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교육
  • 입싱 예정입니다. 유치원 급하게 질문 드립니다.
  • PODOWON (tony13)
  • 질문 : 36건
  • 질문마감률 : 11.11%
  • 2018-04-21 00:08
  • 답글 : 2
  • 댓글 : 2
  • 3,562
  • 1

안녕하세요

올 7 월 2013 년 아이와 함께 입싱 예정입니다. 직장이 Tampines 지역에 있어서 거주지가 아무래도 동쪽이 될 수박에 없을 것 같은데. 아이유치원이 많이 고민이 됩니다. 혹시나 이미 경험하신 부분이나 유치원 관련해서 조언하실 부분이 있으면쪽지 부탁드립니다.

1. 영어에 대해서 거의 인사말만 하는 수준인데 직장 때문에 집 근처 브리티시 카운슬이나 국제 유치원 혹은 로칼 유치원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유치원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2. 아이가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데 한국어 선생님이 꼭필요할까요 ?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까요?

3. 혹시 한국 유치원을 가게 된다면 부킷판장이나 부킷티마지역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거기 유치원은 어떤가요? 일반 로칼 유치원이나 국제 유치원을 보내는게 나을까요? 애 영어실력때문에 꼭 한국유치원을 보내야 할까요?

4. 다들 유치원 나이 대에 아이 영어공부는 어떻게 시키셨나요? 따로 과외를 시키셨나요 아니면 영어학원을 다녔나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 입싱 예정입니다. 유치원 급하게 질문 드립니다.
  • star1234 (sunmaid)
  • 답변 : 17건
  • 답변채택률 : 0%
  • 2018-04-21 13:09

2.로컬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여기 아이들은 중국어나 말레이시아 등 영어외 모국어로 자라는 아이들이 많아 다들 배우는 단계라 잘 하지 않아요. 

4. 저 같은 경우는 여기 서점에 파는 학습지를 사서 집에서 공부시켰어요. 나이대별로 나뉘어져서 팔아요. 

     

댓글목록

jdldjba님의 댓글

jdldjba (tony13)

감사합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입싱 예정입니다. 유치원 급하게 질문 드립니다.
  • kylrie! (kylriehan)
  • 답변 : 520건
  • 답변채택률 : 15.38%
  • 2018-04-22 15:36

저희 아이도 한국에서 K1때 와서 그냥 로컬 유치원 다녔습니다. 일반 유치원 보내시면 됩니다. 공립은 아마 자리가 없을 수있습니다. 일반 유치원 종류도 다양해 한두가지 추천드리기 보단 님의 예산/커리큘럼에 따라 다를꺼 같습니다. 대신 전 로컬 phonics class 를 추가로 보냈습니다. 예를 들면, 한글 ㄱㄴㄷ이 모음과 조합되면 한국 발음이 나듯 알파벳에 따라 소리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저는 위분과는 조금 생각이 다릅니다. N1~N2 (유아원?)가 아닌 싱가폴 유치원 K1 어린 친구들의 영어 실력은 같은 나이의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아이들과는 수준차이가 많습니다. 생각보다 잘 한다고 느끼실 꺼예요.  

물론 Mother tongue 이 있지만 싱가폴은 영어가 1순위로 생각하기에 싱가폴 부모들도 영어 교육을 일찍부터 열을 올리고 시작해 유치원때 아이들은 이미 영어 수준은 이미 말하고,듣고, 쓰기까지 할 줄 압니다. 

제 아이는 유치원 이외에 주로 놀면서 가르치는 N1~N2 대상의 phonics class 을 1주일에 2번 정도 꾸준히 6개월 다녔습니다. 

이 과정은 K1어린 친구들은 이미 N1~N2때 부터 듣고 오는 과정입니다. 

