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생활
  • EP 비자 승인 후 본격 입싱 준비중인데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 산오징어 (akasin)
  • 질문 : 7건
  • 질문마감률 : 85.71%
  • 2019-02-08 03:37
  • 답글 : 4
  • 댓글 : 4
  • 5,436
  • 0

EP 비자 승인되서 이제 본격적으로 입싱 준비 시작을 했습니다.

게시글들 열심히 검색해서 알아보고 있지만 더욱 더 저의 상황에 맞는 답을 구하고자 이렇게 질문 글을 남겨봅니다.

1. IPA를 들고 입국하면서 입싱을 시작하면 어떤 일들을 먼저 해결 해야할까요? 
입국시 화이트 카드를 작성해서 오라는데 입국심사전에 받아야 하는건가요 후에 받는건가요?

2. 일단 1주일동안 회사에서 호텔비를 대주고 그동안 거주지를 구해야하는데 PropertyGuru 같은 사이트에서 몇 개 목록을 주면 가기전에 직원이 먼저 알아 봐준다고 합니다.  
앞으로 싱가폴에서 생활 할 집을 고르는데 놓치면 안될 주의점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3. 회사가 Kaki Bukit 역이라 가까운 Bedok 지역을 알아보고있는데 다른 지역 추천해주실 만한 곳이 있을까요?

4. 월 수입에서 보통 거주비용에 몇 % 정도 소비를 하시나요 ?
싱글이고 월 6,000 이상 받을 예정인데 월 2,000 짜리 홀 렌트를 가도 무리가 안될지 궁금 합니다. 
아니면 처음에 저렴한 룸 렌트로 시작해서 나중에 이사를 하는게 좋을까요?

5. 홀 렌트에서 생활한다고 치면 가장 먼저 필요 한 것들은 무엇일까요? 물론 지역과 집에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하고 살펴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관리비는 한달에 얼마정도 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6. 초기 자금은 아직 은행계좌가 없어서 보통 다른분들은 입싱하실 때 환전해서 현금으로 가져 가시나요?

당장 떠날 준비를 해야 해서 궁금한 점이 너무나 많고 걱정이 되네요.
먼저 가셔서 생활 하고 계시는 분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EP 비자 승인 후 본격 입싱 준비중인데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 kylrie! (kylriehan)
  • 답변 : 519건
  • 답변채택률 : 15.41%
  • 2019-02-08 11:52

먼저, 이직축하드리고 즐거운 싱가폴 생활 되시기 바랍니다. 

1. IPA를 들고 입국하면서 입싱을 시작하면 어떤 일들을 먼저 해결 해야할까요? 
입국시 화이트 카드를 작성해서 오라는데 입국심사전에 받아야 하는건가요 후에 받는건가요?

=> IPA 들고 편도입국하면 간단해요. 인사정도 하시면 됩니다.

누구나 작성하는 입국신고서고 비행기에서 받아 작성하시면 됩니다. 반쪽은 챙겨 놓으셨다 EP 카드 발급시 필요해요. 

2. 일단 1주일동안 회사에서 호텔비를 대주고 그동안 거주지를 구해야하는데 PropertyGuru 같은 사이트에서 몇 개 목록을 주면 가기전에 직원이 먼저 알아 봐준다고 합니다.  
앞으로 싱가폴에서 생활 할 집을 고르는데 놓치면 안될 주의점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 싱가폴은 차가 비싸 보통 뚜벅이 생활을 합니다. 아무리 대중교통/택시가 편하게 잘 되어 있어도 콘도 주변에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당,호커센터,수퍼가 있다면 삶이 편해집니다. 

3. 회사가 Kaki Bukit 역이라 가까운 Bedok 지역을 알아보고있는데 다른 지역 추천해주실 만한 곳이 있을까요?

=> 전 개인적으로 https://www.99.co/ 라는 사이트가 위치별로 정리가 잘되어 있더라구요. 지역에 익숙하지 않으니 이 사이트가 더 편하실꺼예요. 그리고 콘도를 몇 개 추리신후, PropertyGuru 에서도 검색하고 비교하는게 편해요. 

4. 월 수입에서 보통 거주비용에 몇 % 정도 소비를 하시나요 ?
싱글이고 월 6,000 이상 받을 예정인데 월 2,000 짜리 홀 렌트를 가도 무리가 안될지 궁금 합니다. 
아니면 처음에 저렴한 룸 렌트로 시작해서 나중에 이사를 하는게 좋을까요?

