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집에 못돌아가는 데도 렌탈은 다 내야 하나요?
  • 겨울아이 싱가폴 (winterkid5)
  • 질문 : 17건
  • 질문마감률 : 29.41%
  • 2020-04-07 14:21
  • 답글 : 1
  • 댓글 : 2
  • 5,214
  • 0

싱가폴 정부가 비자소지자의 입국을 허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불가항력적으로 집을 사용할 수 없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렌탈은 꼬박 꼬박 다 내야 하나요? 

저희 집주인의 경우 개인이 아니고 부동산 법인으로 렌탈하는 경우로 싱가폴에만 40채 이상을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상황을 설명하니 렌탈 감면이 아니고..일단 두달간은 70프로씩 내고, 나머지 30프로를 6월 7월 렌트에 얹어서 내라고 합니다....감면이 아니고 일부 연기..

저 뿐만 아니라 이런 분들이 꽤 있으실 듯 한데...어떻게 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변]
  • 집에 못돌아가는 데도 렌탈은 다 내야 하나요?
  • rouen (sera8)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12.5%
  • 2020-04-07 15:07
답변은 아니지만 정말 속상하시겠어요 ㅡ 감면도 아니고 어차피 백프로 다내라니ㅠ ㅠ 살고 있지도 않는데 말이죠ㅜ 싱가포르는 외국인에게서 택스도 더 많이받고 병원비도  비싸구 이것저것 떼가는것도 많으면서 그걸로 싱가포리언 혜택 퍼주고 외국인에게는 혜택도 없는 나라인듯하네요      

댓글목록

겨울아이 싱가폴님의 댓글

겨울아이 싱가폴 (winterkid5)

어느나라나 자국민 우선이겠만...예전에 싱가포르 처음 왔을 떄  HR 오리엔테이션자료를 보니 인구의 35%  가 외국인이고...외국인에게 임대료 비싼 국제학교 학비 등등 받고 ...무역과 금융 허브로 돌아가는 경제체계 인데... 그렇게 필요할 떄는 우리에게 세금 렌탈 교육비 다 받아가고..이번에 가차없이 외국인이라고 입국도 못하게 하면서..저는 의료인데도 입국허가가 안났습니다. 3 번 리젝. ..그러면서 집세는 또 내야 한다고 생각하니..계속 싱가포르에 있는게 맞는건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영주권도 5년마다 갱신이던데..저 아시는 분은 나이들고 나니 영주권 갱신 때 1년해주었데요.. 즉 1 년후에 정리해서 나가라는 소리이죠 이제 나이 들어서 기여하는 것보다 케어해야 할 부분이 많아지니 쫒아내는 느낌...시민권자가 아닌 다음에야..싱가폴의 영주권은 진정한 영주권이 맞는지도 모르겠네요...

rouen님의 댓글

rouen (sera8)

쪽지 드렸어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1588

생활CB기간동안 한국에 들어가시려는 분 있으신가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누이찜(zzz2327) 2020-04-11
추천수 : 0 조회수 : 2,987

하루하루 확진자 늘어나고 어차피 회사도 못 가고 해서 한국행 생각중인데.. 회사 인사팀에 승인도 받아야 하고 절차가 쉽지는 않은걸로 알고 있어요. 혹시 그럼에도 불고하고 귀국 예정이신 분들 있으신가요? 또 CB끝난 후 싱가폴로 돌아올 때 어떤어떤 것들이 승인되어야 싱…

  • A

    일단 현재 나가시게 되면 받는 불이익들이 몇개 있습니다. 1. 재입국시 코로나가 결리면 모든 치료비용을 개인에게 부담 2. 비자 리뉴얼승인이나 pr신청할 시에 불이익    절차는 들어오실 때 회사에 연락해서  사측에서 MOM에 입국허가신청서를 제출 후 승인받아야하는데 허가가 일단 허가가 잘안나고 있지만 코로나가 좀 잠잠해지면 재입국하는데는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개인건강문진표같은것을 온라인으로 제출하여야합니다.  입국허가를 승인받지 않고 들어왔을 경우 큰 불이익이 있다고 하였으니 꼭 승인받고 들어오셔야하며 건강문진표도 미리 한국에서 작성등록해놓으셔야합니다       

