머 집도 한국보다 좀 넓을꺼고..헬스클럽 돈 안들고.. 한국에서 전세 살돈 정기예금 넣어놓으면 이자도 집 월세 커버 조금은 할수 있어서.. 싱가폴로 가기로 했네요.. 아기 키우기에도 좀 낳을꺼 같기도 하구요.. 대신 이것저것 정착비가 또 들긴 하지만요.. 이리저리 잘 따져보시고 회사랑 딜도 잘 하셔서 좋은 결정 하시기 바랍니당~ ^^ >정말 친절하신 답변 감사드림니다. :) > >오늘 대략 전화로 이야기 해보니 집세지원안해주고, 연봉도 7천정도 낮아졌습니다 :( >경험삼아서 갈려고 생각은 하고 있으나, 오래는 못있겠어요. 한 1-2년만 있어야 할것 같아요. 저도 계산을 해보니 생활비는 되는데 저축은 한국보다 못할거 같아요. >그쪽에서도 연봉도 작고 집세도 안준다니 안올까 걱정되던지? 집값이 비싸다는 이야기와 집종류와 가격대등을 먼저 말하더군요. 안물어봤는데.. 최종 샐러리 컨펌시에 집값도 좀 고려는 해주겠다는데 뭐 별 기대는 안하고 있습니다. >이거 싱가 가서 결혼하려 했더니 여친도 싱가폴에 취직을 시켜야 하겠어요 ㅜㅜ >몽님도 잘 되시길. >답변 정말 감사드려요. > >>저도 신랑이 싱가폴 외국계 대기업에 입사해서 가게 될꺼 같아서 좀 알아봤네요.. >>알아본거 기준으로 아는것만 썼습니다.걍 참고만 하시길.. ^^;; >>USD로 4만이면 6만SGD 조금 넘네요.. >>집은 하우징 서포트라고 하면 되지 않나요? >>찾아보면 대부분 집을 지원해준다곤 하던데.. >>제 신랑 회사는 집값 따로 지원없구요. 기본급을 좀 많이 주더군요. >>그게 그거죠 머.. ^^:; >>텍스는 8.5%인거 같은데 확실치는 않아요. >>8만이하면 무조건 8.5%인건지.. >>한국의 소득세와 비교하자면 비슷한거 아닌가요.. >>게다가 한국은 국민연금이나 의료보험 고용보험 주민세등..합치면..더 쌔지죠. >>근데 외국계 대기업이면 의료보험 100% 해주실테고..외국인이라 국민연금은 없을꺼고 >>여기는 딱 정해진 8.5%(가정)만 내면 되는거라 >>더 낮다고 봐야겠죠.. >> >>2년차 캘리포니아 기준으로 하면 업종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아주 고연봉을 받는 직업을 빼고는 4.5-5만USD정도 줄겁니다. >>집을 포함해서 생각하면 미국에서 사람 뽑는거보다 인컴이 더 올라가니.. >>기본연봉이 좀 낮아지더군요. >>한국만큼 저축 못해도 해볼만 하다 생각됩니다. 같은회사라 커리어에는 >>큰 차이가 없더라도..머 외국 생활도 잠시 해봐도 좋을꺼구요~ >>집을 지원해준다면..결혼해서 2인가족 기준 생활비는 충분히 되겠는데요. >>계산해보니..제가 책정해놓은 생활비보다는 좀 더 나오시네요.. ^^;;; >> >> >> >> >> >>>안녕하세요 >>> >>>이곳을 샅샅이? 읽어보았으나 궁금한 점이 많아서 질문드림니다. >>> >>>제가 다니는 회사가 외국계 대기업입니다. 이번에 퇴직을 한다고 하니 싱가폴 아시아본부에서 일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제가 관심을 보이니 너무 일이 빨리 진행되는군요.. --; >>> >>>저는 단지 싱가폴이 우리나라보다 살기 좋고 생활비도 비슷하지 않을까 단순히 생각하고 말한건데 생각보다 빡시군요. 특히 집값이 말이죠. >>> >>>이제 Hiring manager한테서 전화가 올텐데 연봉협상과 기타 복지? 사항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하는데 도움 부탁 드림니다. >>> >>>1. 저는 지금 경력 2년차로, 싱가폴쪽에서는 base salary로 4만 USD를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받는 것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집값이 한달에 근 100이 나가는 거 같은데, 제가 과연 얼마나 저축을 할 수 있을지.. >>> >>>2. 회사지원금. 이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외국인을 고용할때 집값보조금 같은 것을 매달 내어 주는것이 일반적일까요? 이곳에 비슷한 질문을 남기신 분들은 경력이 좋으셔서 회사에서 특별히 대우하는 것인지.. 그리고 "집렌트보조금" 을 싱가포르에선 무어라고 말해야 잘 알아들을지 알고싶습니다(지역마다 표현방법이 다른거 같아서요) >>> >>>3. 