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부동산
  • 집계약시 다른 분들도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 밝게맑게말야 (iandp)
  • 질문 : 25건
  • 질문마감률 : 4%
  • 2017-06-17 12:08
  • 답글 : 1
  • 댓글 : 2
  • 7,603
  • 0

밑의 에어콘관련해서 답변을 쓰다가 요즘 집을 옮기는 싯점인것 같아서 (에어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다른 분들도 싱가폴에서 집렌트계약시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예전에도 몇번 적었던 내용같은 데 여기서 모든 건 '계약서 ' ( 거짓으로 하지않는 이상) 따르는 거랍니다. 

싱가폴은 다양한 문화적배경 (유교권 아랍권 인도 남유럽 북유럽 남미 북미등)을 가진 나라에서 오기때문에 집이나 교육 직장문화등 서로 전혀 다른상황에서 오죠. 

따라서 몇번이고 적은 것처럼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위해서 처음부터 꼼꼼하게 하나 하나 '계약서'에 다 집어넣어야 합니다.

한국은 4계절이 있어서 경험이 많지 않아서 간과하기 쉽지만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에어콘을 예를 들어 Detail하게 적어봅니다: 

기본적으로 에어콘 Maintenance관련 '계약기간동안' 3개월마다 정기유지보수를 (집주인이든 테넌트등) 해야 하고, 만일 케미컬클리닝이 필요한 경우 특정하게 계약서에 언급되어지 있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수리유지비용 120$ , 150$, or 200$등 (정하기 나름)을 넘어가는 부분을 집주인이 책임지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계약기간이 끝난 후'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Deposit에서 차감하게 됩니다. 

 

예) 일본사람들의 경우 에어콘의 경우 3개월마다 Regular Maintenace inlcluding Chemical cleaning ( if necessary) by monthly rental fee  이런 식으로 조항을 넣는 경우가 많죠. 그럼 계약기간 에어콘 관련해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은 집주인이 책임을 지는 거죠 이런 경우 렌트비가 추가되겠지만. 이런 경우가 가장 깔끔하게 끝나죠 렌트기간동안 에어콘관리를 집주인이 지정한 서비스업체가 서비스한 거니 '렌트계약기간이 끝나고 2주동안' 집주인의 Inspection Period동안도 에어콘관련한 문제는 없겠죠

 

한국사람들의 경우 에어콘서비스를 일반적으로 렌트시에 3개월마다 정기서비스를 받는다고 계약서에 넣지만, 보통 케미컬클리닝의 경우는 넣지를 않죠. 하지만 서비스를 받다보면(특히 비용이 저렴하다고 하는 그런 에어콘업체들은 당연히? 속속들이 청소하지 않고 눈에 보이는 부분만 간단하게 하겠죠)

 

그럼 고온다습한 열대기후에 당연히? 에어콘안쪽으로 먼지가 계속 끼게 되고 습기등 엉겨붙어서 전기도 더 많이들고 시원한 바람이 막혀서 나오지 않게 되는 데 그럼 케미컬청소가 필요하게 되는 데 돈을 아낀다고? 혹은 집주인에게 말하기 부담된다고? 아님 그냥 참지하고 대충넣어가는 경우가 많은 데 이런 경우 막상 문제가 될때는1년이든 2년이든 임대계약이 끝나고 난뒤 2주동안 집주인 Inspection Period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고 Deposit에서 케미컬청소비용이 차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왜냐면  집주인의 입장에서는 자기가 쓰든 다음 테넌트를 위해서든 에어콘이 시원하지 않아서 찌든 떄 청소 즉 케미컬클리닝을 하게 되면 당연히 비용발생이 되므로 Deposit에서 차감을 하게 되고 심한 경우 에어콘을 새로바꿔야 하는 그런 케이스까지 발생하죠. 이런 경우 small court등에 가도 간단히 집주인의 손을 들어주고 추가발생되는 모든비용역시 덤탱이? 쓰죠.

 

절대로 에이 좋은 게 좋은 거지 에이 설마 에이 이정도가지고 에이 그럴수도있지 걍 그렇게 사용해등등 그런 한국식마인드는 한국에서? 통하는 거지 해외에서는 특히 싱가폴처럼 다양한 관습과 문화적배경을 가진 싱가폴에서는 모든 게 계약 그 이상도 그이하도 없답니다. 