왜냐면 같은 나이의 K1들이 듣는 수업은 한국에서 온 아이들은 스트레스일 수 있기에 1~2학년 낮은 수업을 들었습니다. 스트레지 받지 않고 재밌고 자연스럽게 영어에 노출 시키는게 중요합니다. 스스로 편해지고 익숙해지면 TV에서 만화도 보기 시작하고 간단한 영어 그림 책도 스스로 읽습니다. 그래서 조금 재밌게 영어 발음부터 놀면서 익숙해 질 수 있는 곳을 찾으시는 걸 추천합니다.그래서 한국 선생님은 비추입니다. phonic는 발음 기호로 영어를 발음했던 한국 사람보단 외국인이 맞는거 같습니다. 

이렇게 영어와 친해지고 간단한 영어를 스스로 어느정도 읽기 시작하면 영어 책을 사주면서 단어를 늘려가면 됩니다.

싱가폴에 서점에 가시면 아이들이 한국에 비해 책을 굉장히 많이 사고 또 읽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을꺼예요. 수준별로 재미있는 책들이 많고 만화 책을 보든 아이이 좋아하는 책들을 사주면 영어를 아주 금방 거부감 없이 익힐 수 있습니다.

6개월만 지나도 아이는 영어를 생각보다 굉장히 빨리 배웁니다. 성격적으로 외향적인 아이면 더 빠르게 배웁니다.

저희는 유치원에서 친하게 지내는 싱가포리언 친구와 자주 만나 놀고 여행도 가면서 아이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았을때 싱가포리언 유치원 동갑 친구가 많은 도움을 줬습니다. 아이들은 말이 잘 안통해도 잘 놀자나요. 주변에 친구를 사귀게 도와주세요...영어는 너무 걱정안하셔도 될듯. 

다만, 집에서 한국어 책을 읽어 주고 한국말 하는 것을 잊으시면 아이도 한국어를 금방 잊어버릴 수 있기에 몇 개월 지나면 영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꾸준하게 한국어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jdldjba님의 댓글

jdldjba (tony13)

감사합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558

기타해외 호텔에서 일을 하고 싶은 한국 청년입니다. 조언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워너비gm(lhj940321) 2019-02-20
추천수 : 0 조회수 : 3,400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 소재의 4성금 호텔에서 연회 판촉 지배인으로 근무하고있는 26 청년입니다.   세종대학교 호텔경영학과를 졸업하였고, 작년 11월 1일 부로 현근무지에 입사하여 이제막 4개월차가 되어가네요.   싱가포르 취업에 관심을 간고 알아보던중 한 에…

  • A

    안녕하세요 읽고 지나가려다가 어이없어서 로그인했습니다. "에이젼시 말로는 한국에서 온라인 지원을 하는것은 취업이 될학률이 거의 없다고 하더군요, 당장 현지로 날아와서 워크인으로 이력서를 돌리랍니다 뿐만아니라 바로 5성급으로 취직이 되는것도 힘들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한번 벙찌고 급여적인 측면에서 한번더 벙쪗습니다. 사실상 생활하려면 한국의 부모님께 손을 벌려야하는 금액을 말씀하시더라구요."   에이전시.. 뭐 잘 아시겠지만 너무 에이전시 말만 믿지마세요.. 그리고 많이 조사해보세요. 다른 에이전시에서는 어떻게 얘기하는지도 들어보시고.. 호텔 경력없이도 온라인지원으로 취업한 사례도 충분히 있구요(내가 가진 경험을 어떻게 어필하느냐에 따라 다른 부분. 그리고 경력이 있으면 더 가능성이 높겠죠) 당장 현지로 날라와서 이력서 돌리는데 생각보다 안되면 책임져준답니까? WP라면 뭐 솔직히 힘든 생활이긴해요 월급에 있어서는 에이전시가 하는 말이 맞을거에요(월급이 1200불~ 1800불 수준이라.. 1800이하라고 보심되요 그냥) 그리고 싱가폴 hospitality 분야는 돈은 포기하셔야 해요. 다른 나라보다 페이적은데 생활물가나 집값은 훨씬 비싸죠... 근데 뭐 집을 좋은거만 찾거나 돈 팡팡쓰는 스타일 아니고선 적자는 안나요 조절하기 나름이에요. 어디까지나 개인차이고 소비습관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적으로 손벌릴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싱가폴 5성급 호텔취업... 에이전시 없이도 가능한 부분이라 봅니다 저는. 근데 채용 시기에 따라 에이전시 이용이 시간적으로 득이 될수는 있겠죠.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른거지만, 잘 판단하셨으면 합니다:)          