=> 저 개인적으로는 15% 이상은 홀렌트비로 쓰지는 않지만 이는 연봉 혹 주거환경의 중요도 혹 saving 에 더 집중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30~40%는 평균적인것 같습니다.  아이가 있다면 30~40%의 렌트비는 남는거 없거나 한국돈 끌어다 쓰게됩니다.  싱글이시기에 홀렌트가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마스터룸을 렌트하셔도 콘도의 경우 1200 ~1500 정도합니다. 그것보단 2000 홀렌트가 낫다고 보는 1인입니다. 

5. 홀 렌트에서 생활한다고 치면 가장 먼저 필요 한 것들은 무엇일까요? 물론 지역과 집에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하고 살펴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관리비는 한달에 얼마정도 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 렌트시 Fully Furnished 여부가 있는데 이는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가구,티비,냉장고 등이 이미 있습니다. 가구 상태를 보고 결정하세요.

모르는 사람이 눞던 침대에 또 눞기도 좀 그렇고....

전 Fully Furnished 에 한번 살아봤지만 이럴 경우 나중에 집주인이 가구,가전기기 상태를 까다롭게 체크하면 디파짓을 까일 수 도 있습니다.

그 일 격은 후, 맘편히 제가 사고 싶은 디자인에 가구,전자기기 사다 맘편히 쓰네요.  

관리비는 렌트비에 포함되어 집주인이 내고 공과금(수도,전기,가스)만 내시면 됩니다. 혼자 사시니 SGD 50~60 나오지 않을까요?

일반 가정이 보통 140~150 정도 나와요

 

6. 초기 자금은 아직 은행계좌가 없어서 보통 다른분들은 입싱하실 때 환전해서 현금으로 가져 가시나요?

=> 이건 7~8년 전이라 기억이.....다른 분께 패스합니다. 

싱가폴 신용카드를 받으시기까지는 3달 정도는 걸립니다. 급여에 따라 payslip 기간에 따라 바로 승인이 안날 수도 있고 거절도 합니다.  

그러니 오기자마자 가장 먼저 할일은 DBS 나 OCBC 같은 지점 많은 local 은행에 고용계약서와 EP 가지고 계좌부터 만드세요.

그럼 NETS 라는 Debit 카드개념을 받아 쓰실 수 있고 그 계좌로 한국에서 송금하신 후 첫 월급때까지 쓰시면 됩니다. 

 

     

댓글목록

산오징어님의 댓글

산오징어 (akasin)

와 진짜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 EP 비자 승인 후 본격 입싱 준비중인데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 초코몽치 (chocbs78)
  • 답변 : 39건
  • 답변채택률 : 5.13%
  • 2019-02-08 15:49

3.4.5. 일주일 정도만 회사에서 제공해준다면, PropertyGuru 등으로 최대한 인터넷으로 많이 알아보세요. 괜찮은 콘도 몇개 추린 다음에 구글맵으로 주변에 마트나 호커센터 등이 있는지도 확인해보시구요. 직원이 먼저 알아봐준다고 해도 본인이 직접 다 가서 확인해봐야 합니다. 사진이나 들은 얘기하곤 또 다르거든요. 

물론 회사 가까운 곳이 좋긴 하겠지만 약 30~40분 정도 거리의 외곽(Punggol, Pasir Ris)으로 가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외곽이 렌트비가 좀 더 저렴하거든요. 본인 성향이 주거 환경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면 렌트비 2000불도 별 문제 없는 것 같네요. 전 깔끔한 집을 선호해서 최근 지어진 콘도 위주로만 뷰잉했고 결국 신축 콘도로 구했어요 ㅋ 
그리고 룸렌트보단 아무래도 홀렌트가 훨 낫죠. 

가구를 전부 다 가져오거나 살 순 없으니 아마 Partial Furnished로 구하게 될 거 같은데, 집 입주 후 한달 동안 꼼꼼히 확인해서 하자 있으면 미리 사진 다 찍어놔야 혹시라도 분쟁시 그나마 편해질 거에요. 

