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생활
  • 싱가폴부동산관련 (여긴 투명해서 좋습니다^^)
  • 밝게맑게말야 (iandp)
  • 질문 : 25건
  • 질문마감률 : 4%
  • 2017-08-07 13:42
  • 답글 : 0
  • 댓글 : 0
  • 5,886
  • 0

싱가폴에 10년넘게 살면서 항상 느끼는 건 싱가폴정부의 정책은 투명하다는 거죠. 

부동산만 놓고봐도 간단하죠: 

정부은행이나 저런 정부가 대주주인 부동산회사들이 올라간다 내려간다 분명한 신호를 확실하게 주죠. 

 

DBS같은 국책은행에서 가격이 내려간다는 분명한 신호: (2013년 3분기 - 2017년 2분기 + 3분기) 

공급을 늘리고 stamdp duty를 (특히 외국인들) 확 올리고 대출줄이면서 

지난 2013년 3분기이후 계속 내려간다고 했죠,

그래서 4년간 ( 정확하게 4년이군요 2013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 현재)  

지속적으로 하락했지만 반대로 로컬들 (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의 매수는

꾸준하게 유도

(기사에 나온 것처럼 올해 2017년 상반기 싱가폴부동산 매수자의 94%가 로컬들)

 

DBS은행에서 반대로 이제 부동산시장이 회복되고

10%이상 가격반등한다는 신호를 분명한 신호  ( 2017년  3분기 이후? - 2021년? )

현재 팔리지않고 남은 주택재고물량이 16년내 (2001년내) 최저

2017년 상반기 거래량은 46%이상 폭발적인증가

향후 부동산가격은 지역에 따라다르지만 10%대 상승

특히( RCR Rest of Core Region)의 상승이 두드러질것이라는

그래서 Queens Town, Redhill, Tiong Baru  (이런 Alexandara Road따라서

가격상승이 두드러지는 건지)

외국인관련 정책이 변경될거라는 힌트등등 투명한 신호^^ 

 

덧붙여서 불필요한 첨언이지만 이런 싱가폴경제 부동산관련 기사를 올린다고

혹시라도 오해를 하는 분들이 있을 까봐 하는 말이지만 부동산과 아무 상관없는 사람입니다^^

우린 10여년전 2002년에 싱가폴에 온지 얼마안되서' Bukit Timar'란 지역에

Landed House라고 하죠 단독주택을 당시 좀 무리해서 샀죠

밑의 관련기사들은 대부분 콘도와 HDB관련 기사들입니다. 

(당시는 외국인들도 딘독주택 사는 데 별다른 제약이 없었어요).  

그 이후 많이 올라서 최근 부동산상황하고는 별다른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다만 그때와 지금 비교하면 한국인들 이민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중인데

그런 분들 도움될 까해서 올려봅니다. 

 

 

IN FOCUS
RESIDENTIAL PROPERTY | STAFF REPORTER, SINGAPORE

Brace yourselves for a 10% property price hike

This would come as volumes approach five-year peaks.

Some analysts are believing that the time has come for the property market to undergo an inflection.

According to DBS Group Research analysts led by Derek Tan, recent market indicators point

toward a property market inflection this year and a rise in property prices from 2018 onwards.

To recall, property sales in the first six months of the year have increased 46% YoY.

The analysts believe that if the sales momentum continues, volume will reach a five-year peak.

"In our analysis,

we found that 94% of home buyers in 1H17 are Singaporean households.

A wildcard to a further acceleration in price is

when the wave of buying from foreigners return,

especially for homes in the Core Central region," they noted.

With this, they forecast property prices to rise by 6-10% in two years.

Meanwhile, the rise in property prices will be supported

by the market absorption rate which is at multi -year lows.

Unsold inventories are at 16-year lows at 29,000 units, they cited.

"When compared against current transaction levels,

we found that market absorption rate

(ratio of unsold units and new sales) stands at 2.1x and it is

the tightest in the suburb (Outside Central region),"

DBS Group Research analysts noted.