  • A

    여기 게시판 찾아보시면 알겠지만(꼭 검색해 보세요) 그리 추천드리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에요. 싱가포르는 호텔이 많고 다양한 것은 맞는데,  기본적으로 싱가포르 자체가 인력 수급이 워낙 쉬운 조건에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고급 한국인력을 그리 원하는 분야갸 극히 제한되는 것 같습니다. 보수가 높지 않은 이유도 주위 말레이시아-필리핀 등지에서 영어가 되는 인력들을 값싸게 써먹는 환경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보여져요. 물론 일부 하이레벨 호텔리어들도 있겠죠. ^^; 영어가 잘 되신다니, 유럽이나 스위스 같은 데를 뚫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싱가포르를 경유해 가는 방법도 있을 것 같기는 한데, 그렇게 자세한 대목은 다른 분들이 답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A

    윗 분의 말씀이 너무 정확하고 공감되네요.  일단 서비스, 호텔, F&B 쪽은 엔 싱가포리언들이 선호하지 않는 분야기에 외국인 채용이 많습니다. 영어는 기본이고 중국어 혹 ASEAN 언어 중 한 두가지는 모국어로 하는 친구들을 채용하기에 아마도 가장 좋은 조건으을 가진 나라가 아닌가 싶어요. 그러다보니 구직하려는 외국인은 많고 자리는 제한적이니 연봉이 높지 않습니다.   싱가폴에서 정착하고 자리잡고 살기엔 정말 턱없이 부족한 연봉입니다. 한국에서 받으시는 월급과 비슷 혹 이하라면 여기 장기간 있기 힘듭니다.... 싱가폴은 비자를 월급에 따라 다른 비자를 받습니다. 언젠간 비자의 문제게 직면하는 시기도 언젠간 오게됩니다. 예를 들면 승진, 월급상승시 비자에 따라 제약이 발생합니다.  회사 입장에선 비자마다 쿼터를 조율해야하고 비자를 변경해야하면 복잡한 경우 수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 이유로도 높게 올라가는 건 정말 쉽지 않고 그런 위치들은 이제 싱가포리언들과 경쟁하게됩니다.   솔직하게는 분야를 떠나 한 예를 들면, 한국에서 실수령액 300만원 월급을 받는다 그럼 여긴 600만원은 받고 오셔야 차 없는 그나마 비슷한 생활이 가능합니다. 다른건 한국과 비슷하지만 외국인으로서 드는 주거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소 150~200만원정도는 렌트비로 쉽게 나가니까요.... 방법은 있습니다 일반 가정집에 방렌트를 하셔서 비용을 줄 일 수는 있으나 한국에서 살아왔던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방렌트는 좀 생소하고 적응이 필요하고 그렇게 되면 한국에서의 삶처럼 집에서도 막 자유롭지 못합니다.  혼자사는 것과는 천지차이입니다.  단기간을 보시기보다 외국에 취업해 나가려는 목표를 세우신다면 나갔을때 내가 하는 일이 5년 10년 본인의 커리어도 쌓고 동시에 그 나라에 궁극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Q

NO.547

기타싱가폴 떠나왔지만 다시 돌아가고 싶을때는 어쩌죠

  • 답글 : 4
  • 댓글 : 3
답변진행중
HAHASCHOOL(joowon203) 2018-07-17
추천수 : 0 조회수 : 3,152

안녕하세요. 여쭈어 볼 곳이 없어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곳에 질문드립니다. 현재 20대 후반을 달리고 있는 여자입니다. 20대 초반에 싱가폴에 가서  7년여 경 생활 후 (대학, 직장) 작년에 한국으로  돌아와 일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돌아온지 1년 조금 넘었네요.…

  • A

    전 초등학교 때부터 해외 생활을 계속 하다가 한국에서 대학교+직장생활 조금 하고 다시 싱가폴에 와있는데요,  어디에 있든 그 곳의 생활이 적응되고 편해지면 다른 곳이 또 그립고 생각나는 것 같아요. 다른 나라에 있으면 한국에 가고싶다가도 또 한국에 가면 외국으로 가고싶고 그렇더라구요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떠나면 좋겠지만, 그리움 때문이라면 또 반대로 여기서도 다시 느끼게 되지 않을까요?      