6. DBS의 경우 은행 계좌 만들려면 거주지 주소가 있어야 해서 집을 먼저 구해야 하는데 집 계약할 때 2년 계약이면 두 달치 렌트비를 Deposit으로 줘야 하고 Stamp Duty도 내야 하고 SP Utility 등록할 때도 몇 백불 Deposit 내야 하는 등 계좌 만들기 전에 최소 몇천불 현금이 필요합니다. 전 넉넉히 7~8천불 정도 미리 환전해서 가지고 왔었어요. 

     

댓글목록

산오징어님의 댓글

산오징어 (akasin)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 [답변]
  • EP 비자 승인 후 본격 입싱 준비중인데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 사시미 (sasimi)
  • 답변 : 15건
  • 답변채택률 : 6.67%
  • 2019-02-11 13:37

더 싼 곳을 찾으신다면 flora drive, punggol 을 찾아 보심 되는데

교통편을 고려했을 때 flora drive 가 다운타운 MRT 타기 어렵지 않을 것 같네요. 연식은 좀 오래된 콘도들이 많지만 상대적으로 집이 넓고, 콘도에 따라서는 역까지 운행하는 셔틀이 있을거예요. (Punggol 은 신도시라 준공한지 얼마 안되지만 카키부킷까지 교통편은 불편할 것 같네요) 특정 인종이나 종교인들이 많다는 건 참고하시고요.

근데 집돌이/집순이 생활이 익숙치 않고 문명과 가까운 생활(=소비 생활)을 하고 싶으면 어디라도 역이나 쇼핑몰에서 가까운 곳을 찾아 보세요.

     

댓글목록

산오징어님의 댓글

산오징어 (akasin)

많은 도움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답변]
  • EP 비자 승인 후 본격 입싱 준비중인데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 핔 (iamjihae)
  • 답변 : 7건
  • 답변채택률 : 0%
  • 2019-02-13 13:59

다른 답변은 다른 분들이 다 해주셔서, 4번 질문 추가 답변 드립니다

 

저도 싱글로 월 6,000이상 받으며 월 2,000이상 홀렌트 스튜디오로 살았습니다. 

저는 쇼핑하는 걸 크게 좋아하지 않아서 전혀 무리가 없었고, 싱가폴에 있는 동안 저축보다는 이것저것 즐기며 살려고 생각했어서 나머지 금액으로 매달 2회 가량 해외 여행도 가고, 나가서 잘 노는데 지장 없었습니다. 

그대신 저는 술은 안 마셔서 그 비용은 안 들었는데 술을 마시는 분들은 돈이 아주 많이 든다고 하니 참고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이사 하는 것도 다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처음에 마음에 드는 집에 사시는 걸 추천 드려요. 

 

5번 질문 관련해서는, 

저는 스튜디오 기준으로 물세, 전기세가 약 50불~80불 정도 나왔고 인터넷 비용 40불 가량 나왔습니다. 

 들어가실 때 인터넷이 깔려 있는 집인지, PUB(전기세물세등) 이 포함되는 집인지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포함된 집이면 더 편하실거에요. 

 

6은, 전 환전해서 현금으로 가져갔었습니다. 생각보다 은행 계좌 오픈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넉넉하게 해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댓글목록

산오징어님의 댓글

산오징어 (akasin)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458

생활9월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직장인입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한캔싱(dkcan) 2019-08-27
추천수 : 0 조회수 : 4,236

안녕하세요, 캐나다에서 9월 중순부터 싱가폴에서 살게된 직장인입니다. 사정상 일 시작 몇일전 싱가폴을 가게 됐는데요,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있어 조언 좀 구하고자 올립니다. 1. 집: 현재 property guru라는 사이트 통해 집을 보고 있는데 이렇게 에이전트를…

  • A

    집 전체 렌트를 하시는게 아니시라면 easyroommate 이라는 사이트도 괜찮더라구요. 보통 회사들이 직접 핸드폰 지원해주는 거 아니면 따로 corporate플랜 제공은 잘 못봤습니다.  은행은 어디하셔도 무방하실 것 같습니다. 웬만하면 atm많은 은행 즉, dbs, uob, ocbc 중에 하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운동하는 센터는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없습니다. 다른 회사는 있는 회사들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         

  • A

    몇가지만 답변드리면 2번 답변 : CIP인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통신사 별로 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15%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3번 답변 : deposit 이 은행마다 다릅니다.(~s$3,000) 계좌 개설시에 입금할 수 있는 현찰이 필요합니다. 5번 답변 : 부킷판장역 근처 한인장로교회와 보타닉 가든역 근처 나눔과섬김의 교회가 등록교인이 많습니다. 한인교회가 여러군데 있으니 우선 거주지 근처 위주로 천천히 예배에 참여해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 A

