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Q

NO.488

부동산HDB재계약시 매해 agent fee내야하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센(dolovesena) 2015-02-23
추천수 : 0 조회수 : 3,662

안녕하세요, HDB 홀렌트($2800)를 집주인 에이전트와 하고 있습니다. 첫 해 계약시 한달 렌트비 절반에 해당하는 비용($1400)을 에이전트비로 지불 후, 일년 후 재계약시 렌트비 절반($1800)을지불했습니다. 올해 또 재계약을 하고 싶은데, 에이전트비가 조금…

  • A

    재 계약시는 원래 주인만 내는거예요 그런데 메이전들이 더 받는거예요 주지 마시고 에이전판테 말하세요 재계약할때는 주인만 내는건데 왜 받냐고 해보세요 저는 재계약할때 에이전이 주인만 내는거라해서 주인만 냈어요     

  • A

    가지고 계신 계약서에 재계약시 에이전트피를 다시 내야한다는 조항이 있는지 잘 살펴보세요. 그리고 집주인 연락처는 가지고 계신가요? 재계약서를 에이전트가 새로 작성해주고 일에 도움을 준다면 사례를 해야하지만, 아무것도 하는 것 없이  주인과 내가 새로 리뉴를 하는데 굳이 연락해서 돈을 줄 필요는 없겠지요. 리뉴시 집주인만 준다는 것은 주인에이전을 통해서 글쓰신 분계서 계약을 했다면 해당되겠지만, 집을 구할때 본인의 에이전트가 따로 있었다면 주인만 내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서에 사인하기 전에 어떤 조항이 있는지 잘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것 같네요. 저는 3년 사는 동안 한번 리뉴를 했는데 리뉴시에는 에이전트없이 주인과 직접 했구요, 주인이 에이전트 없이 하는 대신 렌트비를 조금만 올렸습니다. 그런데 요즘 렌트비가 떨어지는데 당연히 올려주시기 보다는 주변 비슷한 유닛의 렌트비를 좀 알아보신후에 네고에 들어가시면 더 도움이 되겠네요. 주인입장으로서는 에이전트비도 절갑되고, 현재있는 믿을만한 테넌트를 더 두고싶어 할테니까요. 그리고 전화말고 이메일로 금액 합의나 재계약시 집에 손볼 부분같은거도 다 말씀하세요. 그럼 즐거운 재계약 되시길~       

  • A

    계약초기 1년 +1년 연장계약이 셨던것같네요. (에전트비용 기본 2년계약 1개월분) 에이전트를 쓰는이유는 제권리를 지키기위해 쓰는거라고알고 있읍니다. 예를 들면 서류준비/검증, 약관외 문제 중계, 재계약시 월세조정이라던지. 저도 계약초기 1년 +1년 연장계약에 얼마전 1년을채우고 1년연장하라해서, 에이전트한테 월세내리면하고 아님 딴집구해달라구해서 결국은 새집으로 이사예정입니다. - 물론 에이전트비 1년=반달분을 지급했읍니다만. 요즘월세많이싸네요.          

Q

NO.487

부동산HDB 룸렌트 보증금 관련 질문입니다. 입싱 일주일차 …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후라이퐁(walkfish) 2015-02-20
추천수 : 0 조회수 : 3,322

안녕하세요 입싱한지 일주일차 새내기입니다. HDB룸렌트(에이전트 없이) 해서 살고있는데 사정이 생겨 집을 나가야 할것같습니다. 이미 한달치 방값과 보증금은 낸상태구요..  그런데 제가 아직 EP 발급 (id카드?) 아직 받지 않은 상태라 따로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

  • A

    계약서를 쓰지는 않으셨더라도 그곳에서 일주일을 사셨다면, 이미 구두 계약을 하신 것 아닌가요? 본인 편의대로 서명한 서류 없으니까 난 괜찮지 않느냐 하는것은 좀 그렇네요 . 집 렌트를 원사신 분은 글쓰신 분 때분에 다른 분이 집보러 오시는것, 입주하고자 하는것을 거절했을테니까, 그분도 손해가 있으시죠. 보증금과 한달치 월세만 떼인다고 해도 다행일것 같습니다. 집주인 분이 한국분이시면 잘 사정을 해보시면 될 수도 있겠네요. 한국인들끼리는 조금씩 이해해주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싱가폴리언이면 글쎄요...      