 

이건 모든 문제에서 해당되니 철저하게 하나 하나 계약시에 꼼꼼하게 가구와 전기제품등은 물론이고 바닥 전등 화장실타일 변기등등 일일히 다 체크해야 하고 계약기간이 시작 후 One Month Notice 기간동안 살면서 철저하게 살펴보고 집주인에게 Notice를 주면 나중에 분쟁의 소지 특히 계약기간이 끝나고 난뒤 손해를 최소화 할수 있답니다. 

예를들어 재작년에 지인가족이 막 TOP가 된 아주 새콘도를 렌트를 했는 데, 2년계약 2달 Deposit 중에 무려 절반가까이를 못받은 적이있는 데 아주 새콘도를 경험없는 이제 금방 온사람들이 렌트를 하게 되면 그런 식으로 하자를 다 떠않게 되는 수가 있죠. (보통 새로지운 콘도는 하자가 많이 발생하는 데 대개 3-4년이상 지나야 콘도가 안정화?된 상태 HDB는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문제를 안고 산다고 합니다)

 

요즘 간과하기 쉬운부분중에 하나가 예를 들어 샤워부스를 유리문으로 다는 콘도들이 많은 데 그런 유리문의 경우 중국이나 대만산셋트를 사용이 대부분인데 처음부터 꼼꼼하게 챙겨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유리도어의 쇠로된Hinge(경첩)들이 유리문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애들이 문에 매달리면 쉽게 휘어져서 얼마하지도 않는 유리도어를 천불이상차지하는 경우나 Hinge만 바꾸는 데도 2-3백불씩 차지하는 경우가 많죠.  

 

또 쉽게 간과하는 부분들은 거실이나 방의 조명들인데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콘도들은 전압이 일정치가 않아서?인지 조명들이 잘 나간다고 하죠(특히 트랜스포머가 들어간 저렴한조명들)  그런 부분들도 거주시작 한달동안 잘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조명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죠. 

그외 벽과 화장실 거실 부엌 바닥 타일등 첨부터 꼼꼼히 살펴서 사진찍어서 Notice를 주고 자료로 남겨둬야겠죠. 

 

예전에 같은 Law Firm에서 근무한적있는 캐러비안이라는 콘도에 살았던 프랑스인 동료가 있었는 데 자기는 출장을 자주다니고 해서 가족들도 프랑스에 있어서 에어콘을 많이 사용안했는 데 계약기간이 끝나고 Deposit을 에어콘 6대 케미컬클리닝 비용을 차감하고 줘서 화가 난다고 그러더군요.  그때 주변사람들이 싱가폴은 고온다습해서 그렇다고 계약기간동안 했어야지하고 충고한 적이 있죠. 

 

     
  • [답변]
  • 집계약시 다른 분들도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 싱그리 (bpksk)
  • 답변 : 229건
  • 답변채택률 : 10.48%
  • 2017-06-17 12:21

질문하나 있습니다

 

저희집은 에어컨이 총 5개가 있습니다

 

3개월마다 에어컨청소는 주기적으로 하고있습니다

 

계약서 상 에는 150불 이상의 수리비가 나올경우 집주인이 페이한다고 되어있는데

 

케미컬크리닝의 경우 수리가 아니라 정밀청소인데 이부분도 해당이 되나요?

 

오너는 중국인 사업가 인데

 

처음 1년계약을 하였다 이번에 재계약하게되면서

 

주방수도부분을 언급하였더니 수리해주겠다 하는걸 보니

 

그렇게 빡빡하게 구는사람은 아닌거 같은데..

 

케미컬크리닝이 참 애메한부분이라...

 

 

 

     

댓글목록

밝게맑게말야님의 댓글

밝게맑게말야 (iandp)

먼저 정확하게 해야 할 부분은

1. 150$까지는 테넌트가 내고 그 이상 1$ 10$ 100$이든 나오면 집주인이 추가비용을 부담하죠.

2. 위에도 자세하게 적었지만 케미컬클리닝도 에어콘의 유지보수에 즉 Regular Maintenace에 해당되는 부분 (넣기나름)이라서 위에 예를 든것처럼 일본인들이 보통하는 계약처럼 집주인이 Fully Take care of Air-conditioner Units을 하는 조항이 없다면 당연히 해당됩니다.

다만 케미컬클리닝의 경우 렌트기간동안 케미컬클리닝이 필요한데(에어콘정기서비스에 정확하게 명시하지 않은 경우) 한대당 200$이라고 하면 그럴 경우 150$까지 테넌트가 부담하고 나머지 50$은 집주인이 부담하죠. 현실적으로 60-70%정도의 로컬집주인들은 테넌트가 사용하는 에어컨이니 전부 부담하라고 할겁니다.