They added, "Even if we were to include the more than

3,000 unlaunched new units from

the recent government land sales (GLS) and en blocs,

we believe the market can absorb them easily."
 

 

 

Singapore Property Market Is 'Bottoming Out,' 

Says Biggest Developer's CEO

Klaus Wille and Paul Panckhurst

2017년 8월 3일 오전 11:52 GMT+8 2017년 8월 3일 오후 1:03 GMT+8

  • CEO Lim says investors favor city over Hong Kong, London
  • Extra liquidity plays a role, no shift in ‘fundamentals’: Lim

Start your day with what's moving markets in Asia. Sign up here to receive our newsletter.

Singapore’s biggest developer, CapitaLand Ltd., detects signs that the city’s residential property market is “bottoming out” after a run of price declines, Chief Executive Officer Lim Ming Yan said.

Many investors are seeing Singapore as relatively more attractive than Hong Kong, London or Australian cities, Lim, who’s also president of the firm, said in a Bloomberg TV interview with Haslinda Amin on Thursday. Extra liquidity was a factor in higher transaction volumes and slower price declines in recent months, he said.

“For a rebound to take place on a more sustainable basis, there has to be overall improvements in the fundamentals,” Lim said.

The government’s efforts to cool a red-hot market have triggered a record 15-quarter decline in home prices, in contrast with cities such as Hong Kong, where property keeps soaring to records. In March, Singapore eased some restrictions, but cautioned that those adjustments didn’t signal any bigger unwinding of curbs.

Singapore’s restrictions are “a very stringent policy,” so further tightening isn’t likely, Lim said. “At the same time, given the current market conditions, it’s unlikely that we will see a relaxation, certainly not within this year.”

600x-1.jpg

Lim Ming Yan.

Photographer: Ore Huiying/Bloomberg

Home sales jumped 72 percent during the first half from a year earlier as developers sold 6,567 units, according to the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Lim was commenting after CapitaLand said net income almost doubled to S$579 million ($426 million) in the three months ended June 30 from a year earlier. Revenue declined 12 percent to S$992 million. Assets in China made up 43 percent of the S$44 billion CapitaLand portfolio as of June and Lim said in the interview that he’d be comfortable if that rose to 50 percent. CapitaLand shares have gained 23 percent this year.

— With assistance by Sebastian Tong, and Anand Menon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343

교육싱가폴 공립학교 입학관련 문의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khd(khd0909) 2017-08-15
추천수 : 0 조회수 : 4,763

안녕하세요 이번달 28일에 예정되어 있는 Primary 스쿨 Phase3에 입학신청해보려고 하는데,,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회사일로 싱가폴 들어온지는 3년됐고, 가족들도 2년 9개월 정도는 같이 있었네요..여기서 유치원은 계속 다녔었습니다. 입학 관련 몇가지 문의를…

  • A

    공립학교라고 검색해보시면 아시겠지만 EP자녀분들이 공립학교 입학하기가 많이 힘들어졌습니다. Immunisation Records는 정부보건기록에 나오구요, 일단 신청은 Phase3때 하시고 자리가 남아도 안주는경우가 많습니다. 기대하지는 마시고 안될경우를 생각하시고, 국제학교도 생각하시가 바랍니다.      

