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부동산
  • 구직하러 싱가폴 처음 가는데 어떻게 집 구하는 게 좋을까요?
  • gookenhaim (gookenhaim)
  • 질문 : 7건
  • 질문마감률 : 71.43%
  • 2017-03-27 12:24
  • 답글 : 1
  • 댓글 : 3
  • 2,696
  • 0

안녕하세요! 

구직을 하러 처음 싱가폴로 가려고 합니다 .

 

1.  크게 여기서 미리 집을 다 구하고 계약하고 간다 

2. 집은 여기서 알아보되 거기서 직접 둘러보고 계약한다. 

 

두가지 옵션 중에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집을 계약 안 하고 가면 호텔이나 에어비앤비에서 묵으려고 하는데

현실적인 것일까요?

저는 남자이고, 그래도 1인실로 쉐어 안하고 깔끔한 집을 월 100이하로 보고 싶은데

기업들 몰린 좋은 곳에서 지하철 30분 정도 안에 싸지만 깔끔한 집이 있을까요?

 

어떤 웹사이트가 집 구하기 좋을지, 위치에 대한 것이나

전반적인 조심해야 할 점은 뭔지 전문가님들의 의견 여쭈고 싶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한주되세요!

     
  • [질문자 채택답변]
  • 구직하러 싱가폴 처음 가는데 어떻게 집 구하는 게 좋을까요?
  • junphoto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7-03-27 14:10
제생각엔 싱가폴에 LTVP를 받으실만한 아무런 연고가 없고

그냥 잡을찾아서 오시는것 같은데 합법적으로 정식 부동산 렌탈 계약은 불가능합니다.

HDB 플랫은 아예 계약자체가 성립할수 없구요.

간혹 단기로 콘도의 방을 렌트해주는 에이전트들이 있긴한데

만약 입주자가 소셜비짓패스로 체류중 불법체류관련 문제가 생기면 거주지를 제공한 사람도 처벌이 되기때문에

정식 IC가 없으시면 여권만 가지고는 정식적인 렌탈을 하시기 힘드실겁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상 체류허가가 있는 사람에 한해서 부동산 렌탈이 가능하구요.

부동산(콘도만 가능, HDB해당안됨)을 소유한 외국인이 자신의 친구나 가족이 놀러오는경우 자신의 집에 체류하는것은 문제가 되지않지만

그게아니라면 소셜비짓패스로 오시는 분들은 가급적이면 숙박업소에 묵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한달 단위로 계약을 하시거나 처음입국하실때 90일 도장을 받으면 그기간만큼만 계약을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90일 안에 취업이 되시면 다행이지만

정식 고용비자없이 무리하게 체류를 연장하시다가 입국이 거절되면 수년간 싱가폴에 입국하실수 없으니 주의하시구요.

URA나 HDB홈페이지에서 관련 검색을 해보시면 권고사항을 찾으실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댓글목록

junphoto님의 댓글

junphoto (million09)

합법적으로 계약을 할수 없다는 말은 계약 내용이 추후에 법적으로 보호받을수 있을만큼 효력이 없거나 불공정한 조건으로 계약이 된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계약을 했다고 경찰에 신고하면 형사처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특별한 표준 거래계약서도 없고 하우스 렌트에 대한 규정이 있지만 개인용 콘도는 적용을 받지 않는 경우도 많구요.
말씀드린 웹페이지에서 권고사항(법조항이 아닙니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단기로 방을 내놓은 에이전트나 오너들도 있으니 정보를 잘찾아보시면 렌트계약은 가능할 갓 같구요.
정식으로 계약을 하더라도 분쟁이 많이 발생하는게 싱가폴 주택 렌트 시장인것 같습니다.
그런 단기렌트보다는 숙박업소의 장기투숙이 안전할것 같네요.

gookenhaim님의 댓글의 댓글

gookenhaim (gookenhaim)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당연히 가능한줄 알았는데 너무 가는 것을 쉽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냥 갔으면 큰일날뻔했네요
좋은 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junphoto님의 댓글의 댓글

junphoto (million09)

일전에 남기신 글들에도 답글을 달아드렸지만 정보를 좀더 확실하게 찾아서 오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지금 질문하시는 글들의 내용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싱가폴에대한 지식이 아예없고, 의사소통은 모르겠지만 영어로된 정보를 찾는데도 능숙하시진 않은것 같습니다.

분명히 오셔서 한정된 체류 기간안에 잡을 찾으시는분들도 있고 단기방을 계약하여 정식으로 계약을 할때까지 문제없이 지내시거나 게스트하우스에서 즐겁게 지내시며 구직을 하셨던 몇분의 사례를 알고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사전답사를 오셨거나 어떻게 온라인으로라도 현지에 친구혹은 약간이라도 연결고리가 있으신분들이 확률이 높은것 같구요.
모든분들을 확인해볼수가 없어서 확률적으로 그렇게 오시는분들중에 몇프로나 구직이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공채를 진행하는것과 비교해서 크게 다를바 없을것 같습니다.

