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소득세-싱가폴, 한국
  • matcha (matchay)
  • 질문 : 2건
  • 질문마감률 : 0%
  • 2020-03-03 17:52
  • 답글 : 4
  • 댓글 : 5
  • 2,607
  • 0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올해 처음 세금을 납부해서....궁금한게 생겨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싱가폴에 납부하는 세금 외에 한국에도 따로 납부해야할 세금이 있나요? 싱가폴로 이직하기 전에 한국에서도 직장생활을 했었어서ㅠㅠ따로 납부해야하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해요.

아시는 분있으시면 도움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답변]
  • 소득세-싱가폴, 한국
  • 정반장 (manshu)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12.5%
  • 2020-03-03 18:22

한국직장 퇴사 하실 때 세금정산을 하셨다면 따로 내실 부분은 없으세요.

싱가폴 Income에 대한 Tax는 싱가폴에서만 내시면 된답니다.

     

댓글목록

matcha님의 댓글

matcha (matchay)

감사합니당!

정반장님의 댓글의 댓글

정반장 (manshu)

다른 분들께서 남기신 아래 답글도 참조 부탁드립니다.
제 답이 부족했었네요.

  • [답변]
  • 소득세-싱가폴, 한국
  • goooo (nakurujj)
  • 답변 : 20건
  • 답변채택률 : 10%
  • 2020-03-04 16:58
한국에서도 소득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이버 찾아보셔서 확인해보세요.     

댓글목록

정반장님의 댓글

정반장 (manshu)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 답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네요.

  • [답변]
  • 소득세-싱가폴, 한국
  • macarios (macarios12)
  • 답변 : 25건
  • 답변채택률 : 16%
  • 2020-03-05 12:02
윗분들 말씀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아마 한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소득세 부분은 회사에서 처리해줬을 겁니다. 이 부분 확인해보시면 될 거 같고, 저도 이 부분 때문에 고민을 좀 했었는데, 싱가포르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도 한국에 소득세를 납부해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한국에 가족이 있고, 그 가족이 내가 싱가포르에서 번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한 경우에는 소득세를 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것도 한국 기준으로...;; 어마무시 합니다 금액이... 만약에 한국으로 송금한 이력이 없으시면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근로소득외에 다른 소득이 있으시면 또 세금이 발생 하곘죠..     

댓글목록

정반장님의 댓글

정반장 (manshu)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 답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네요.

  • [답변]
  • 소득세-싱가폴, 한국
  • nyc2sing (johnhckim)
  • 답변 : 21건
  • 답변채택률 : 0%
  • 2020-03-05 14:05

정확하게 어떤 상황이신지 모르겠어서 정확하게 답변은 못드리겠고, 이게 여러가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 사항인만큼 아래 국세청 페이지에 가셔서 읽어보시고 본인이 어떤 경우에 해당되는지 판단해보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가장 중요한건 본인이 한국 세법상 거주자인지 비거주자인지 판단하셔야합니다. 그 결과에 따라 한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을 낼지 아니면 worldwide income에 대해 세금을 낼지, 만약 worldwide income이면 얼마나 낼지, 이렇게 decision tree식으로 결정이 되는겁니다.

아래 페이지 가시면 국세청에서 올린 '재외국민의 세무안내' 란 PDF 문서가 있습니다. 그걸 한번 보세요.

https://www.nts.go.kr/info/info_06_04.asp?type=V&minfoKey=MINF7420080211211649&mbsinfoKey=MBS20190807105928173

 

윗분이 말씀하신 경우에 대해 조금 부연설명 드리자면,

가족들의 생활비를 송금한 사실도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지만 그사실 하나로 거주자/비거주자를 판단할 수는 없구요, 다른 여러가지 정황들을 다 고려해서 국내에 주소를 두었다고 판단이 되었기 떄문에 거주자로 세금이 부과된걸로 보입니다. 

거주자로 구분이 될 경우에 세무자의 worldwide income에 대해 세금을 부과를 하게되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한국국세청에서 double taxation을 방지하기 위해 같은 taxable income에 대해 외국(e.g., Singapore)에서 낸 세금만큼 한국에 낼 세금에서 빼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foreign tax credit 아니면 deduction으로). foreign tax credit 으로 차감할 경우 물론 싱가폴보다 한국의 세율이 높기때문에 차액만큼 더 납부해야하구요.

반대로 같으 taxable income에 대해 외국에서 낸 세금이 더 많을 경우에는 그 taxable income에 대해 한국에 낼 세금이 다 차감될 확률이 높겠지요.