  • A

    주인과 상의하세요. 대게 세입자를 들였을때는 최소 삼개월은 예상하고 들이긴 하겠지만, 오자마자 나간다는 사람도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요. 회사가 멀다. 더 싼집으로 가겠다 등의 개인적인 사정이라면 집주인도 기분이 좋지 않겠지만, 소음이나 청결등의 집 자체의 문제라면 보증금 떼먹을 한국인 많지 않습니다. 한국촌에 간혹 올라오는 케이스들은 수많은 좋은 집주인들을 제외한 일부라고 생각 합니다. 계약서도 없는 상황에서는 주인 성향에 달렸습니다.      

Q

NO.481

생활이사 비용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완료
Herbicidal(mins31) 2015-01-05
추천수 : 0 조회수 : 4,919

Full furnished로 들어갔던 집에서 2년을 살고 다시 다른 콘도로 이사를 하려고 합니다. MRT로 3정거장 되는 거리인데 짐이라고 해봤자 옷과 주방 용품 등이 전부입니다. 큰 박스로 한 15개 정도 나올 것 같은데... 에이전트가 알아봐준 견적이 900S…

  • A

    9125-3411로 해 보세요. 코리안 월드에 광고 나왔던데요. 한국인 상담전화 번호에요..     

    1
  • A

    많은 분들이 이사업체나 무버에게 너무 과한 비용을 청구받는것 같아 제가 알고 있는 정보 공유합니다. 트럭으로 한번에 이동 가능할때 한 트럭당(한번이동) 350불(세금 다 포함)이고 물론 짐이 적으면 반차정도 일때 절반가격입니다. 반대로 짐이 많아서 한번이동하고 반차면 500불이겠죠? 박스는 원하는 만큼 보내줍니다. 그리고 박스당 2불의 디파짓을 내고 나중에 이사 끝나고 반납하면 디파짓 돌려줍니다. 짐은 당연히 그쪽에서 옮기는거고 박스에 잘 정리만 하면 됩니다. 제가 5년동안 알고지낸 싱가포르 사람이고 reddot이라는 업체 소속입니다.저도 이번주 이사라 견적받았는데 양문형 냉장고. 김치냉장고. 티비. 책장 3개. 식탁. 프레임없는 매트리스 3개. 박스 50개 해서 350불 견적 받았습니다. 물론 반차 더 나와서 500불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래 연락처 공유해드립니다. 다른 무버도 좋은 가격에 이사가능하면 공유해주세요. 견적은 많이 받을수록 좋은것 같습니다. 연락처는 Steven 9136 4487 견적요청할때 한국인이라고 얘기하세요 더 친절히.잘해줄겁니다.      

    1 채택답변
  • A

    저도 이번에 이사 하는 데 박스 50개에 차량 2대, 인원 6명 지원 해서 500불 견적 받고 컨펌 했습니다. 팩킹/언팩킹 저희가 하는 거고, 조립장 분해및 조립 전부 이사업체에서 하는 거구요. 윗분이 말씀 하신  박스 디파짓은 처음듣는 이야기라 잘 모르겠구요.      

Q

NO.480

부동산집 1년 재계약시 기존 2년치 deposit중 반은 돌…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Jodie(a74jodie)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2,679

HDB 2년 만기가 다가오고 있어서 에이전트와 얘기중에 있습니다. 기존 계약이 2년이라 2달치 deposit을 냈었는데 계약 만료후 조금 낮춘 월세로 1년만 재연장 하는 계약서를 다시 쓰려고 합니다. 이 경우, 기존에 냈던 2달치 desposit에서 새로운 1년에 해…

  • A

    원칙적으로 재계약시는 무조건 inspection을 하죠, 그래서 새롭게 필요한 게 있으면 요청을 하고 계약서를 다시 작성을 해요   콘도든 hdb든 deposit은 해당기간만큼만 deposit를 받죠   즉 한달치를 돌려받아야 하죠.   그리고 나중에 불필요한 피해를 보지 않을려면 새롭게 계약서를 작성할때 집문제가 있으면 이런 저런 확인하고 반드시 기입을 하세요   안그럼 나중에 온갖 꼬투리 잡아서 deposit 돌려주지 않을려고 할겁니다             

    1
  • A

    본인 에이전트가 있으시면 그 쪽에 맡겨서 상의하도록 하세요. 에이전트가 그런거 도와주고 돈 받는건데 무책임하네여. 몇몇 집주인은 집을 유지관리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말도 안되는 핑계로 1년 계약에도 2달치 디파짓이 필요하다고 하기도 합니다. 전에 저희 집주인도 그랬는데 지속적으로 메일보내고 해서 결국은 재계약시에 한달치 돌려받았거든요. 통상적으로 1년에 1달치 디파짓인데 왜 2년이나 착실하게 월세낸 나한테 이러냐 하면서 따지니까 주더라구여.      