다만 틀에짜여진 한국식 공채문화(자소서+인적성+면접)랑 비교해서 보다 잘 준비된 포트폴리오나 자유분방하게 회사에 매력있게 어필할 무기가 있다면 확률은 훨씬 높을 것 같습니다.

한국인이 한국회사에 들어갈때에도 등본을 제출하여 신원을 확인하거나 제가 한국에서 다녔던 회사는 자격요건이 되는 두명의 신원보증인을 세우도록 하였었습니다.
하물며 외국인이 외국회사에 들어가는데 고용계약을 수년간 유지할만큼 괜찮은 회사라면 신원이 확실하지 않은 사람을 허투로 들이지는 않을 것 같네요.

참고하셔서 무턱대고 오셨다가 허탕치고 돌아가는일이 없었으면 좋겠네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8

부동산싱가폴 단기인턴 6주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가고시따(disliking) 2021-12-08
추천수 : 0 조회수 : 4,734

안녕하세요,저는 한국 대학생이고, 싱가폴 해외인턴으로 6주간 지낼 숙박시설을 찾고 있습니다.그런데 룸 렌트는 HDB 6개월 이상 콘도 3개월 이상 거주라는 법적 제한이 있더라구요.. MDIS 기숙사 같은 곳도 최소 6개월 이상 거주던데.. 6주 동안 호텔이나 일반 호스…

  • A

    https://ko.airbnb.com/rooms/48593056?adults=1&check_in=2021-12-30&check_out=2022-01-31&display_extensions%5B0%5D=MONTHLY_STAYS&federated_search_id=a0d2d034-77ce-4238-9bca-8e2c64da57ec&source_impression_id=p3_1639014591_%2Bxq%2FQZyzdEhulT0F&guests=1이런곳은 어떠세요? 약간 예산을 오버하긴 하지만^^

    1 채택답변
  • A

    싱가포르 에어비엔비 이용에 대해서 잘 숙지하시고 예약하셨으면 합니다.https://singaporelegaladvice.com/law-articles/is-airbnb-illegal-singapore 모든 에어비엔비가 불법은 아니며, 글을 쓰신 것처럼 정부 공동주택 및 프라이빗 콘도의 렌트기간 및 수용인원 (프라이빗 하우스 까지도 적용) 에 대한 임대차법이 존재합니다.따라서 숙소를 고르실때 금지된 것은 되도록 안하시는 편이 좋습니다.코로나 이전에 저희회사 인턴들은판퍼시픽아시아라는 곳에 6주간 머물렀습니다.다만 비용이 그 당시 2명에 월3천불이었습니다.시내쪽 호스텔은 그보다는 저렴하구요.안전하고 보람있는 인턴기간 되시길 바래요!

    1
Q

열람중

부동산구직하러 싱가폴 처음 가는데 어떻게 집 구하는 게 좋을…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완료
gookenhaim(gookenhaim) 2017-03-27
추천수 : 0 조회수 : 2,697

안녕하세요!  구직을 하러 처음 싱가폴로 가려고 합니다 .   1.  크게 여기서 미리 집을 다 구하고 계약하고 간다  2. 집은 여기서 알아보되 거기서 직접 둘러보고 계약한다.    두가지 옵션 중에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집을 계약 안 하고 가면 호텔이…

  • A

    제생각엔 싱가폴에 LTVP를 받으실만한 아무런 연고가 없고 그냥 잡을찾아서 오시는것 같은데 합법적으로 정식 부동산 렌탈 계약은 불가능합니다. HDB 플랫은 아예 계약자체가 성립할수 없구요. 간혹 단기로 콘도의 방을 렌트해주는 에이전트들이 있긴한데 만약 입주자가 소셜비짓패스로 체류중 불법체류관련 문제가 생기면 거주지를 제공한 사람도 처벌이 되기때문에 정식 IC가 없으시면 여권만 가지고는 정식적인 렌탈을 하시기 힘드실겁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상 체류허가가 있는 사람에 한해서 부동산 렌탈이 가능하구요. 부동산(콘도만 가능, HDB해당안됨)을 소유한 외국인이 자신의 친구나 가족이 놀러오는경우 자신의 집에 체류하는것은 문제가 되지않지만 그게아니라면 소셜비짓패스로 오시는 분들은 가급적이면 숙박업소에 묵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한달 단위로 계약을 하시거나 처음입국하실때 90일 도장을 받으면 그기간만큼만 계약을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90일 안에 취업이 되시면 다행이지만 정식 고용비자없이 무리하게 체류를 연장하시다가 입국이 거절되면 수년간 싱가폴에 입국하실수 없으니 주의하시구요. URA나 HDB홈페이지에서 관련 검색을 해보시면 권고사항을 찾으실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3 채택답변
Q

NO.3

부동산워킹비자없이 아기랑 2달간 어디서 지내나요?ㅠㅠ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완료
뿡뿡이맘(dulre1024) 2016-07-26
추천수 : 0 조회수 : 3,612