    핸드폰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답변드리면, 윗분 말씀 처럼 CIS 플랜도 있고, EP 소지자에 한한 플랜도 별도로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이건 통신사 별로 다릅니다.. 요건 싱텔 기준     

Q

NO.1457

기타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malishi(malshi1028) 2019-07-28
추천수 : 0 조회수 : 8,057

요즘은 외국인 학생들이 싱가폴 공립학교 다니면서, PSLE나 O레벨, A레벨시험을 보면 PR이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희 가족은 싱가폴에 10년 거주했으며 처음 5-6년간 아들의 군대문제때문에 PR신청을 하지 않다가 이후 PR신청을 아들 포함 전가족이 했지만…

  • A

    양쪽 나라에서 병역의무가 있다보니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고 고민하는 문제라 너무 공감되네요...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보세요.   군대는 어떤 선택을 하든 한국 혹 싱가폴에서 가야하는 상황이니 전적으로 아이의 미래가 한국에 있을지 아니면 한국 외에 있을지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한국에서 대학을 진학하고 군대를 마치고 졸업까지 한다면 아무래도 아이는 한국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죠.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니까요... 회사의 주재원/relocation 으로 대졸 신입이 올리 없고 한국 대학교 졸업생이 바로 해외 취업을 한다는건 현실적으로 비자+경력적인 측면에서 확률이 매우 매우 낮습니다. 차라리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그리고 도전하는 경우가 오히려 더 성공 확률이 높으니까요...   하지만 사람 일이라는게 일을 하다보면 그 시기에 결혼을 할 수도...더 나은 기회가 한국에 있을 수도....한국에 거주하면 거주할 수록 많은 변수들이 생겨나고 정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죠.  한국으로 대학/군대를 계획한다면 차라리 PR 신청 안합니다. PR을 소지하고 있다 NS service 를 하지 않고 포기하면 오히려 나중에 싱가폴로 여행/취업/학업시 불이익을 받으니까요. 제 지인 아들은 초등학교때 PR 을 포기하고 한국에 돌아가서 살다가 대학생이되어 가족여행으로 싱가폴에 왔다 아이가 입국거부된 사례도 있습니다. 정작 아이는 자기 본인이 PR 이었는지 기억도 못하는데 말이죠...안하는게 나아요. 나중에 싱가폴에서 좋은 오퍼가 오면 얼마나 안타깝습니까....   후자처럼 아이가 한국이 아닌 해외 가고 싶은 곳에서 능력껏 하고 싶은거 하고 살기엔 전 PR 신청합니다. 일단  PR이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구요. 보통 싱가폴에서는 PR 로도 충분하죠. 굳이 시민권까지는 가지 않는 1세대 한국분들이 더 많기는 합니다. 1.5~2세대는 우리와 다르자나요...시민권까지도 괜찮아 보여요..하나의 예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미국과 U.S.-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Professional (H1B1) Visa 혜택이 있습니다. 심지어 싱가포리언들은 미국 Green card lottery 자격도 있습니다.호주만 보더라도 싱가포리언들에게 최장 6년간 비자를 주기도 합니다. 타 국가도 알아보시면 한국여권보단 싱가폴 여권이 해외 취업/거주시 장점이 있고 타 영어권 국가 영주권 신청시에도 싱가폴 o level/a level/경력 등이 서류간소화 및 장점이 있어요. 그럼에도  F-4 비자로 한국엔 돌아갈 수 있는 옵션도 여전히 존재하구요...싱가폴을 거주지로 생각하지 않더라도 전자의 선택이 없는거에 비해서 후자는 한마디로 옵션들이 있죠.  그 다음 중요한건 아이가 과연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가 아닌가 해요.  제 아이도 3~4살때 와서 싱가폴에서 계속 살고 있는데 이 아이에게 더 편한 곳은 싱가폴이지 한국이 아니더라구요. 한국은 저에게는 홈타운이고 어느 나라에서 소득생활을 하든 은퇴하면 돌아갈 계획이지만 제 아이에게 한국은 새로운 환경이고 한국의 독특한 문화에 다시 적응해야하는 나라라는 점을 느끼면서 선택은 제 아이 스스로에게 맡기려합니다. 저 처럼 한국에서 받을 연금,보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이가 꼭 한국에 살아야할 이유는 없더라구요. 나랑 같이 안살아도 되니 한국여권이든 어느 여권이든 너가 편하고 익숙하고 살고 싶은데 살아라 하는게 지금 제 결정이네요. 절대 정답이 없는 고민이고 각 자의 가치관과 미래의 비중을 어느 나라에 더 두고 결정하는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 비중이 한국이면 PR 신청안하고 한국이 아니라면 아이가 좀 더 선택이 용이한 PR 쪽으로 가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3
  • A

