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기타
  • 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malishi (malshi1028)
  • 질문 : 12건
  • 질문마감률 : 16.67%
  • 2019-07-28 12:14
  • 답글 : 2
  • 댓글 : 5
  • 8,047
  • 0

요즘은 외국인 학생들이 싱가폴 공립학교 다니면서, PSLE나 O레벨, A레벨시험을 보면 PR이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희 가족은 싱가폴에 10년 거주했으며 처음 5-6년간 아들의 군대문제때문에 PR신청을 하지 않다가 이후 PR신청을 아들 포함 전가족이 했지만 리젝되었어요. 이미 부부 나이가 많이 들었고 해서 (각각 50대 초반 , 50대 후반) 이후 재신청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이의 한국 군대 문제도 있어서요...

아이가 현재 싱가폴  공립중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성적이 신통치는 않습니다. PSLE Cut off 200점대 학교를 다니고 있고  싱가폴에서 대학을 들어가기는 어려울거 같습니다.  

부모가 이곳에서 영주권이 있거나, 자기 집이 있거나 하지 않고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에서 아이또한 이곳 JC나 대학을 못들어 갈거 같으면 아예 PR신청을 하지 않고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한국 대학으로 진학시키는게 어떨까 싶은데 혹시 부모님들 의견 들을수 있을까요?

부모가 PR이 없어도 공립학교 다니는 아이들은 PR신청을 단독으로 할수 있다고 들어서 유치원부터 싱가폴에서 다닌 아들아이 PR을 한번 신청해볼까(된다는 보장은 없겠지만요)하다가도  

한국에서 대학가고 군대하고 남편처럼 추후에 싱가폴이든 어디든 자기가 가고 싶은 나라로 본인이 능력껏 가서 사는게 어떤가 싶어서 비슷한 상황의 부모님들 의견 여쭤봅니다. 

아이는 한국아이들보다야 한국어가 어눌하겠지만 저와 카톡으로 일상 문자도 주고 받고 한국 만화책도 어려서부터 재미삼아 계속 읽어왔고 한국 군대나 한국 대학도 가고싶다는 말도 합니다(아무래도 싱가폴에서 대학가는게 어렵다는걸 본인이 아니까요..).  여타 미국이나 영국, 호주로 대학 보내줄 형편은 안되고 아이도 알고 있어요.  

이경우 궂이 아이 PR을 신청해줄 필요가 있을까요?

저희부부가 이미 PR이  있고 자기 아파트라도 있고 해서 이곳에 기반이 있으면 주저 하지 않을텐데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아들아이만 PR을 신청하는게 맞을까 생각됩니다.

 

저희가 PR은 리젝이 되었어도 남편 회사가 정년이 길어 앞으로도  5-6년 혹은 그 이상 더 EP와 DP로 지내는것에는 문제가 없을거 같은데 아이가 고등학교 졸업하면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예요.. 저는...

 

 

     
  • [답변]
  • 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kylrie! (kylriehan)
  • 답변 : 519건
  • 답변채택률 : 15.41%
  • 2019-07-29 13:15

양쪽 나라에서 병역의무가 있다보니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고 고민하는 문제라 너무 공감되네요...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보세요.  

군대는 어떤 선택을 하든 한국 혹 싱가폴에서 가야하는 상황이니 전적으로 아이의 미래가 한국에 있을지 아니면 한국 외에 있을지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한국에서 대학을 진학하고 군대를 마치고 졸업까지 한다면 아무래도 아이는 한국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죠.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니까요...

회사의 주재원/relocation 으로 대졸 신입이 올리 없고 한국 대학교 졸업생이 바로 해외 취업을 한다는건 현실적으로 비자+경력적인 측면에서 확률이 매우 매우 낮습니다. 차라리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그리고 도전하는 경우가 오히려 더 성공 확률이 높으니까요...  

하지만 사람 일이라는게 일을 하다보면 그 시기에 결혼을 할 수도...더 나은 기회가 한국에 있을 수도....한국에 거주하면 거주할 수록 많은 변수들이 생겨나고 정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죠.  한국으로 대학/군대를 계획한다면 차라리 PR 신청 안합니다. PR을 소지하고 있다 NS service 를 하지 않고 포기하면 오히려 나중에 싱가폴로 여행/취업/학업시 불이익을 받으니까요.