  안녕하세요.  지금 태국에 거주중인데, 남편회사일 때문에 곧 싱가폴로 갑니다. 남편말로는 요즘 워킹비자가 늦게나와서 2달정도 걸린다고하네요... 콘도 정식계약을 하기전까지 2달정도의 시간동안 어디서 지낼지 막막하네요 2살된 아기도 있어서 한인민박도 힘들꺼같고…

  • A

    <부동산> 게시글 보시면, 한국에 가야한다던지 그런 이유로 단기로 렌트해주는 분들 있어요 그 중에, 원룸이면 좀 비싸지만, 호텔보단 나을 듯 하구욤.. 그냥 마스터룸 같은 경우라면, 다른 방에 사는 사람이 2달정도만 아이가 지내는걸 괜찮다고 하면, 원룸보다는 더 싸게 지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단기가 아니라 장기로 원하시는 분들에게도 다 연락해보세요~ 그 분들도, 잠깐 2달 누가 살고, 그 후에 장기 구해도 되는 분들도 있을테니깐요~   서쪽이면, 한국분들이 말씀하신 주롱이랑, 추오추강 그 쪽에도 많이 사시던데,  그 쪽 근처로 한번 부동산 글들 찾아보세요~ 직접 시간들여서 찾으셔야 될 것 같아요~    지역을 잘 모르실테니, 구글지도와 싱가폴지하철 노선도 보면서 해보세요~ 화이팅하세요!!      

    1 채택답변
  • A

    집 계약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쪽지 확인하시고 연락 주세요.      

Q

NO.2

부동산집주인 우편함 공유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sunny~(sunokpa) 2016-04-13
추천수 : 0 조회수 : 2,930

안녕하세요 지난달 말쯤에 입싱을 시작해서 ~ 지난주에 겨우 집 계약을 맞춰서 무사히 안착했네요~   부동산은 어찌어찌 새콘도 저렴하게 한거 같긴 한데... 에이전시가 집주인쪽이라서 좀 우여곡절이 있긴했지만, 커미션도 안내도 되공 금액적인 부분은 절약이 된거 같…

  • A

    그런데 집 주인 사는 곳이랑 연락처를 저희가 알 필요가 있나요? 저도 처음에 집 주인 어디 사는지 물어보긴 했었는데, 살고 보면서 딱히 집 주인이 어디 사는지는가 제가 렌트한 집에 사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더군요. 그리고 주인이랑 직접 계약하신 것도 아니고 집주인 에이전트와 협의 후에 계약한시건데 집 주인이 왜 필요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집에 문제 생겨서 집 주인에게 문의가 필요한 경우 에이전트에게 연락을 하면 됩니다. 그럼 에이전트가 중간에 집 주인에게 물어보고 답변해 주는 식으로 중간 창구 역할을 해줍니다. 집 주인들의 경우 직접 관리하기 힘드니 에이전트 두는 것이구요. 혹시라도 님께서 집 주인 에이전트랑 대화가 잘 안되시면 tenant 쪽에도 에이전트 지정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집 주인 agent랑 본인 agent랑 협의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저희가 외국인 들이다 보니 이 국가 시스템을 다 아는 것도 아닌지라 agent끼리 상의하는게 편한 부분도 있습니다. 단, agent 비용을 내야한다는 최고 단점이 있긴합니다. 마지막으로 저희도 우편함 공유하긴 합니다. 다만, 집 주인이 매일와서 가져가는 것은 아니고, 보통 1년에 한 번 정도 가져가고 그나마도 안 가져 가서 우편함이 좀 찼다면 agent한테 연락하세요. 그러면 agent가 가져가서 집주인에게 전달해 줍니다.      

    1
  • A

    계약서에는 보통 집주인과 계약자의 풀 네임과 신분증 번호를 모두 쓰게 되어 있습니다. 에이전트가 대리해서 집주인을 직접 못 보는 경우에도 사인은 받아 옵니다. (에이전트를 통해 연락하므로 주소나 연락처는 보통 주지 않습니다) 우편함의 공유는 일반적인 경우가 아닙니다. 실거주자가 아닌데 주소지만 그곳으로 되어 있다는 뜻이니까요. 세입자의 양해가 필요한 부분이지 일방적으로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또 전기,수도세 등이 아닌 일반 관리비는 집주인이 내게 되어 있습니다. 관리비를 세입자가 내는 경우는 없습니다.      

    1
  • A

    보통 싱가폴에서는 집주인과 직접 연락하지 않고 에이젼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세입자가 집주인의 연락처를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계약서상에 집주인의 집주소만 나와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우편함 공유는 제 생각에는 실질적 공유라기 보다는 이쪽 집으로 집주인의 우편물이 들어올 수 있으니 (예를 들어 집대출 관련이라던가 입주민 회의 내용 등)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 확인하겠다는 의미일것 같습니다. 집을 렌트하실때 집주인 에이젼만 끼고 하셨다고 하시는데 아무래도 그런 경우에 에이젼은 집주인의 입장을 더 고려합니다. 돈을 아끼신 만큼 좀 고충이 있는 부분입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