     

댓글목록

정반장님의 댓글

정반장 (manshu)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 답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네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6

생활영주권 기다리는동안..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사양이(sayanglee) 2020-06-01
추천수 : 0 조회수 : 3,826

안녕하세요, 싱가포리언 남편과 결혼 후 첫번째 영주권 거절 (임신초기 의사 소견서 첨부자료로 보냈지만) 아이출산 & 작년 (2019년 7월) 에 2번째영주권 신청후 올초 직장 이직하여 employment letter 제출 후 현재까지 약 10개월+ 팬딩상태 …

  • A

    맘많이 졸이실것 같네요. 예상치 못하게 중간에 COVID 같은 일이 생기니 더 그럴거에요. 전 작년 5월14일 접수 올해 2월18일 In-Principal Approval 받고 PR formalities e-appointment 잡는 게 시간이 조금 걸려 3월17일에야 PR issue가 되었어요. 전체적으로 9개월에 걸쳐 서류심사가 이루어진 건데 아무래도 ICA업무가 느려지기 시작하기 전에 끝난거라 님께서 조금 더 오래걸리는게 아닌가 생각해요. 그리고 4월초 CB 시작하고 얼마 안 있다 ICA에서 몇 명 감염케이스가 나온 탓에 정상업무가 안 되는 점도 있었을거에요. 그래도 제가 4월말 아이 때문에 ICA를 약속잡고 방문한 적이 있는데 그래도 업무를 계속하고 있더라구요. 결혼으로 영주권 신청하시는거고 이미 아이출산 하셨고, 지금 기간이 정상업무가 아닌 점을 고려할 때 그리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될 듯 하네요.  오늘 CB가 끝나는 날인데 님의 기다림도 끝이 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1
  • A

    전 2019년 4월에 PR신청하고 아직 펜딩중입니다. 생각보다 더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2
Q

열람중

생활소득세-싱가폴, 한국

  • 답글 : 4
  • 댓글 : 5
답변진행중
matcha(matchay) 2020-03-03
추천수 : 0 조회수 : 2,608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올해 처음 세금을 납부해서....궁금한게 생겨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싱가폴에 납부하는 세금 외에 한국에도 따로 납부해야할 세금이 있나요? 싱가폴로 이직하기 전에 한국에서도 직장생활을 했었어서ㅠㅠ따로 납부해야…

  • A

    한국직장 퇴사 하실 때 세금정산을 하셨다면 따로 내실 부분은 없으세요. 싱가폴 Income에 대한 Tax는 싱가폴에서만 내시면 된답니다.      

    2
  • A

    한국에서도 소득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이버 찾아보셔서 확인해보세요.     

    1
  • A

    윗분들 말씀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아마 한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소득세 부분은 회사에서 처리해줬을 겁니다. 이 부분 확인해보시면 될 거 같고, 저도 이 부분 때문에 고민을 좀 했었는데, 싱가포르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도 한국에 소득세를 납부해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한국에 가족이 있고, 그 가족이 내가 싱가포르에서 번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한 경우에는 소득세를 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것도 한국 기준으로...;; 어마무시 합니다 금액이... 만약에 한국으로 송금한 이력이 없으시면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근로소득외에 다른 소득이 있으시면 또 세금이 발생 하곘죠..     

    1
Q

NO.6

생활PR영주권 관련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겨울아이 싱가폴(winterkid5) 2017-01-04
추천수 : 0 조회수 : 4,014

먼저 이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아무생각없이 영주권 신청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리가 있길래 신청은 했습니다. 취업비자 만료는 3월이고 추후 이직등을 할 경우 영주권이 있으면 유리하고 또 영주권이 나오면 현재 회사에 종속되지 않아도 된다는 점…

  • A

    한가지씩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선 영주권을 신청하게 된다면 장점은   1. CPF입니다. 이득이 없다고 하지만 천만에 말씀입니다. 처음 영주권을 취득 하시면 3가지의 방법으로 CPF 지불이 가능 합니다. 자세한 퍼센테이지는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안나지만 본인 부담금은 적게 내면서 회사에서 12.4.퍼센트를 낼수 있는 옵션도 있습니다. 웬만한 계를 드는 거 보다 좋습니다.   2. 자녀들의 학교. 우선 학교 취학이 쉽고 교육비도 싸게 듭니다. (해당 사항이 없으시지만.. ㅎㅎ)   3. 직장의 자유: 말씀 하신것 처럼 한달을 쉬어도 안쫓겨 납니다.   4. 주택 구매시 Stamp duty가격이 적음: 지금 PR도 8%로 오르긴 했지만 한때는 외국인도 에전에는 3%였습니다. 현재는 상당히 높아진걸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비해서 8%라면 싸기는 하지요.. 그리고 HDB resale 물건 구매도 가능 합니다.   단점 1. 아들의 군대 문제.. 3년만 계신다니 별 문제는 없으실듯 하네요. (이부분도 해당 사항이 없으십니다.) 2. PR취소시의 불이익: CPF를 다 받아서 나가실수 있지만 후에 싱가폴 취업이 무지 무지 힘들어 집니다. 자녀들은 상관이 없습니다. 이유는 dependant PR같은 개념입니다. 자식들은 자신들의 의지로 와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돌아가도 나중에 불이익을 받지는 않습니다.    간단하게 생각 한다면 위에 같은 상황이겠네요.. 장점이 단점 보다 많기는 해도 단점 2번이 나중에 다시 오신다면 좀 타격이 큽니다.      

    1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