    저도 한참 이 문제로 고민을 해봤을 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는 외국국저 소지자, 즉 시민권인 경우는 한국에서 군대에 안가도 되지만, 외국  PR인 경우에는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내받았습니다. 그러나 싱가폴에서 병역의 의무는 PR부터 시작되고, 싱가폴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전에 군대를 먼저 다녀와야 하고, 또한  PR이 영원한 것이 아니고 싱가폴의 경우 5년마다 갱신입니다. 즉 싱가폴에서 PR을 받고 군대를 다녀왔는데 5년후에 갱신이 안되거나 시민권이 안나오게 되면, 한국에 돌아가야 하고 그럴 경우 한국에서 군대를 또 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최악의 경우이지만 정말 어려운 문제라서 최악이 경우도 고려를 해보셔야 할 듯 하여...제가 들었던 내용 적어 봅니다.      

    2
Q

NO.1452

생활혹시 6개월만에 신청해서 pr받는 케이스도 있을까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sys20044(sys7744) 2019-07-03
추천수 : 0 조회수 : 2,614

PR 신청 미니멈이 근무 6개월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주변이나 혹시 본인께서 6개월만에 신청해서 받으신 경우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회사는 싱가폴내에 괜찮은 평이 좋다고 알고 있으며 동료들은 최근에 몇명 신청해서 받더라구요. 다만 그친구들은 거주한지 4년이…

  • A

    먼저 체류기간은 전~~~혀 중요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라면 지금 시도 안하겠습니다.  1년 미만 체류하고 신청해서 싱가폴 온지 1년 반정도안에 받으신 한국 분들 주변에 좀 계시지만 그 분들 돈을 아주 아주 잘버시긴합니다... 제 경우엔 싱가폴 처음왔을때 같은 회사에 같은 직군으로 있는 말레이시안 차이니즈 동료가 6개월 후 신청해 3개월만에 받더군요. 어라? 저도 그래서 온지 6개월 지났을때 신청했는데 전 리젝되었었습니다.  ㅜㅜ 사람마다 달라서 같은 회사 다녀도 여러가지 개인사항이 달라서 변수가 많네요... 인종, 국가, 학력, 연봉, 와이프, 자식, 가족이력 등 같은 회사를 다녀도 다 다르니까요... 제가 받았을때는 또 제 주변의 모든 동료들이 리젝되었어요...그 동료들 전부 NUS 출신들이었지만....기준을 모르겠네요 결론은 아무도 몰라요. 근데 확률상 지금 한국인이 6개월만 체류하고 나올 확률이 매우 매우 낮아요...      

    1
Q

NO.1451

교육OFS 문의드려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navi(lemona) 2019-06-20
추천수 : 0 조회수 : 5,240

안녕하세요~ 입싱을 앞두고 한국촌에서 많은 정보 얻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초등저학년 아이를 OFS로 보내려고 하는데, 공개된 정보가 많지 않아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1. OFS 학생 거주지역 OFS가 한국인들 많이 거주하는 주거지에서 많이 떨어져 …

  • A

    cis 는 일단 어느정도 영어실력이 있어야 합니다. 몇학년인지 모르지만... 채계적이고 좀 느긋하긴 하지만 단단한 체제를 갖춘 학교라는 평판입니다. 고등생이 아니면 괜찮은듯 합니다.      