하지만 위에도 설명한 것처럼 렌트기간이 끝난 후는 전부 테넌트부담이랍니다.

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지만? 집주인이 너무 좋은 사람이라서 계약내용과 상관없이 다 해주겠다면 좋은 거죠 ^^ 

싱그리님의 댓글의 댓글

싱그리 (bpksk)

아 넵 답글 감사합니다
집주인이 영어만하셔도 어떻게 조율해볼텐데
캐나다사시는데도 영어도 안하시고 오로지 중국어만하셔서..ㅠ
에이전트한테 좀 푸쉬해봐야겠네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706

기타싱가포르에서 출산할 경우..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완료
macarios(macarios12) 2017-11-26
추천수 : 0 조회수 : 6,734

안녕하세요   내년 초 입싱 예정 30대 직장인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와이프가 내년 중순 쯤 출산을 하게 되서 당분간 떨어져 살게 되는데, 가능하면 같이 살면서 옆에서 도와주고 싶어서 싱가포르 출산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혹시 싱가포르에서 출산하게 되면 정부에서 별도…

  • A

    여긴 시민권자 혹은 PR 아님 의료혜택 하나도 없구요 당근 정부 지원금 같은것도 없어요. 싱가폴에서 태어난 아이라도 그냥 아빠 엄마 국적이지 싱국적 안 줍니다. 출산비는 뭐 자연분만 했을때 6-7000불 선이고, 혹시 제왕절개면 10000불 넘어간다고 알고 있어요.     

    1
  • A

    윗분이 말씀하신 출산비를 제외하고 출산전에 초음파검사 목적(+기타 추가검진)으로 방문시 약 150불정도 생각하시면 되고...출산하고 나서 산후조리사 비용은 월 3000불, 산후마사지는 월 800~1000불 정도 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략적인 비용임으로 병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제공되는 보험으로 커버가 되지 않는다면, 약 만불+@ 정도 든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네요.      

    1
  • A

    회사 보험을 좀 확인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아직 임신은 안헀지만 배우자 회사 보험에서 임신시 웬만한 비용은 다 커버가 된다고 하여 싱에서 낳는것도 고려 중이에요.     

    1
Q

NO.702

생활세입자가 에어컨 청소비 지불

  • 답글 : 5
  • 댓글 : 9
답변진행중
whatzup(cdh128) 2017-11-06
추천수 : 0 조회수 : 3,968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폴에서 5년넘게 거주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최근에 이사를 하게 되었어요.   여기저기서 많이 살아봤지만 또 새로운 동네에 가보게 되어 즐거웠습니다   한국촌에서 본 가격은 800불 렌탈비에 …

  • A

    에어컨 청소비는 집주인이 내는게 맞습니다. 에어컨 소유가 집주인이니깐요. 에이전트끼고 했으면 계약서에 나와있을텐데요. 계약자는 청소하기로 한날 컨택잡고 협조만 잘 해주면 됩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막무가내면 이사가고 싶겠지만 이사비용이나 시간등 손해가 큽니 잘 협의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집거래 만큼은 한국촌 피하시길바랍니다. 아무리 룸렌트라할지라도요.     

    2
  • A

    저같은 경우는 렌트비 PUB 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것이 포함+에어컨 청소비용등등) 이였고 PUB 불포함일 경우에는 모든 부대비용을 다 1/N 했었네요...           

    4
  • A

    제가 알기로도 홀렌트가 아닌 이상은 에어컨 청소는 렌트준 사람이 하는걸로 알고 있고 저 또한 근4년 싱에 살면서 내본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답변 얻으셔서 렌트주신분과 비용관련일이 이리됐던 저리됐던 집을 옮기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만약 비용 관련 절충하시거나 지불하지 않는다 하시면 렌트주신 분은 그걸 엄청 크게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나중에 살면서 그것을 보상 받으려는 듯이 눈에 거슬리는 것들 다 얘기 할겁니다. 반대로 렌트주신 분이 나는 수용할 수 없다 하시고 돈을 받는다면 글쓰신분 기분도 상하시고 나중에 집 렌트주신분이 아무리 간단한 부탁을 하더라도 뭔가 더 들어주기 싫고 힘드실 겁니다.그리고 인터넷 잘 안 되는것도 나중가면 점점 더 스트레스이실 겁니다. 이번일을 교훈삼아 다 확인하시고 새로운 집으로 옮기세요. 그게 가장 좋은 방법 같습니다.     