비자종류. 물론 회사에서 알아서 해 주겠지만 일단 종류를 알아야 좀 유리한 조건의 비자를 달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좀더 검색을 하면 나오겠지만 당장 오늘내일 전화가 올 예정이라. >>> >>>4.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 싱텔 홈피에가니 무선인터넷 서비스도 있는거 같던데 plan이 잘 이해가 안되더군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혹은 무선인터넷의 회사와 종류가 무엇이 있을까요. 가격에 비해 품질은 별로라고 듣긴 했는데. >>> >>>5. 세금. 우리나라보다 세금이 쎄다고 들었습니다. 세금과 기타등등을 보통 몇 %나 떼어가는지... >>> >>>거의 날로 먹는듯한 질문만 했네요. 나중에 정리해서 저같은 초보를 위한 가이드로 남기겠습니다. :) >>>갑작스러운 제안에 별생각없이 승낙했다가 알아보면서 점점 고민이 되네요. ㅜㅜ. (원래는 싱가폴가면서 결혼도 하려 했건만..) >> >
NO.224
1) 2월에 노트북과 여권을 함께 분실을 당해서 다시 재발급을 받은 후 현재는 EP를 받아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몇번 말레이시아를 다녀 왔는데 싱가포르 이민국에서 항상 차에서 저만 내리라고 하더라구요. 내려서 자전거 탄 사람 따라 가면 Head …
NO.223
만약 싱가포르 이민국으로부터 영주권 허가 통지서를 받기전에 회사에 퇴사의사를 통보하고 회사에서 퇴직하기 전에 영주권 허가 통지서를 받은 경우 회사에서 받아야 하는 서류에 싸인을 받을 수 있는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NO.222
신랑이 2달일정으로 싱가포르로 출장갑니다.. 그래서..저도 1~2달정도 같이 갈려고 하는데요~~ 근데, 신랑이 출장을 가는거기 때문에. 숙소는 호텔에 묵게 될꺼 같거든요.. 그럼 저 혼자 호텔에 있게 되는건데.. 호텔이다 보니, 뭐 딱히 할게 없을꺼 같아서요.. 음식…
쪽지보세요..ㅋㅋ >신랑이 2달일정으로 싱가포르로 출장갑니다.. >그래서..저도 1~2달정도 같이 갈려고 하는데요~~ >1~2달정도 가게 되면 따로 비자같은거 받아야 하나요? > >그리고, 신랑이 출장을 가는거기 때문에. >숙소는 호텔에 묵게 될꺼 같거든요.. >그럼 저 혼자 호텔에 있게 되는건데.. >호텔이다 보니, 뭐 딱히 할게 없을꺼 같아서요.. >음식조리도 못하구, 컴도 없을꺼구.. > >2달정도 제가 거기서 할수 있는 게 없을까요? >학원비가 싸다면.. 영어수업이라도 듣고 싶은데^^ >신혼이라 신랑을 따라가긴 해도.. 막막하네요.. >혼자 2달동안 있을 생각하니..^^ 영어도 완전 안되는데 말이죠.. >
NO.221
안녕하세요. 싱가폴 국립대에서 tuition 는 grant를 받으며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tuition grant는 학비의 70%를 싱가포르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제도인데요, 대신 졸업후 3년간 싱가포르나, 싱가포르 국적의 회사에서 직장을 잡아 일을 해야합니다…
NO.220
자동차를 좀 좋아 하는데요 한국 장안평처럼 용품이나 부품같은거 살수있는 샾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관련일도 그쪽이라 공부도 많이 될것 같구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늦었지만 확인하시길 바라며 드립니다. 알렉산드라로드 쪽에 신차 전시장 쫙 깔렸구요,용품이나 부품은 이께아 사거리 부킷머라 쪽 상가뒤에 많이 있던데요. 이께아 사거리에서 버스 내리면 퀸즈웨이 쇼핑센터 건너편에 로컬 상가가 있어요. 그 상가 뒤로 들어가 보세요. 모두 자동차 관련 샵이던데요. 도움이 된다면 기쁘겠습니다. >자동차를 좀 좋아 하는데요 >한국 장안평처럼 용품이나 부품같은거 살수있는 샾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관련일도 그쪽이라 공부도 많이 될것 같구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