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한국에서 카드사용 vs 현금사용
  • 새롬 (lyn931104)
  • 질문 : 2건
  • 질문마감률 : 50%
  • 2018-05-28 12:54
  • 답글 : 2
  • 댓글 : 0
  • 4,817
  • 0

안녕하세요

 

한국에 들어갈때 한 2000불정도 들고가서 한 1주일정도 한국에있는 동안 생활비로 쓰고, 남은돈은  한국에 있는  계좌에 넣을 생각입니다만,

아래 세가지 방법중 어떤게 나은지 고민이 됩니다.

 

 

DBS카드를 갖고가 한국 외환은행에서 2000불 이체

싱가폴에서 2000불 이체후 싱가폴에서 한화로 환전

싱가폴에서  2000불 이체후  한국에서한화로  환전

 

 

 

     
  • [답변]
  • 한국에서 카드사용 vs 현금사용
  • kim6869 (ary0731)
  • 답변 : 38건
  • 답변채택률 : 15.79%
  • 2018-05-28 14:57
싱에서 한화로 환전해 가는것에 한표..차이나타운 환전소 환율이 한국은행보다 더 좋더라구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한국에서 카드사용 vs 현금사용
  • 사회과학 (translatekor)
  • 답변 : 31건
  • 답변채택률 : 3.23%
  • 2018-05-29 00:01

윗분 말씀대로 

싱에서 한화로 바꿔가시는 것이 가장 저렴하다고 들었어요.

 

차이나 타운 외에

래플스 플레이스 역

arcade 가 가장 저렴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7

생활fixed deposit 이율 괜찮은곳 있나요?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부킷인다(gmkim72) 2018-03-06
추천수 : 0 조회수 : 3,278

dbs이용중인데 예금이율이 생각보다 낮네요. 제가 조호바루 살고있어서 은행방문이 쉽지않는데 혹시 프로모션 하는곳 있나요? 참고로 조호바루에는 프로모션하는곳도 많고 이율이 4프로 넘는곳도 있어요. 그래서인지 싱가폴은 이율이 많이 낮아보이네요.      

  • A

    그렇다면 예금을 조호로 옮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1
  • A

    싱가포르 fixed deposit은 대부분 1.2~1.5%정도인데 말레이시아가 4%라면 링깃으로 바꿔서 조호에 돈을 유치하는 것이 좋을까요? 환전수수료, 향후 싱달러대비 링깃의 변화를 따져보고 (환율예측은 금융쪽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단기환율은 며느리도 못맞춤) 두 나라간 예금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동안 달러대비 링깃이 많이 낮아서(말레이 돈이 싸서) 향후는 그 돈이 올라갈 확률이 더 크지만 글쓴분 께서 얼마나 오랫동안 예금을 유치할지, 또 중간에 말레이 링깃이 올랐을때 예금이자 포기하고 그 돈을 찾는다면 싱에서 1.4만 받고 환전수수료 없이 예금만기한 경우보다 이득일지도 따져봐야 합니다. 현재로 고금리 fixed deposit은 BOC 가 좀 낫고요(프로모 기간에 해당할때) 저는 얼마전에 싱달러 대신 위안화 예금을 4.1%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향후 위안화 방향에 대해서 본인이 관을 가지고 이러한 예금을 들어야 하며 그 예측이 틀렸다 하더라도 버티거나 그 금액이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의 일부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월급여 2000이상인 분들은 OCBC 360 급여통장이 답이며 (1.2%, DBS나 UOB  또는 SC도 있으나 카드를 써서 이율을 더 받는것을 너무 장려하기 때문에 simply 월급으로만 주는거 이게 더 좋더군요) 더 여유자금 있거나 장기로 두실 분은 싱가포르 저축본드( SSB -대신 SGX에 계좌 열어야 함) 또는 BOC같은 중국계은행의 특판예금(싱달러 경우 5만달러까지 MAS 예금지급보증)을 선택하세요. 감사합니다. 금융구루*백만장자의 가계부 코치 미라클 드림      

    1
  • A

    쪽지 보냈습니다.     