  • A

    보건소에서 영문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MOE  P1 Registration 관련 페이지에 기본 예방접종 리스트가 다 나와 있을거예요. 거기 있는건 다 접종이 끝나야 하고요.  Phase 3 외국인의 경우, 서류 제출은 가고 싶은 학교에 제출은 하지만, 학교는 서류 접수만 할 뿐이고, 학교 배정 자체는 MOE에서 일괄적으로 배정 합니다.  어떤 기준으로 배정을 하는지는 전혀 알 수가 없고요, 기준을 공시하지도 않습니다. 기준을 알 수가 없어서, 저 같은 경우는 일단 집에서 가까운 곳 중 공석이 많은 학교에 제출을 했었습니다.  사시는 곳이 어딘지 모르겠지만, 주변에 공석이 많은 학교가 많거나 인기 지역이 아니면, 외국인이라도 그나마 배정이 쉬운 것 같기도 합니다. 지인들 경우를 보면, 첫째와 둘째의 학교가 달라지기도 하고, 아주 먼 거리 학교에 배정을 받기도 하더군요. (여덟살짜리가 그 새벽에 통학이 가능할까 싶은 정도의 거리요. ) 외국인이 공립학교 들어가기가 쉽지가 않다보니, 학교가 멀고 가깝고 또는 좋은 학교냐 아니냐는 문제도 아니고, 어디라도 배정을 받기만해도 다행이라고 해야할 정도인거 같습니다. 아, 그리고 PR이나 시민권자가 아니면 전학도 불가하다고 들었습니다. 최근에 바뀌었다고요.        

  • A

    에이스 시험을 치뤄야만 할겁니다. 너무 어린애들인데 에이스시험이라니 말도 안되지만 어린이들을 배려않는 돈만아는 극히 중국인들 방식 같아 씁쓸하네요.쪽지 드려요.     

Q

NO.1339

기타PR심사 중 이런 추가 서류 제출 요청 받으신 분 있나…

  • 답글 : 4
  • 댓글 : 6
답변진행중
일랑(may2nd92) 2017-08-07
추천수 : 0 조회수 : 2,852

안녕하세요 5월에 피알 신청하고 현재 심사 중에 있는데요.  지난 주에 우편으로 아래 서류를 추가로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부부 두사람 모두의 지난 경력을 상세하게 적어서 우편이나 팩스로 제출하라고요. 경력 사항은 피알 신청서에도 있는 내용이라 이미 기입…

  • A

    부부뿐만 아니라 남편과 아내분 직계가족것(부모님, 형제자매) 다 요청한거 아닌가요? 저거 써 내면 긍정검토인거로 알아요      

    1
  • A

    PR 신청서에 본인 경력 (기간, 회사명, 직책, 급여)은 적으셨지만 혹시 직무에 대해서 자세하게 적었었나요? 만약에 기본적인 것만 적었다면 본인 직무에 대해서 자세하게 쓰셔야 합니다. 암튼 추가 서류 요청이 들어왔다는건 확실히 긍정적인 겁니다! 축하드려요!     

    1
  • A

    저는 작년 12월에 PR신청하고 4월에 서류 추가제출하라고 우편이 왔었습니다. 추가제출 내용은 '부모 및 처부모의 경력사항'을 제출하라더군요. 4월에 추가서류 제출하고 아직 기다리고 있습니다. 제출할 때 얼마나 기다리면 결과가  나오냐고 물어보니 2~3달 걸린다더니 아직 소식이 없네요. 추가서류를 요구한 것은 남들보다 세밀하게 보겠다는 뜻이니 긍정적 신호라고 보여집니다. 그런데 여기보니 1년 기다리고 리젝 당했다는 분도 계시더라구요. 전 그냥 별 생각없이 기다리고 있어요! 보시기 바랍니다.       

    1
Q

NO.1336

기타pr신청서류증출생증명서와기본증명서 차이점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꼰니찌와(yjb210) 2017-08-02
추천수 : 0 조회수 : 3,036

안녕하세요.pr서류중  자녀 출생증명서를 병원서 떼준 증명서로 번역공증했는데 번역소에서 이건 아니다면서 동사무소에서 떼는 기본증명서가 출생증명서라 하는데 출생증명서 어느걸 준비하는게 맞나요.저는 병원에서 떼온걸 번역공증햇습니다     

  • A

    PR 제출 서류 중에 출생증명서가 있지만 한국에서 출생증명서는 동사무소에서 발급받는 공식문서가 아니라 병원에서 발급해주는거라 인정이 안될거고요. 출생증명서를 대신해서 기본증명서랑 가족관계증명서 이 2개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번역공증된...)     