제 지인 아들은 초등학교때 PR 을 포기하고 한국에 돌아가서 살다가 대학생이되어 가족여행으로 싱가폴에 왔다 아이가 입국거부된 사례도 있습니다. 정작 아이는 자기 본인이 PR 이었는지 기억도 못하는데 말이죠...안하는게 나아요. 나중에 싱가폴에서 좋은 오퍼가 오면 얼마나 안타깝습니까....

 

후자처럼 아이가 한국이 아닌 해외 가고 싶은 곳에서 능력껏 하고 싶은거 하고 살기엔 전 PR 신청합니다. 일단  PR이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구요.

보통 싱가폴에서는 PR 로도 충분하죠. 굳이 시민권까지는 가지 않는 1세대 한국분들이 더 많기는 합니다. 1.5~2세대는 우리와 다르자나요...시민권까지도 괜찮아 보여요..하나의 예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미국과 U.S.-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Professional (H1B1) Visa 혜택이 있습니다. 심지어 싱가포리언들은 미국 Green card lottery 자격도 있습니다.호주만 보더라도 싱가포리언들에게 최장 6년간 비자를 주기도 합니다. 타 국가도 알아보시면 한국여권보단 싱가폴 여권이 해외 취업/거주시 장점이 있고 타 영어권 국가 영주권 신청시에도 싱가폴 o level/a level/경력 등이 서류간소화 및 장점이 있어요. 그럼에도  F-4 비자로 한국엔 돌아갈 수 있는 옵션도 여전히 존재하구요...싱가폴을 거주지로 생각하지 않더라도 전자의 선택이 없는거에 비해서 후자는 한마디로 옵션들이 있죠. 

그 다음 중요한건 아이가 과연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가 아닌가 해요. 

제 아이도 3~4살때 와서 싱가폴에서 계속 살고 있는데 이 아이에게 더 편한 곳은 싱가폴이지 한국이 아니더라구요. 한국은 저에게는 홈타운이고 어느 나라에서 소득생활을 하든 은퇴하면 돌아갈 계획이지만 제 아이에게 한국은 새로운 환경이고 한국의 독특한 문화에 다시 적응해야하는 나라라는 점을 느끼면서 선택은 제 아이 스스로에게 맡기려합니다. 저 처럼 한국에서 받을 연금,보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이가 꼭 한국에 살아야할 이유는 없더라구요. 나랑 같이 안살아도 되니 한국여권이든 어느 여권이든 너가 편하고 익숙하고 살고 싶은데 살아라 하는게 지금 제 결정이네요.

절대 정답이 없는 고민이고 각 자의 가치관과 미래의 비중을 어느 나라에 더 두고 결정하는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 비중이 한국이면 PR 신청안하고 한국이 아니라면 아이가 좀 더 선택이 용이한 PR 쪽으로 가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목록

acps님의 댓글

acps (malshi1028)

싱가폴에 와서 처음 한두해는 외국생활이라 신기하기도 하고 정신없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사느라 아이 군대문제는 생각에 없었는데 이후 항상 이럴까 저럴까 한쪽 가슴이 답답해요.

한국이 독특한 문화라는것도 참 이해는 갑니다. 여기가 쉽지 않다고 저기를 선택하면 더 한 놈(?)이 기다리고 있을까 막연한 불안감도 있고 아이는 자기 미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준비가 아직 되어 있지 않아요. 군대 영장나오는것도 이제 금방 3-4년 후일텐데 말이죠...

근데 F-4는 군대를 다녀오지 않으면 남자에게는 40세 이전까지는 이제 발급이 안되요... 법이 바뀌었어요...하지만 싱가폴 여권이 장점도 많으니까 아이와 이런 저럼 장단점 얘기해가면서 상의해봐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려요. 제가 모르는것도 많이 알게되었어요.