Q

NO.35

생활지금 제 상황에서 디파짓을 가장 저렴하게 은행을 개설할…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breaktime(breaktime) 2018-01-11
추천수 : 0 조회수 : 3,057

작년 10월부터 학생비자로 거주하고있는 만 30세 남성입니다. 저번달부터 집을 이사했는대 집주인이 월세를 현금말고 계좌이체를 하던 인터넷뱅킹을 하라던데 저번에 계좌개설하려고 시티은행가니 15,000불이 필요하다더군요ㅠㅠ 여기서 검색해보니 posb, dbs가 디파짓이…

  • A

    26세 이상 디파짓 룰은 전 처음들어보네요. 저는 DBS 디파짓 없이 통장 개설 했읍니다만. 통장은 꼭 필요하시죠. 뭘 하든 필요하고, 또 유용합니다. 꼭 만드세요. 그릭 서류 들고 일단 은행 방문해보셔야 알듯 합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통장 만드는 단계가 가장 어렵습니다. 힘내세요.       

  • A

      통장 개설시  학생비자, wp비자-디파짓 필요  ep비자 디파짓 필요 없음 , 시티 뱅크 15000불은, 15000불 이하일 경우 매달 일정 금액을 가져간다는 뜻, (대략 10불정도)   디파짓은, 통장을 클로즈할 때 전액 받을 수 있음, 다만, 통장에서 뺄수는 없는 금액임.  예를 들어 ocbc는 처음 통장을 개설할 때 1000불을 내야함, 500은 디파짓 500은 미니멈 돈, 그래서 뺄수 있는 돈은 500뿐임, 하지만, 싱가폴 라이프를 정리하고 통장을 close하게 되면, 전액 돌려받을 수 있는 돈임. 참고바람      

  • A

    17년 3월에 DBS에서 계좌 개설 했고, 당시 학생비자였습니다. 나이는 만 28세 계좌 개설 시 보증금은 없었고, Fall-below fee가 있긴한데 만29세까지는 (up-to 29 years old) 면제였습니다. DBS eMulto-Currrency Autosave Account고 구글링 하시면 pdf로 된 deposit guide 파일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제 기억엔 은행에 leflet 이 있던거 같은데 한국 돌아온지 좀 되서 기억이 안나네요.)   이 계좌의 경우 fall below fee는 7.50 SGD per month구요, average daily balance가 3000 SGD 미만 시 발생합니다.   STP는 만료되었고... 출국 직전에 계좌를 닫으러 갔는데, 맥도날드에서 결제한 돈이 안빠져나가서 닫지도 못하고 온게 생각나네요....      

    1
Q

NO.32

생활학생 dbs계좌오픈하려면 어떡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1014426(a1014426) 2017-09-30
추천수 : 0 조회수 : 1,822

네이버 검색해보니 proof of residence인가랑.. 신분증, 여권이 필요하다는데 student pass는 있구요.. proof of residence가구체적으로 어떤게 필요한건가요? 제가 한국에서 현재 살고있는 주소로 받은 우편물이 있는데요.. 이런 우…

  • A

    핸드폰 청구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E-mail 로 받는 경우에도 거주 주소 포함 되어 있으니 프린트 해가시면 됩니다.     

