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whatzup (cdh128)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17-11-06 11:34
  • 답글 : 5
  • 댓글 : 9
  • 3,965
  • 0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에서 5년넘게 거주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최근에 이사를 하게 되었어요.

 

여기저기서 많이 살아봤지만 또 새로운 동네에 가보게 되어 즐거웠습니다

 

한국촌에서 본 가격은 800불 렌탈비에 PUB 별도였습니다.

 

이사전 직접 방문도 하였고 집주인분도 만나보았으며 이것저것 체크해보았고

 

맘에 들었습니다.

 

일단 막상 살아보니 인터넷이 너무 느리더군요...(신호가 안잡히거나 간단한 웹페이지도 못여는 수준)

 

근데 이건 방문당시 제가 직접 연결해보고 확인하지 않은 제 잘못이기에

 

그냥 집에서 데이터 쓰고 있습니다.

 

그냥 감안하고 살아야겟다 햇는데 오늘 집주인분이 저에게

 

각 방에 있는 에어컨을 3개월마다 청소(의무인건 알고있습니다) 하는데

 

각자 방에 있는것은 각자가 내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내야한다구요?? 라고 물으니

 

방값을 저렴하게 줬으니 각방에 있는 에어컨 청소비는 각자가 내야한다는 것입니다

 

1. 방값이 이게 저렴하게 나온건지 아닌지 제가 알수도 없거니와

   단지 위치와 가격이 맘에들어 입주한것

 

2. 에어컨 청소비를 각자 내야한다면 왜 사전에 인폼을 주지 않은 것인지?

 

제가 알아보고 제가 내야하는게 맞다면 제가 내고 지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내야하는게 아니라면 전 2달뒤에 다시 또 이사를 가기로 하였습니다

 

이분 말로는 세입자가 자기방에 있는 에어컨 청소비용 내는건 일반적인것이라

 

제가 당연히 알고 있을 줄 알았다는 것입니다. 

 

지난 5년간 살면서 에어컨 청소비를 한번도 안내본 제가 비 일반적인것인지

 

아니면 운이 좋은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에어컨 청소비를 내는것이 일반적인가요?

 

이사비용만 날리고 짐쌋다 풀었다 육체적으로만 힘드네요

 

위 상황에서 에어컨 청소비를 제가 내는것이 맞는지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raloqo (han1)
  • 답변 : 12건
  • 답변채택률 : 0%
  • 2017-11-06 11:57
에어컨 청소비는 집주인이 내는게 맞습니다. 에어컨 소유가 집주인이니깐요. 에이전트끼고 했으면 계약서에 나와있을텐데요. 계약자는 청소하기로 한날 컨택잡고 협조만 잘 해주면 됩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막무가내면 이사가고 싶겠지만 이사비용이나 시간등 손해가 큽니 잘 협의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집거래 만큼은 한국촌 피하시길바랍니다. 아무리 룸렌트라할지라도요.     

댓글목록

whatzup님의 댓글

whatzup (cdh128)

한국촌으로 구해서 에이전트를 끼지는 않았습니다. 계약서 역시 받은게 없구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lamy님의 댓글

lamy (lumiere)

오해 마시길 바랍니다.  집주인이 전적으로 내야 하는 조건은 없습니다  서로 구두 계약  아니면 서류 계약 으로  하는 것 이죠..
하지만 집주인 분께서 인폼 안주셧다면 집주인 분 잘못 이라 봅니다

  • [답변]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Ted12 (kwongj78)
  • 답변 : 5건
  • 답변채택률 : 20%
  • 2017-11-06 14:13

저같은 경우는 렌트비 PUB 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것이 포함+에어컨 청소비용등등) 이였고 PUB 불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부대비용을 다 1/N 했었네요... 

 

 

     

댓글목록

whatzup님의 댓글

whatzup (cdh128)

답변 감사드립니다 :) pub이란 것은 public utilities board 인데 에어컨도 공공재에 들어가는것일까요...? 혹시 1/n 하실때 미리 공지 안하셧나요 아니면 pub 제외이므로 에어컨 청소비는 따로 내셔야한다고 공지를 해주셨나요? 정말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Ted12님의 댓글

Ted12 (kwongj78)

PUB 포함/불포함 이외에는 다른 공지는 없었네요, 하나씩 공지하기에는 저도 집주인도 피곤하지 싶어서 그냥 포함이면 모든것이 포함 불포함이면 모든것이 불포함 이렇게 생각했네요. (참고로 에어컨이 고장이 났었을때는 집주인이 비용도 내고 고처도 줬네요)

둥글둥글님의 댓글

둥글둥글 (ktc00)