    1 채택답변
  • A

    저도 전에 콘도에서 2년 살다 1년만 연장 하여 총 3년 살았어요. 저의 경우엔 연장계약시 처음 낸 2달치 디파짓 그대로 그냥 끌고 갔어요. 돌려받고 한달치 다시 내는 그런 절차 없이.. 그리고 총 3년 후  처음 냈던 2달치 디파짓에서 청구할꺼 이것저것 빼고 돌려받았고요. 아무래도 3년을 살았으니 이것저것 청구를 당하긴 했지만, 그게 집주인이 저의 2년치 디파짓을 가지고 있어서 불리하다라는 느낌은 없이 그냥 적당한 선에서 빼고 돌려받은거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연장 계약하면서 기존 디파짓을 안건들이는 거나, 연장 계약하면서 에이전시에 따로 1년 연장 계약하는 피 안주는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했고요.. 참고하세요~:-)            

    1
Q

NO.479

사업/직장싱가폴호텔 취업 희망자입니다!

  • 답글 : 3
  • 댓글 : 5
답변진행중
sk8 mafia(bacada)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5,546

안녕하세요. 현재 다른외국에 호텔에서 조리부에서 근무하고있는 청년입니다. 이번에 싱가폴에 너무 취업을 하고 싶은데 방법을 마땅히 알지못해 이렇게 한국촌 사이트에나마 글을 써봅니다. 에이전트에 돈내고 라도  갈생각하고 있는데 혹시 현지에이전트아는 곳 있으시면 사이트나…

  • A

    가끔가던 호텔에서  우연히 알게된 한국 20대 통해서 이런 저런 고충을 들은 적 있어요. 냉정하게 말해줄께요  한국에서 필리핀 파키스탄 방글라등 외국출신들이 일하는 일자리를 싫어하죠?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는 일입니다.  호텔이라고 해서 무슨 괜찮은 직장이라고 착각들 하는 20대 동생들이 안타까워서 하는 말이랍니다.  같은 일을 할바에는 방값이라도 줄이게 한국에서 일하는 게 훨 낫죠.  저임금 장시간노동 황당비싼물가 싱가폴은 해외에서 겉모습만 많이 보고 혹해서 오는 데  그렇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현실이랍니다.         

    3
  • A

    사실 아래에도 똑같은 글이있길래..ㅋㅋㅋㅋ   복붙....해도될까요..?ㅋㅋㅋㅋ 어차피 제가쓴거라 ㅋㅋ...   물론 오피스가 아니라서 임금 적습니다. 돈만보고 일하러 오면 솔직히 한국에서 알바 뛰는게 훨 나아요 근데 돈상관없이 경력만 보고오시는거라면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학과 졸업하면 SP비자도 발급가능해요 그쪽에 SP빈자리가 있으면요 근데 이삼년 경력만 쌓고 갈꺼라면 WP도 나쁘지 않습니다 SP가 똑같이 받아도 두세시간 일 더해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리고 밤낮이 바뀌는건 전세계 어느호텔을 가도 똑같으니 이쪽업계에 종사하려면 어쩔 수 없는거고요. 호텔이 열두시 땡 하면 닫히는데는 없잖아요 다 24시간이지ㅇㅇ OT는 결국 돈받고 하는거지 싫으면 싫다고 약속있다고 안된다고 하면 그만입니다. 외국에서 일한 경력들고 가면 안한거보단 한국에서 취업할때도 도움될껍니다. 그리고 호텔경력없으시거나 싱가폴 학교 졸업하신게 아니면 보통 F&B로가는데 그것도 뭐 우리나라도 똑같고요. 보통 호텔업이 다 그렇습니다. 박봉에 노가다에...ㅋㅋ.. 에이전시는 음 에이전시도 걸쳐놓고 직접 찾아보시는것도 나쁘지않을껍니다. 에이전시는 취업이 성사되면 몇개월동안 수수료 줘야되는데 적게들고가는거 같진않아요. 게다가 자기들 실적올리려고 유명한 호텔에 비정규직으로 넣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6개월 인턴직 이런거요.그러면 돈을 적게 받아요 인턴직은.   그리도 몸힘든건 사실이니까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세요   그리고 보통 잡스트릿이나 현지 신문에서 구인광고를 많이합니다.   구글에 singapore job이라고 검색하시면 우리나라 알바몬 같은 사이트들이 뜰꺼예요 아마 참고로 저는 공항에서 일하고있는데 공항이나 호텔이나 서비스업은 다 노가다라..ㅋㅋ      