    1
  • A

    제일 중요한건 어느쪽 월급이 더 나은것인가 인거같아요. 그리운건 그리운거고 돈은 돈이니까요. 싱가폴은 여차하면 휴가로 오시면 되니까, 어느쪽 근무환경이 더 나은가를 한번 따져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1
  • A

    저는 그 반대에요ㅎㅎ 항상 외국생활을 꿈꾸며 한국에 있다가 나이도 나이인지라 다시는 기회가 없을 것 같아서 싱가폴로 나오게 됐어요. 지금의 가장 큰 고민은 다시 한국에 못들어가면 어떡하지 입니다.. 이곳에서 짝도 찾았고 현재 안정적인 일자리도 갖고있지만 이 이유로 인해 한국에 들어갈 수 없어 걱정이에요. 그리고 저는 다 커서, 한국에서 회사생활도 해 본 후 나왔기 때문에 이 나라 일부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중간함도 있네요ㅎㅎ 왜 싱가폴에 다시 오고싶은지 잘 생각해보세요. 한국을 떠나고 싶어서 오고 싶은지, 싱가폴이 그리워서 오고 싶은지.. 만약 첫번째 이유라면 싱가폴로 들어올것을 권하고 두번째 이유라면 감히 말하지만 아직은 한국에 계셔도 괜찮습니다.        

    1
Q

열람중

교육입싱 예정입니다. 유치원 급하게 질문 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PODOWON(tony13) 2018-04-21
추천수 : 1 조회수 : 3,563

안녕하세요 올 7 월 2013 년 아이와 함께 입싱 예정입니다. 직장이 Tampines 지역에 있어서 거주지가 아무래도 동쪽이 될 수박에 없을 것 같은데. 아이유치원이 많이 고민이 됩니다. 혹시나 이미 경험하신 부분이나 유치원 관련해서 조언하실 부분이 있으면쪽지 부탁…

  • A

    2.로컬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여기 아이들은 중국어나 말레이시아 등 영어외 모국어로 자라는 아이들이 많아 다들 배우는 단계라 잘 하지 않아요.  4. 저 같은 경우는 여기 서점에 파는 학습지를 사서 집에서 공부시켰어요. 나이대별로 나뉘어져서 팔아요.       