PUB는 Public Utilities Board 약자 맞는데 주로 전기세 수도세같을걸의미합니다. PUB별도의 의미는 전기세수도세를 따로 내는걸의미하구요. 에어콘청소비용이랑은 관계없습니다. 방세개에 거실에어콘있으시면 하나청소하는데 30-40불인데 그럼 한달에 10불정도인데, 잘상의하세요. 정해진건 없습니다.

whatzup님의 댓글의 댓글

whatzup (cdh128)

가장 정확한답변이신것 같습니다. PUB는 전기세 수도세의미이지 에어컨 청소비용이랑은 관계가 없져...
이건 금액의 문제가 아니라 집주인의 태도문제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신의 생각이 일반적이니 자기 의견이 무조건 맞고 타인의 의견은 수용하지 않는 점 때문에 저도 굳이 따지게 되네요^^;

  • [답변]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승리자 (charisma911)
  • 답변 : 161건
  • 답변채택률 : 15.53%
  • 2017-11-07 15:09
제가 알기로도 홀렌트가 아닌 이상은 에어컨 청소는 렌트준 사람이 하는걸로 알고 있고 저 또한 근4년 싱에 살면서 내본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답변 얻으셔서 렌트주신분과 비용관련일이 이리됐던 저리됐던 집을 옮기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만약 비용 관련 절충하시거나 지불하지 않는다 하시면 렌트주신 분은 그걸 엄청 크게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나중에 살면서 그것을 보상 받으려는 듯이 눈에 거슬리는 것들 다 얘기 할겁니다. 반대로 렌트주신 분이 나는 수용할 수 없다 하시고 돈을 받는다면 글쓰신분 기분도 상하시고 나중에 집 렌트주신분이 아무리 간단한 부탁을 하더라도 뭔가 더 들어주기 싫고 힘드실 겁니다.그리고 인터넷 잘 안 되는것도 나중가면 점점 더 스트레스이실 겁니다. 이번일을 교훈삼아 다 확인하시고 새로운 집으로 옮기세요. 그게 가장 좋은 방법 같습니다.     

댓글목록

whatzup님의 댓글

whatzup (cdh128)

전체적인 정확한 상황을 알고 계시네요^^; 맞습니다. 저도 이번기회로 다시 반성하는 계기가 되네요... 말씀 감사드립니다 :)

  • [답변]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berry0327 (dkrak0450)
  • 답변 : 31건
  • 답변채택률 : 19.35%
  • 2017-11-07 16:56

PUB 별도라면 에어컨을 실사용하는 사용자가 내는게 맞습니다. 거실 등의 공용공간이라면 홀렌트한 사람/집주인이 내거나 동의하에 1/N하는게 맞구요.

방 전구도 나가면 사용하는 사람이 부담하듯이 에어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내야하는데, 계약서에 명시가 없었다면 해당 부분에 대해 다시 조율하거나 2달뒤에 나가시는것도 방법일것같습니다. 

     

댓글목록

whatzup님의 댓글

whatzup (cdh128)

댓글 감사드립니다. 방 전구가 나가면 가는것과 에어컨 청소비는 비유가 조금 잘못되지 않앗나 싶습니다. 유지보수와 다 사용한 제품을 새로 설치하는것은 조금 다르며, 전구를 안갈아끼면 생활에 당장 영향이 잇지만(저녁에 어두움), 에어컨청소 안해도 생활에 영향이 없습니다. 무슨 말씀인지는 잘 알겠습니다. 다른 분들 말대로 에어컨이 해결 되든 안되든 그냥 나가는게 나을거 같네요^^ 조율은 커녕 일방적이셔서요 ㅎ

  • [답변]
  • 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이젠MC로 (hananimjoa)
  • 답변 : 80건
  • 답변채택률 : 7.5%
  • 2017-11-10 16:28

저도 에어컨 청소비는 룸렌트 할때 내본적이 없네요.

일반적인것 같지 않고 합의하에 진행 되어야 할 것 같네요.

 

그냥 그집 나오세요 ~ 저라면 바로 다른집으로 갈 것 같습니다. 

     

댓글목록

whatzup님의 댓글

whatzup (cdh128)

저도 마음같아선 그렇지만 현실적으론 준비해서 나와야하므로....ㅎㅎ 조언 감사드립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62

생활출국할때 수하물..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macarios(macarios12) 2017-12-13
추천수 : 0 조회수 : 1,596

안녕하세요, 입싱 준비중인 30대 직장인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직 살 곳이 정해지지 않아, 짐을 나중에 부치고, 최대한 많이 공항에 수하물로 가지고 이동하려고 합니다 혹시 여행 가방에 컴퓨터(데스크탑)나 기타 생활 가전 제품 넣어서 짐부치신적 있으신분 계시나요?…