    1
  • A

    저 같은 경우 한국 병원에서 발급 받은 출생 증명서를 PR 신청 시 제출했었습니다. DP 신청 때도 썼었구요. 한국 병원에 연락하셔서 영문으로 발급 가능한지 문의해보세요. 다만, 병원에서 영문 발급이 불가능 하다고 하면 주민센터 가셔서 기본 증명서 발급 후 번역 & 공증 하시면 됩니다.      

    1
  • A

    저는 민원 24에서 발급받은 영문 주민등록 등본 냈어요. 아무 문제 없이 받아줬습니다.   혹은 동사무소에서 발급받으신 기본 증명서 영문 내시거나 아니면 할글본 기본 증명서를 대사관에 가서 공증 받으시면 공짜 입니다.   공증업체에서는 건당 10 만원 가까이 나왔던듯 ...      

Q

NO.1334

생활lakeville, Jurong west 동네 괜찮나요…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진행중
에이미정(amyj502) 2017-07-23
추천수 : 0 조회수 : 2,960

안녕하세요 :) 호주에서 싱가폴로 입싱예정인 신혼부부입니다. 남편회사는 싱가폴대학교 근처로 출퇴근예정인데 싱가폴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어서 집 알아보기가 막막하네요ㅠ property guru통해 집 보고 있는데 lakeville jurong이란 곳 괜찮을까요? 그리…

  • A

    공항에서 주롱까지 늦은밤 택시 타시면 최소 $60(30분 소요)이상 나옵니다.. 출장이 잦으시면 차라리 공항근처 타나메라쪽이 낮지싶습니다. 주롱은 지하철 타셔도 1시간 30분 정도 걸리는 거리 입니다      

    1
  • A

    안녕하세요, 저도 호주시민인데,얼마전 싱가폴로 왓습니다^^ 위에 댓글 처럼 , 위에지역은 비추입니다.  저도 NUH 대학병원 안에서 일하는데, 싱가폴대학이랑 붙어 있어요. kent ridge MRT station 이거든요. clementi, buona vista, tiong bahru 같은지역 추천드려요. 근데 만약, 출장을 자주가신다면, bishan 같은 서클라인도 괜찬구요 .    좀더궁금하신거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1
  • A

    다른 분들 코멘트처럼 주롱쪽은 너무 멀죠.  NUS주변이고 오차드도 상대적으로 가깝고 공항까지도 MRT나 버스이용도 편리한지역은  'Pasir Panjang' Road' 란 동네랍니다^^  거기 아주 괜찮아요. 도로도 새로 쫘악 깔려서 좋고 NUS주변이고 HDB는 없고 주변에 (Walking Distance, or Bus 2-3stops depend on condos) Clementiwood Park과 West Coast Park과 Kent Ridge Park으로 쉽게 접근할수 있어서  운동하기도 좋고 바다도 볼수있고 괜찮아요.  쇼핑센터들도 주변에 있고 Clementi Road 주변처럼 혼잡하지도 않고 혹시 사이언스팍으로 출퇴근 하시면 자전거나 걸어갈수있는 거리 도어투도어로 10분내랍니다. 최근 2-3년사이 MRT에서 반경 2-3km 사이에 짓거나 지어진 콘도들이 많아서 선택의 폭도 넓을 겁니다.              