    1
  • A

    저희 아이도 한국에서 K1때 와서 그냥 로컬 유치원 다녔습니다. 일반 유치원 보내시면 됩니다. 공립은 아마 자리가 없을 수있습니다. 일반 유치원 종류도 다양해 한두가지 추천드리기 보단 님의 예산/커리큘럼에 따라 다를꺼 같습니다. 대신 전 로컬 phonics class 를 추가로 보냈습니다. 예를 들면, 한글 ㄱㄴㄷ이 모음과 조합되면 한국 발음이 나듯 알파벳에 따라 소리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저는 위분과는 조금 생각이 다릅니다. N1~N2 (유아원?)가 아닌 싱가폴 유치원 K1 어린 친구들의 영어 실력은 같은 나이의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아이들과는 수준차이가 많습니다. 생각보다 잘 한다고 느끼실 꺼예요.   물론 Mother tongue 이 있지만 싱가폴은 영어가 1순위로 생각하기에 싱가폴 부모들도 영어 교육을 일찍부터 열을 올리고 시작해 유치원때 아이들은 이미 영어 수준은 이미 말하고,듣고, 쓰기까지 할 줄 압니다.  제 아이는 유치원 이외에 주로 놀면서 가르치는 N1~N2 대상의 phonics class 을 1주일에 2번 정도 꾸준히 6개월 다녔습니다.  이 과정은 K1어린 친구들은 이미 N1~N2때 부터 듣고 오는 과정입니다.  왜냐면 같은 나이의 K1들이 듣는 수업은 한국에서 온 아이들은 스트레스일 수 있기에 1~2학년 낮은 수업을 들었습니다. 스트레지 받지 않고 재밌고 자연스럽게 영어에 노출 시키는게 중요합니다. 스스로 편해지고 익숙해지면 TV에서 만화도 보기 시작하고 간단한 영어 그림 책도 스스로 읽습니다. 그래서 조금 재밌게 영어 발음부터 놀면서 익숙해 질 수 있는 곳을 찾으시는 걸 추천합니다.그래서 한국 선생님은 비추입니다. phonic는 발음 기호로 영어를 발음했던 한국 사람보단 외국인이 맞는거 같습니다.  이렇게 영어와 친해지고 간단한 영어를 스스로 어느정도 읽기 시작하면 영어 책을 사주면서 단어를 늘려가면 됩니다. 싱가폴에 서점에 가시면 아이들이 한국에 비해 책을 굉장히 많이 사고 또 읽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을꺼예요. 수준별로 재미있는 책들이 많고 만화 책을 보든 아이이 좋아하는 책들을 사주면 영어를 아주 금방 거부감 없이 익힐 수 있습니다. 6개월만 지나도 아이는 영어를 생각보다 굉장히 빨리 배웁니다. 성격적으로 외향적인 아이면 더 빠르게 배웁니다. 저희는 유치원에서 친하게 지내는 싱가포리언 친구와 자주 만나 놀고 여행도 가면서 아이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았을때 싱가포리언 유치원 동갑 친구가 많은 도움을 줬습니다. 아이들은 말이 잘 안통해도 잘 놀자나요. 주변에 친구를 사귀게 도와주세요...영어는 너무 걱정안하셔도 될듯.  다만, 집에서 한국어 책을 읽어 주고 한국말 하는 것을 잊으시면 아이도 한국어를 금방 잊어버릴 수 있기에 몇 개월 지나면 영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꾸준하게 한국어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1 채택답변
Q

NO.542

사업/직장현지 계신 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 답글 : 4
  • 댓글 : 2
답변완료
조언구합니다(prayer815) 2018-03-21
추천수 : 0 조회수 : 7,780

안녕하세요. 저는 입싱을 준비하는 서른살 청년입니다. 한국에서 유명 프렌차이즈 레스토랑에서 일했었는데요. 새로운 경험과 언어도 배워보고자 알아보다가 해외취업을 알게 되었고, 거의 모든 준비가 끝나서 당장 이번달 말에 출국예정입니다. 저는 인터넷으로 알아보다가 한국에…

  • A

    여기에 솔직한 답변이 달리기 힘든 질문이시네요 한국 젊은 분들이 F&B분야에 많이들 취업해 오시고 몇년 짧게 근무하고 싱가폴과 작별하는 케이스가 많더군요 한국 취업관련 커뮤니티에도 잘 물어보세요 해외취업은 자신의 목표와 가치관이 연결된 문제라 정답이 없다고 봅니다 확실한 건, 월급은 짜고 돈을 모을 수는 없는 것 대신 해외 경험은 좀 느는거죠, 새로운 기회가 올수도 있고, 안올 수도 있고요...여튼 그렇습니다... 그런데, 정말 짜긴 짜네요, 싱가포르도 참 독하군요 ㅠㅠ     

  • A

    제가 F&B분야는 잘 모르지만..확실한건 에이전시에서 제시한 급여로 싱가포르에서 생활이 과연 가능할지 의문입니다..여기에서 어느정도 급여가 보장이 되지 않으면..삶의 질이 한국보다 현저하게 떨어지거든요..6개월 또는 1년안에 무조건 훨씬 나은 급여 조건으로 이직하겠다는 강한 결심으로 오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 A