  • A

    이미 계좌 오픈 하셨을 것 같지만.. 그래도 답변을 드리자면.. 저는 3월에 개설했구요, 알고계신 것 처럼 proof of residence가 꼭 필요합니다. 저는 집 계약서를 가져갔었구요, 문제없이 개설했었습니다. 저는 e-saving account 였구요 만 29세 이전에는 deposit이나 계좌유지비가 없었습니다. 나이 지나고 계좌 잔액이 3000 SGD 미만이면 계좌유지비가 발생하는 계좌였어요 (deposit은 계좌마다 다를테니 은행에서 꼭 확인해보세요) 개설할 때 갔던 직원분이 별다른말 없이 그냥 해주셔서 다른 옵션이 뭐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주소랑 이런거 저런거 확인하고 간단히 인터넷뱅킹 로그인하는거 설명해주시고 끝났어요. 계좌 관련해서는 개설하러 가셨을 때 직원분과 직접 이야기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저의 경우에는 proof of residence로 쓰려고 계약서 들고 갔는데 어떤 직원분이 검토하시더니 안된다고 까이기도 했습니다. 아파트 처럼 몇 호 이런게 주소 상에 없었던 것 때문에 안된다고 그러더라구요.... 집이 HDB나 콘도 그런 형태가 아니고, 집 하나 지어서 학생들 대상으로 장단기 렌트하는 업체이다보니......근데 이건 다른 지점에 그대로 들고 갔더니 또 별말 없이 넘어가더라구요... (물론 구두로 물어보긴 하는데... 전체가 하나의 집인거라 방 호수 말고는 따로 없다고 그랬더니 별 말 안하시더라구요)  잘 되시길 바래요!!      

    1
Q

NO.29

생활은행관련하여 선배님들께 물어요!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강산애(wnsdh1120) 2017-05-23
추천수 : 0 조회수 : 1,741

아직 월급을 받아보진 못했는데요, 보통 은행 어떻게 쓰세요? 현재 DBS발급중에 있긴한데, 한국 씨티은행도 발급해서 왔어요. DBS로 월급을 받는게 낫나요?(한국계좌로 이체가 되나요? 일반 로컬은행 및 씨티은행) 이체가 안되고 수수료가 높다면 어떻게 하는 방법이 좋은…

  • A

    저희는 주재원인데요 생활비는 dbs로 받고 나머진 한국은행계좌로 받아요. 회사에 따로 신청해서 그렇게 받고있어요.      

  • A

    bds든 uob든 ocbc든 어디은행이건 한국은행으로 이체되요 다만 수수료가 40~60까지 붙어서 수수료 적게 드는 시티은행이용하는데 시티은행 이용하려면 한국에서 해외계자이체가능한 통장 만들어야 하구요 싱가폴시티은행에서 디파짓 은행마다 틀린데 2500불 5000불 등등 내야해서 그냥 제일 atm기 많은 dbs은행계좌많이들 만드는거 같드라구요  wp기준이고  sp/ep는 다를수도 있어요      

    1
  • A

    급여는 싱가포르 로컬 은행 계좌 트셔서 거기로 받으시고, 1) 계좌에 SGD 들어 오면 환율 등등 고려하여 적절할 때에 한국 계좌로 송금 (송금 수수료 있음. 은행마다 다름. 한국 쪽 은행의 싱가포르 지사라고 해서 특별히 싸지 않음) - SGD 로 송금하면 수취하는 한국 쪽 은행에서 전신환 기준으로 환전하며, 환전 수수료가 붙음 - KRW 으로 환전해서 보낼 수도 있는데 환율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음   2) 한국 계좌가 "외환" 계좌인 경우 외환으로 송금이 가능하며, 추후에 직접 한화로 환전 - 씨티뱅크 외환계좌인 경우 송금엔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적던가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써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음. - 다른 은행 외환 계좌도 1) 의 방법 보다는 나은 것으로 알고 있음   3) 한국에 본사가 있는 주재원이 아닌 한 급여를 한국 계좌로 쏴 주진 않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송금수수료가 있으므로) 해 준다면 참 은혜로운 회사일 것이구요.   4) 굳이 송금해야 할 사유가 없다면 가능한 로컬 계좌에 저금해 두시는 게 낫습니다. 송금수수료가 만만치 않기 때문에... (근데 대부분은 송금해야 할 사유가 있죠. 부모님 생활비라던지 등등...)   저도 여기서 주워 들은 풍월이라, 틀린 부분 있으면 지적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