    2
Q

NO.1333

사업/직장싱가폴 취업 관련 문의 드립니다. (건축, 건설분야)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polpaul(withsky35) 2017-07-12
추천수 : 0 조회수 : 3,081

안녕하세요.  싱가폴 취업 준비 중, 최근 현지 한인회사와 연결이 되어 채용 관련 협의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저는 30대 초중반, 현재 퇴사 후 구직 중입니다. 한국에서 건설회사(대기업, 1군 건설사)에서 경력 5년차로 근무하였고, 본사 및 현장 경력을 모두 가지고…

  • A

    해외에 있는 한국계 회사에 취직하신다면 ​한국에서 취업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영어를 잘하신다면 일단 한국 오너가 있는 회사에서 취업하시고 이직을 준비하시는게 좋을거에요. 만약에 일단 싱가폴에 와서 한국계 회사에 일하시고 영어공부하겠다고 하신다면..... 아마 쉽지 않을겁니다. 영어가 1~2년 안에 실력이 느는것도 아니기 때문이죠. 일하시면서 영어 몇마디 제대로 하지 않고 일할수도 있습니다. ​서울 있는 분이    대구나 부산 가셔서 일하는 것과     싱가폴이나 필리핀으로 가서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될수도 있습니다. ​월드잡이라는 사이트에    구인 등록을 하는  기업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데 그냥 누구든지 올리게 하는게..ㅠㅠ ​이것저것 다 감수하겠다고 결정하더라도    반드시  워킹비자문제는  확실하게 하고 오세요..   몇몇 회사들은 비자도 정식으로 진행하지 않고 워킹비자 쿼터도 없으면서,   항공권도 제공하지도 않고 일단 싱가폴에 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 A

    안녕하세요. 비슷한 업종의 외국계로컬회사에서 일하고있습니다. 해체분야는 아니어서 정확한 의견일지는 모르겠지만 . 우선 위에분 말씀처럼 한국계회사라면 그냥 한국회사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주변에 파견나와있는 친구들 보면 현지인 친구도 많이 못사귀고 한국에서처럼 아니 한국에서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현지식 영어를 배운다기보다는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이직을 고려하는 친구들도 결국 또다른 한국회사로 이직을 하는것 같구요. 사실 싱가폴에 어떤 직종으로든 관련 분야로 오셔서 일을 하시다보면 한국에서 보다는 더 많은 기회에 노출은 되겠지만 그동안 지인들의 전례에서보면 그냥 대부분 현재에 만족하며 이직을 타이트하게 진행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사실 로컬회사에 근무를 하면서도 현지인이나 다른 외국인들과 일 외에 관계로 발전하기란 쉽지않구요. 본인이 탁월한 부분이 있다면 짧은 시간안에 유연한 노동시장에서 러브콜을 받을수 있을겁니다. 이미 인지하고 계신데로 건설관련 분야에서 한국회사가 아닌이상 한국인을 뽑을 이유가 없습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공석이 날때마다 함께일할 한국인 채용을 적극 건의하고 있지만 Expected Salary가 높아서 인지 최근에 필리핀, 미얀마, 인도 친구들이 우후죽순 들어왔지만 한국인은 면접조차 안보네요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싱가폴에 오셔서 열심히 기회를 찾으신다면 이직기회는 많으실겁니다. 다만 그사이 본업에서 흥미를 잃어버리신다면 현재의 일마저 위태로워지겠죠. 저역시 한국에서와는 완전히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고, 그동안 받았던 러브콜에서 굳이 억지로 연관있는 공통 키워드를 찾자면 CAD정도 되겠네요. 건설사업 개발은 URA나 HDB같은데 들어가셔야 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회사내에서 새로운 고객시장 개발이나 시스템 개발같은건 가능하지만 전반적인 국가의 마스터 플랜에서의 건설을 말씀드리는겁니다^^ 대형개발투자회사에서 콘도나 쇼핑몰을 짓기는 하지만 거의가 정부주도라^^; 그외 건축이나 사업관리는 노력하시면 별로 어렵지않게 진입이 가능한 시장이지않을까 싶네요.^^ . 대략적으로 몇자 적어봤습니다만 무슨말을 적은건지 모르겠네요^^ 구체적으로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쪽지주시면 아는 범위안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채택답변
  • A

    혹시 도움될까 싶어서 쪽지드렸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