    1
  • A

    초등학교 1 학년이면 어디를 가나 다 즐겁게 생활할 것 같습니다. ofs 다니는 한국분들 주재원분들이 많아서 한국분들 많이 거주하는 곳에 많이 삽니다. 뉴튼, 노비나, 오차드, 리버밸리, 티옹바루  등등..보통 이 지역들을 다 8시 쯤 스쿨버스 타는 것으로 압니다. 세랑군에도 많이 살고, 부킷티마는 쫌 더 일찍 타고. 지역이 동쪽이라도 버스 노선에 따라 더 일찍 타기도 합니다. 요즘은 학교 근처에 사시는 분들도 예전보다 늘은 것 같습니다. 예산범위내에서 마트 지하철 가깝고 편의시설 가까운 지역 사시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몇몇 위치를 찍은 후에 이 콘도에 몇시에 스쿨버스 오냐고 물어보는게 가장 정확할 겁니다.     

    1
Q

NO.1446

생활인터넷 가입시 각종 용어 아시는 분 설명 부탁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climber(climber09) 2019-04-18
추천수 : 0 조회수 : 1,169

인터넷 가입을 하려 알아보는 중인데(싱텔회사의 plan을 보는 중입니다.)   Monthly Subscription은 한 달 요금 같습니다. 맞나요? 그리고 Effective Price와 NLT Activation Fee의 의미가 뭔지요?   2년 약정은 위…

  • A

    싱가포르는 나라도 작은데, 브로드밴드 설치가 왜리이 복잡하고 어려운지 모르겠습니다. 여튼, 일반 소비자들이 알만한 내용이 아닌 것 같은데요. 보통 2년 약정 500메가~1기가 속도의 경우 40~50  달러나옵니다. 세금 포함해서 가격이 업체마다 다 다른데, 프로모션도 다르고, 설치비와 와이파이 월임대료 차이 정도로 봅니다. 보증금도 있네요. 어휴... 참고로 300메가나, 500메가나, 1기가 별 차이가 안납니다. 집에 광랜 설치해서 매일같이 인터넷 TV보셔야 할 상황이 아니면 싼게 더 효율적입니다.   NLT 액티베이션 피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집이 무척 외진곳에 있어서, 주위에 Singtel 단자가 없는 경우를 말하는 것 같은데, 일반인들은 별로 들어볼 일이 없는 단어 같습니다.  그냥 심플하게, 콘도에 싱텔 서비스가 되면, 그냥 가격 적당한거 서비스 신청하세요. 저는 월 37달러짜리 300메가 썼는데, 나쁘지 않았습니다. 물론 지금은 안파는 가격대일 듯 싶습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시라고요.        

    채택답변
  • A

    WAIVED는 원래는 가격이 책정 되어 있으나 무료로 해준다는 뜻입니다. Free는 가격 책정이 없는 무료고여.      

Q

NO.1445

기타외국인이 한국에서 집을 구하려고 하는데요..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진행중
싱가폴.(jeh121) 2019-04-16
추천수 : 0 조회수 : 2,841

안녕하세요.   한국말 못하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6개월정도 살 집을 구하려고 하는데 도움을 어떻게 줘야할지 몰라서 여쭤봅니다.   2명이서 각각 원룸을 얻거나 방 두개짜리를 얻어서 쉐어하려고 하는것 같은데, 제 연고가 없는 지방이기도 해서 더 어렵네요.   …

  • A

    요즘 월세 제도 잘되어 있으니, 큰 위험은 없을 겁니다. https://blog.naver.com/power9565/221110996763 글로벌 부동산 업체들이 있다네요. 대전시에서 지정해서. 적당히 네이버 월세 시세 참고하시면 크게 바가지 쓰시는 일은 없을것 같은데요. 님이 많이 도와주세요. 아, 문제는 6개월 이라는 기간이네요. 애매하게 짧은 기간. 부동산 복비가 부담스러운 기간이긴 하네요.        

    1
  • A

    대전 어느지역인가요?    유성구, 대덕구 쪽이면 지인이 있어 도움드릴수 있습니다.    한국은 월세가 저렴하니 안전한 지역을 선택하면 좋겠죠. 대전은 유성구 연구단지 사거리(도룡동,신성동) 인근에 외국인들이 비교적 많이 살고 있습니다.   도움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1
  • A

    한국에는 외국인을 위한 전문 부동산업체들이 있습니다. 한국 전지역 확인이 될 꺼에요. 포털 사이트에.. 외국인하우스렌탈? 아니면 릴로케이션 서비스 업체 찾아 보심이 좋으실 듯 합니다~! 많은 곳에 문의 하시는게 좋을 꺼에요. 가격이 천차만별이라서...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