아이랑 많은 얘기를 해야겠어요.

lucky@sg님의 댓글

lucky@sg (sealion)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다들 비슷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군대에 대한 깊은 고민없이 PR신청해서 받고 보니, 당장 몇년후면 군대를 가야 하네요.. 대사관 전화해 보니 말씀하신데로 F-4 비자는 작년 5월부터 법이 바뀌어 출생이든 이민이든 해외 시민권 취득한 남자는 병역의무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40세까지 발급이 되지도 않네요.. 한국으로 돌아갈수 있는 경우는 취업비자를 통해서 가야 하네요. 군대를 양쪽에 가기도 그렇고, 그렇다고 미래에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혼자 PR 포기하고 한국으로 돌아가서 군대가라는 것도 어렵고, 그렇다고 한국 대학교 가는 게 쉬운것도 아니고..벌써 머리가 아프네요. 아마도 아들의 결정에 맡겨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혹시, 영주권상태에서 여기 군대 다녀와서 생활하면 40세까지는 한국 병역 의무가 있을 텐데, 그 경우 한국에 갔다가 출국하려면 매번 병무청에 해외체류 신청을 해야 하나요? 혹시 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acps님의 댓글

acps (malshi1028)

혹시 아이가  만 6세 이전에 싱가폴로 왔나요? 그럼 재외국민2세 제도를 활용하여 한국에 왔다 갔다 할수는 있지만 한국에 6개월 이상 체류하거나 영리할동을 하는 경우 제외국민2세 지위가 상실되어 군대를 다녀와야 합니다. 또한 부모가 한국으로 영구귀국하면 제외국민 2세 지위가 상실됩니다. 제외국민2세는 한국에서 대학을 다닐수 있으나 휴학하면 군대에 다녀와야 해요... 병무청에 연락해봐야 하는데 저도 인터넷 찾아보고 여기에 물어보고 있네요...

  • [답변]
  • 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겨울아이 싱가폴 (winterkid5)
  • 답변 : 218건
  • 답변채택률 : 15.14%
  • 2019-07-31 21:56

저도 한참 이 문제로 고민을 해봤을 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는 외국국저 소지자, 즉 시민권인 경우는 한국에서 군대에 안가도 되지만, 외국  PR인 경우에는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내받았습니다.

그러나 싱가폴에서 병역의 의무는 PR부터 시작되고, 싱가폴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전에 군대를 먼저 다녀와야 하고, 또한  PR이 영원한 것이 아니고 싱가폴의 경우 5년마다 갱신입니다.

즉 싱가폴에서 PR을 받고 군대를 다녀왔는데 5년후에 갱신이 안되거나 시민권이 안나오게 되면, 한국에 돌아가야 하고 그럴 경우 한국에서 군대를 또 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최악의 경우이지만 정말 어려운 문제라서 최악이 경우도 고려를 해보셔야 할 듯 하여...제가 들었던 내용 적어 봅니다.

     

댓글목록

acps님의 댓글

acps (malshi1028)

아이가 주관이 딱서고 부모와 상관없이 자기는 싱가폴에서 정규교육받아서 싱가폴에서 계속 살면서 정착하고 싶다하면 모르겠지만 이아이는 자기가 외국인이라고 인식하고 있고(확실히 외국인이죠 뭐...) 뭔가 한국을 잘 모르지만 한번 가볼까 하는 생각도 있고... 암튼 그래요... 부모도 리젝됐는데 아이가 단독으로 PR을 얻는다는 보장도 없지만 덜컥 PR 받아놓고 나중에 고민할까봐 그걱도 걱정이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clementird님의 댓글

clementird (toga2000)

주변에 한국인으로서 학생단독 PR신청해서 승인 난 경우를 본 적이 없습나다. 중국 엘리트를 자국민으로 만들려는 전략인지 중국계는 금방 승인 난다고 하더라구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425

생활DP딸아이가 해외대학을 입학한경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항상감사하자(sunjun2750) 2019-08-30
추천수 : 0 조회수 : 3,400

싱가폴에서 EP로 일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제 딸애가 이번에 일본에 있는 대학으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제 딸애 같은경우는 현재 DP인데요. 싱가폴이 아닌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는 경우엔 DP가 캔슬되거나 DP를 반납해야 하는건가요?      

  • A

    만 21세까지 DP 가능합니다. 싱가폴에 함께 거주하느냐가 기준이 아니고 EP holder 의 만 21세 미만 자녀이거나 배우자 인것이  DP 자격 요건입니다.     

