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이직시 세금납부 문의 관련
  • 싱가포리어니언 (loveofkiss2)
  • 질문 : 8건
  • 질문마감률 : 37.5%
  • 2017-09-09 13:59
  • 답글 : 1
  • 댓글 : 0
  • 1,762
  • 0
안녕하세요 제가 1월3일부터 6월30일까지 WP로 일하다가 퇴사하고 근무일수를 계산하니 179일이 나옵니다. 하지만 퇴사할 때, 세금을 처리 못하고 출국했다가 7월 초에 재입국해서 7.8월달 구직활동하고 이번에 이직하는 회사에 SP를 받고 이직하려는데 이럴땐 세금계산이 어찌 되어야하나요? 지금 타이밍에 183일이하 15% 세금 납부 하러가야 하나요? 아님 일 시작하고 내년 4월 전 세금 계산할 때 전직장+지금직장 일수로 채워서 세금 납부하러 가는게 더 낫나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 이직시 세금납부 문의 관련
  • junphoto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7-09-11 16:10
이런케이스가 정말 보기 드문게 보통은 퇴사전 직장에서 마지막달 급여를 홀딩하여 세금을 정산하고 지급하는데 뭔가 퇴사절차가 명확하지 못하셨나봅니다.

싱가폴에서의 급여소득자는 반드시 싱가폴 소득세법에 따라 정해진 세율로 정해진 기간에 세금을 납부하여야하는데

제 느낌상 이미 세금 납부기한이 지난것으로 예상이 되구요(납부기한이 지났다면 벌금 내지는 가산세가 붙을수도 있지않을까 예상해봅니다.)

비자가 바뀌더라도 처음 발급 받았던 FIN은 그데로 나오는것이니 IRAS쪽에 현재의 세금상황을 문의해보시는게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이 아닐까 싶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6

생활영주권 기다리는동안..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사양이(sayanglee) 2020-06-01
추천수 : 0 조회수 : 3,821

안녕하세요, 싱가포리언 남편과 결혼 후 첫번째 영주권 거절 (임신초기 의사 소견서 첨부자료로 보냈지만) 아이출산 & 작년 (2019년 7월) 에 2번째영주권 신청후 올초 직장 이직하여 employment letter 제출 후 현재까지 약 10개월+ 팬딩상태 …

  • A

    맘많이 졸이실것 같네요. 예상치 못하게 중간에 COVID 같은 일이 생기니 더 그럴거에요. 전 작년 5월14일 접수 올해 2월18일 In-Principal Approval 받고 PR formalities e-appointment 잡는 게 시간이 조금 걸려 3월17일에야 PR issue가 되었어요. 전체적으로 9개월에 걸쳐 서류심사가 이루어진 건데 아무래도 ICA업무가 느려지기 시작하기 전에 끝난거라 님께서 조금 더 오래걸리는게 아닌가 생각해요. 그리고 4월초 CB 시작하고 얼마 안 있다 ICA에서 몇 명 감염케이스가 나온 탓에 정상업무가 안 되는 점도 있었을거에요. 그래도 제가 4월말 아이 때문에 ICA를 약속잡고 방문한 적이 있는데 그래도 업무를 계속하고 있더라구요. 결혼으로 영주권 신청하시는거고 이미 아이출산 하셨고, 지금 기간이 정상업무가 아닌 점을 고려할 때 그리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될 듯 하네요.  오늘 CB가 끝나는 날인데 님의 기다림도 끝이 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1
  • A

    전 2019년 4월에 PR신청하고 아직 펜딩중입니다. 생각보다 더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2
Q

NO.15

생활소득세-싱가폴, 한국

  • 답글 : 4
  • 댓글 : 5
답변진행중
matcha(matchay) 2020-03-03
추천수 : 0 조회수 : 2,605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올해 처음 세금을 납부해서....궁금한게 생겨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싱가폴에 납부하는 세금 외에 한국에도 따로 납부해야할 세금이 있나요? 싱가폴로 이직하기 전에 한국에서도 직장생활을 했었어서ㅠㅠ따로 납부해야…

  • A

    한국직장 퇴사 하실 때 세금정산을 하셨다면 따로 내실 부분은 없으세요. 싱가폴 Income에 대한 Tax는 싱가폴에서만 내시면 된답니다.      

    2
  • A

    한국에서도 소득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이버 찾아보셔서 확인해보세요.     

    1
  • A

    윗분들 말씀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아마 한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소득세 부분은 회사에서 처리해줬을 겁니다. 이 부분 확인해보시면 될 거 같고, 저도 이 부분 때문에 고민을 좀 했었는데, 싱가포르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도 한국에 소득세를 납부해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한국에 가족이 있고, 그 가족이 내가 싱가포르에서 번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한 경우에는 소득세를 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것도 한국 기준으로...;; 어마무시 합니다 금액이... 만약에 한국으로 송금한 이력이 없으시면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근로소득외에 다른 소득이 있으시면 또 세금이 발생 하곘죠..     

    1
Q

NO.6

생활PR영주권 관련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겨울아이 싱가폴(winterkid5) 2017-01-04
추천수 : 0 조회수 : 4,012

먼저 이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아무생각없이 영주권 신청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리가 있길래 신청은 했습니다. 취업비자 만료는 3월이고 추후 이직등을 할 경우 영주권이 있으면 유리하고 또 영주권이 나오면 현재 회사에 종속되지 않아도 된다는 점…

  • A

    한가지씩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선 영주권을 신청하게 된다면 장점은   1. CPF입니다. 이득이 없다고 하지만 천만에 말씀입니다. 처음 영주권을 취득 하시면 3가지의 방법으로 CPF 지불이 가능 합니다. 자세한 퍼센테이지는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안나지만 본인 부담금은 적게 내면서 회사에서 12.4.퍼센트를 낼수 있는 옵션도 있습니다. 웬만한 계를 드는 거 보다 좋습니다.   2. 자녀들의 학교. 우선 학교 취학이 쉽고 교육비도 싸게 듭니다. (해당 사항이 없으시지만.. ㅎㅎ)   3. 직장의 자유: 말씀 하신것 처럼 한달을 쉬어도 안쫓겨 납니다.   4. 주택 구매시 Stamp duty가격이 적음: 지금 PR도 8%로 오르긴 했지만 한때는 외국인도 에전에는 3%였습니다. 현재는 상당히 높아진걸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비해서 8%라면 싸기는 하지요.. 그리고 HDB resale 물건 구매도 가능 합니다.   단점 1. 아들의 군대 문제.. 3년만 계신다니 별 문제는 없으실듯 하네요. (이부분도 해당 사항이 없으십니다.) 2. PR취소시의 불이익: CPF를 다 받아서 나가실수 있지만 후에 싱가폴 취업이 무지 무지 힘들어 집니다. 자녀들은 상관이 없습니다. 이유는 dependant PR같은 개념입니다. 자식들은 자신들의 의지로 와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돌아가도 나중에 불이익을 받지는 않습니다.    간단하게 생각 한다면 위에 같은 상황이겠네요.. 장점이 단점 보다 많기는 해도 단점 2번이 나중에 다시 오신다면 좀 타격이 큽니다.      

    1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