    2
  • A

    현재 싱가폴 호텔에서 이라고 있는 사람입니다! 에이전시끼고 오는 것보다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알아보고 직접 연락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저도 처음에 에이전트 끼고 왔을때는 불리하다 라고 생각했는데 여러군데 발로뛰어 알아본 결과 좋은 자리 찾았습니다. 호텔이라고 무조건 안좋게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신데 솔직히 어느나라든 서비스직은 힘들고 호텔라인이던 공항직이던 조리직이던 박봉에 많은 어려움은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분들이 일한다, 필리핀사람들이 일하는 곳이 싱가폴 호텔이다 하는데 호텔에도 싱가포리언분들 많이 일하시고 대학교 졸업하고 박사 가지고 계신분들도 많이 계세요 그건 어느나라라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분이 너무 않좋게 적어 두셔서 안타까워 글을 적었습니다. 싱가폴에도 Job Street 이나 Indeed 같은 사이드 있습니다. 그쪽에서 알아보시고 정 힘드시면 에이전시 알아보세요  그래도 가끔가다 무식한 에어전시들 있는 데 그분들을 무조건 믿는게 방법은 아닙니다.       

Q

NO.478

사업/직장싱가폴호텔취업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노밤이(speed9786) 201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2,835

현재 한국이며 싱가폴에 호텔에 취업하려고 합니다. 29 남 이고 영어와 중국어 가능합니다. 에이전트를 통해서 가려고 하는데 혹시 다른방법이 있나요?      

  • A

    저도 싱가폴호텔취업준비중입니다. 저랑 동갑이시네요...싱가폴호텔웹사이트가셔서 직접지원해도 된다고 들었습니다...에이전트가 쉽기는하져..     

    2
  • A

    개인적으로 싱가폴 호텔 취업.... 비추.. 하고싶네요.   생각보다 좋은 포지션을 얻기 힘듭니다.   에이전시를 통해서 하시는 거면 더더욱... 에이전시에 300 가까운돈 내면서 받는비자가 wp일텐데.. 나중에 sp나 ep로 갈아타기 정말 힘듭니다. 싱가폴 호텔들이 왜 그렇게 많은 한국사람들을 굳이 쓰려고 하는지 생각해보셨음 합니다.        

    3
  • A

    물론 오피스가 아니라서 임금 적습니다. 돈만보고 일하러 오면 솔직히 한국에서 알바 뛰는게 훨 나아요 근데 돈상관없이 경력만 보고오시는거라면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학과 졸업하면 SP비자도 발급가능해요 그쪽에 SP빈자리가 있으면요 근데 이삼년 경력만 쌓고 갈꺼라면 WP도 나쁘지 않습니다 SP가 똑같이 받아도 두세시간 일 더해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리고 밤낮이 바뀌는건 전세계 어느호텔을 가도 똑같으니 이쪽업계에 종사하려면 어쩔 수 없는거고요. 호텔이 열두시 땡 하면 닫히는데는 없잖아요 다 24시간이지ㅇㅇ OT는 결국 돈받고 하는거지 싫으면 싫다고 약속있다고 안된다고 하면 그만입니다. 외국에서 일한 경력들고 가면 안한거보단 한국에서 취업할때도 도움될껍니다. 그리고 호텔경력없으시거나 싱가폴 학교 졸업하신게 아니면 보통 F&B로가는데 그것도 뭐 우리나라도 똑같고요. 보통 호텔업이 다 그렇습니다. 박봉에 노가다에...ㅋㅋ.. 에이전시는 음 에이전시도 걸쳐놓고 직접 찾아보시는것도 나쁘지않을껍니다. 에이전시는 취업이 성사되면 몇개월동안 수수료 줘야되는데 적게들고가는거 같진않아요. 게다가 자기들 실적올리려고 유명한 호텔에 비정규직으로 넣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6개월 인턴직 이런거요.그러면 돈을 적게 받아요 인턴직은.   그리도 몸힘든건 사실이니까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세요              