  • A

    데스크탑을 통채로 가져오시는 것은 좀 위험 + 무게 낭비라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분해해서 케이스랑 파워를 제외 하고 나머지를 배낭에 메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보통 그렇게 합니다.)  분해해서 뽁뽁이에 싸신 다음 옷이랑 같이 넣어서 배낭에 넣으시고 가전 제품 웬만한 것들은 여기서 구매하세요.  살곳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 서 노트북도 아닌 데스크탑은 정말 짐입니다. 숙소가 정해지시면 그때 케이스랑 파워 새로 사서 재조립하시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됩니다만 선택은 본인이 하시는 것이니 ...     그리고 가끔 데스크탑을 수화물로 부쳐서 가져왔다가 고장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직업 특성상 자주 보기 때문에 더 신경이 쓰입니다. 준비 잘 해서 들어오세요.       

  • A

    데스크탑의 경우는 뽁뽁이로 적당히 포장하신 후 기내 수하물로 가지고 들어올 수 있습니다. 파손의 위험이 있어 항공사에서도 용인을 해 줍니다. 제가 지난 10년간 2대의 pc를 한국에서 조립해 와서 알고 있습니다. 머리위 선반에 들어가는 사이즈면 거기 넣으면 되고, 안되면 승무원 짐칸에 따로 보관해주더라구요.   그 사이 바뀌었으면 할수 없지만요. 항공사에 확인해 보세요.      

Q

열람중

생활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답글 : 5
  • 댓글 : 9
답변진행중
whatzup(cdh128) 2017-11-06
추천수 : 0 조회수 : 3,966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에서 5년넘게 거주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최근에 이사를 하게 되었어요.   여기저기서 많이 살아봤지만 또 새로운 동네에 가보게 되어 즐거웠습니다   한국촌에서 본 가격은 800불 렌탈비에 …

  • A

    에어컨 청소비는 집주인이 내는게 맞습니다. 에어컨 소유가 집주인이니깐요. 에이전트끼고 했으면 계약서에 나와있을텐데요. 계약자는 청소하기로 한날 컨택잡고 협조만 잘 해주면 됩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막무가내면 이사가고 싶겠지만 이사비용이나 시간등 손해가 큽니 잘 협의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집거래 만큼은 한국촌 피하시길바랍니다. 아무리 룸렌트라할지라도요.     

    2
  • A

    저같은 경우는 렌트비 PUB 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것이 포함+에어컨 청소비용등등) 이였고 PUB 불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부대비용을 다 1/N 했었네요...           

    4
  • A

    제가 알기로도 홀렌트가 아닌 이상은 에어컨 청소는 렌트준 사람이 하는걸로 알고 있고 저 또한 근4년 싱에 살면서 내본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답변 얻으셔서 렌트주신분과 비용관련일이 이리됐던 저리됐던 집을 옮기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만약 비용 관련 절충하시거나 지불하지 않는다 하시면 렌트주신 분은 그걸 엄청 크게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나중에 살면서 그것을 보상 받으려는 듯이 눈에 거슬리는 것들 다 얘기 할겁니다. 반대로 렌트주신 분이 나는 수용할 수 없다 하시고 돈을 받는다면 글쓰신분 기분도 상하시고 나중에 집 렌트주신분이 아무리 간단한 부탁을 하더라도 뭔가 더 들어주기 싫고 힘드실 겁니다.그리고 인터넷 잘 안 되는것도 나중가면 점점 더 스트레스이실 겁니다. 이번일을 교훈삼아 다 확인하시고 새로운 집으로 옮기세요. 그게 가장 좋은 방법 같습니다.     

    1
Q

NO.56

생활한국에서 쌀 보내줄 수 있을까요?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clifford(leppard99) 2017-10-23
추천수 : 0 조회수 : 3,225

안녕하세요. 입싱 한 지 두 달 된 직장인입니다. 한국에 있는 집사람한테 식재료 좀 공수받으려고 하는데요, 쌀, 라면 등 좀 보내달라고 하고 싶은데, 한국에서 택배로 싱에 쌀 같은 농산물 들여올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모르고 그냥 보냈다가 반입 안되거나 벌금…

  • A

    여기 쌀하고 심지어 한국쌀...또 한국라면이 너무나도 많은데..굳이 그럴필요가 있으실지...싶은데요?     

    1
  • A

    저는 한국에서 택배로 보낸 쌀, 잡곡, 미숫가루 등등 여기서 받았는데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그리고 싱가폴 한국마트나 페어프라이스에 가시면 햇반부터 쌀 라면 다 쉽게 구할 수 있으십니다^^!     