  • A

    안녕하세요. DP(Dependent Pass)는 4종류의 Pass(Employment Pass, Enter Pass, Personalised employment Pass, S pass)를 소지하고 계시고 급여가 SGD6,000이상이신분의 배우자와 21세 미만 자녀에게 부여되는  거주 비자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EP의 유효기간에 따라  배우자분과 자녀의 DP의 유효기간이 정해지므로 자녀분이 다른 나라에서 공부를 하고 계시며 유효기간 전 싱가폴에 계시는 부모님을 방문하신다면  유효기간까지 소지하고 계셔도 무관합니다. 단지 주의 사항은 모든 Pass는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반드시 취소를 하여야 합니다. 또 부모님의 계약이 만료되시거나 이직에 의해서  EP가 취소되시는 경우 배우자나 자녀의 DP를 취소하셔야 합니다. 취소시 싱가폴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와 이미 싱가폴을 떠난 경우로 나누어져 있사오니 거주여부에  맞게 정확하게 Tick하시고 취소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EP 취소 관련 링크 https://www.mom.gov.sg/passes-and-permits/employment-pass/cancel-a-pass   *DP 취소 관련 링크 https://www.mom.gov.sg/passes-and-permits/dependants-pass/cancel-a-pass        

Q

NO.3424

생활9월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직장인입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한캔싱(dkcan) 2019-08-27
추천수 : 0 조회수 : 4,231

안녕하세요, 캐나다에서 9월 중순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직장인입니다. 사정상 일 시작 몇일전 싱가폴을 가게 됐는데요,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있어 조언 좀 구하고자 올립니다. 1. 집: 현재 property guru라는 사이트 통해 집을 보고 있는데 이렇게 에이전트를…

  • A

    집 전체 렌트를 하시는게 아니시라면 easyroommate 이라는 사이트도 괜찮더라구요. 보통 회사들이 직접 핸드폰 지원해주는 거 아니면 따로 corporate플랜 제공은 잘 못봤습니다.  은행은 어디하셔도 무방하실 것 같습니다. 웬만하면 atm많은 은행 즉, dbs, uob, ocbc 중에 하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운동하는 센터는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없습니다. 다른 회사는 있는 회사들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         

  • A

    몇가지만 답변드리면 2번 답변 : CIP인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통신사 별로 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15%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3번 답변 : deposit 이 은행마다 다릅니다.(~s$3,000) 계좌 개설시에 입금할 수 있는 현찰이 필요합니다. 5번 답변 : 부킷판장역 근처 한인장로교회와 보타닉 가든역 근처 나눔과섬김의 교회가 등록교인이 많습니다. 한인교회가 여러군데 있으니 우선 거주지 근처 위주로 천천히 예배에 참여해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 A

    핸드폰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답변드리면, 윗분 말씀 처럼 CIS 플랜도 있고, EP 소지자에 한한 플랜도 별도로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이건 통신사 별로 다릅니다.. 요건 싱텔 기준     

Q

NO.3417

교육대학생 인턴 근무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겨울소풍(parch05) 2019-08-15
추천수 : 0 조회수 : 3,149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 (학생비자가 아니라 DP를 가지고 있는) 인턴 근무를 신청하거나 할 경우, 주당 16시간만 근무가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혹시 이런 쪽으로 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MOM에도 관련된 문의를 하고 있는데, 혹…

  • A

    https://www.mom.gov.sg/passes-and-permits/letter-of-consent/apply-for-a-letter-of-consent   DP 가지고 계시다면 LOC 발급 받고 일하시면 되어요. 회사 HR에 말하면 신청해주고 보통 일주일에서 10일정도 걸렸던거 같네요      

    1
  • A

    안녕하세요. DP를 가지고 계시더라도 학생신분이시면 일단 싱가폴 노동부(MOM)에서 허가한  24개 대학에 해당되셔야 합니다. 주16시간 근무가능하십니다. 아래 링크 클릭하시면  맨하단부에 "Working During School"을 클릭하시면 학교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방학기간 파트타임이 가능한 48개 학교명은 아래 링크 클릭하셨어 하단부에  "Working during Term Vacation"을 클릭하시면 확인가능하십니다. https://www.mom.gov.sg/passes-and-permits/work-pass-exemption-for-foreign-students 참고로 부모님이나 배우자의 S Pass에 의해 발급된 DP는 LOC(Letter of Consent)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그리고 DP 유효기간이 반드시 3개월 이상 남아 있으셔야 합니다. EP에 의해 발급 받으신 DP의 LOC승인은 3주이내에 승인이 납니다. 아래 링크 클릭하셨어 확인하세요 https://www.mom.gov.sg/passes-and-permits/letter-of-consent/eligibility LOC신청은 근무하시고저 하시는 회사에서 https://www.mom.gov.sg/eservices/services/ep-online 에서 신청 가능하십니다.        