    대부분 다들 부정적인 답변이 많으시네요.. 저는 긍정적으로 말씀드리면 1600불이 싱가폴생활하기에는 빠듯하긴하지만 한달에 4000불을 받던 1600불을 받던 그 상황에 맞게 생활하시면 됩니다 5성급 호텔 F&B 일하는사람들 기본급여가 1350불부터 입니다 거기서 뭐..오버타임 및 팁같은거 하면 한달 1600정도 받겠죠 근데 그 친구들중 과연 급여만보고 일하는사람이 있을까요? 얘기해보면 대부분 본인스펙이 우선이지 돈이 우선이 아니라고 합니다 지금이야 1600불이겠지만 차근차근경력 쌓고 인정받으면 추후에 16000불도 받을수있다라는 꿈을 가지고 살더군요 싱가폴은 한국처럼 학연 필연 으로 진급도 없고 오로지 본인능력으로 진급가능한 나라입니다 현재는 1600불이지만 몇년 후의 나의모습을 그려보세요 그 꿈을 가지고 노력하면 언젠간 그자리에 서있는 본인을 볼수있을껍니다 일단 한번 경험해보세요!! 해보고 후회해도 늦지 않습니다 30살이시면 아직 젊잔아요^^          

    1 채택답변
Q

NO.540

부동산입싱 준비중인데 렌트시 궁금점!!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열하루붉은꽃(artistkk7) 2018-02-25
추천수 : 0 조회수 : 9,159

안녕하세요. 입싱준비중인 직장인인데 일단 싱가폴입국후 며칠간 호텔에 있으면서 집을 알아볼 생각입니다. 취업비자를 받았고 들어가서 EP 카드 발급받아야하는데요..혹시 집렌트할때 그런게 필요한가요?? 그리고 혼자 살 작은 스튜디오나 여의치않으면 콘도 마스터룸정도 생각하…

  • A

    제가 저번달에 같은 상황이어서 도움이 될까 하여 답변을 남기자면.. 제 에이전트말에 의하면 계약할땐 EP카드 필요하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싱가폴 들어와서 EP 카드 신청하고 받는데 한 3-4일 정도 밖에 걸리지 않으니 집 알아보시는 기간 안에 EP카드는 충분히 받으실 수 있을터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EP카드가 없어도 레터가 있기 때문에 집 알아보는것 자체에는 전혀 문제 없으시고요. 싱가폴이 처음이시고 혼자 사실거면 에이전트를 통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의외로 신경써서 봐야할것도 많고 간혹 고쳐달라고 요구하거나 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에이전트가 있으면 중간에서 그런걸 신경써주니 편합니다. 룸렌트하실거면 그냥 구하셔도 될 것 같고요. 일단 예산이 얼마나 될지, 직장 위치가 어디인지, 혼자 사실지 아니면 룸렌트를 하실지, 룸렌트를 하실거면 마스터로 하실지 커먼룸으로 하실지, 요리 하기를 원하시는지, 콘도로 하실지 HDB로 하실지, 등등을 일단 결정하고 알아보셔야 헤매지 않으실거예요. 저같은 경우엔, 콘도 스튜디오 렌트해서 혼자 살거고, 예산 이정도다 라고 딱 정해놓고, 아는 에이전트 지인을 통해서 계약했는데요. 처음에는 지인이라도 에이전트 피 나가는거 아까워서 혼자 알아보고 그랬는데..그래도 제 에이전트가 있으니 들어갈때 불편하거나 요구할만한 것도 대신 다 해주고,, 월렌트도 대신 많이 네고해줘서 결론적으론 에이전트 두는게 나았다고 생각 들더라구요. 전 이번이 싱가폴 두번째 사는건데.. 처음에는 방값 내는거 진짜 아깝다가 (물론 지금도 아깝습니다..) 한번 잘못 들어가서 집으로 고생하거나 같이 사는 사람들로 고생하고 나면 마음도 피곤 몸도 피곤..하여 사는게 사는것 같지 않은 경험을 해보고 나니 그냥 돈 좀 들이더라도 혼자 사는게 낫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꼭 꼼꼼하게 확인하시고 까다롭게 보시고 들어가시는걸 권해드려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