    1 채택답변
Q

NO.477

사업/직장dp로 싱가폴에서 창업 예정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hukpung(onethug) 2014-11-30
추천수 : 0 조회수 : 3,441

    남편을 따라 싱가폴에 와서 dp를 가지고 있는데 일단 덜컥 가게를 계약한 상태입니다. (부동산 에이전트가 사업자 등록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해서요)   일단 회사의 종류를 보고 1. sole proprietorship으로 신청을 했는데 68불만…

  • A

    sole proprietorship은 한국의 "개인단독사업자" 입니다. 제도로 등록이 되었는지를 확인하시려면 www.acra.gov.sg에서 등록상호 검색해서, 5불인가 내면 등록내용 온라인으로 다운받아 보실 수 있읍니다. gst는 한국의 "부가가치세" 입니다. 수입을 하시려면, 수입업자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개인용도로 소소하게 들어오는 것이야 상관이 없지만,  판매용도로 수시로 물건이 들어오게 되면, 당연히 등록하여야 하죠.) 관세청 www.customs.gov.sg에 등록절차 안내가 있읍니다. 품목에 따라 추가적인 등록절차가 있을 수가 있읍니다. 수입하시려는 품목이 관세가 0%라고 하더라도 수입금액에 대하여 gst 7%는 의무납부가 됩니다. 판매할 때도 gst 7%는 별도청구 또는 판매금액내 포함이 되어져야 합니다. gst등록이란.... 한국의 부가세환급 등록을 하실꺼냐의 사안으로 사업주가 판단하셔야 합니다. 알바는 싱가폴내 합법적으로 일하는 것이 가능한 싱가폴 SC 또는 PR를 사용하시거나 (한국에서 별도의 신고없이 알바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국민이니까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죠) 유학생을 사용하시려면 www.ica.gov.sg에 나열된 학교/주당 근무시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회계장부정리해주고 신고해주는 회사는 시내 Tanjong Pagar의 International Plaza 또는 Toa Payoh의 HDB hub 근처에 수두룩하고요 DP는 말그대로 EP의 "부양가족"으로.  EP가 취소가 되면, DP는 자동취소가 됩니다.        

    1
Q

NO.469

부동산집주인이 집을 팔려고 합니다. 조언 좀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Jpark(kspark7412) 2014-09-29
추천수 : 0 조회수 : 3,224

안녕하세요. 가끔 비슷한 글만 읽다가 갑자기 제게 이런일이 생기니 돔 당혹스럽네요. 다름이 아니라, 어제 집주인이  부동산 에이전트하고 와서 갑자기 집을 팔기 위해 내놓겠다고 하네요. 집을 내놓는다고 해도 바로 나가지는 않을꺼니까  걱정하지 말라고는 하는데, 세입자…

  • A

    에이젼트/집주인으로부터 오피셜 공지가 있기 전까지는 가만히 계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괜히 나간다고 하시면 페날티 물을수도 있고 확정된것도 아니니 시간을 갖으시되 최악의 상황을 위해 항상 대비하세요. 물론 계약서에 이러한 조항이 있다면 주인으로부터 어느정도 compensation은 받을수 있구요.     

  • A

    요즘 처럼 집값이 계속 내리는 시기에 집을 팔기 쉽지 않겠지만~~^^ 집이 팔린다해도 3개월후 다른 집주인을 변경되는거니 아직 3개월 이상 시간이 있으신거니 걱정안하셔도 될듯요!~~ 넘 걱정마세요..요즘 집들 많아요...그치만 이사가 문제죠 ㅠㅠ      

  • A

    다음 집주인이 그대로 세를 이어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식으로 매각되고 나면 변호사 통해서 정식 공지/통보가 갑니다. 오너 본인이 체재할 목적이 아니라면 대개는 고정적인 수입은 확보된 셈이니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아는데..계약서 한번 확인해 보심이 좋을 듯한데요.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