    1
Q

NO.3416

생활싱가폴 현지에서 스마트폰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완료
진제로(ycsm6098) 2019-08-12
추천수 : 1 조회수 : 3,264

올해 10월부터 싱가폴에서 대학원 과정을 하게된 학생입니다! 제가 싱가폴 들어가기전에 최신폰으로 바꿀려고 하는데요. 혹시싱가포르에서 구입하면, 한국에서보다 더 싸게 폰을 살 수 있는 건가요? 현지에서 더 저렴하게 살수 있다고 한다면 보통 어떠한 방식으로 구입하는 것이 …

  • A

    싱가폴에는 한국의 skt kt 등에 해당하는 메인 통신사업자로 singtel 과 starhub가 있습니다. 그리고 M1 이라는 통신사도 있구요. 각 통신사에서 햔국처럼 일정기간 사용하는 약정에 가입할 경우 단말기 값이 매우 낮게 혹은 종류에 따라서 공짜로도 나옵니다.  그리고 스타허브의 경우는 핸드폰은 기존에 사용하던 본인것을 사용하고 usim 칩만 구매해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약정기한없이 그냥 사용할 수도 있고 칩을 1년 혹은 2년 사용을 약정하면 가격이 더 내려갑니다. 저는 아이폰을 따로 구매하고 plaza singapura 1 층 스타허브 지점(?)에서 매달 16달러짜리 칩만 사서  사용하고 있네요.  https://www.starhub.com/personal/mobile.html 혹은 공항이나 24시간 편의점에서 선불칩을 사서 충전해서 쓰는 친구들도 많이 있습니다. 아무곳이나 편의점에서 top up 한다고 하면 됩니다. 핸드폰 단말기만 따로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best denki , courts, challeger 등등 전자제품 파는 곳에서 팝니다. 혹은 더 저렴하게 사고 싶으면 simlim square나 오차드의 입구의 far east plaza 에서 referred phone 즉 중고폰이나 혹은 아예 새 기계를 살수도 있습니다. 용산전자상가 비슷한 곳입니다. 단 이곳은 현금으로만 받더군요. 통신사에서 약정가입으로 새 기계를 받은 다음, 옛날 기계를 쓰고 새 기계를 포장을 뜯지 않고 팔거나 혹은 면세점에서 사온 기계를 포장을 뜯지않고 팔고 있습니다. 저는 far east plaza 2 층에서 아이폰 새것으로 현금 구매했고, 쓰던 아이폰 팔았습니다. 옛날 폰 팔때 신분증을 보여줘야 하고 핸드폰 일련번호를 경찰웹사이트에 조회해서 도난폰이나 분실폰인지 조회하더군요.  물론 새기계를 살때도 포장을 뜯어서 일련번호로 조회를 해서 이게 도난이나 분실폰이 아닌 새기계임을 확인조회 해주더군요. 그래서 지금 1년 반정도 잘 쓰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3 채택답변
  • A

    핸드폰 구입을 하시려면 라자다에서 구입 하시면 좋을듯 하네요.. 12개월 무이자 할부를 해주니 sim only plan을 쓰시고 라자다에서 구매를 하시면 더 경제적입니다.   참고로 요즘 s10 plus가 900불 미만입니다.      

Q

열람중

기타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malishi(malshi1028) 2019-07-28
추천수 : 0 조회수 : 8,048

요즘은 외국인 학생들이 싱가폴 공립학교 다니면서, PSLE나 O레벨, A레벨시험을 보면 PR이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희 가족은 싱가폴에 10년 거주했으며 처음 5-6년간 아들의 군대문제때문에 PR신청을 하지 않다가 이후 PR신청을 아들 포함 전가족이 했지만…