  • A

    회사마다 해외 출국에 대한 자체적인 절차들이 달라서 그 부분이 해결된다면 출국 자체는 자유입니다. 다만, 출국하면 여러가지가 리스크로 남는게 있습니다. 재입국시 MOM 승인이 안나면 계속 입국이 안되고 이게 언제 풀릴지 아무도 몰라요.. 그럼 Manager 가 언제까지 기다려줄지는 리스크라 잘 결정하시길 바래요.  HR 보다 중요한게 Manager/직군에 따라 달라보입니다. 일을 해야하데 만약 그때도 입국이 안되면 Job security 에 대한 걱정이 없을 수가 없죠... 5월 4일까지 정했지만 사실 연장도 가능한 CB 입니다. 그럴 경우 회사에서 제 3국에서 일하는거에 대한 절차도 알아보셔야해요.  WFH 이 싱가폴 외에 제 3국을 포함하는지는 회사에 확인받으세요. 저희 회사의 경우는 제3국의 시민권/영주권이 있더라도 EP holder 가 제 3국에서 일하는건 해당 LOB의 VP 이상의 승인이 필요해요. 이건 HR 혼자 결정 못해요. 지금 시국에 EP 가 제 3국으로 돌아가는 거에 대한 책임은 해당 VP 가 지는거죠. 한마디로 EP는 싱가폴을 나가지 말라는 말로 이해했어요.   EP의 입국이 막히기 전 나간 사람들과 지금 나가는 사람들과는 확실히 다르니 그 점을 회사와 확실히 정리할 필요가 있어요.  만약, HR 의 가장 큰 걱정은 한명의 EP 가 revoke 된다면 고용주는 renewal/새로운 EP 신청을 3년동안 못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HR 도 자체 KPI 가 있을테고 HR 입장에선 이런 리스크를 애초에 막고 싶어 할껍니다.   윗 분이 말씀하신 돌아와서 코로나 걸리면 치료비도 모두 자가 부담이구요...   손가락 수술에 천만원이상 나온 경험이 있어서 치료비는 가볍게 수천만원 에상합니다. job secutiry/치료비 이 2가지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결정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Q

NO.11583

기타입국 승인 이번주에 받으신 분 계신가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anrwlqk(misskim215) 2020-04-06
추천수 : 0 조회수 : 4,180

싱가포르의 코로나 관련 대책 강도가 점점 강화되고 있네요ㅠ   현재 아이들 데리고 한국에 들어와 있는데, 3월 29일 이후에 싱가포르 입국 승인 받으신 분 계신가요?        

  • A

    싱가폴 시민권자.  그외는 의료계 종사자 혹은 싱가폴 정부에서 필요로 하는사람 아니고는 승인이 안난다고 들었습니다. 싱가폴 한국사람만 마스크 열심히 하고 다니고 마스크 안한 싱가폴 사람 상당히 많습니다. 지금은 안전한 대한민국에서 계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ㅎㅎ      

  • A

    영주권/시민권 아니면 어느 비자도 어려울것 같습니다. 적어도 5월 4일까지는 지금 체제일테고..그 이후도 입국 제한은 계속 될테니 장기적으로 계획하셔야 할 듯해요 제 친구(EP 홀더들)도 태국/인도네시아갔다가 입국 승인 3번 리젝되고 그냥 포기하고 airbnb 한달 빌렸다네요... 의료계/운송업 쪽 혹 지금 상황에서 필수업계가 아니면 입국이 불가하더라구요.      

  • A

    제가 답글로도 달았으나 의료계나 운송업이라 하더라도 정부관련 의료기관이나 운송기관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핵심필수 인력으로 꼭 출근을 해야 하는 경우만 예외적으로 가능합니다. 즉 싱가폴 현지에 대체할 동료가 없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나온다고  답변 받았고 DP는 더더군나 안나옵니다. 이것도 봉쇄직전 답변이라 지금은 더 다를 듯 합니다. 한국에서 장기전 준비하셔야 할 듯 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