    1
Q

NO.698

생활한국에서 쌀 보내줄 수 있을까요?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clifford(leppard99) 2017-10-23
추천수 : 0 조회수 : 3,225

안녕하세요. 입싱 한 지 두 달 된 직장인입니다. 한국에 있는 집사람한테 식재료 좀 공수받으려고 하는데요, 쌀, 라면 등 좀 보내달라고 하고 싶은데, 한국에서 택배로 싱에 쌀 같은 농산물 들여올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모르고 그냥 보냈다가 반입 안되거나 벌금…

  • A

    여기 쌀하고 심지어 한국쌀...또 한국라면이 너무나도 많은데..굳이 그럴필요가 있으실지...싶은데요?     

    1
  • A

    저는 한국에서 택배로 보낸 쌀, 잡곡, 미숫가루 등등 여기서 받았는데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그리고 싱가폴 한국마트나 페어프라이스에 가시면 햇반부터 쌀 라면 다 쉽게 구할 수 있으십니다^^!     

    1 채택답변
  • A

    한국 쌀은 파는 한국마트도 한정적이고 일본 마트에서도 일본 쌀 파는데 너무 비싸죠ㅠ 페어프라이스에서 일본 쌀이라고 싸서 사봤더니 재배지는 중국이더라구요 쌀에서 군내가 나서 다 먹을때까지 힘들었네요 매번 햇반 사먹을 수 없구요. 저희집은 특히 구석이라 왔다갔다 시간+교통비 생각하면 한국에서 받는게 나을때도 있어요. 그래서 그냥 한국에서 분기별로 집에서 한국음식 가끔 받아요ㅎㅎ 싱가폴은 온갖 농수산품 수입하는 나라라서 ems 택배에 그런 제한 없구요 다만 발효식품은 택배가 터질 수 있으니 한국에서 보내실때 조심하셔야되요 (김치 매실청 같은것) 저처럼 여기 음식 안 맞으시는거 같은데 온라인 마트로는 한국촌 광고 배너 있는 온라인 마트랑 싱가폴 할인마트(한국어로 구글검색하시면 나와요 한국 온라인 마트에요) 한번 보세요~  그리고 싱가폴 오프라인 마트는 일본 계열 마트에 한국 음식 많아요. 오차드 Isetan 마트, Takeshimaya, 클락키 medji ya 마트도 한번 방문해보세요~ (쌀, 라면 다 팔아요~ 가격 보시면 더욱 감이 오실거예요) 집에서 굳이 싸서 보낼게 아니라면 글로벌 지마켓이랑 글로벌 SSG 마켓 한국 식품들 한국 -> 싱 ems 배송비 할인 할때 많아요! 이용해보세요! (한국촌에 배너도 있네여) 처음 싱가폴 이직해서 적응할때 해외살이란 이런거구나 하고 서러웠던게 생각나네요. 조금 더 지내다 보면 어느게 한국 음식이 비싸다던지 로컬 음식으로 대체 가능한 것들도 점점 보이긴 하시니까 힘내시구요! 국제 배송비가 만만치는 않으니 자주 받을 순 없지만 적응기중에는 맘 편하게 한국에서 도움 받는거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화이팅      

    4
Q

NO.690

사업/직장싱가포르 취업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아자가자!(yshwhite) 2017-06-27
추천수 : 0 조회수 : 2,876

안녕하세요 싱가포르 취업 관련하여 문의드리며 현업에 종사하시는 여러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글을 남깁니다 저는 현재 30대 초반이며 직장경력 4년 조금 넘습니다 (싱가포르+중국 상해 경력) 직무를 좀 더 전문적으로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경영대학원을 준비 중…

  • A

    저도 위엣분 생각과 전적으로 비슷한 의견이구요. Supply Chain Management와 관련해서 APAC지사가 많아 공고도 많은것 같습니다. 이런 직무는 출장도 많이 가는것 같더군요 1.번질문에 대해 대부분 직무적으로 전문성이 부족한 사회초년생이신 분들이 자신의 몸값조차 가늠할수 없는 상태로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입사를 하는 경우 인것 같습니다. 그런분들께 부정적 혹은 긍정적 견해로 많은 의견을 답글 달았었구요. 하지만 명확한 직문 전문성을 가지고 몸값을 협상할수 있는 분이라면 초반에 조금 낮게 시작하시더라도 빠른 시일 이내에 좋은 조건으로 러브콜을 받을수 있는곳이 싱가폴 노동시장인것 같습니다. 다만 싱가폴에서의 경력을 중요시하고 이곳도 채용이 없지않아 인맥에 강한 느낌인것 같아서 연고가 있으시다면 좀더 초반 진입확률이 높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그럼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