  • A

    양쪽 나라에서 병역의무가 있다보니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고 고민하는 문제라 너무 공감되네요...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보세요.   군대는 어떤 선택을 하든 한국 혹 싱가폴에서 가야하는 상황이니 전적으로 아이의 미래가 한국에 있을지 아니면 한국 외에 있을지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한국에서 대학을 진학하고 군대를 마치고 졸업까지 한다면 아무래도 아이는 한국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죠.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니까요... 회사의 주재원/relocation 으로 대졸 신입이 올리 없고 한국 대학교 졸업생이 바로 해외 취업을 한다는건 현실적으로 비자+경력적인 측면에서 확률이 매우 매우 낮습니다. 차라리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그리고 도전하는 경우가 오히려 더 성공 확률이 높으니까요...   하지만 사람 일이라는게 일을 하다보면 그 시기에 결혼을 할 수도...더 나은 기회가 한국에 있을 수도....한국에 거주하면 거주할 수록 많은 변수들이 생겨나고 정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죠.  한국으로 대학/군대를 계획한다면 차라리 PR 신청 안합니다. PR을 소지하고 있다 NS service 를 하지 않고 포기하면 오히려 나중에 싱가폴로 여행/취업/학업시 불이익을 받으니까요. 제 지인 아들은 초등학교때 PR 을 포기하고 한국에 돌아가서 살다가 대학생이되어 가족여행으로 싱가폴에 왔다 아이가 입국거부된 사례도 있습니다. 정작 아이는 자기 본인이 PR 이었는지 기억도 못하는데 말이죠...안하는게 나아요. 나중에 싱가폴에서 좋은 오퍼가 오면 얼마나 안타깝습니까....   후자처럼 아이가 한국이 아닌 해외 가고 싶은 곳에서 능력껏 하고 싶은거 하고 살기엔 전 PR 신청합니다. 일단  PR이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구요. 보통 싱가폴에서는 PR 로도 충분하죠. 굳이 시민권까지는 가지 않는 1세대 한국분들이 더 많기는 합니다. 1.5~2세대는 우리와 다르자나요...시민권까지도 괜찮아 보여요..하나의 예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미국과 U.S.-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Professional (H1B1) Visa 혜택이 있습니다. 심지어 싱가포리언들은 미국 Green card lottery 자격도 있습니다.호주만 보더라도 싱가포리언들에게 최장 6년간 비자를 주기도 합니다. 타 국가도 알아보시면 한국여권보단 싱가폴 여권이 해외 취업/거주시 장점이 있고 타 영어권 국가 영주권 신청시에도 싱가폴 o level/a level/경력 등이 서류간소화 및 장점이 있어요. 그럼에도  F-4 비자로 한국엔 돌아갈 수 있는 옵션도 여전히 존재하구요...싱가폴을 거주지로 생각하지 않더라도 전자의 선택이 없는거에 비해서 후자는 한마디로 옵션들이 있죠.  그 다음 중요한건 아이가 과연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가 아닌가 해요.  제 아이도 3~4살때 와서 싱가폴에서 계속 살고 있는데 이 아이에게 더 편한 곳은 싱가폴이지 한국이 아니더라구요. 한국은 저에게는 홈타운이고 어느 나라에서 소득생활을 하든 은퇴하면 돌아갈 계획이지만 제 아이에게 한국은 새로운 환경이고 한국의 독특한 문화에 다시 적응해야하는 나라라는 점을 느끼면서 선택은 제 아이 스스로에게 맡기려합니다. 저 처럼 한국에서 받을 연금,보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이가 꼭 한국에 살아야할 이유는 없더라구요. 나랑 같이 안살아도 되니 한국여권이든 어느 여권이든 너가 편하고 익숙하고 살고 싶은데 살아라 하는게 지금 제 결정이네요. 절대 정답이 없는 고민이고 각 자의 가치관과 미래의 비중을 어느 나라에 더 두고 결정하는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 비중이 한국이면 PR 신청안하고 한국이 아니라면 아이가 좀 더 선택이 용이한 PR 쪽으로 가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3
  • A

    저도 한참 이 문제로 고민을 해봤을 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는 외국국저 소지자, 즉 시민권인 경우는 한국에서 군대에 안가도 되지만, 외국  PR인 경우에는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내받았습니다. 그러나 싱가폴에서 병역의 의무는 PR부터 시작되고, 싱가폴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전에 군대를 먼저 다녀와야 하고, 또한  PR이 영원한 것이 아니고 싱가폴의 경우 5년마다 갱신입니다. 즉 싱가폴에서 PR을 받고 군대를 다녀왔는데 5년후에 갱신이 안되거나 시민권이 안나오게 되면, 한국에 돌아가야 하고 그럴 경우 한국에서 군대를 또 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최악의 경우이지만 정말 어려운 문제라서 최악이 경우도 고려를 해보셔야 할 듯 하여...제가 들었던 내용 적어 봅니다.      

    2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