    1 채택답변
  • A

    한국 쌀은 파는 한국마트도 한정적이고 일본 마트에서도 일본 쌀 파는데 너무 비싸죠ㅠ 페어프라이스에서 일본 쌀이라고 싸서 사봤더니 재배지는 중국이더라구요 쌀에서 군내가 나서 다 먹을때까지 힘들었네요 매번 햇반 사먹을 수 없구요. 저희집은 특히 구석이라 왔다갔다 시간+교통비 생각하면 한국에서 받는게 나을때도 있어요. 그래서 그냥 한국에서 분기별로 집에서 한국음식 가끔 받아요ㅎㅎ 싱가폴은 온갖 농수산품 수입하는 나라라서 ems 택배에 그런 제한 없구요 다만 발효식품은 택배가 터질 수 있으니 한국에서 보내실때 조심하셔야되요 (김치 매실청 같은것) 저처럼 여기 음식 안 맞으시는거 같은데 온라인 마트로는 한국촌 광고 배너 있는 온라인 마트랑 싱가폴 할인마트(한국어로 구글검색하시면 나와요 한국 온라인 마트에요) 한번 보세요~  그리고 싱가폴 오프라인 마트는 일본 계열 마트에 한국 음식 많아요. 오차드 Isetan 마트, Takeshimaya, 클락키 medji ya 마트도 한번 방문해보세요~ (쌀, 라면 다 팔아요~ 가격 보시면 더욱 감이 오실거예요) 집에서 굳이 싸서 보낼게 아니라면 글로벌 지마켓이랑 글로벌 SSG 마켓 한국 식품들 한국 -> 싱 ems 배송비 할인 할때 많아요! 이용해보세요! (한국촌에 배너도 있네여) 처음 싱가폴 이직해서 적응할때 해외살이란 이런거구나 하고 서러웠던게 생각나네요. 조금 더 지내다 보면 어느게 한국 음식이 비싸다던지 로컬 음식으로 대체 가능한 것들도 점점 보이긴 하시니까 힘내시구요! 국제 배송비가 만만치는 않으니 자주 받을 순 없지만 적응기중에는 맘 편하게 한국에서 도움 받는거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화이팅      

    4
Q

NO.47

생활부모님의 싱가폴 이민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bellami(umil1) 2017-04-09
추천수 : 0 조회수 : 3,745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 생활 4년차 직장인입니다. 몇주전에 부모님께서 일주일간 싱가폴에 오셨었는데 그 이후로 싱가폴이 너무 좋으셨는지 한국에서 하시는 일 정리하시고 싱가폴에서 살고싶다고 하세요. 저는 지금 워크퍼밋으로 거주하고있는 상태고, 만약 부모님이 이민을 생각하신…

  • A

    ICA에서 정한 영주권자 신청자격입니다.  부모님께서 신청하실려면 자녀가 시민권자이거나 아니면 투자이민밖엔 자격이 안되겠네요.  투자자격은 사이트에 소개가 안되어 있어 않아 직접 연락해보셔야 할듯.. 다른 동남아 나라처럼 따로 은퇴비자 같은건 없어요. Eligibility The following categories of foreigners are eligible to apply for permanent residence: (a) Spouse and unmarried children (below 21 years old) of a Singapore Citizen        (SC)/ SingaporePermanent Resident (SPR) (b) Aged Parents of a SC (c) Employment Pass/ S Pass holders  (d) Investors  롱텀패스는 직접 ICA site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제가 저희 엄마때문에 알아본적이 있는데 자격요건은 본인이 싱글인 ep 소지자이면 방법이 없어 보이네요.  ep 소지자라도 만약 싱가폴에서 학생비자가 있는 자녀가 있다면 할머니는 아이케어의 이유로 신청할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도 아버지나 할아버지는 자격이 없답니다.         

  • A

    윗분 설명대로 입니다. WP라고 하시니 부모님 "초청"은 안되고요. LTVP는 조기유학의 경우의 보호자(여성) 또는 입원치료 등이 주목적이라 어렵겠고요. 검토가능한 영역은 투자이민 - Jackie Chan 또는 Mark Zuckerberg 사례 참조 사업이민  (Entrepreneur Pass)  일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 A

    부모님의 롱톰비자 Long Term Vist Pass를 신청하려면  EP홀더이고 monthly fixed income이 10,000 싱달러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비자 여부를 다 떠나서 정말로 부모님이 싱가폴에서 사실 수 있을지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 부모님이 영어나 중국어를 잘하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일주일 관광왔을 때와 한국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여기에서 사는 것은 다른 이야기 입니다. 한국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여기에서 거주하시려면 일정정도 매월 소득이 있어야 하고 또한 롱텀비자의 경우 의료 혜택이 안되는데 보험을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여기에서 취업을 하실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매일 매일을 어떻게 보내실지 심사숙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싱가폴에서 사업체를 차려서 경제활동도 하고 비자도 확보하는 경우에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겠지만 그냥 롱텀비자로 왔을 때는 여러가지 고려할 점이 많은 듯 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